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749B1 - 도어폰 - Google Patents

도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49B1
KR860001749B1 KR1019840007291A KR840007291A KR860001749B1 KR 860001749 B1 KR860001749 B1 KR 860001749B1 KR 1019840007291 A KR1019840007291 A KR 1019840007291A KR 840007291 A KR840007291 A KR 840007291A KR 860001749 B1 KR860001749 B1 KR 860001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ice
visitor
output
r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526A (ko
Inventor
이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4000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749B1/ko
Publication of KR86000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폰
제 1 도는 본 발명의 계통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문객 감지장치 2 : 증폭회로
3 : 경보회로 4 : 비교기
5 : 마이크로 프로세서 6 : EP ROM
7 : D/A콘버터 8 : 음성처리회로
9 : 음성출력회로 10 : 실내측 마이크로폰
11 : 외부 마이크로폰 12,13 : 스피이커
14 : RC 저역필터 15,16 : 음성검출회로
17 : 음성증폭회로 18 : 슈미트트리거회로
본 발명은 대문과 실내간에 설치되는 도어폰(DOOR PHONE)에 있어서, 방문객이 출현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확인을 요하는 음성을 출력시키고 방문객으로부터 응답이 있을 때 음성의 출력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실내거주인이 실내측 송수화기를 사용하기 전까지 버저음을 발생시키는 도어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폰은 방문객이 대문에서 호출버저를 누르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자신의 신분을 밝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폰은 신분의 확인을 충실히 수행할 수는 있으나, 방문객이 도어폰의 사용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에는 도어폰의 기능이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는 없다. 또한 종래의 도어폰은 의사 전달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 방문객의 출현을 감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도어폰의 기능을 개선시킨 것으로서, 방분객이 별도의 호출수단을 통하지 않고 일단 도어폰이 설치된 장소에 위치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누구십니까”라는 확인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실내에 있는 버저를 작동시켜서 방문개의 출현을 통보하는 한편, 방문객이 신분을 밝히는 음성이 들리면 확인음의 송출을 중지시키므로써 도어폰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고 동시에 방문객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방문객 감지장치(1)의 출력단이 OP AMP (OP1∼OP3)로 구성되는 증폭회로(2)와 버저(BZ) 및 마이크로폰 연동스위치(SW1) 등을 구비하고 있는 경보회로(3)측에 연결되고, 증폭회로(2)의 출력일단은 비교기(4)와 음성발생용인 마이크로 프로세서(5), EP ROM (6)및 D/A 콘버터(7)로 구성되는 음성처리회로(8)에 연결되며, 외부측 음성출력회로(9)의 출력일부와 내부측 음성출력회로(18)의 출력일부가 앤드 게이트(AND1)를 구성하여 EP ROM(6)의 이네이블 단자 t-1 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0,11은 마이크로폰, 12,13은 스피이커, 14는 RC 저역필터, 15,16은 음성검출회로, 17은 음성증폭회로를 나타낸다.
제 1 도는 장기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계통도로서, 적외선 센서등과 같은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방문객 감지장치(1)는 대문쪽에 설치된다. 만일 방문객이 감지범위내에 들어오면 감지장치(1)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며 증폭회로(2)에 가해져서 증폭되는 동시에 필요한 대역의 신호만이 여파된다. 이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와 EP ROM (6)을 구비하고 있는 음성처리회로(8)에 인가되는 바, EP ROM (6)에는 가령“누구십니까”와 같은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인가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데이터는 D/A콘버터(7)에 의해 아날로거 신호로 변환된 후 외부측 음성출력회로(9)에 인가된다. 따라서 방문객이 별도의 초인종(호출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확인을 요하는 음성이 외부측 스피이커(12)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증폭회로(2)의 출력은 경보회로(3)에도 가해지어 버저와 발광소자를 동작시켜서 방문객이 출현했음을 실내 거주인에게 통고하게 된다.
