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417Y1 - 1쌍의 파스너 요소들을 조립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1쌍의 파스너 요소들을 조립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417Y1
KR860001417Y1 KR2019840014340U KR840014340U KR860001417Y1 KR 860001417 Y1 KR860001417 Y1 KR 860001417Y1 KR 2019840014340 U KR2019840014340 U KR 2019840014340U KR 840014340 U KR840014340 U KR 840014340U KR 860001417 Y1 KR860001417 Y1 KR 860001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element
pusher
guide
di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938U (ko
Inventor
유키오 다가
Original Assignee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91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3326U/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89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3324U/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90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3325U/ja
Application filed by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filed Critical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4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44Securing metal interlocking members to ready-made stringer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10Setting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쌍의 파스너 요소들을 조립하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체현한 장치의 부분 파단 측면도.
제2도는 상부 유니트, 제1구동기구 및 제1푸셔기구를 나타내는 제1도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1푸셔기구의 전방 단부 부분을 나타내는, 제2도의 부분확대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상부 유니트의 펀치를 나타내는, 제2도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8도는 단추가 1조의 클램프 핑거들에 의해 보유되는 방식을 예시하는, 제7도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변형된 펀치의 부분 사시도.
제11도는 하부 유니트를 나타내는, 제1도의 부분단면 확대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는 제2푸셔기구를 나타내는, 제1도의 부분단면 확대도.
제14도는 제13도의 부분단면 평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는 제14도의 클램핑 부재쌍중 하나의 확대사시도.
제18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 파스너 부재들 쌍의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 : 파스너요소 1 : 상부유니트
3 : 제1푸셔기구 5 : 하부유니트
7 : 제2푸셔기구 10 : 프레임
71 : 제2푸셔 72 : 제2안내채널
44 : 안내돌출부 45 : 제1경사면
40 : 클램핑부재 84 : 추진아암
46 : 제2경사면 86 : 스프링
54 : 다이 52 : 하부플런저
105 : 상부플런저 112 : 펀치
133 : 안내면 122 : 클램프부재
200 : 리테이너 303 : 제1푸셔
301 : 제1안내채널
본 고안은 두 파스너 요소들 사이에 의복직물이 배치되거나 안된채로 스냅 파스너, 단추 혹은 장신구와 같은 의복 파스너의 파스너 요소들 쌍을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복 파스너의 파스너 요소들 쌍이 각각 하부의 다이 유니트와 상부의 펀치 유니트 위에 지지되고, 상부 유니트의 펀치가 하부 유니트의 다이를 향해 이동하여 두 파스너 요소들을 그 사이에 의복직물이 협지되거나 안된채로 서로 맞물린 상태로 연결하는 여러가지 파스너 조립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공지된 장치들에 있어서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비교적 조그만 개별 의복 파스너 요소들이 서로 연결되기 전에 특히 하부 유니트 위에서 변위되는 경향이 있어 그 파스너 요소들에 좋지 않은 변형이나 손상을 주면서 그 요소들을 부정확하게 연결시키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1쌍의 의복 파스너 요소들을 조립하는 장치는 다이의 바로 상류측에 배치된 리테이너를 가진 하부의 다이 유니트를 포함하고, 그 하부 유니트는 리테이너의 상단부가 다이의 상부 아래로 철회되어 한 파스너 요소가 다이 위로공급될 수 있게 하는 철회위치와, 리테이너의 상단부가 다이의 상부로 부터 돌출하여 파스너 요소헤드의 주연부에 걸림으로써 파스너 요소가 다이 위에서 변형되지 않게 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수직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두 파스너 요소들이 다이와 펀지 사이에 압축된 채로 함께 연결되는 동안 파스너 요소들 중 하나가 펀치와 그래서 다른 파스너 요소와 수직 정렬하여 다이 위에 보유될 수 있는 파스너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따라 본 고안의 다른 많은 잇점들 특징 및 목적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1조의 제1및 제2파스너 요소들(A,B)(점선으로 도시됨)을 그 사이에 의복직물(C)(점선으로 도시됨)을 협지하거나 안한채로 서로 연결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파스너 요소들(A)(B)은 각각 단추와 택을 포함한다. 제18도에 잘 도시된 대로, 단추(A)는 캡(14)으로 덮인 환상림(13)이 있는 단추 받침(11)을 포함한다. 원형 단추받침판(18)이 단추받침(11)과 캡(14)사이에 배치된다. 단추받침(11)은 또한 환상림(13)의 내측연부로 부터 중앙으로 돌출하는 이중 튜브 형태의 중공자루(12)를 가진다. 택(B)는 디스크형 헤드(17)와, 의복 직물(C)을 자통하고 또한 단추받침 (11)의 중공자루(12)를 통해 삽입하도록 헤드로 부터 중앙으로 돌출하는 스파이크 (16)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상부의 펀치 유니트(1), 상부 유니트(1)의 펀치(112)를 수직운동시키는 제1구동기구(2), 및 제1이송기(4)로 부터 단추(A)를 수납하고 그 단추(A)를 상부 유니트(1)로 공급하는 제1푸셔기구(3)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또한 하부의 다이 유니트(5), 하부 유니트(5)의 다이(54)를 수직운동시키는 제2구동기구(6), 및 제2이송기 (8)로부터 택(B)을 수납하고 그 택(B)을 하부 유니트(5)로 공급하는 제2푸셔기구 (7)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푸셔기구(3)(7)는 제3구동기구(9)에 의해 서로 시간조정되어 구동된다.
