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053B1 -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053B1
KR860001053B1 KR1019840004311A KR840004311A KR860001053B1 KR 860001053 B1 KR860001053 B1 KR 860001053B1 KR 1019840004311 A KR1019840004311 A KR 1019840004311A KR 840004311 A KR840004311 A KR 840004311A KR 860001053 B1 KR860001053 B1 KR 86000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ical
yarn
drum
yarn feeding
fee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322A (ko
Inventor
레드 부크 알프
로제르 에리히
Original Assignee
메밍게르 게엠베하
디터 브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밍게르 게엠베하, 디터 브라운 filed Critical 메밍게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5000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공급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실공급장치의 축적드럼을 다른 크기로 측면에서 본 단편도.
제3도는 제2도의 축적드럼에서 실이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한 그림.
제4도는 제3항의 장치에서 선(Ⅳ-Ⅳ)을 따라 취한 실패의 그림.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홀더 2 : 클램핑장치
3 : 샤프트 4 : 구동풀리
5 : 축적드럼 6,7 : 실유도구멍
8 : 실 9 : 실멈추게
10 : 유도구멍 11 : 하향유도소자
12 : 유도구멍 13 : 실진행 감지기
14 : 실차단 감지기 15 : 제1원추형표면
16 : 직경최대부분 17 : 자유연부면
18 : 원통형표면 19 : 축
20 : 직경최소부분 21 : 환형표면
22 : 반지름 23 : 제2원추형표면
25 : 원추형 실 지지면 26 : 환형쇼울더
27 : 원통표면 28 : 환형테두리
30 : 축 31 : 거리
33 : 실루프 35 : 실루프
39 : 공통디스크 40 : 링
42 : 환형파상금속판 43,44 : 환형홈
본 발명은 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직조기와 편물기 및 원형편물기용 실공급장치로, 실이 정확하게 회전구동드럼에 공급되어 여러번 감긴 실루프가 상기 드럼상에 감기므로 실이 축적된다.
실 공급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는 실이 미끌어 지지않고 확실한 방법으로 실을 공급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다공벨트와 같은 구동소스에 의해 구동되는 실패나 공급드럼을 가지고 있다. 공급되는 실 또는 실의 루프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여러 가닥의 감긴 실로 되어 있으며, 드럼상에 감겨 있다. 축적된 루프에 정연하게 실이 감기도록 하기 위해서 순서대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여 실의 한쪽끝이 연속적으로 빠져나와 실차단기쪽으로 동일한 비율로 전달되어 실진행기 또는 공급되는 측 상에의 축적루프로 축적드럼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원통형 표면을 가진 축적드럼에서 드럼은 자체의 공급장치를 필요로 한다(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출원 제7608590호에 공지되어 있음). 비록 상기 공급장치는 특수용도의 실과 모든 형태의 실에 대해 축적된 루프의 공급 및 축상으로 진행을 만족스럽게 하지만, 유지하는데 많은 것이 필요한 사실은 제외하더라도, 다른 부가적 비용이 많이든다. 특별한 측면 모양을 사용한 실공급장치가 공지되었으며, 드럼상에 축적루프의 자동적인 공급이 되어 드럼상에 배치된 실 또는 드럼과 작용하는 분리된 부가적 공급장치가 실을 공급한다. 이런 형태의 축적드럼에서(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제DE-OS 2613273호) 실진행 또는 공급지역은 연속적으로 안쪽을 향해 구부려지도록 제공되어 실은 접선상태로 진행되며, 약간 원추형 변환지역으로 점차들어가며 드럼의 원통형 표면에 차례로 감겨진다. 이런 축적드럼의 실시형태는 축적루프의 축형태로 공급되며 진행된다. 그러나, 여러형태의 실이 사용되었을 때 축적루프에 감기는 어떤 형태 실은 엉기거나 벗겨져, 실의 진행에 손상을 끼친다. 이것은 바로 균일하지 못한 실 공급 또는 실이 끊어지는 원인이 된다. 근본적으로 유사한 축적드럼을 가진 실축적기 또는 공급장치에서(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제2743749호), 상기 드럼은 원형지지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실 전달위치로부터 안쪽으로 곡선이 져 있으며 여러개 실이 서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어서, 장치는 최초의 표면으로 부터 연속적인 곡선이 연장되어 있는 축적드럼의 지지표면을 선택하고, 상기 곡선은 최종의 지역까지 내측으로 굽어져 있어서 하향소자 쪽으로 외부쪽을 향해 넓혀져 있고, 상기 지역의 끝단에 축적드럼은 실의 런인 측상의 끝단에서 보다 크다. 그러나 지지표면의 모형형이 연속적으로 굽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드럼은 실과 축적드럼 사이에서 미끄럼이 생긴다. 예를들어 수공으로 마든 모노사에서 이것은 지지표면을 약하게 하여 축적드럼의 원통형 표면은 절대적으로 매끈해야 하고 표면이 상당히 강해야 하며, 결국 축적드럼의 표면을 만드는 데 많은 비용이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실공급장치를 제공하여 축적루프에 대해 특수한 축공급장치가 필요없고, 또한 실이 양호하게 공급되고, 일반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실의 구성과 특징에도 불구하고 겹치지 않고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더우기, 장치는 제조하기 간편하여 저렴하게 산업에 제공될 수 있게 한다.
