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616B1 - 정제기 - Google Patents

정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616B1
KR860001616B1 KR1019840002049A KR840002049A KR860001616B1 KR 860001616 B1 KR860001616 B1 KR 860001616B1 KR 1019840002049 A KR1019840002049 A KR 1019840002049A KR 840002049 A KR840002049 A KR 840002049A KR 860001616 B1 KR860001616 B1 KR 86000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ning
tablet
zone
disc
dis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405A (ko
Inventor
비. 매도우 존
에어취. 로빈슨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더크 제이. 베네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더크 제이. 베네만 filed Critical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40008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1/00Methods of beating or refining; Beaters of the Hollander type
    • D21D1/20Methods of refining
    • D21D1/30Disc mil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1/00Methods of beating or refining; Beaters of the Hollander type
    • D21D1/20Methods of refining
    • D21D1/30Disc mills
    • D21D1/303Double disc mills

Landscapes

  • Paper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제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펄프정제기의 일부절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펄프정제기에 대한 부분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펄프정제기 7 : 베이스
9 : 프레임 10 : 하우징
11 : 정제실 12 : 유입구
13 : 유출구 18,19 : 정제면
20 : 정제지역 21,22 : 정제원판
본 발명은 미립물질, 특히 제지용 펄프원료를 정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펄프를 만들때에는 먼저 통나무를 회전 맷돌에 갈거나 원판형 분쇄기로 분쇄하여서 기계적인 목재펄프를 섬유형태로 감쇄시킨다음, 압축증기나 비압축증기에 의해 작동되는 원판형 분쇄기로써 계속적인 분쇄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증기 분쇄기나 증기 정제기는 두 가지의 중요한 결점, 즉 에너지의 소모가 많고 제어가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중기장치에 있어서는 에너지의 이용효율이 매우 낮아서 소기의 입도로 펄프를 감쇄시키는 데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었다. 또한 종래의 정제기에 있어서는 분쇄공정이 이질화되어 있고 정제기판의 상태가 계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균질의 펄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공급량을 상황에 맞게 변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증기정제기에 있어서는 펄프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에 잔류하고 있던 펄프를 제거해야만 했다. 따라서 정제기를 피이드백시키는 데에는 30분내지 60분의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균질의 펄프를 제조하기가 매우 곤란했었다.
증기 정제보다 개선된 정제방법으로 저강도 정제(펄프를 작은 힘으로 서서히 정제하는 것)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화학펄프의 정제에 이용되는 저강도 정제기술을 기계적인 펄프의 정제에 그대로 이용했기 때문에 이 저강도정제 역시 효과적인 것이 못되었다. 즉, 가공이 완료된 펄프섬유의 길이가 너무 짧아져서 종이를 만들 경우에 결속력(파열강도)이 대단힌 약했다. 기계적인 펄프섬유는 원래 강성이 많고 취약하기 때문에 펄프섬유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강도로 펄프를 정제할 필요가 있고, 그와 동시에 펄프 섬유에는 저강도정제 기준에 어긋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적정량의 에너지를 가하여 기계적 펄프에 있어서 요구되는 일정한 표면을 형성시켜야 한다. 기존 정제기중에는 비에너지(Specific emergy)를 높여 저강도로 펄프를 정제하여서 채산성에 맞는 양의 펄프를 생산할 수 있는 정제기가 없는 실정이다.
정제강도는 매분당 한개의 정제기봉을 교차시키는데 가해지는 마력(Hp/ICPM)으로 정의되고, 비에너지는 하루에 1톤의 펄프를 정제하는데 소요되는 동력(HP/T/D)을 말한다. 따라서 낮은 정제강도로써 비에너지를 높여서 채산성이 맞는 양의 펄프를 정제하기 위해서는 한 정제기 내에 대단히 많은 수의 ICMP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단일원판 또는 이중원판식 저강도 정제기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능력을 갖게 하려면 정제원판의 직경을 대단히 크게해야 하거나 회전속도를 극단적으로 증가시켜야 했었다.