제2도에 잘 도시된 대로, 상부 유니트(1)는 지지물(19)에 고착되고 제1수직 채널(101)을 가진안내(100), 안내(100)의 제1수직 채널(101)내에서 수직 왕복가능한 상부 플런저(105), 안내(100)의 정면에 부착되고 안내와 함께 제2수직 채널(103)을 형성하는 커버판(104), 및 제2수직 채널(103)내에 수직으로 활동하는 슬라이드(106)를 포함하고, 지지물(19)은 프레임(10)에 고착된다. 제2 및 3도에 도시된대로, 제1수평 로드(107)는 슬라이드(106)위에 장착되고, 안내(100)의 대향한 측부재(108) (108)쌍에 배치된 1조의 수직 슬로트(109,109)에 활동적으로 수용된 대향 단부부분을 가지며, 제2수평 로드(110)는 안내(100)의 상부부분에서 그 측부재들(108,108)위에 장착된다. 1조의 인장 스프링(111,111)이 제1및 제2로드(107,110)사이에 장착되어 슬라이드(106)를 평시에 상방으로 부세한다. 제1로드(107)는 수직 슬로트(109, 109)와 협동하여 슬라이드(106)의 상방운동을 제한한다.
플런저(105)는 하부 유니트(5)에 가까이 및 멀리 수직왕복운동하도록 그 상단부가 제1구동기구(2)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플런저(105)의 하단부에는 동축 헤드 (113)가 제1지지블록(114)에 의해 수직 활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차례로 제1지지블록 (114)은 안내(110)의 제1수직채널(101)에 수직활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압축 스프링 (115)은 플런저 헤드(113)주위로 신장하며, 지지블록(114)을 플런저(105)에서 멀어지게 아래로 평시에 부세하도록 플런저(105)와 지지블록(114)사이에서 작용한다. 지지블록(114)의 하방운동은 슬라이드(106)의 후크부분(117)에 의해 제한되는데, 후크부분(117)은 안내(100)의 슬리트(118)내로 돌출하고, 지지블록(114)의 상부에서 슬리트(118)내로 신장하는 횡방향 돌기(116)에 걸린다. 펀치(112)는 플런저 헤드(11 3)의 하단부에 고착된다.
플런저(105) 및 슬라이드(106)의 서로에 대한 수직운동은 플런저(105)위에 장착되고 슬리트(118)를 통해 슬라이드(106)의 요홈부(120)내로 돌출하는 수평 핀 (119)에 의해 제한된다.
제7 및 8도에 잘 도시된 대로, 지지블록(114)의 하단부에는 1조의 수직 슬리트 (121 ,121)(제8도에 하나만 도시됨)가 형성되고, 1조의 클램프 부재(122,122)들이 1조의 핀(123,123)에 의해 각각 그 수직슬리트들(121,121)에 추축적으로 장착된다. 비틀림 스프링(124)은 핀(125)에 의해 지지블록(114)상에 지지되고, 클램프 부재들(122, 122)을 그 사이에 단추(A)를 고정하도록 서로 가까이 평시에 부세하도록 클램프 부재들(122,122)위에 작용한다. 비틀림 스프링(124)의 탄성력으로 클램프 부재들(122, 122)이 그와같이 내향운동하는 것은 펀치(112)에 의해 제한되고, 그래서 클램프 부재들(122,122)사이에 단추(A)가 없는 경우에 클램프 부재들 사이의 거리는 단추(A)캡 (14)의 직경보다 더 작다. 단추(A)가 제1푸셔기구(3)에 의해 클램프 부재들(122, 122) 사이의 간격내로 공급될 때, 단추(A)의 캡(14)은 단추(A)가 클램프 부재들 (122, 122)의 두 클램프 부분들(126,126)사이에 놓일 때까지 비틀림 스프링(124)의 탄성에 거슬러 클램프 부재들(122,122)을 서로 떨어지게 민다. 그렇게하여 클램프 부재들 (122,122)사이에 고정된 단추(A)는 다이(54) 및 펀치(112)에 의해 짝 택(B)와 연결되는 하부위치로 제1구동기구(2)에 의해 하강된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대로, 제1구동기구(2)는 한쌍의 제1 및 제2레버(23)(24)로 구성된 토글 조인트(21)와 공기 실린더(20)를 포함하고, 공기 실린더(20)는 프레임(10)상에 추축 지지된다. 제1레버(23)는 그 일단부가 안내(100)에 피봇 고정되고 그 타단부가 공기 실린더(22)의 피스톤 로드(22)에 피봇 연결되는 한편, 제2레버(24)는 양단부들이 제1레버(23)와 플런저(105)에 피봇연결된다. 피스톤 로드(22)의 왕복운동에 응하여 제1 및 제2 레버(23,24)는 두 레버들이 실질적으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위치와, 대략 수직선으로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추축적으로 이동된다. 정지구(25)가 안내(100)상에 지지되고 제1레버(23)에 걸리어 제1레버 (23)가 그러한 수직선을 벗어나 운동하지 못하게 제1레버(24)가 그러한 수직선을 벗어나 운동하지 못하게 제1레버의 전방 혹은 우향 운동을 제한한다. 그래서 두 레버들 (23,24)이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를 운동하는 동안, 플런저(105)가 수직으로 이동한다.
