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734B1 - 탈곡기의 탱크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탈곡기의 탱크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34B1
KR860001734B1 KR1019830002422A KR830002422A KR860001734B1 KR 860001734 B1 KR860001734 B1 KR 860001734B1 KR 1019830002422 A KR1019830002422 A KR 1019830002422A KR 830002422 A KR830002422 A KR 830002422A KR 860001734 B1 KR860001734 B1 KR 86000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rame
attached
discharge
thre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205A (ko
Inventor
마다오 노모리
마쓰 마모루 야스
후미오 후루노
히데오 다니구찌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시계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시계가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7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탈곡기의 탱크 부착구조
도면은 본발명에 관한 탈곡기의 탱크 부착구조의 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도는 전체측면도.
제2도는 일부절결 전체측면도.
제3도는 탱크의 일부생략 절결측면도.
제4도는 탱크의 전면도.
제5도는 탱크의 후면에서본 일부절결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기체프레임 (41) : 탱크 지지용 프레임
(4) : 탈곡장치 (43) : 지지부재
(5) : 탱크 (P) : 세로축심
(40)(42) : 추지구
본 발명은 탈곡된 곡립의 저류용 탱크를 상하 1쌍의 추지구에 의하여 세로축심 둘레에서 회전자재하게 설치하고, 탱크의 옆쪽에 배설한 탈곡장치를 탱크를 회동시킨 상태로서 탱크쪽에서 스페이스를 넓게 점검정비 할수 있도록한 탈곡기의 탱크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한 탈곡기에 있어서 탱크 부착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기체프레임에서 입설한 지주에 대하여 탱크를 상하 1쌍의 추지구를 개재하여 추지 연결하고 있는 것이나, 탱크가 보통 사용위치에 있을때에 있어서 다량의 탈곡된 곡립을 내장한 상태의 탱크의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주나 추지구등의 부착구조가 강대화하지 않을 수 없어서 그 부착구조의 배설스페이스면 및 제작 원가면에 있어서 이롭지 못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실정에비추어서 합리적인 개량에 의하여 탱크부착구조를 경소화(輕小化)하면서도 탱크의 지지강도를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한점에 있다.
본 발명의 탱크 부착구조의 특징구성은 당초에 기재한 탈곡기에 있어서, 전기한 추지구중에서 아래쪽것을 기체프레임에, 또한 윗쪽 것을 탈곡장 치로서 지지시킨 탱크 지지용 프레임에 각각 부착하고, 전기한 탱크에 그것이 보통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로서 기체프레임의 윗면에 당접하여 탱크의 회전유단(遊端)측을 지지하는 부재를 연설하고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보통 사용위치에 있을때의 큰 탱크하중을 기체프레임에 직접 부착한 아래쪽 추지구 및 기체프레임에당접작용하는 탱크 회전 유단측의 지지부재에 의하여 분산지지되는 것이므로, 단순히 탱크회동할 때에 있어서 비어 있는 상태의 탱크 윗쪽을 추지구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만큼의 경소한 탱크지지용 프레임을 탈곡장치로 지지하는 것만으로서 종래 구성과 같은 강대한 지주를 생략할 수가 있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할때의 탱크 지지강도를 충분히 하면서도 탱크 부착구조의 각 부재를 대폭으로 경소화할 수 있으며, 전체로서 지지강도에 있어 우수하고, 또한 소형으로서 제작원가면에 있어서도 유리한 탱크 부착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에 이르렀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좌우 1쌍의 크로울러 주행장치(1)를 갖춘 기체프레임(2)에 탑승운전부(3) 및 자동탈곡장치(4)를 전후로 인접하는 상태로서 설치함과 아울러 탈곡된 곡립을 회수 저류하는 탱크(5)를 탈곡장치(4)의 옆쪽에서 운전부(3)의 뒷쪽으로 배치하여 설치하고, 또한 식립된 곡간을 견인기립하는 장치(6), 견인기립된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용 칼날(7)및 예취된 곡간을 탈곡장치(4)의 탈곡 반송장치(8)에 공급반송하는 장치(9)등의 모든 장치를 장비한 예취부(10)를 기체프레임(2)의 전단에 구동승강조작자재하게 연설하므로서 콤바인을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탱크(5)를 구성함에 있어서, 대략 직방체 형상의 탱크(5) 본체를 그 후단측 세로 방향축심(P) 둘레에서 기체 바깥쪽 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또한 고정자재하게 기체프레임(2)에 부착하고, 탱크(5)를 기체 바깥쪽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탈곡장치(4)를 탱크(5)쪽에서 넓은 스페이스로서 점검정비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탱크(5) 본체의 외측벽부에 외측면이 탱크(5)본체의 외측면과 동일한 면으로되는 격납상태와, 외측면의 상단측일수록 탱크(5)본체의 외측면 보다도 기체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사용상태에 걸쳐서 출퇴요동 및 고정조작자재한 달아붙인 탱크부(11)를 설치하며, 노상주행할때나 차고격납할때 등에 있어서는 달아붙인 탱크부(11)를 격납상태로 하는것에 의하여 탱크(5)본체를 소형화 하면서도, 수확작업할때에 있어서는 달아붙인 탱크부(11)를 사용상태로 하는것에 의하여 탱크(5)의 저류용량을 크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12)는 탈곡장치(4)에 있어서 탈곡선별된 곡립을 탱크(5)에 인양반송 공급하는 스크류우 콘베이어이다.