“누구십니까”와 같은 확인음성에 대하여 방문객이 대답을 하게 되면, 대답하는 음성의 일부는 픽업되어 확인음성의 변환신호와 함께 앤드 게이트(AND1)에 논리조합된다. 그러면 하이레벨의 신호가 EP ROM(6)이 네이블 단자 (
Figure kpo00001
)에 가해져서 EP ROM(6)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여기에서 EP ROM(6)은 이네이블 단자 (
Figure kpo00002
) 가 로우레벨일때 데이터를 D/A콘버터(7)측으로 전송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개략적인 동작을 제 2 도의 구체적인 회로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객이 대문쪽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장치(1)측에 나타나면 아이레벨의 신호가 발생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 신호는 증폭작용과 대역통과 여파작용을 하게 되는 OP AMP(OP1)(OP2)에 인가되어 증폭되고, 필요한 대역의 신호만이 통과하여 전압 플로워로서 동작하는 OP AMP(OP3)에 인가된다. OP AMP(OP3)를 통과한 신호는 경보회로(3)의 트랜지지스터(Q2)에 가해지어 트랜지스터(Q2)를 턴-온 시킨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되는 동시에 버저(BZ)가 작동한다. 이 경보회로(3)는 실내에 있는 마이크로폰(10)의 후크 스위치에 연동하는 연동스위치(SW1)가 닫혀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폰(10)을 들지 않는한 계속하여 버저(BZ)가 작동하게 된다.
한편, OP AMP(OP3)의 출력일부는 음성처리회로(8)에 있는 비교기(4)에 가해져서 기준전압과 비교된다. 감지장치(1)로부터의 신호는 기준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비교기(4)의 출력은 로우레벨이 되고 이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6)의 리셋트 단자(MR)는 로우레벨이 될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5)가 작동하여 EP ROM(6)에 READ신호를 송출하고, EP ROM(6)에서는 해당 데이터(일예로“누구십니까”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D/A 콘버터(7) 측으로 송출한다. 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외부측에 대해서 동작하는 음성출력회로(9)에 공급된다. (제 2 도의 (2-2)) 음성출력회로(9)는 RC저역필터(14)와 음성증폭회로(17)로 구성되고, 스피이커(12)는 대문쪽으로 연장설치된 것이다.
따라서“누구십니까”라는 음성이 스피이커(12)를 통해 방문객에게 전달된다.
여기에서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 사용하는 마이크로폰(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보회로(3)의 연동 스위치(SW1)를 온-오프 시키기도 한다. 즉, 내부인이 EP ROM(6)의 데이터 대신 직접적인 음성으로 대화를 나누고자 마이크로폰(10)을 후크스위치로부터 빼내면 경보회로(3)의 연동스위치(SW1)가 오프되는 동시에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증폭회로(17)를 통해서 스피이커(12)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실내측 마이크로폰(10)을 사용하기 이전에 “누구십니까”라는 음성이 출력되는 상태에서는 D/A 콘버터(7)의 일부신호가 음성검출회로(15)에 가해진다. 즉, D/A 콘버터(7)의 아날로그 신호는 OP AMP(OP4)에 가해져서 반전증폭된 후 다이오드(D3)와 저항(R19) 및 콘덴서(C7)로 이루어지는 톱니파 발생회로에 의해 톱니파로 변환된다.
이 톱니파는 슈미트 트리거회로(19)에 가해져서 일정한 크기의 하이레벨 신호를 발생시키게 한다. 하이레벨의 신호는 앤드 게이트(AND1)의 한 입력신호가 된다.
한편, 방문객이“누구십니까”라는 음성에 대하여 대문측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11)측으로 대답을 하게되면, 이 신호는 실내로 향하는 음성출력회로(18)의 음성 증폭회로(17)에서 증폭되어 실내에 있는 스피이커(13)에 전달되고, 일부 신호는 전술한 음성검출회로(16)와 동일한 회로(16)에서 검출되어 하이레벨의 신호가 앤드 게이트(AND1)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앤드게이트(AND1)의 하이레벨출력신호는 EP ROM(6)의 이네이블 단자 (
Figure kpo00003
) 를 하이레벨로 만드므로 “누구십니까”의 데이터 송출이 중단된다.