제2도 및 제4-6도에 도시된 대로, 제1푸셔기구(3)는 지지물(19)의 하측에 고정된 제1 긴안내기부(300)와, 안내기부(300)의 하측에 고정된 한쌍의 평행 안내판 (302,302)을 포함한다. 제1안내기부(300)와 두 안내판(302,302)는 연결되어 T형 단면의 종방향 안내채널(301)을 형성하고, 그 안내채널에 T형 단면의 제1긴 푸셔 (303)가 활동적으로 수용된다. 두 안내판(302,302)의 내측표면들에는 단추(A)의 헤드 부분을 안내할 한쌍의 홈(302,304)(제6도)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대로, 연속 단추들(A)을 제1푸셔기구(3)로 운반하는 제1슈우트(305)는 좌측 안내판(302)을 통해 연장하는 하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연결부(324)에서 좌측 홈(304)(제6도)과 연통한다. 보조안내(307)가 우측 안내판(302)상에 활동적으로 지지되고 그 안을 통과하여 연장한다. 보조 안내(307)는 우측홈(304)과 연통하는 대략 V형 홈(306)을 가진다. 압축 스프링(309)은 우측 안내판(302)에 고착된 커버(308)와 보조 안내(307)사이에서 작용하여 단추(A)를 수용할 적절한 위치에 보조 안내(307)를 탄성적으로 보유한다. 보조 안내(307)가 커버(308)와 함께 제거될 때, 연결부(324)에 끼인 단추(A)가 제거될 수 있다.
제5 및 6도에 도시된 대로, 부품반전 블록(301)은 좌측안내(302)의 상부 유니트(1)에 가까운 부분에서 홈(304)을 따라 배치된다. 부품반전블록(310)은 로드(311 )에 의해 좌측 안내판(302)상에 피봇 지지된 두아암들(312,312)의 자유단부들에 고착된다. 부품반전 블록(310)은 판스프링(314)에 의해 평상시 우측으로 부세되고 판스프링(314)의 자유단부는 그 안을 통해 나사 연장하는 나사(313)를 그 위에 지지한다. 부품반전블록(310)의 경사표면(315)는 단추(A)가 홈(304)안으로 공급될때 단추 캡 (14)(제18도)의 하부 둘레에 걸릴 수 있다. 경사표면(315)은 단추 캡(14)의 하부 둘레와 안정된 접촉을 할 수 있도록 주름져 있다.
제2 및 4도에 도시된대로, 제1 푸셔(303)의 하부 표면들에는 종방향 채널 (31 6)이 있고, 부품고정레버(317)가 핀(318)에 의해 채널(316)의 전방 즉 우측 단부 가까이 장착된다. 부품고정레버(317)의 전방 단부는 채널(316)의 전방 단부로 부터 돌출하여 상향 후크 (319)로 끝나고, 상향 후크(319)는 단추 캡(14)의 탭 부분(15)에 걸린다. (제9 및 18도). 압축 스프링(310)은 부품고정레버(317)를 평상시 부세하여 반시계방향(제2도)으로 추축하도록 푸셔(303)와 부품고정레버(317)사이에서 작용하고, 그래서 제1후크(319)를 단추 캡(14)의 탭부분(15)과 계합하여 보유한다. 부품고정레버(317)의 반시계방향추축운동은 안내판(302, 302)의 하측에 고착된 바닥판 (322)에 의해 제한된다. 즉 부품고정레버(317)의 하향 후미단부 (321)가 바닥판 (32 2)의 상부면과 계합할 수 있어 단추(A)가 후크(319)에 의해 그 적절한 위치로부터 상승되지 않게 한다.
제1푸셔(303)가 철회될 때, 부품고정레버(317)는 실선위치에서 점선위치로 이동된다. 그때, 부품고정레버(317)의 후미단부(321)는 바닥판(322)의 상부표면위를 활주하고, 마지막으로 바닥판(322)의 후미단부에서 돌출한 돌기(323)위를 주행한다. 그 결과, 부품고정레버(317)는 스프링(320)의 탄성에 거슬러 시계방향으로 추축이동된다. 그리하여 후크(319)는 그 최상단 단부가 제1슈우트(305) 및 안내채널 (301)의 연결부(324)에서 연속 단추(A)의 탭 부분(15) 아래에 배치되는 위치로 철회된다.
단추들(A)이 연속적으로 제1이송기(4)로부터 제1슈우트(35)를 경유하여 연결부(324)로 운반된다. 제1푸셔(303)의 전방단부가 연결부(324)의 전방으로(우측으로)배치되는 동안, 연결부(324)에 도착한 맨앞단추(A)는 홈(304)에 들어가지 못하게 저지된다. 푸셔(303)가 완전히 철회됨에 따라 그 전방단부가 연결부(324)뒤에 배치되면, 맨 앞 단추(A)는 푸셔의 전방 단부앞에서 홈(304)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푸셔 (303)가 전진됨에 따라 맨 앞 단추(A)가 푸셔에 의해 홈(304)을 따라 전방으로 추진되고, 그 동안에 다음 단추(A)가 연결부(324)에 들어가는 것이 돌출된 푸셔(303)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연속 단추들(A)은 한번에 하나씩 상부 유니트(1)에 공급된다.