저강도 정제에 있어서 대두되는 또다른 문제점은 회전원판이 유압펌프로서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펄프가 순환하는 동안이나 무부하상태에서의 에너지 소요량이 지나치게 크다는 점이다. 즉, 회전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해서 순환부하가 증가하게 되므로 회전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무부하 에너지가 급격히 상승한다. 따라서 순환에너지를 정미정제에너지에 비례하여 가능한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에는 펄프 정제기에 관한 미합중국 특허의 예를 몇가지 설명하겠는데, 이들 종래의 정제기로는 기계적인 펄프를 저강도로 정제하여 소기의 결과르 얻기가 어렵다.
먼저 단일회전판 장치를 채택한 미합중국 특허 제3,371,873호의 정제기는 효울문제 때문에 소기의 저강도 정제를 행하기가 근본적으로 곤란하고, 축방향을 따라 넓은 간격으로 다수의 회전원판을 배열한 미합중국 특허 제2,718,178호의 정제기에 있어서는 소량의 펄프를 정제하려고 하더라도 정제장치가 지나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결점이 있고, 역시 다중원판 구조로된 미합중국 특허 제4,167,250호의 정제기에 있어서도 대단히 복잡한 구동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기계적인 펄프를 저강도로 정제할 수 있는 개선된 다중원판 정제기 및 정제방법을 제공하여서 종래 정제기 및 정제방법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결함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제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흐름통로를 만들어서 정제될 미립물질이 그 흐름통로의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으로 흘러가도록 하고, 흐름통로의 횡방향으로는 상호인접하여 회전하게 되는 일련의 환형정제면과 그 정제면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정제지역으로 구성된 정제조립체를 설치하되, 정제지역의 반경방향 둘레는 폐쇄시키고, 정제조립체에는 미립물질의 흐름을 유발시켜 연속정제류가 정제지역의 반경방향외 단과반경방향내단을 통해 정제조립체의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수단을 연결해서 정제기를 만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제된 미립물질이 정제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형성된 흐름통로의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으로 흘러가게 하고, 상호 인접하여 회전하게 되는 일련의 환형정제면과 그 정제면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정제지역으로 구성된 정제조립체 내부의 미립물질을 정제하고, 미립물질에 흐름을 유발시켜 연속정제류가 정제지역의 반경방향 외단과 반경방향내단을 통해 정제조립체의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기(5)는 바닥(8)에 고정되어 정제기 프레임(9)을 지지하는 베이스(7)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9)의 일단에는 하우징(10)이 장착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정제실(11)이 형성되어서 정재될 미립 물질이 상류측 입구(12)로부터 하류측 출구(13)로 흘러가는 흐름통로를 제공한다. 정제될 미립물질 특히 제지용 펄프는 적절한 펌프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압송되어 입구(12)와 연결된 관(14)을 통하여 흘러가게 된다. 그리고 정제실(11)내에는 입구(12)와 출구(13)사이의 흐름통로를 가로질러 정제조립체(15)가 설치된다. 정제가 완료된 미립물질은 출구(13)에 연결된 관(17)을 통하여 다음의 제지 공정으로 송출된다. 1% 내지 8%의 농도를 갖는 슬러리 형태로된 제지용 펄프는 정제조립체(15)에 의해서 정제되는데, 이 정제조립체는 상호인접하여 회전하게 되는 일련의 환형정제면(18,19)과 정제면 사이에 형성된 정제지역(20)으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실시예(18,19)은 정제원판(21,22)의 대향면을 의미한다.