간단히 말해서, 축적드럼은 일반적으로 여러개의 원추형 및 원통형으로된 표면으로 형성되고 드럼상에 특별한 방식으로 장치된다. 실은 제1원추형 원통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실유도구멍에 의해 제1원추형 원통표면에 공급된다. 축방향으로 밑으로 내려와서 제2원추형 원통표면은 상기 제1표면과 연결되어 있다. 제2원추형 원통표면은 경사가 급하고 다음은 거의 방사상으로 내면이 평평하고 내부가 약간 가늘어지는 원추형 원통실수용 표면에 의해 공동상태로 되어있고, 상기 원추각은 제2원추각 보다 적으며 거의 평평한 원추형 원통표면이다. 약간 원추형 표면의 축 길이는 몇개의 인접하여 배치된 감긴실의 루프를 수용하기에 적당한 충분한 길이이다. 약간 원추형 표면은 원통형 표면으로 변하여 거의 원통형이며-그러나 아주 약간의 원추상태 일수도 있다-감겨 축적된 실의 대부분을 수용한다.
다수의 원추형 표면으로된 장치는 만들기 쉬운 잇점이 있고, 예를들어 나사절삭기나 원추형판을 적당히 축을 조립하므로써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이 잘 공급되고, 제1원추형 표면부터 원통형 표면까지 자동적인 축상공급이 확실하게 되고 반면에 실이 얽히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실의 공급이나 진행은 특히 환형표면에 인접한 원추형 실지지표면의 제1원추형 원통표면의 하부를 통해 제2원추형 원통표면의 지역에서 줄의 형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표면과 접촉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감겨서 원추형 실지지표면상에 놓여지며 서로 정확히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표면상에서 감긴 양호한 전달 그룹을 형성하며 원추형 실지지표면과 축적드럼의 축사이에 형성된 작은 원추형각 때문에 실이 감기는 표면의 부근에서 마찰응력은 생기지 않는다. 전달그룹으로 감긴실은 대부분의 실이 감겨 있는 실질적 축적루프를 지탱하는 인접하여 연관된 표면상에서 미끄러진다. 원통형 원주 표면사에 배치되어 감긴실은 원추형 실지지표면상에 형성된 전달그룹으로 감긴실에 비교하여 다소 몇개는 교대가 된다. 그 결과 원통형 원주표면상에 축적루프는 엉키거나 벗겨지지 않고 자동적으로 대체된다. 제1원추의 원추 표면의 원추각은 대체로 제2원추의 원추각 보다 적다. 제2원추의 원주면이 축적드럼에 대한 각은 60도 내지 70도가 적당하다는 것이 알려졌다. 제1원추의 원주면은 환형인 둥근 표면지역을 통해 환형표면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고 증명되었다. 원추형 실지지표면은 원추형으로 되어야 하며 전달그룹으로 감긴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엉키거나 감긴실이 벗겨지지 않고 교체된다. 우수한 작동조건은 축적드럼 유닛트에 대해 원추형 실지지표면이 2도 내지 10도의 각을 포함할때 얻을 수 있는 것이 알려졌다. 실지지표면은 직접적으로 인접한 원통형 원주표면으로 변하며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환형선은 잘 한정된 연부 또는 둥근연부일 수도 있다. 그러나 원추형 실지지표면이 작은 환형 쇼울더를 통해 작은 직경의 원통형 원주표면에 연결되어 있을때 또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환형 쇼울더의 인근에서 직경의 변화는 실이 원추형 실지지표면을 떠났을때 실의 여유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전달 그룹으로 감긴 실로부터 원통형 원주표면상으로 이동할때 상기 여유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환형쇼울더는 판으로 또는 둥근환형표면 또는 원추형 표면으로 구비되어질 수 있다.