제1푸셔(303)의 전진운동에 응하여, 부품고정레버(317)의 후미단부(321)는 바닥판(322)의 후미단부위에 있는 돌기(323)로 부터 제거되어, 레버(317)의 후크 (319)가 단추(A)의 탭부분(15)에 걸릴수 있을때까지 부품고정레버(317)를 반시계 방향으로 추축이동시킨다. 그 다음에, 단추(A)가 푸셔(303)에 의해 추진됨에 따라 부품반전블록(310)의 경사면(135)와 접하게 되면, 단추(A)는 평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선회되기 시작한다. 단추의 탭부분(15)이 부품고정레버(317)의 후크(19)에 걸릴 때까지 단추(A)의 선회는 계속된다. 그래서 단추(A)는 그 앞면에 있는 도안, 기호 혹은 다른 문장에 따라 요구되는 특유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도에 도시된 대로, 하부 유니트(5)는 프레임(10)에 의해 고착 지지되는 기부 (50), 기부(50)에 고착된 제2지지블록(50), 및 지지블록(51)의 제3 수직 채널(53)내에서 수직 왕복하는 하부 플런저(52)를 포함한다. 다이(54)가 하부 플런저(52)의 상단부에 고착된다. 하부 플런저(52)가 제2구동기구(6)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제2구동기구(6)는 핀(65)에 의해 프레임(10)에 추축지지된 제3레버(60), 프레임(10)에 고착된 제2공기 실린더(61) 및 제3레버(60)의 일단부에 회전장착된 로울러(66)와 제2공기 실린더(61)의 피스톤 로드(62) 사이에 배치된 충격흡수기(63)를 포함한다. 제3레버(60)의 타단부는 링크(55)에 의해 하부플런저(52)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제3레버(60)는 한쌍의 압축스프링(64,64)에 의해 평상시 부세되어 있어, 제3레버(60)의 좌측 단부상의 로울러(66)가 제2공기 실린더(61)의 피스톤 로드(62)를 충격흡수기(63)를 거쳐 그 철회위치로 상방으로 밀고 또한 제3레버(60)의 우측 단부가 링크(55)를 거쳐 하부 푸셔(52) 및 다이(54)를 그 하강된 위치로 밀도록 시계방향으로 추축한다. 제2공기 실린더(61)의 피스톤 로드(62)가 충격 흡수기(63)를 거쳐 제3레버(60)좌측 단부위의 로울러(66)를 하방으로 밀때 제3레버(60)는 반시계방향으로 추축이동되어 하부 플런저(52) 및 다이(54)를 상승시킨다.
제1도 및 제13-16도에 도시된 대로, 제2푸셔기구(9)는 프레임(10)에 고착 지지된 제2긴 안내기부(70), 사이에 긴 안내 채널(72)을 형성하도록 안내기부(70)의 상측에 고정된 한쌍의 평행안내판(73,73), 및 안내채널(72)에 활동적으로 수용된 제2긴 푸셔(71)를 포함한다. 두 안내판(73,73)의 내측표면들에는 택(B)의 헤드부분을 안내할 한쌍의 홈(74,74)가 있다.
연속한 택들(B)을 제2푸셔기구(7)로 운반하는 제2슈우트(75)는 한가이드 판 (73)을 통해 연장하는 하단부 부분을 가지며, 연결부(76)에서 대응 홈(74)와 연통한다 (제1 및 14도).
제2푸셔(71)는 한쌍의 제1 및 제2추진표면(77,78)을 가지며, 제2푸셔(71)의 왕복운동에 응하여 제1 추진표면(77)이 연결부 뒤의 후미위치와 중간위치(E)(제13 및 14도)사이를 운동하는 한편, 제2추진표면(78)은 택(B)이 다이(54)위로 놓이는 전방 위치와 중간위치(E)사이를 운동한다. 제2추진표면(78)은 핀(75)에 의해 제2푸셔 (71)의 전방단부(79)상에 피봇 지지된 추진 아암(84)의 자유단부 표면이다. 추진 아암(84)은 비틀림스프링(86)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제13도)추축하도록 평상시 부세되고, 추진 아암(84)의 제2추진표면(78)이 택 공급통로 안으로 돌출하게 된다.
제13, 및 14도에 도시된 대로, 한쌍의 클램핑 부재들(40,40)이 택(B)을 고정하도록 중간위치(E)에서 각각 안내판(73,73)에 장착되고, 각 클램핑 부재(40)는 각 안내판(73)의 요홈부(41)에 수용된다. 한쌍의 비틀림 스프링(43,43)(제14도)이 한 쌍의 핀(42,42)주위에 각각 장착되어, 두 클래핑 부재들(40,40)을 평상시 서로 가까워지게 부세하여 그 사이에 택(B)을 보유한다.
각 클램핑 부재(40)의 일체 안내 돌출부(44)(제13,14 및 17도)는 택 공급통로 아래에 배치되고 안내채널(72)안으로 연장한다. 안내 돌출부(40)의 하측에 있는 제1경사면들(45)(제13 및 17도)은, 추진 아암(84)이 철회된 제2푸셔(71)와 함께 클램핑 부재(40,40)아래에서 후방으로 이동될 때 추진 아암(84)의 상연부(88)에 걸리게 된다. 안내 돌출부의 내측에는 또한 제2경사면(46)(제14 및 17도)이 있다. 두 안내 돌출부들(44,44)의 제2경사면(46,46)은 후방으로 좁아진다. 제2푸셔(71)가 그 철회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추진 아암(84)의 상연부(88)는 제1경사면(45)와 계합하여 추진 아암(84)이 비틀림 스프링(86)의 탄성에 거슬러 제5도의 시계방향으로 추축하게 만든다. 제2푸셔(71)가 계속 철회되면, 추진 아암(84)의 자유단부, 즉 제2추진 표면(74)는 클램핑 부재들 사이에 고정된 택(B)에 걸리지 않고서 클램핑 부재들(40,40)을 통과한다. 추진 아암(84)의 자유 단부가 안내 돌출부(44,44)를 지났을때, 추진 아암(84)은 그 자유단부가 안내 돌출부(44,44)의 제2경사면들(46,46)과 면할 때까지 비틀림 스프링(86)의 탄성에 의해 제5도의 반시계방향으로 추축한다. 그 다음에, 제2푸셔 (71)가 전진할때, 추진 아암(84)은 택(B)을 클램핑 부재들(40,40)에서 밀어내어 다이(54)로 보내고, 그와 동시에 추진 아암(84)의 하연부(89)는 클램핑 부재들 (40, 40)을 비틀림 스프링(86,86)의 탄성에 거슬러 서로 멀어지게 분리시키도록 안내 돌출부(44,44)의 제2경사면들(46,46)과 계합한다.