전기한 탱크(5)내에 회수된 저류된 곡립의 배출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하는바와같이, 탱크(5)의 밑바닥부에 저류된 곡립을 뒷쪽으로 반성하는 스크류우 콘베이어(13)를 탱크(5)의 전체길이에 걸친 상태로서 설치함과 아울러 그 스크류우 콘베이어(13)의 윗쪽에 탱크(5)내 저류된 곡립의 콘베이어 (13)쪽에의 흘러 내려가는 것을 저지하는 셔터(1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탱크(5)의 후벽하부의 외면에 스크류우 콘베이어(13)로부터의 공급된 곡립을 인양반송하는 슬로워(15)를 그 구동축에 스크류우 콘베이어(13)의 스크류우축(16)을 겸용하는 상태로서 장비하므로써 셔터(14)의 개방조작에 의하여 저류된 곡립을 스크류우 콘베이어(13)에 흘러 내려서 공급하고, 슬로워(15) 및 그 토출구(15b)에 연설된 배출통(17)을 개재하여 기계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배출통(17)의 슬로워(15)에 대한 연설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기한 토출구(15b)를 형성한 슬로워케이스(15a)를 슬로워(15)본체에 대하여 그 구동축 축심둘레에서 회동자재하게, 또한 부설된 마찰보전 지지식 고정장치(18)에 의하여 적당한 회동 위치로 고정자재하게 부착함과 아울러 토출구(15b)에 배출통(17) 연결용 통부재(19)를 외감상태로서 토출구(15b)중심 축심 둘레에 있어서의 회동만을 허용하는 상태로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통부재(19)에 대하여 배출통(17)을 외감상태로서 삽입연결함과 아울러 통부재(19)에 부칙한 바클식 고정구(20)에 의하여 연결상태의 배출통(17)을 탈락방지 고정하므로써 바클식 고정구(20)의 조작에 의하여 배출통(17)을 간단하게 착탈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슬로워케이스(15a)의 회동기능 및 통부재(19)의 회동기능에 의하여 곡립을 방출할때에 있어서 배출통(17)의 자세 및 배출통(17)굴곡방출 선단부로부터의 방출방향을 소망하는 상태로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21)은 탱크(5)내의 저류된 곡립을 회수용 주머니등에 직접 배출하기 위한 셔터가 부착된 배출구이다.
