KR860002108Y1 - 관접 속부 구조 - Google Patents

관접 속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108Y1
KR860002108Y1 KR2019840005019U KR840005019U KR860002108Y1 KR 860002108 Y1 KR860002108 Y1 KR 860002108Y1 KR 2019840005019 U KR2019840005019 U KR 2019840005019U KR 840005019 U KR840005019 U KR 840005019U KR 860002108 Y1 KR860002108 Y1 KR 860002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ing
pipe
taper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10232U (ko
Inventor
이범주
황구석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윤영석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5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108Y1/ko
Publication of KR850010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10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접 속부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관접속부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관접속부의 단면도로서, (a)는 슬리브식, (b)는 평행나사식, (c)는 테이퍼 나사식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커플링 12 : 테이퍼 면
13 : 슬리브 14 : 오링
15 : 백업링 16 : 환형요홈
17 : 테이퍼두부 18 : 괘지턱
19 : 괘지부 20 : 조임너트
본 고안은 유압기기등의 배관에 사용되는 관접속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관접속 방법으로서는 제3(a)도와 같이, 열처리된 슬리브(1)를 조임너트(2)로써 큰힘으로 파이프(3)에 조여 넣으면서 변형을 수반시키는 슬리브 압입방식과, 제3(b)도와 같이, 파이프(4) 선단에 확개된 두부(4')를 형성하여 평행나사식 이음쇠(5)와 조임너트(6)로써 조이는 평행나사식 이음쇠 방식 및 제3(c)도와 같이 파이프(7)와 이음쇠(8)에 테이퍼 나사(9)(10)를 형성하여 시일테이프를 감고 조이는 테이퍼나사 이음쇠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슬리브 압입 방식은 슬리브 압입에 따른 변형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규정된 토르크로 조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불편하며, 분해시 슬리브가 파이프에 압착고정되어 있으므로 누수 또는 누유 발생시 파이프를 보수할 경우 파이프 전체를 교환해야 하며 슬리브자체가 높은 정밀도와 열처리를 요하는 고가의 것이므로 원가가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다.
평행나사식 이음쇠 방식은, 이음쇠와 파이프의 나사부를 초 정밀 가공해야하며 분해를 하게되면 나사부분이 변형되어 이음쇠와 파이프를 교환해야하며 그대로 다시 조립한 경우에는 누수나 누유가 유발되므로 원가와 정비비용이 상승될 뿐 아니라 조립시 적정 토르크를 유지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불편하게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테이퍼나사이음쇠 방식은 파이프와 이음쇠의 나사부에 고정도의 시일테이프를 감은 후 조여야 하므로 그 작업에 높은 숙련도를 요하며 조립시 시일테이프 파편이 파이프라인으로 들어가서 유압기기등의 기능고장을 초래하게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폐단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기기에 장착되는 커플링(11)일측 내면에 외향확개되는 테이퍼면(12)을 형성하고, 호오스등이 연결되는 슬리브(13)의 일단에 오링(14)과 백업링(15)을 감착하는 환형요홈(16)이 주설된 테이퍼두부(17)를 형성하여 슬리브(13)의 괘지턱(18)에 괘지되는 괘지부(19)가 형성된 조임너트(20)로써 체결하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21)은 호오스(22)를 연결하기위한 요환이며(23)은 체결용 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슬리브(13)의 테이퍼 두부(17)의 환형요홈(16)에 오링(14)과 백업링(15)을 감착한 상태에서 커플링(11)의 테이퍼면(12)에 삽입하고, 조임너트(20)를 괘지부(19)가 슬리브(13)의 괘지턱(18)에 괘지되도록 하여 커플링(11)의 나사부에 체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커플링(11)의 테이퍼면(12)과 슬리브(13)의 테이퍼두부(17)사이에는 오링(14)에 감착되어 있으므로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되며, 테이퍼면(12)과 테이퍼두부(17)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아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분해후에도 테이퍼면(12)나 테이퍼 두부(17)가 손상되는 일이 없으므로 오링(14)만을 교환한후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정비 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오링(14)을 백업링(15)로서 보강지지하고 있으므로 조립시 오링(14)이 변경되거나 이상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의 간편성과 신뢰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부의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되며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고정밀도를 요하지 않고 분해후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원가와 정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예로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리브(13)에 호오스(22)가 아닌 파이프를 연결할 경우에는 효환(21)을 형성하지 않고 그 후단에 파이프를 직접 용접부착할수 있는 등 고안의 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유압기기에 장착되는 커플링(11)일측 내면에 외향 확개되는 테이퍼면(12)을 형성하고, 호오스등이 연결되는 슬리브(13)의 일단에 환형 요홈(16)을 주설하여 오링(14)을 끼운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환형요홈(16)에 끼워진 오링(14)의 후단에 백업링(15)을 끼워서된 관접속부 구조.
KR2019840005019U 1984-05-29 1984-05-29 관접 속부 구조 KR860002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019U KR860002108Y1 (ko) 1984-05-29 1984-05-29 관접 속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019U KR860002108Y1 (ko) 1984-05-29 1984-05-29 관접 속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232U KR850010232U (ko) 1985-12-12
KR860002108Y1 true KR860002108Y1 (ko) 1986-08-28

Family

ID=1923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019U KR860002108Y1 (ko) 1984-05-29 1984-05-29 관접 속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1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573A1 (en) * 2008-10-22 2010-04-29 Kindraco Hardware Sendirian Berhad A pipe coupl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573A1 (en) * 2008-10-22 2010-04-29 Kindraco Hardware Sendirian Berhad A pipe coupling
CN102203490A (zh) * 2008-10-22 2011-09-28 健五金私人有限公司 管联接器
AU2009307148B2 (en) * 2008-10-22 2016-02-04 Kindraco Hardware Sendirian Berhad A pipe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232U (ko) 198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888A (en) End fitting
JPS6044681A (ja) 平らな面の管取付具
US4483555A (en) Pipe coupling
US6116658A (en) Counter torque tube connection
GB2218768A (en) Pipe coupling with compressible sleeve
EP1041330B1 (en) Pipe joint made of resin
CA2079843A1 (en) Pipe coupling arrangement
CN110735978A (zh) 用于流体管路组件的联接器
KR860002108Y1 (ko) 관접 속부 구조
JP3328415B2 (ja) ネジ込式管継手
KR970028028A (ko) 관 죠인트
JPH0577688U (ja) 鋼管接続用のメカニカル継手装置
JPH0424231Y2 (ko)
JP3427223B2 (ja) 管接続装置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960010288Y1 (ko) 관 연결구조
JP3027062U (ja) 管継手の締付装置
KR200337739Y1 (ko) 파이프의 결합 구조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RU2150632C1 (ru)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JPS5923917Y2 (ja) 管継手
JPS6332954Y2 (ko)
JPS597875B2 (ja) 流体制御弁の設置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890001694Y1 (ko) 합성수지 파이프 연결장치
KR940006799Y1 (ko) 토목건축용 관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