제1푸셔기구(3) 및 제2푸셔기구(7)는 제3구동기구(9)에 의해 서로 시간조정되어 구동된다. 제1,2,13 및 14도에 도시된 대로, 제3구동기구(9)는 핀(90)에 의해 프레임(10)에 피봇 지지된 상단부를 가진 제4레버(91), 제4레버(91)를 추축시키도록 지지물(19)에 고착된 제3공기 실린더(92), 제4레버(91)를 제3공기 실린더(92)쪽으로 평상시 부세하도록 지지물(19)과 제4레버(91)사이에서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93), 및 링크(94)를 거쳐 제4레버(91)의 하단부에 연결된 추진 블록(95)을 포함한다. 제1푸셔기구(3)의 제1푸셔(303)가 제1연결구(96)에 의해 추진 블록(95)에 연결되는 한편, 제2푸셔 기구(7)의 제2푸셔(71)는 제2연결구(97)에 의해 추진 블록(95)에 연결된다.
제3공기 실린더(92)의 피스톤 로드(98)는 보통 철회되어 있어, 제1 및 제2푸셔 (303,71)가 인장 스프링(93)의 탄성으로 보통 전진위치를 취한다. 그다음 제3공기 실린더(92)의 피스톤 로드(98)가 돌출함에 따라, 제4레버(91)는 제1 및 제2푸셔 (303,71)가 그 철회 위치로 이동하게끔 핀(90)을 중심으로 제1도의 시계방향으로 추축하고, 그래서 연속 단추(A) 및 연속 택(B)이 제1 및 제2푸셔(303,71)의 앞에서 각각 안내채널(301,72)안으로 운반될 수 있게 한다.
제1,2 및 3 공기 실린더(20,61,92)의 피스톤 로드들(22,62,98)이 철회되면, 제3공기 실린더(92)가 작동될때, 제4레버(91)는 제1 및 2푸셔(303,71)가 그 전진 위치로 이동하게끔 반시계 방향으로(제1도) 추축한다. 그 동안에, 제1푸셔는 단추(A)가 상부 유니트(1)의 클램프 부재들(122,122) 사이에 고정될 때까지 안내채널(301)을 통해 단추(A)를 전방으로 밀고, 동시에 제2푸셔(71)는 택(B)이 하부 유니트(5)의 다이(54)위에 놓일 때까지 안내채널(72)을 통해 전방으로 택(B)을 민다.
제7,8 및 9도에 도시된 대로, 펀치(112)는 그 하부 표면(130)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안내 돌출부(131,131)를 갖고, 각 안내 돌출부(131)의 방사상 중심선은 제9도에 도시된 대로 클램프부재(122,122)의 방사상 중심선에 대해 직각으로 놓인다. 두 안내 돌출부(131,131)는 단추(A)의 주연부(31)에 들어맞는 한쌍의 궁형 내측 수직 표면(132,132)를 가지고 있어 그 사이에 단추(A)를 꼭 맞게 수용한다. 두 안내 돌출부(131,131)는 또한 각 수직 표면(132,132)에 연속하고 후술함 목적을 위해 아래로 펴지는 한쌍의 경사면(133,133)을 가진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대로, 토글 조인트(21)의 제1 및 제2레버(23,24)는 개다리 형상을 취한다. 제1공기 실린더(20)가 작동될때, 제1 및 제2레버(23,24)는 상부 플런저(105)가 압축 스프링(115)의 탄성에 거슬러 하방으로 이동하되록 선회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펀치(105)가 아래로 이동되고 안내 돌출부(131,131)는 클램프 부재들(11, 122)사이에 고정된 단추(A)와 접촉하게 된다. 그때, 단추(A)가 펀치(105)와 수직으로 일치하지 않으면, 단 하나의 안내 돌출부(131)의 경사면(133)이 단추(A)의 주연부(31)와 접하게 되어 단추(A)를 다음과 같이 적절한 위치로 안내한다. 즉 단추 (A)가 두 안내 돌출부(13,131)의 내측면(132,132)과 수직으로 정렬되고 다이(B)위에 놓인 택(B)과 수직으로 정렬된다. 그래서, 단추(A)는 두 안내 돌출부(131,131)의 내측면(132,132)사이에 맞춰진다.