정제공정에 있어서는 정제 원판(21,22)이 상대적으로 회전해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정제원판(21,22)의 일부는 축과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에 고정한다.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의 정제기에 있어서는 일부 정제원판(21)의 외단을 하우징(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벽면부재에 고정시켰다. 하우징 부재(23)의 축방향 내단에는 환형 플랜지(24)가 외향으로 형성되어 나사(25)에 의해 환형프레임(27)에 고정되게 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23)의 축방향 외단에는 환형 장착플랜지(28)가 형성되어 나사(29)에 의해 정제실 커버(30)와 결합된다. 상기 커버(30)에는 펄프 유입구(12)가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구조중량을 가볍게 함과 동시에 내압강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커버(30)에는 반경방향으로 보강 리브(31)을 대고, 하우징 부재(23)의 원주면에는 돌출보강리브(32)를 종방향으로 부착했다. 고정원판(21)의 반경 방향외단은 하우징 부재(23)의 원통형 내면(33)과 동심으로 접하게 되고, 종방향 키이(34)에 의해 그 내면에 고정된다. 상호 접면하고 있는 다수의 고정원판(21)중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한 원판은 하우징부재(23) 축방향 내단과 인접한 환형슐더(35)에 의해 커버(30)쪽으로 밀리게 되고, 커버(30)에 형성된 슐더(37)는 상기 원판을 내향으로 밀게 된다. 즉, 커버(30)를 고정하는 나사(29)를 죄면 슐더(37)에 의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한 원판이 가압되고, 그 힘은 다른 원판에도 가해진다.
한편, 고정원판 이외의 정제원판(22)은 회전자(38)에 장착되어서 베어링(40)에 의해 하우징(9)에 저어널된 축(39)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축(39)은 회전자(38) 반대측의 축 끝단에 연결된 전동기(도시하지 않음)등과 같은 적절한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회전자(38)의 원형본체판(42)은 나사(43)에 의해서 축(39)의 끝단에 고정되고, 본체판(42)의 외주연부에는 원통형 정제원판 장착부재(44)가 연결된다. 강성을 어느정도 유지하면서도 중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 회전자의 본체판(42)과 원통형 정제원판 장착부재(44)의 단면을 얇게 만들고 리브(45)로써 보강했다. 그리고 정제원판 장착부재(44)의 원통형외주면(47)에는 정제원판(22)의 반경방향 내단을 접면시키고 키이(48)로 고정함으로써 회전자(38)가 회전하면 정제원판도 함께 회전하도록 했다.
정제원판 장착부재(44)의 외주면에 장착된 정제원판(22)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 원판은 돌출 슐더(49)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아울러 가장 외측에 위치한 원판은 밀폐원판(51)의 외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환형가압슐더(50)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서 원판전체가 견고하게 죄어진다. 그리고 상기 밀폐원판(51)은 나사(52)에 의해서 회전자(39)의 외측끝단에 고정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폐원판(51)과 커버(30)의 내면 사이에는 유입구 (12)로부터 미립물질을 정제조립체(15)로 유도하는 협소한 정제실(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지역(20)에서 연속적인 정제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단위에너지당 최대의 정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재지역(20)의 반경방향 내단과 외단을 밀패하고 정제할 미립물질을 상기 내단과 외단 사이로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되, 정제조립체(15)의 상류측 정제지역으로부터 하류측 정제지역으로 흘러가게 하면 된다. 그런데 이때 정제대상물질의 흐름방향은 유입구(12)와 유출구(13)를 바꿔 놓기만 하면 반대방향이 되게 할 수도 있다. 정제지역(20)은 2열의 정제원판(21,22)을 양쪽 접면부에 견고하게 밀착고정함으로써 쉽게 밀폐할 수 있다. 이렇게 밀폐된 정제지역(20)은 정제조립체(15)의 상류단에서 시작하여 하류단 쪽으로 각각의 정제지역(20)간에 경사지게 형성된 환형전달통로(53)에 의해 연통된다. 환형 전달통로(53)는 각 정제원판(21,22)의 뒷면(54,55)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들 뒷면(54,55)은 평면형 부분과 아아치형 부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자에 고정된 정제원판(21)의 뒷면(54)은 모두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끝단으로 연장되어 정제면(18)의 반경방향 내단에서 끝나게 되고,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된 정제원판(22)의 뒷면(55)은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게 된다. 그리하여 각각의 전달통로(53)는 반경방향으로 외측상류단에 위치하는 입구와 반경방향으로 내측 하류단에 위치하는 출구로 구성되게 된다.