전기한 배출통(17)의 격납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탱크(5)의 후벽에 서로 개폐요동자재한 1쌍의 반환(半環)형상의 밴드부재(22a)로 이루어진 환형상의 고정금속구(22)를 슬로워케이스(15a)의 회동에 의한 배출통(17)의 요동 궤적에서 퇴피한 수하비사용 상태와, 기립자세상태에 있는 배출통(17)을 양 밴드부재(22a)사이에 위치시키는 사용상태에 걸쳐서 요동 자재하게 부착하고, 양 밴드부재(22a)에 의하여 배출통(17)을 포위한 상태로서 양 밴드부재(22a)의 선단측 요동단부끼리를 그 한쪽에 부설된 바클식 금속구(22b)로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주행할때 등에 있어서 배출통(17)을 기립자세 격납상태로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5)의 전후 양벽의 동일한 레벨부분에 선단부에 배출통(17)에 대한 탄성 협지부재(23a)를 부착한 전후 1쌍의 홀더(23)를 그들의 선단부가 탱크(5)의 외측면보다도 기체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사용상태와 홀더(23) 전체가 탱크(5)의 외측면보다도 기체안 쪽으로 후퇴하는 비사용상태에 걸쳐서 각각 세로방향 축심둘레에서 요동자재하게 부착하므로써 배출통(17)을 슬로워(15)에 부착한 수확작업할때 등에 있어서는 양 홀더(23)를 후퇴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그들 홀더(23)의 돌출단부와 다른 물건과의 예측치 못한 당접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차고에 격납할 때 등에 있어서는 길이가 긴 배출통(17)을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상태의 홀더(23)사이에 옆으로 가설하는 상태로서 기체의 옆쪽으로 따르게하여 소형으로 수납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배출용 스크류우 콘베이어(13) 및 슬로워(15)의 구동구조 및 그들 배출장치와 셔터(14)의 조작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2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3)의 아래쪽에 배설한 엔진(24)으로부터의 동력을 텐손풀리식 탈곡클러치(25a)를 장비한 벨트 전동기구(25)에 의하여 탈곡장치(4)에 입력함과 아울러 그 입력축으로 되는 풍력선별기의 축(26)에서 체인 전동기구(27), 베벨기어기구(28) 및 벨트전동기구(29)를 개재하여 분기전동한 동력을 탱크(5)앞벽에서 앞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의 전기한 스크류우축(16)에 전달하고 배출용 스크류우콘베이어(18) 및 슬로워(16)를 일체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30)은 스크류우콘베이어(13)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슬로워(15)나 스크류우콘베이어(13)에 곡립이 끼여서 그것들의 검출회전수가 설정된 값이하로 되었을 때에는 엔진(24)를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센서(30)와 엔진(24)의 액슬부를 자동제어기(도면표시 아니하였음)를 개재하여 연동연결하고, 곡립의 막힘에 의한 배출장치나 그것들에 대한 구동계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스크류우축(16)에 대한 벨트전동기구(29)에 스크류우콘베이어(13) 및 슬로워(15)에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텐숀풀리식 클러치(29a)를 장비하고, 전기한 벨트 전동기구(29)를 커버하기 위하여 탱크(5)의 앞벽에 연설한 케이스(31)의 윗면에 그 클러치(29a)의 조작레버(32)에 대한 안내공(33)을 U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U자 형상 안내공(33)의 한 변쪽에서의 레버(32)의 요동조작에 의하여 셔터(14)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면서 클러치(29a)만이 입력 단절조작되며, 또한 다른 변쪽에서의 요동조작에 의하여 클러치(29a)를 입력상태로 유지하면서 셔터(14)만이 개폐조작되도록 전기한 클러치(29a) 및 셔터 개폐기구(14a)를 케이스(31)에 내장한 기계식 연동기구(34)를 개재하여 레버(32)에 연동연결하므로써 1개의 레버(32)로서 셔터(14)와 클러치(29a)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스크류우 콘베이어(13) 및 슬로워(15)가 비구동상태에 있을때에는 셔터(14)에서 곡립이 흘러내려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스크류우 콘베이어(13) 및 슬로워(15)를 항상 무부하상태에서 원활하게 시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안내공(33)을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밑변부를 레버(32)의 여유 요동범위로 한것에 의하여 스크류우콘베이어(13) 및 슬로워(15)의 시동, 정지와, 셔터(14)의 개폐작동과의 사이에 확실하게 타임래그(time lag)를 설치하여서 스크류우콘베이어(13) 및 슬로워(15)의 시동할때에 있어서의 