토글 조인트(21)의 신장이 계속되면, 제2 및 3도에 도시된대로, 상부 플런저 (105)에 의해 지지된 수평핀(119)은 슬라이드(106)의 요홈부(120)하단부와 계합된 다음 슬라이드(106)를 인장스프링(111,111)의 탄성에 거슬러 아래로 밀고, 그래서 슬라이드(106)의 후크 부분(117)은 지지블록(114)의 돌기(116)에 걸린다. 돌기(116 )가 지지블록의 후크부분(117)과 걸리게 되면, 지지블록(114)은 계속해서 슬라이드 (106)와 함께 아래로 이동된다.
상부 플런저(105)의 하강은 토글 조인트(21)가 완전히 신장될 때까지, 즉 제1 및 제2레버(23,24)가 수직으로 일직선이 될때까지 계속되고, 이때 클램프 부재 (122 ,122)의 하단부면들은 택(B)위에 놓인 의복 직물(C)과 접촉한다. 정지구(25)는 제1 및 제2레버(23,24)가 그러한 수직위치를 지나 피봇운동하지 못하게 한다.
토글 조인트(21)가 완전히 신장된 때, 제1공기 실린더(20)는 일시적으로 탈여기되어 이 위치를 유지한다. 이어서 제2공기 실린더(61)가 여기됨에 따라, 피스톤 토드 (62)는 돌출하여 제3레버(60)의 후미 단부위의 로울러(66)를 충격 흡수기(63)를 거쳐 아래로 밀어내고, 그리하여 제3레버(60)가 제1도의 반시계방향으로 추축하게 한다. 그리하여 하부 플런저(52) 및 다이(54)가 상방운동되고, 택(B)은 다이(54)위에 놓이고 스파이크(16)는 하향된다. 그 결과, 택(B)의 스파이크(16)는 의복직물(C)를 관통하여 단추(A)의 자루(12)를 통해 삽입되고, 마침내 스파이크(16)의 말단부는 택(B)과 단추(A)를 결합시키도록 변형되어 단추(A)를 직물(C)에 부착시킨다.
단추(A)의 부착작동이 완료되면, 제1, 제2 및 제3실린더(20,61,92)의 피스톤 로드(22,62,98)은 서로 시간조정되어 원래 위치들로 복귀하여 펀치(112) 및 다이 (54 )가 서로 떨어져 철회된다. 그 다음에, 제1 및 제2푸셔(303,71)가 전진되어 후속 부착 작동을 위해 연속 단추(A) 및 택(B)을 상부 유니트(1) 및 하부 유니트(2)에 각각 공급한다.
제2,7,8 및 9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돌출부들(131,131)은 펀치(112)와 일체로 되어 있으나, 제(10)도에 도시된 다른 형태에 있어서 펀치(112′)는 1쌍의 안내 부재(126′,126′)를 가지고, 각 안내부재(126′)는 펀치(112′)에 고착된 개별 판스프링을 포합한다. 더우기 안내 돌출부(131,131)의 경사면(133)(제7 및 9도)은 오목하게 될 수 있다.
경사면들(133,133)때문에 펀치(112)의 안내돌출부(131,131)는 클램프 부재들(122,122)사이에 있는 단추(A)의 잘못된 배치를 교정하는데 쓰이고, 그래서 단추 (A)가 택(B)과 수직으로 정렬되고, 이는 파스너요소들에 어떤 변형이나 손상을 가하지 않고서 단추(A)를 택(B)과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제11 및 12도에 도시된 대로 변형된 하부 유니트(5′)는 택(B)이 다이(54)위에서 변위되지 않도록 하부 플런저(52)및 다이(54)의 바로 상류측에 배치된 리테이너 (200)를 포함한다. 리테이너(200)는 그 상단부분(205)이 다이(54)의 상부에서 돌출하여 택(B)의 헤드(17)에 걸리는 돌출위치(제12도의 점선)와, 상단부분(205)이 다이 (54)상부 아래로 철회되어 연속적인 택(B)이 다이(54)상부 위로 공급되게하는 철회위치 사이에서 제2지지블록(51)의 수직 슬로트(57)에서 수직으로 활동한다.
하부 플런저(52)는 비틀림 스프링(202)이 핀(203)에 의해 장착되는 보어(58)를 가진다. 비틀림 스프링(203)을 리테이너(200)를 그 돌출위치로 평시에 부세하도록 하부 플런저(203)와 리테이너(200)사이에서 작용한다. 리테이너(200)의 상단부분 (205)은 제2푸셔(71)가 그 전진위치로(제12도의 실선)이동됨에 따라 추진아암(84)의 하연부(89)에 의해 걸리는 경사진 상부면(205a)을 가지고, 그래서 리테이너(200)는 비틀림 스프링(202)의 탄성에 거슬러 추진아암(84)에 의해 그 철회위치로 압압된다. 리테이너(200)로 인하여, 파스너 요소에 별다른 변형이나 손상을 주지 않고서 택(B)을 단추(A)와 결합시킬 수 있다.
여러가지 사소한 변경이 당분야에 익숙한 자들에 의해 제안될 수 있으나,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실시해주기 바란다.