정제조립체(15)의 상류단에는 밀폐판(51)의 외주연부와 그에 인접한 정제원판(21)의 반경방향 내단 사이에 협소한 환형의 유구(57)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정제된 물질은 제1정제지역(20)으로 안내되는 것이다. 제1정제지역(20)을 지난 미립물질은 전달통로(53)를 통해 다음 정제지역(20)의 반경방향내단으로 흘러가게 되고 정제공정이 계속됨에 따라 이러한 흐름형태는 반복되어서 정제가 완료된 미립물질은 최종 정제지역 및 환형유출구(58)를 통해 정제실(11)로 흘러간 다음 출구(13)를 지나 배출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한 정제원판(22)의 반경방향 외단과 하우징부재(23)의 축방향내단에 신축자재로 끼워진 관형플랜지(59)로써 환형의 유출구(58)를 만들었다. 이때 상기 관형플랜지(59)는 출구측의 정제실(11)을 구획하는 내측 밀폐부재(60)의 일부분이다. 출구(13)를 형성하는 상기 밀폐부재(60)를 정확하게 제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관형플랜지(59)에는 환형 돌출리브(61)를 형성시켰는데, 이 리브는 하우징부재(23)의 내단과 프레임(27)으로 구획된 홈(62)에 수용된다. 정제될 물질은 동적인 펌프 압력을 받는다. 그외에도 정제될물질에는 상대적인 회전을 하는 정제원판(21,22)에 의해 어느정도의 보조압력이 가해져서 적어도 정제조립체(15)에 부압이 발생하거나 그로 인하여 회전자(38)에 부하가 가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단위 에너지당의 생산성이 극대화된다. 이러한 점은 회전자에 장착된 정제원판(22)의 원주속도가 3,000내지 5,000fpm인 경우에 저농도 펄프의 정제효울을 높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미 공지된 바와같이 정제면(18,19) 상에는 일련의 정제봉(63)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게 되는데, 이들 정제봉은 대향 정제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되어 그 정제면쪽으로 편향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한쪽 정제면(18)상의 정제봉(63)은 회전자(38)의 회전방향, 즉 제3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편향되고, 반면에 다른쪽 정제면(18)상의 정제봉(63)은 제3오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게 된다. 정제봉을 이와같이 배열하게되면, 정제봉 사이에서 순조로운 정제작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모든 미립물질이 상대적인 회전을 하는 정제면상에서 활성화되는 데다가 정제물질을 추진하는 효과까지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의 정제조립체(15)에 있어서는, 한쪽 정제원판(21)의 정제면(18)의 외경이 41.5인치이고, 다른쪽 정제원판(22)의 정제면(19)의 외경이 40인치이며, 정제봉(63)의 폭과 높이는 1/16인치이고, 그 배치 간격은 3/16인치이다. 이러한 배열을 할 경우에는 순환에너지가 대폭적으로 감소되는 외에도 정제속도를 알맞게 조절함으로써 가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미립물질의 정제량을 최대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정제원판 사이의 간극을 소정의 치수로 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회전자(38)를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하며 각 정재원판 쌍(21,22) 사이의 환형전달통로를 이격시키면 된다. 회전자 축(39)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베어링(40)에 저어널되어서 기어모터(64) 등을 위시한 조정기구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 조정되게 된다. 이러한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회전자 축(39)을 외피(60)에 형성된 축 조립구(65)를 통해 정제실(11)로 연장시키고, 그 둘레에는 패킹(67)을 끼운 다음 압축링(68)으로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해야 한다. 미립물질의 누적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자(38)외 외피(60) 사이의 축방향 조정간극을 충분히 두기 위해서 회전자와 외피(60)에는 각각 경사판링(69,70)을 장착했다. 이들 두 경사판 링(69,70)사이의 유체실은 출구(13)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미립물질이 누적되는 일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정제기에 비해 여러가지 면에서 개선된 점이 많다. 정제실 하우징(10) 및 정제조립체(15)의 구조가 간단해서 원가가 절감될 뿐만아니라 정제조립체의 정제원판(21,22)을 수리하고자 할때에는 외측커버(30)만을 분해하면 되고, 보유판(51)을 떼어내면 축(39)으로부터 회전자(38)를 분해하여서 정제조립체 전체를 해체할 수가 있다. 물론 회전자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정체원판(21,22)만을 교환하려고 할때에는 커버(30)를 분해한 다음 보유판(51)을 떼어내고 원판을 하나씩 교환하면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정제조립체의 조립 역시 대단히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 하나로써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는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를 할 수 있다.