만일, 실내에 있는 사람이 마이크로폰(10)을 들지 않을 때 까지는 버저(BZ)와 발광다이오드(LED)가 계속 동작하여 방문객이 대문쪽에 있음을 통고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회로구성에서, 대문쪽에 설치되는 스피이커(12)와 방문객용 마이크로폰(11)은 그 설치각도와 설치장소에 있어 서로 영향을 받지 않게끔 설정되어진다.
만일, 방문객이 사라지게 되면, 감지장치(1)로부터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여타회로의 동작이 모두 중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래식의 도어폰과 비교하여 볼 때, 도어폰의 사용법을 잘 모르는 방문객이 있을지라도 별도의 절차없이 자동적인 확인음성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외부인의 출현유무를 실내의 거주인에게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방문객 감지장치(1)의 출력단에는 OP AMP(OP1∼OP3)를 구비하고 있는 증폭회로(2)와, 버저(BZ)와 마이크론 연동 스위치(SW1) 및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하고 있는 경보회로(3)를 차례로 연결하고, 상기 증폭회로(2)의 출력단에는 비교기(4)와 음성발생용 마이크로프로세서(5), EP ROM(6) 및 D/A 콘버터(7)로 구성되어 있는 음성처리회로(8)를 연결하며, 외부를 향한 음성출력회로(9)의 전단에 음성검출회로(15)를 설치하여 내부를 향한 음성출력회로(18) 내의 음성검출회로(16)와 상기 음성검출회로(15)의 양출력으로 앤드게이트(AND1)를 구성하고, 상기 앤드 게이트(AND1)의 출력단을 상기 EP ROM (6)의 이네이블 단자 t-5 에 연결하여서 된 도어폰.
KR1019840007291A 1984-11-21 1984-11-21 도어폰 KR860001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291A KR860001749B1 (ko) 1984-11-21 1984-11-21 도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291A KR860001749B1 (ko) 1984-11-21 1984-11-21 도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526A KR860004526A (ko) 1986-06-23
KR860001749B1 true KR860001749B1 (ko) 1986-10-20

Family

ID=1923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291A KR860001749B1 (ko) 1984-11-21 1984-11-21 도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7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526A (ko) 198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0907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remotely controllable sound producing device
US5870453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remotely controllable sound producing device
KR860001749B1 (ko) 도어폰
CN114255557A (zh) 智能安防控制方法、智能安防设备及控制器
JPH07235972A (ja) ハンズフリーインターホン
AU606613B2 (en) Improvements in call devices
JPS5854706B2 (ja) 音響警報装置を持つインタ−ホン装置
KR20010004807A (ko) 다층주택 생활환경 경보기.
JP2533760Y2 (ja) モニター機能を有したインターホン親機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980963B2 (ja) ドアホン子器
JP4518702B2 (ja) ドアホン
KR900001134B1 (ko) 안전기능이 있는 인터폰 장치
ATE95655T1 (de) Konferenz-freisprecheinrichtung.
KR920006207Y1 (ko)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JPH07226802A (ja) Tv等のオン・オフ時刻を検知する電話機
JPS6041848A (ja) 電子式電話機
JP3660121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H10326396A (ja) セキュリティインターホン装置
KR100454883B1 (ko) 청각장애자용도어비전의램프점멸장치
JPH0597159U (ja) ドアホン装置
JPS61201555A (ja) 電子ボタン電話装置
KR970002691B1 (ko) 멧세지 착신 갯수 확인장치
JPS62172849A (ja) セキユリテイシステム
JPS62176257A (ja) ドアホンの呼出音検出装置
JP2000049952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