Claims (7)

  1. (a) 프레임(10), (b) 각 파스너 요소들(A, B)을 수납하고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1쌍의 수직 정렬된 상부 및 하부 유니트들(1,5)로서, 상기 하부 유니트(5)는 상기 프레임(10)에 의해 왕복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이(54)를 가진 하부 플런저(5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유니트(1)는 두 파스너 요소들을 함께 결합하도록 상기 다이(54)에 가까이 및 멀리 상부 플런저(105)의 왕복운동에 응하여 운동하는 펀치(112)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10)에 의해 왕복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플런저(105)를 포함하는 1쌍의 상부 및 하부 유니트(1,5), (c) 한 파스너 요소(A)를 수납하는 제1안내 채널(301)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는 제1수단(300,302)과, 한 파스너 요소 (A)를 상기 상부 유니트(1)로 밀도록 상기 제1수평 안내 채널(301)내에서 왕복가능한 제1푸셔(303)를 포함하는 제1푸셔기구(3), (d) 다른 파스너 요소(B)를 수납하는 제2수평 안내 채널(72)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는 제2수단 (70,73)과, 다른 파스너 요소(B)를 상기 하부 유니트(5)로 밀도록 상기 제2안내채널(72)내에서 왕복가능한 제2푸셔(71)를 포함하는 제2푸셔기구(7), 및 (e) 상기 다이(54) 및 하부 플런저(52)의 바로 상류측에 배치되는 리테이너(200)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200)는 그 상단부분(205)이 상기 다이(54)의 상부 아래로 철회되어 다른 파스너 요소(B)가 다이(54)의 상부위로 공급될 수 있게하는 철회위치와 상단부분(205)이 상기 다이(54)의 상부로 부터 돌출하여 다른 파스너 요소(B)의 헤드(17) 주연부에 걸리어 다른 파스너 요소(B)가 상기 다이(54)상부위에서 변위되지 않게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푸셔의 왕복운동에 응하여 수직 운동할 수 있는 상기 하부 유니트(5)를 포함하는, 1쌍의 의복 파스너 요소들(A, B)을 조립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니트(5)는 상기 리테이너(200)를 상기 돌출위치로 평시에 부세하는 스프링(202)을 포함하고, 리테이너(200)의 상단부분(205)이 경사진 상부면(205a)을 가지며, 상기 제2푸셔(71)의 전방 단부에는 추진아암(84)이 피봇 장착되고, 상기 추진아암(84)은 상기 다이(54)에 인접히 배치되어 있어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거슬러 상기 철회위치로 압압하도록 상기 경사진 상부면 (205)에 걸리는 파스너 요소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니트(1)는 상기 제1푸셔기구(3)로 부터 공급된 한 파스너 요소(A)를 고정하도록 상기 펀치(112)에 피봇 장착된 1쌍의 클램프 부재들 (122,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펀치(112)의 하단부에 있는 1쌍의 하향 안내 돌출부 (131,131)는 상기 펀치(112)가 하방 운동함에 따라 한 파스너 요소(A)를 사이에 끼는 1쌍의 궁형 내측표면(132,132)을 가지고, 상기 안내 돌출부(131,131)의 각 하단부를 따라 있는 1쌍의 경사진 안내면(133,133)은 상기 내측표면들에 연속하고 하방으로 벌어지며, 상기 각 경사진 안내면(133)은 한 파스너 요소(A)가 상기 펀치(112)와 수직으로 정렬되지 않을때 한 파스너 요소(A)의 헤드 부분 주연부와 계합하여 한 파스너 요소(A)의 그러한 변위를 고정하는 파스너 요소 조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출부(131,131)와 상기 클램프 부재들(122,122)은 상기 펀치(112)의 주위를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된 파스너 요소 조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사면이 오목한 파스너 요소 조립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푸셔기구(7)는 다른 파스너 요소(B)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2안내채널(72)의 중간 지점에 배치된 1쌍의 클램핑 부재(40,40), 및 서로 가까워지게 상기 클램핑 부재들(40,40)을 평시에 부세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진 아암(84)은 그것이 상기 리테이너(200)위로 배치되는 전진위치와 상기 클램핑 부재들(40,40)뒤에 배치되는 철회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푸셔 (71)의 왕복운동에 응하여 운동할 수 있는 파스너 요소 조립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램핑 부재들(40)은 그 사이에 고정된 다른 파스너 요소(B)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안내 채널(72)안으로 연장하는 안내 돌출부(44)를 가지고, 상기 안내 돌출부(44)의 하부측에 있는 제1경사면(45)은 추진 아암(84)이 상기 클램핑 부재들(40,40)아래에서 후방으로 이동될때 추진 아암(84)의 상연부(88)와 계합할 수 있고, 그러한 두 안내 돌출부들(44,44)의 내측면들에는 1쌍의 후방으로 벌어진 제2경사면들(46,46)이 있고, 상기 추진 아암(84)의 하연부(89)는 추진 아암(84)이 상기 클램핑 부재들(40,40)을 통해 전진될 때 상기 경사면들(46,46)과 계합하여 상기 클램핑 부재들(40,40)을 상기 스프링(86)의 탄성에 거슬러 서로 떨어지게 분리시키는 파스너 요소 조립장치.