Claims (20)

  1. 정제실(11)을 갖는 하우징(10)으로 구성되고, 그 정제실에는 정제할 미립물질이 상류측 입구(12)로부터 하류측 출구(13)로 이동하도록 된 흐름통로가 형성된 정제기(5)에 있어서, 상기 흐름통로에는 서로 대면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하도록 된 일련의 환형정제면(18,19)으로된 정제조립체(15)를 설치하되, 상기 정제면 사이에는 반경방향으로 정제지역(20)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정제지역의 반경방향양단은 밀폐시키고, 상기 정제조립체(15)에는 상기 미립물질에 흐름을 유발시켜 그 미립물질을 상기 정제지역(20)의 반경방향 내단과 외단 사이를 거쳐 정제조립체의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으로 연속적으흘 러가게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면(18,19)을 반경방향에서 안쪽과 바깥쪽으로 연장된 일련의 정제원판(21,22) 상에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지게 하고, 상기 정제원판의 정제면 반대측에는 미립물질이 정제지역(20) 사이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는 통로(53)를 구획하는 통로면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정제원판(21,22)을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조정을 하는 수단을 설치하여서 정제원판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면(18,19)이 정제원판(21,22)열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지게 하고, 상기 정제원판 열중 한쪽열은 상기 하우징(9)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 열은 회전자(38)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정제원판열을 접면부에서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정제지역(20)의 반경방향 양단이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물질이 상기 정제지역(20)의 양단 사이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하는 수단이상 기정제원판열의 대면부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원판의 원통형 단부를 장착 구조체의 원주면에 장착한 다음 키이(34) 수단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면 상에는 폭과 높이가 1/16인치인 정재봉을 3/16인치의 간격으로 반경방향을 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9. 저농도의 제지원료를 정제하도록 된 정제기(5)에 있어서, 하우징(10)과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9)을 설치하고, 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정제실(11) 내부로 연장시키고, 정제실 내부로 연장된 상기 회전축(39)의 단부에는 회전자(38)을 장착하고, 상기 회전자 상에는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 다수의 환형정제원판을 장착하되 그 내단은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정제실(11)을 구획하는 상기 하우징의 환형 내벽에는 상기 회전자 상에 외측을 향해 장착된 정제원판과 상응하는 환형정제 원판을 회전자로부터 이격되게 장착하고, 상기 정제원판 열중 한쪽원판의 측면부에는 그에 상응하는 다른쪽 원판의 측면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 하도록 하고, 이울러 상기 정제원판열의 이면은 상호근접대면관계가 되도록 하고, 상기 근접 대향면 사이에는 반경방향양단이 밀폐된 정제지역(20)을 형성시키고, 상기 정제원판의 측면부 사이에는 흐름전달통로(53)를 개설하여서 각각의 정제지역인 인접한 정제지역과 연통되도록 하고, 정제한 미립물질을 정제원판으로 이루어진 정제조립체(15)의 일단으로부터 정제지역과 흐름전달통로를 통하여 타단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39)과 회전자(38)를 축방향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정제원판열의 배치간격을 조정하면 정제면 사이의 축방향 간극도 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이 개폐자재로 된 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전달통로(53)가 정제할 미립물질을 상기 정제지역(20)의 반경방향 외단으로부터 다음 정제지역의 반경방향 내단으로 통과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기.