무부하상태를 보다 더 확실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31a)는 케이스(31)하부에 형성된 문짝이 부착된 개구이며, 탱크(5)회동조작할때에 있어서 그개구(31a)에서 벨트전동기구(25)의 벨트의 괘가 해제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슬로워(15)및 스크류우콘베이어(13)의 탱크(5)본체에 대한 부착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3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하는바와같이, 탱크(5)의 전후 양벽의 하부내면에 전후 방향으로 보아서 형상이 구형상(矩形狀)의 판상 보강부재(35)(36)를 각각 첩설(貼設)하는 상태로서 부착함과 아울러 스크류우축(16)에 대한 전후의 각 축받이부(16a)를 그들 보강부재(35)(36)에 각각 설치하고, 또한 슬로워(15) 본체를 후부측 보강부재(36)의 후면에 연결하므로써 탱크(5)의 각 측판을 극력 얇게 하여 그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슬로워(15) 및 스크류우콘베이어(13)의 부착강도를 향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후부측 보강보재(36)를 그 하부단연 및 외측단연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슬로워(15)의 외주보다도 그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배치하므로써 전후방향에서 보아 탱크(5)하부의 외연형상보다도 돌출한 상태로 되는 슬로워(15)외주부에 대항 안내부재로서 후부보강부재(36)를 겸용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평면에서 보다 ㄷ자형상으로 굴곡형성된 파이프프레임(37)을 평면에서 보아 그것이 슬로워(15)전체를 포위하는 상태로, 또한 측면에서 보아 슬로워(15)의 전체보다도 아래쪽으로 위치되는 상태로 배치하여 기체 프레임(2)에서 뒷쪽 방향으로 수평 연설함과 아울러 그 ㄷ자 형상의 파이프 프레임(37)의 후단변부에 탈곡장치(4)의 후부에 연설한 배출된 짚처리장치(4a)에 대한 굴곡지지프레임(38)을 연결고정하므로써 배출된 짚 처리장치(4a)에 대한 지지프레임 구조를 슬로워(15)의 후부, 하부 및 외측부에 대한 안내구조로 겸용하여 이용하고 있다.
전기한 팅크(5)의 회동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탱크(5)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체프레임(2)의 후단부 윗면에 세로방향의 단(段)이 부착된 지점핀(39)을 고정 설치하여서 전기한 후부측보강부재(36)의 하단측 수평연설부분(36a)에 단(段)이 부착된 지점핀(39)의 작은 지름부에 대한 감합공(40)을 형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배출된 짚 처리장치(4a)의 프레임구조에서 입설한 탱크지지용 프레임(41)의 굴곡단부에 탱크(5) 윗벽에 고정설치한 상부측 세로방향 지점핀(42)에 대한 추지용보스부(41a)를 그 세로방향 추지축심이 전기한 단(段)이 부착된 지점핀(39)의 세로 방향축심과 일치하는 상태로 부착하므로써 단(段)이 부착된 지점핀(39) 및 추지보스부(41a)의 지지작용에 의하여 그들의 세로방향 축심을 회동축심(P)으로 하는 상태로서 탱크(5)를 회동 자재하게 기체에 지지하고 있다.
즉 전기한 후부측 보강부재(36)을 탱크회동 구조에 대한 지지부재에도 겸용구성하여서 탱크(5)의 구성부재수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다. 또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기한 전부측 보강부재(35)의 하단부에 탱크가 회동할때에 기체프레임(2) 윗면을 접접이동하여 탱크회동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단면 형상이 U자형상의 부재(43)를 부설함과 아울러 탱크회동을 폐쇄할 때에 있어서 그 U자형상의 부재(43)와의 당접에 의하여 탱크(5)를 보통 사용위치로 위치결정하는 스톱퍼(44)를 기체프레임(2)에 고정설치하고, 또한 탱크(5)의 보통 사용위치에 있어서 기체프레임(2)의 윗면에 형성한 핀구멍(45a)에의 삽입에 의하여 탱크(5)의 회동을 고정하기 위한 록크핀(45)을 전기한 전부측 보강부재(35)에 핀구멍(45a)에 대한 상하 삽탈조작 자재하게 설치하고 있다.
즉 탱크(5)의 회동 유단측에 기체프레임(2)의 윗면에 당접작용하는 U자 형상의 부재(43)를 설치한것에의하여 보통 사용위치에서 곡립이 저류된 상태에 있을때의 탱크(5)의 큰 하중을 기체프레임(2)에 직접 부착한 단(段)이 부착된 지점핀(39)부분과 U자 형상의 부재(43)에 의하여 확실하게 수납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하여서 탱크(5)의 상부측을 지지하는 전기한 지지용 프레임(41)을 그것에 대해서는 단순히 탱크 회동할때의 비어 있는 상태의 탱크하중 혹은 탱크(5)의 기립자세 유지를 위한 지지력만을 작용시키는 상태에서 극력 경소화하여 탱크회동 지지구조를 전체로서 소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46)은 탱크(5)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손잡이 이다. 또한 전후 각 보강부재(35)(36)의 구체적인 형상구조는 각종의 구성변경이 가능하다.