KR2019840014340U 1983-12-29 1984-12-28 1쌍의 파스너 요소들을 조립하는 장치 KR8600014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9183U JPS60113326U (ja) 1983-12-29 1983-12-29 釦加工装置
JP200489 1983-12-29
JP20048983U JPS60113324U (ja) 1983-12-29 1983-12-29 釦加工装置
JP200490 1983-12-29
JP20049083U JPS60113325U (ja) 1983-12-29 1983-12-29 釦加工装置
JP200491 1983-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38U KR850007938U (ko) 1985-10-26
KR860001417Y1 true KR860001417Y1 (ko) 1986-07-12

Family

ID=2732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340U KR860001417Y1 (ko) 1983-12-29 1984-12-28 1쌍의 파스너 요소들을 조립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15473A (ko)
EP (1) EP0148508B1 (ko)
KR (1) KR860001417Y1 (ko)
AU (1) AU554219B2 (ko)
CA (1) CA1257076A (ko)
DE (1) DE3476960D1 (ko)
GB (1) GB2152867B (ko)
HK (1) HK96189A (ko)
MY (1) MY100591A (ko)
SG (1) SG56989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738Y2 (ko) * 1985-10-31 1991-03-26
JPH0232662Y2 (ko) * 1985-11-12 1990-09-04
JPH033549Y2 (ko) * 1986-07-16 1991-01-30
JPS6342908A (ja) * 1986-08-06 1988-02-2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部品自動取付機
JPS6339121U (ko) * 1986-08-26 1988-03-14
JPH0435287Y2 (ko) * 1986-08-26 1992-08-21
FR2618706B1 (fr) * 1987-07-29 1989-12-22 Recoules & Fils Ets Dispositif de percage et rivetage
US4923099A (en) * 1988-07-29 1990-05-08 Scovill Japan Kabushiki Kaisha Fastener attaching apparatus
JPH0714336Y2 (ja) * 1989-02-03 1995-04-0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投光器のストローク調整装置
JPH0711124Y2 (ja) * 1989-03-11 1995-03-1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取付機の釦搬送装置
JPH02132621U (ko) * 1989-04-04 1990-11-05
US5234147A (en) * 1992-08-17 1993-08-10 Scovill Fasteners Inc. Setting machine having moveable upper receiver
US5319848A (en) * 1993-06-30 1994-06-14 Volker Schmidt Apparatus for attaching fasteners to material
US5463807A (en) * 1994-09-08 1995-11-07 Scovill Fasteners Inc. Attaching machine for attaching fasteners
US5781989A (en) * 1996-11-27 1998-07-21 Eastlex Machine Corporation Fastener attaching apparatus
WO1999026742A2 (en) * 1997-11-26 1999-06-03 Scovill Fasteners Inc. Machine for attaching fasteners
JP3971124B2 (ja) 2001-04-26 2007-09-05 Ykk株式会社 ボタンの取付力設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2223A (en) * 1939-10-16 1942-08-04 Universal Button Fastening & B Attaching machine
US2345476A (en) * 1942-06-24 1944-03-28 Scovill Manufacturing Co Manually operated fastener attaching machine
US2588486A (en) * 1949-09-16 1952-03-11 Patent Button Co Combined tucker and orienting mechanism for snap fastener attaching machines
BE758348A (fr) * 1969-11-12 1971-05-03 Textron Inc Machine a fixer les fermetures a declic
US3815805A (en) * 1972-06-05 1974-06-11 Textron Inc Apparatus for attaching fasteners to a garment in registration
US3964661A (en) * 1974-10-23 1976-06-22 Textron, Inc. Apparatus for attaching pronged and mating elements to articles
US4019666A (en) * 1975-11-10 1977-04-26 Scovill Manufacturing Company Fastener attaching machine having means for orienting caps, buttons, and the like
JPS5922094Y2 (ja) * 1979-12-13 1984-07-0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取付装置
JPS5911683B2 (ja) * 1981-10-26 1984-03-17 スコ−ビル・ジヤパン株式会社 釦取付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432638D0 (en) 1985-02-06
EP0148508B1 (en) 1989-03-08
EP0148508A3 (en) 1986-08-20
KR850007938U (ko) 1985-10-26
US4615473A (en) 1986-10-07
DE3476960D1 (en) 1989-04-13
MY100591A (en) 1990-12-15
EP0148508A2 (en) 1985-07-17
AU554219B2 (en) 1986-08-14
CA1257076A (en) 1989-07-11
HK96189A (en) 1989-12-15
SG56989G (en) 1989-12-29
AU3717084A (en) 1985-07-04
GB2152867A (en) 1985-08-14
GB2152867B (en) 1988-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417Y1 (ko) 1쌍의 파스너 요소들을 조립하는 장치
CN106880136B (zh) 穿拉链头设备
KR870000717B1 (ko) 태그핀 부착기
KR920002500B1 (ko) 연속 길이의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상지구를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KR900001801Y1 (ko) 한쌍의 파스너 요소 조립장치
KR840001334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하지구 부착 방법과 장치
US4615668A (en) Apparatus for melt-forming bottom stop of slide fastener chain
EP0172546A1 (en) A space por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e fastener chain
US4461417A (en) Tag attacher
US4482087A (en) Tag attaching device
US3491389A (en) Nail transfer and collating means
EP0302362B1 (en) Parts applicator for slide fasteners
KR910008658B1 (ko) 개별 금속 파스너 엘레멘트들을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하는 방법
KR880000593Y1 (ko) 연속 슬라이드 파스너에의 한쌍의 상지구 부착장치
CN111084469B (zh) 增强膜粘接装置
EP0040858B1 (en) Bottom stop applying and gapping apparatus for a slide fastener chain
US42362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pace sections in a slide fastener
KR900007523Y1 (ko) 슬라이더 조작장치
KR870001355Y1 (ko) 박스 및 삽입핀이 달린 분리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박스를 부착한 때의 박스 보지장치
JP3104033B2 (ja) 自動係止片取付装置
KR900007068B1 (ko) 슬라이드 파스너 마무리 기계용 체인 이송기
KR860002245A (ko) 분리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GB2182883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 pair of fastener elements
KR83000178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조립기의 손잡이 부착장치
US4633580A (en) Device for positioning slide fastener stringers in fastener finis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