  13. 정제할 미립물질을 하우징(10)에 형성된 정제실(11)을 통하여 상류축 입구(12)로부터 하류측 출구(13)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호 대면하여 회전하게 되는 일련의 환형 정제면(18,19)과 그 정제면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정제지역(20)으로 구성된 정제조립체(15)내부를 통과하는 미립물질을 정제하고, 미립물질에 흐름을 유발시켜 연속정제류가 정제지역의 반경방향 외단과 반경방향 내단을 통해 정제조립체의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에서 내측과 외측을 향해 연장된 일련의 정제원판(21,22)상의 정제면(18,19)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지게 하고, 상기 대향 정제면 사이에는 정제지역(20)을 구획하고, 상기 정제면의 반대측면 사이에는 상기 흐름전달통로(53)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싱기 정제원판(21,22)열을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시켜서 각 정제면간의 간격과 정제면의 이면사이 간극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면을 정제원판(21,22)열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정제원판열 중 한쪽열을 상기 하우징(10)에 고정하고, 다른쪽 정제원판열을 회전자(38)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제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중첩된 정제원판(21,22)열에 상기 정제면(20)을 형성시키고, 상기 각각의 정제원판열을 접면부에서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정제지역의 반경방향 양단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물질을 상기 정제원판(21,22)의 상응면 사이에 구획된 흐름전달통로(53)를 통하여 상기 정제지역(20)의 내단과 외단 사이로 연속적으로 흘러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중첩된 정제원판(21,22)상에 상기 정제면(18,19)을 형성시키고, 상기 정제원판을 하우징(10)내에 구획된 정제실(11)로부터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정제할 미립물질을 상류측 정제지역(20)의 반경방향 외단으로부터 그에 인접한 하류측 정제지역의 반경방향 내단으로 흘러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KR1019840002049A 1983-04-18 1984-04-18 정제기 KR860001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6005 1983-04-18
US486,005 1983-04-18
US06/486,005 US4529137A (en) 1983-04-18 1983-04-18 Multiple disk refiner for low consistency refining of mechanical pul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405A KR840008405A (ko) 1984-12-14
KR860001616B1 true KR860001616B1 (ko) 1986-10-14

Family

ID=2393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049A KR860001616B1 (ko) 1983-04-18 1984-04-18 정제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529137A (ko)
EP (1) EP0122868A3 (ko)
JP (1) JPS59199893A (ko)
KR (1) KR860001616B1 (ko)
BR (1) BR8401673A (ko)
DE (1) DE122868T1 (ko)
ES (1) ES8507638A1 (ko)
FI (1) FI841418A (ko)
IN (1) IN163072B (ko)
NO (1) NO841393L (ko)
PH (1) PH21090A (ko)
ZA (1) ZA8424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508A (en) * 1994-02-17 1995-06-20 Beloit Technologies, Inc. High flow, low intensity plate for disc refiner
US5467931A (en) * 1994-02-22 1995-11-21 Beloit Technologies, Inc. Long life refiner disc
US5823453A (en) * 1995-11-14 1998-10-20 J & L Fiber Services, Inc. Refiner disc with curved refiner bars
WO1998009018A1 (en) * 1996-08-26 1998-03-05 Beloit Technologies, Inc. Refiner having center ring with replaceable vanes
US5988538A (en) * 1998-07-28 1999-11-23 J&L Fiber Services, Inc. Refiner disc having steam exhaust channel
SE513140C2 (sv) * 1998-11-19 2000-07-10 Valmet Fibertech Ab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uppgraderad tidningspappersmassa till SC/LWC kvalitet
US6572037B1 (en) 1999-02-04 2003-06-03 Mct Holdings, Llc Shredder with parts ejector
US7188792B2 (en) * 2003-03-18 2007-03-13 Gl&V Management Hungary Kft. Refiner rotor assembly with a hub having flow-through ports
EP3140454B1 (en) 2014-05-07 2019-11-13 University of Maine System Board of Trustees High efficiency production of nanofibrillated cellulos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527395A (en) * 1956-07-10 Reisten Werner Mill for fibrous substances
AT23350B (de) * 1904-07-05 1906-03-10 James Hunter Annandale Zerkleinerungsmaschine für Papierstoff u. dgl.