원통원주 표면으로부터 실을 진행하기 위해 원통의 원주표면이 축적드럼의 끝부분에 연장되어 배치된 테두리 또는 비드(Bead)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당히 잇점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한편으로 실전달 조건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실유도소자를 구비하므로써 공급될 특수한 실의 성질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때때로 상기 소자는 축적드럼의 축을 향하고 있는 것이 적당하다.
최소한 제1원주의 원주표면 혹은 원통의 원주표면 또는 둘다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홈이나 슬롯을 구비할 수 있으며 실은 홈이나 슬롯사이에 배치된 표면의 테두리 같은 부분에만 공급된다.
축적드럼은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표면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축적드럼의 제조는 큰 원주표면이 정확히 정해진 연속된 곡선을 가져야만 되는 구조의 경우보다 상당히 간단하다. 그래서 축적드럼은 한조각 또는 여러개의 조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후자의 경우 원통의 원주표면은 딱딱하거나 부드럽게한 표면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조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주름진 파상형 금속판의 조각들로 링이 구비되어 있으면 간단하게 된다. 실런-온 표면은 파상형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원통의 원주표면과 실지지표면도 상기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 또는 파상형 금속판은 특히 제조하는데 비용이 들지 않으며 동시에 감긴 실은 단지 파상의 주름위에만 위치하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실공급장치는 하우징과 같은 홀더(1)를 구비하여 클램핑 수단에 의해 연관된 직조기의 지지구조나 홀더에 고정되며 예를들어, 원형편물기의 홀더링에 고정되게 한다. 샤프트(3)는 회전할 수 있게 홀더(1)속에서 지지되며, 구동풀리(4)는 홀더위에 나와있는 샤프트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다. 홀더의 하부에는 샤프트(3)가 축적드럼을 지탱하고 있으며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그래서 축적드럼(5)은 구동 소스에 결합되어 구동풀리(4)를 통해 회전하게 된다.
2개의 실유도구멍(6),(7)은 홀더(1)상에서 축적드럼(5)쪽에 배치되어, 실패로 부터 나온실(8)을 유도하고, 실멈추게(9)를 통해 실진행 또 공급유도 구멍(10)으로 유도되어 실이 축적드럼에 전달된다. 상기 과정은 다음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축적드럼을 빠져 나온 실은 홀더(1)에 고정된 하향유도 소자(11)를 통과하여 역시 홀더(1)에 고정된 유도구멍(12)을 따라 진행한다. 실의 공급이나 진행은 실진행 감지기(13)에 의해 실의 끊어짐이 탐지되며 반면 드럼에서 실의 차단은 실차단감지기(14)에 의해 탐지된다. 2개의 실끊어짐 감지기(13),(14) 는 기존의 방식으로 실을 조사하거나 감지하여 실의 장력이 증가하거나 혹은 완전히 없어질때 하우징과 유사한 홀더(1)내에서 장치의 작동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축적드럼의 구조는 제2도에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특수한 축적드럼(5)은 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주로 축적드럼은 여러조각으로 구비되어 있다.
회전체로 구비된 축적드럼(5)은 모서리가 똑바른 제1원추형 원주표면 가지고 있으며 직경이 가장큰 부분(16)은 축적드럼(5)의 자유종단면(17)과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축이 짧은 원통형 표면(18)에 의한 자유종단면(17)으로 분리되 있다. 실진행 표면으로 형성된 제1원주표면(15)은 축적드럼의 축에 대해 약 30도 각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직경이 적은 부분(20)에서 제1원추형 원주표면(15)은 환형표면(21)에 의해 교차되며 축적드럼의 축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연장되었다. 제1원추형 원주표면(15)은 둥근표면 지역을 통해 환형표면(21)과 접하여 있으며 상기 환형표면의 반지름은 22로 표시되어 있다. 반지름(22)은 전형적으로 0.5mm정도의 크기다.
