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838B1 -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838B1
KR860001838B1 KR1019830003494A KR830003494A KR860001838B1 KR 860001838 B1 KR860001838 B1 KR 860001838B1 KR 1019830003494 A KR1019830003494 A KR 1019830003494A KR 830003494 A KR830003494 A KR 830003494A KR 860001838 B1 KR860001838 B1 KR 86000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urtain wall
horizontal frame
horizontal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768A (ko
Inventor
가르트너 카알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0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
제1도는 장막벽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각각의 단면도.
제5도는 연결 부재의 변형을 나타내는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장착부 (19,20,20a),(64,65,65a) : 장착홈
(52) : 상부벽 (53) : 하부벽
(54) : 내측벽 (55) : 외측벽
(58) : 갈고리 (50,60) : 연결부재
(61) : 누름대 (66) : 연결판
본 발명은, 장막벽 유니트들이 강철 프레임에 상하 좌우로 장착되는 유티트식 장막벽에서 상부 및 하부 단위 장막벽 유니트들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니트식 장막벽이란, 장막벽 유니트들이 건물의 하부 위치에서 상부 위치에 까지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그러한 구조를 갖는 벽이고, 그 실시에 있어서 상부 장막벽 유니트를 기존의 장착된 하부 장막벽 유니트에 연결하는 작업은 매우 성가신 일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조건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장막벽 유니트가 이미 장착된 하부 장막벽 유니트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연결되게 하는 유니트식 장막벽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을 연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부 장막벽 유니트의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의 단측벽(短側壁)에 일체로 마련된 장착부와 그 수평 누름대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게 고정되고, 하부 장막벽 유니트의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의 단측벽에 일체로 마련된 장착부와 그 수평 누름대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게 고정되는, 상하로 배치된 1조의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연결 부재가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에 연결된 상부부분과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와 그 누름대에 연결된 하부 부분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는 외향 및 하방으로 약간 경사진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의 내부 및 외부의 양끝에서 거의 수직 하방으로 신장하는 내측벽 및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및 외측벽 사이의 대략 중간부에서 내측벽 및 외측벽 사이에 연결된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의 대략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의 수평 누름대 내측과 계합하는 돌출 갈고리와 상기 상부벽의 내측연에서 수직 상방으로 신장하고 탄성 리데이너를 통해 상기 상부 장막벽 유니트 장착부의 하향 장착홈에 조립되는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의 하단부는 탄성 리데이너를 통해 상기 하부 장막벽 유니트 장착부의 상향 장착홈에 수직 변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외측벽의 하단부는 공기가 통하는 밀봉재를 통해 상기 하부 장막벽 유니트의 수평 누름대의 외측벽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1조의 상부 및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분 발명에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벽 하단부는 외측벽에서 분리하여 수직하부로 형성되어, 하부벽에 마련된 들어간 홈에 장착되는, 1조의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과 잇점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장막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장막벽 유니트들은 상하 좌우로 장착되어 유니트식 장막벽을 구성하고, 장막벽 유니트(Aa)는 1조의 수직 부재(1a,1b),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2a)와 제 2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2m1,2m2) 및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2c)를 포함하는 정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하부 장막벽 유니트(Aa)의 상부 수평 부재(2a)와 상부 장막벽 유니트(Ac)의 하부 수평 부재(2c)가 제 2 도에 도시한 대로 연결된다.
즉, 하부 장막벽 유니트(Aa)의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2a)는, 2개의 장측벽(長側壁)(10,11)과 2개의 단측벽(12,13)으로 구성되는 긴 부재로 형성된다. 몸체(14)의 단측벽(12)는 장착부(15)와 함께 형성되는 한편 타 단측벽(13)은 장측벽(10)쪽으로 열린 홈(17)과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중공부(中空部)(16)과 함께 형성된다. 장착부(15)는, 제 1 장착홈(18)이 형성된 Z형 측벽(15a)와 수직하고 제 2 및 제 3 항 착홈(19,20) 및 어깨(21)가 형성된 단부벽(15b), 그리고 다른 측벽(15c)를 갖는다. 이 측벽(15c)와 몸체(14)의 단측벽(12)는 1조의 고정 돌기(23,24)와 일체로 형성된다. 누름대(61)은 연절 연재로된 단열재(60)을 매개로 하여 장착부(15)의 단부벽(15b)상에 나사(62)에 의해 장착된다. 누름대(61)의 외측벽(61a)는, 갈고리형으로 굽어져 홈(63)을 형성하는 굽어지 벽(61b)와 일체로 형성된다. 굽어진 벽(61b)는 장착부(15)의 제 2 및 제 3 장착홈(19,20)과 대향한 제 4 및 제 5 장착홈(64,65)로 형성된다. 제 3 및 제 5 장착홈(20,64)는 연절 연재로 된 연결판(66)을 그 위에 조립하여 장착시킨다.