또 탱크 회동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체프레임(2)에 부착한 단(段)이 부착된 지점핀(39)에 대한 감합공(40)을 보강부재(36)에 형성하는 대신에 기체프레임(2)쪽에 추지보스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것에 대한 지점핀을 보강부재(36)에 부착하여도 좋고, 또 탱크(5)상부측에서도 탱크지지용프레임(41)에 추지보스부(41a)를, 부착하는 대신에 탱크(5)에 추지보스부를, 또한 지지용 프레임(41)에 추지핀을 부착하는 등 탱크(5)의 상부 및 하부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추지구조는 여러가지의 개량이 가능하며, 그들 각종 추지구조의 구성부재를 총칭하여 추지구(40)(42)라고 칭한다.
또한 탱크(5)의 회전 유단측을 기체프레임(2)의 윗면에 대한 당접작용에 의하여 지지하는 부재(43)의 구체적형상, 구조는 여러가지의 개량이 가능하며, 또 탱크지지용 프레임(41)의 구체적 형상 및 탈곡장치(4)에 대한 구체적 지지구조도 여러가지의 개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콤바인등의 자주형(自走形)이나 정지형(定置形)등 각종 형식의 탈곡기에 있어서의 탱크부착부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Claims (1)

  1. 탈곡된 곡립의 저류용 탱크(5)를 상하 1쌍의 추지구(40)(42)에 의하여 세로축심(P)둘레에서 회전자재하게 설치한 탈곡기에 있어서, 전기한 추지구중에서 이래쪽것(40)을 기체프레임(2)에, 또한 윗쪽것(42)을탈곡장치(4)로서 지지시킨 탱크지지용 프레임(41)에 각각 부착하고, 전기한 탱크에 그것이 보통사용위치에 있는 상태로서 기체 프레임의 윗면에 당접하여 탱크의 회전 유단측을 지지하는 부재(43)를 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의 탱크 부착구조.
KR1019830002422A 1983-01-17 1983-06-01 탈곡기의 탱크 부착구조 KR860001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4512 1983-01-17
JP1983004512U JPS59110555U (ja) 1983-01-17 1983-01-17 脱穀機のタンク取付構造
JP???58-?4512 1983-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205A KR840007205A (ko) 1984-12-06
KR860001734B1 true KR860001734B1 (ko) 1986-10-20

Family

ID=3013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422A KR860001734B1 (ko) 1983-01-17 1983-06-01 탈곡기의 탱크 부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10555U (ko)
KR (1) KR860001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968B2 (ja) * 1988-01-29 1994-12-14 三菱農機株式会社 籾排出部のベルト伝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110555U (ja) 1984-07-25
KR840007205A (ko) 1984-12-06
JPH0142445Y2 (ko) 198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08703A (en) Grain handling conveyors for combines
KR860001734B1 (ko) 탈곡기의 탱크 부착구조
US20100071333A1 (en) Loading auger deflector
JP3824195B2 (ja) 普通形コンバイン
JP2854833B2 (ja) 脱穀機の螺旋式揚送装置
KR900006858B1 (ko) 자탈형(自脫型) 탈곡장치
JPH0239213B2 (ko)
JP3777675B2 (ja) コンバイン
US3123235A (en) tweedale
JPH0119664Y2 (ko)
JPS584417Y2 (ja) コンバイン
JPS642618Y2 (ko)
JPH064687Y2 (ja) コンバイン
JP3063213B2 (ja) 脱穀装置の穀粒取出装置
JPH08163920A (ja) コンバインの排穀オーガ駆動装置
JPH018106Y2 (ko)
JP2000037126A (ja) 普通形コンバイン
JPS5927703Y2 (ja) 刈り取り機の穀稈排出装置
JP2001045858A (ja) コンバインの穀粒収納排出装置
JP3356351B2 (ja) コンバイン
JP3491290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における穀稈搬送挾持供給装置
JPH0437395Y2 (ko)
JPH0787837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送装置
JPH08140463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排出筒の支持構造
KR200159050Y1 (ko) 트레일러용 곡물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