GB191126688A (en) * 1911-11-29 1912-09-05 William Stephenson Barron Improvements in Grinding Mills.
US2718178A (en) * 1948-02-04 1955-09-20 Wandel Kurt Machine for effecting a refining treatment of fibrous material
AT182602B (de) * 1948-12-31 1955-07-25 Werner Reisten Mühle für die kontinuierliche Mahlung von Faserstoffen
FR1145532A (fr) * 1956-03-06 1957-10-28 Appareil pour le dépastillage et l'ouverture des fibres de cellulose utilisées dans la fabrication de la pâte à papier
US3371873A (en) * 1966-03-24 1968-03-05 Keith V. Thomas Refining apparatus
US4167250A (en) * 1978-04-19 1979-09-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Sequential velocity disk ref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42462B (en) 1984-11-28
JPS6229554B2 (ko) 1987-06-26
BR8401673A (pt) 1984-11-20
JPS59199893A (ja) 1984-11-13
EP0122868A3 (en) 1985-07-03
ES531667A0 (es) 1985-10-01
KR840008405A (ko) 1984-12-14
FI841418A0 (fi) 1984-04-10
DE122868T1 (de) 1985-12-05
US4529137A (en) 1985-07-16
FI841418A (fi) 1984-10-19
PH21090A (en) 1987-07-16
NO841393L (no) 1984-10-19
EP0122868A2 (en) 1984-10-24
IN163072B (ko) 1988-08-06
ES8507638A1 (es) 198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5308B1 (en) Refiner disc and method
US6024308A (en) Conically tapered disc-shaped comminution element for a disc refiner
EP1157160B1 (en) Tangential discharge disk refiner
KR860001616B1 (ko) 정제기
SU837331A3 (ru) Дискова мельница волокнистогоцЕллюлОзОСОдЕРжАщЕгО МАТЕРиАлА
JP4245272B2 (ja) 製紙用パルプ精製機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3387796A (en) Defibrating device
US4663030A (en) Disk rotor for selectifier screen
JPH01194948A (ja) 研削材料を粉砕圧縮するスクリューミル
GB2085753A (en) Pulp refining apparatus
JPS602438B2 (ja) 反転可能な円板型リフアイナプレート
KR860001617B1 (ko) 가요성 원판정제기
US5813618A (en) Continuous cyclindrical wood pulp refiner
US4619414A (en) Multi-disk refiner
FI62150B (fi) Anordning vid en malapparat foer fibroest lignocellulosahaltigt material
US4586662A (en) Flexible spoke rotor for multiple disk refiner
US3586250A (en) Adjustable noncoaxial disc refiner
US496184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suspension of fibrous cellulose pulp
US3552664A (en) Disc-type
JPS6071792A (ja) デイスクリフアイナー
JP2000246494A (ja) 可動板回転駆動式スクリュープレス装置
JP7155694B2 (ja) 固液分離装置の使用方法および固液分離装置
KR20210028099A (ko) 리파이너 블레이드 요소
US5047118A (en) Method for decreasing energy consumption during refining of fiber material at a reduced grinding frequency while maintaining capacity
CN101463574B (zh) 双进刀圆盘磨浆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