기밀재(69,69)가 1조의 고정 부재(23,24) 사이 및 누름대(61)의 외측벽(61a)에 형성된 홈(68)에 장착되고 벽널(34)가 상기 기밀재(69,69)사이에 지지되어 장치된다.
상부 장막벽 유니트(Ac)의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2c)의 형태는 하부 장막벽(Aa)의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2a)의 형태와 동일하고, 하부 수평부재(2c)는 상하 거꾸로 장착된다. 누름대(61)은 단열재(60) 및 연결판(66)을 매개로 하여 나사(62)에 의해 연결되고 벽널(34)는 1조의 기밀재(69,69) 사이에 지지되고 장착된다.
물받이 판으로도 작용하는 연결부재(50)이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2a) 및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2c)에 걸쳐 연결된다.
연결 부재(50)이 상부 및 하부벽(52,53)과 내측 및 외측벽(54,55)에 제공되고, 상부벽(52)는 외측으로 하방 경사지고, 내측벽(54)의 상하부는 상부 및 하부 돌기(56,57)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돌기(56)은 하향의 C형 탄성 리데이너 부재(51)을 매개로 하여 수평부재(2c)의 제 1 장착홈(18)에 조립되어 고정되고, 하부 돌기957)은 하향의 C형 리데이너 부재(51)을 통해 상부 수평 부재(2a)의 제 큰 장착홈(18)에 조립되고, 상부벽(52)에 형성된 칼고리(58)은 제 4 홈(34)에 계합하여 고정되고, 외측벽(55)에 연속하는 수직 하부(55a)의 들어간 홈(59)에 장착된 밀봉재(80)은 누름대(61)의 외측벽(61a)에 지지된다.
즉, 연결 부재(5c)의 상부 부분은 하부 수평 부재(2c)쪽에 고정되어 고착되고, 그 하부 부분은 상부 수평 부재(2a)쪽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연결 부재(50)의 외측벽(55)와 수하부(55a)는 제5도에 도시한 대로 분리하여 형성될 수 있고, 그런 경우 제 2 갈고리(53a)가 외측벽(55)와 하부벽(53) 사이의 모서리에서 돌출되고, 홈(53b)는 갈고리(53a)와 하부벽(53) 사이에 형성되고, 홈(59)가 있고 그 말단부에 밀봉재가 마련된 대략 하향의 L형 수하부(55a)가 홈(53b)와 계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하부 장막벽 유니트(Aa)가 장착된 다음, 상부 장막벽 유니트가 조립되고 연결 부재(50)의 상부 부분이 고정되어 고착되며, 그러한 상태에서 상부 장막벽 유니트(Ac)가 하향 이동되고, 연결 부재(50)의 하부 돌기(57)이 리테이너 부재(51)을 매개로 하여 제 1 장착홈(18)에 조립되고, 밀봉재(80)이 외측벽(61a)를 받치게 되며 연결 부재(50)의 하부 부분이 상부수평 프레임 부재(2a)쪽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부 장막벽 유니트(Ac)는 하부 장막벽 유니트(Aa)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연결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15)와 굽어진 벽(61b)는 3개의 장착홈(19,20,20a),(65,65,65a)로 형성되어, 1조의 연결판(66,66)이 조립되고 장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몸체(14)에 누름대(61)을 연결하는 강도가 증가한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홈(20a) 및 홈(65a)가 장착부(15)와 굽어진 벽(61b)의 단열재(60)위로 형성되어, 그 안에 연결 판(66)이 조립되고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판(66,66)이 단열재(60)의 상하로 배치됨으로써 조립될때 안전성이 증가하고 누름대(61)의 연결 강도가 증가한다.
또한 연결 부재(50)의 상부 부분이 이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2c) 및 누름대(61)에 고정되고, 그 하부 부분이 밀봉재(80)을 통해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2a)에 연결된 누름대(61)의 외측벽(61a)에 지지됨으로써 외측벽으로 부터의 상물 기타의 출입을 방지한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거기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3)

  1. 상부 장막벽 유니트의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2c)의 단측벽에 일체로 마련된 장착부(15)와 그 수평 누름대(61)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게 고정되고, 하부 장막벽 유니트의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2a)의 단측벽에 일체로 마련된 장착부(15)와 그 수평 누름대(61)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게 고정되는 상하로 배치된 1조의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연결 부재(50)가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2c)와 그 누름대(61)에 연결된 상부 부분과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2a)와 그 누름대(61)에 연결된 하부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및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50)는 외향 및 하방으로 약간 경사진 상부벽(52)과, 상기 상부벽의 내부 및 외부의 양끝에서 거의 수직 하방으로 신장하는 내측벽(54) 및 외측벽(55)과, 상기 내측벽 및 외측벽 사이의 대략중간부에서 그 사이에 연결된 하부벽(53)과 상기, 상부벽의 대략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의 수평 누름대 내측과 계합하는 돌출갈고리(58)와, 상기 상부벽의 내측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신장하고 탄성 리테이너를 통해 상기 상부 장막벽 유니트 장착부의 하향 장착홈에 조립되는 상부 돌기(56)를 포함하는 1조의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의 하단부(54)는 탄성 리테이너(51)를 통해 상기 하부 장막벽 유니트 장착부(15)의 상향 장착홈(18)에 수직 변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외측벽(55)의 하단부는 공기가 통하는 밀봉재(80)를 통해 상기 하부 장막벽 유니트의 수평 누름대(61)의 외측벽(61a)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0)의 외측벽(55) 하단부는 외측벽과 분리되어 수직 하부(55a)로 형성되어, 하부벽(53)에 마련된 홈(53b)에 장착되는 상부 및 하부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
KR1019830003494A 1982-08-02 1983-07-27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 KR860001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33765 1982-08-02
JP57133765A JPS5924048A (ja) 1982-08-02 1982-08-02 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上下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の連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768A KR840005768A (ko) 1984-11-15
KR860001838B1 true KR860001838B1 (ko) 1986-10-24

Family

ID=1511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494A KR860001838B1 (ko) 1982-08-02 1983-07-27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25962A (ko)
JP (1) JPS5924048A (ko)
KR (1) KR860001838B1 (ko)
CA (1) CA1209772A (ko)
GB (1) GB2127452B (ko)
HK (1) HK73788A (ko)
PH (1) PH199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16459D0 (en) * 1987-07-13 1987-08-19 Blacker I Cladding system
DE4342748A1 (de) * 1993-12-15 1995-06-22 Fischer Artur Werke Gmbh Befestigungssystem für Fassadenplatten
DE19718299A1 (de) * 1997-04-30 1998-11-05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Fassadenplatt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8568A (en) * 1959-11-25 1962-06-12 North American Aviation Inc Curtainwall
BE825631A (fr) * 1975-02-17 1975-06-16 Structure de mur-ridea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768A (ko) 1984-11-15
GB2127452A (en) 1984-04-11
HK73788A (en) 1988-09-23
US4525962A (en) 1985-07-02
GB2127452B (en) 1986-01-22
CA1209772A (en) 1986-08-19
JPS5924048A (ja) 1984-02-07
PH19987A (en) 1986-08-28
GB8320744D0 (en) 1983-09-01
JPS6331626B2 (ko) 1988-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541Y1 (ko) 장막벽 유니트 장착 장치
GB832132A (en) Frame support for panels
JP2552910B2 (ja) パネル部材の取付装置
KR102000228B1 (ko)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KR870000537Y1 (ko) 유니트식 장막벽
US4037378A (en) Window frame
KR860001838B1 (ko) 상부 및 하부 장막벽 유니트들의 연결 장치
KR900004835Y1 (ko) 간막이벽 유니트 연결장치
KR870000249B1 (ko) 장막벽의 벽널 지지부
KR860002908Y1 (ko) 건축용 조립재
US4055916A (en) Exterior window unit having frame header
KR860002907Y1 (ko) 장막벽 유니트용 단열형재
JP2018127864A (ja) 壁材の取付具、壁構造、及び取付具の製造方法
JP2591638Y2 (ja) 連窓の方立構造
KR860002906Y1 (ko) 조립식 건물벽의 이음매용 방수장치
CN219365056U (zh) 一种明框侧单玻隔断墙结构
CN211342593U (zh) 一种用于防火窗窗框支架条
JPH08193467A (ja) 段窓の連結部シール構造
CN216197446U (zh) 一种窗框型材
KR860001840B1 (ko) 건축용 구조재
JPH0748943Y2 (ja) 障子の結露水排水装置
JPS6220639Y2 (ko)
JPH0322412Y2 (ko)
JPH0752929Y2 (ja) 框の木製化粧板取付装置
JPS61461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9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