내부에서는 환형표면(21)은 제2원추형 원주표면(23)과 접하며 상기 원주표면(23)은 축방향 안쪽으로 굽어져 있고 게다가 일반적으로 똑바르고 축적드럼의 축에 대해, 약 60도 내지 70도의 각을 유지하며, 대체로 60도가 양호하고 축적드럼 축(19)의 (24)부분은 비교적 짧다(예를들어, 약 0.6mm정도임).
제2원추형 원주표면(23)은 똑바른 모서리를 가진 원추형 실지지표면에 의해 축방향으로 향하여, 표면(25)의 축 길이는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감긴 다수의 실 또는 실루프의 전달 그룹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되어있다. 실지지표면(25)은 축적드럼의 축(19)에 대해 2도 내지 10도 사이의 각을 포함한다. 상기 표면(25)은 환형쇼울더(26)을 통해 원통형 원주표면(27)에 의해 접해지며, 상기 원주표면(27)은 실의 루프가 축적되기 위한 비교적 긴축의 길이를 갖는다. 원통형 원주표면(27)은 마침내 축적드럼(5)의 종단부에 배치된 불쑥 퇴어나온 환형테두리 또는 비드(28)에서 끝이난다. 비드의 단면 모형은 역시 둥글다.
환형쇼울더(26)는 제2도에서는 명료함을 위해 과장되어 도시되었지만 짧은 길이를 갖는다. 길이는 전형적으로 약 0.05mm 정도이다. 다른 형태의 실시예도 가능하며, 환형테두리(26)를 없앨 수도있고 원추형 실지지표면은 직접적으로 원통형 원주표면(27)으로 변할 수 있으며, 상기 두면사이의 변화는 둥글게 또는 환형연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바대로 실공급장치의 기능 및 축적드럼(5)의 기능 또한 실의 진행로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실유도구멍(10)은 축적드럼(5)으로부터 측면으로 배치되어 축적드럼 축(19)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제4도). 홀더(1)상에 장치되어 있어 제1원추형 원주표면(15)의 높이에 최소한 있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즉,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표면(21)으로 부터 거리(31)로 연장된 높이로 조정될 수 있다. 거리(31)는 축적드럼(5)의 종단면(17)에서 연장된 축(30)만한 크기로 될 수 있다.
실유도구멍(10)은 실(8)을 제1원추형 원주표면(15)상에 거의 접선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표면상으로 진행되게 하고 끌려들어 온 실은 둥근표면지역(20)에서 환형표면(21)으로 이동되어 환형표면(21)으로 유도되는 변환지역에서 실의 경로 Ⅰ로 표시된 모양으로 변한다.
둥근표면지역(20)으로부터 제2원추형 원주표면(23)과 원추형 실지지표면(25)사이의 변환 지역으로 줄과 같은 형태로 연장되어 실의 진행경로인 Ⅱ부분에서 다시 변하게 된다. 줄과 같은 실의 경로는 제2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환형표면(21)에 실(8)은 닿지 않고 제2원추형 원주표면(23)구석에서 닿게되어 실지지표면(25)으로 유도되고 실지지표면(25)상에 배치되는데 있어서는 실루프나 감긴실이 한가닥씩 차례로 연속적 형태로 배치된다. 가장 최근에 형성된 루프가 축상으로 공급되는 것은 팽팽한 실이 상기 표면의 구석쪽에서 오기 때문이며, 가장 최근에 형성된 실루프와 제2원추형 원주표면(23)사이에 쐐기형 갭을 만들어서 갭속에 실(8)이 들어가게 한다.
제3도에서(33)으로 표시된 감긴실은 실지지 표면(29)상에 형성되어 나란히 배열된 여러개의 실이나 루프를 구비하며 실지지표면(25)과 마찰로 인해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실공급에서 미끄럼이 없이 작용될 수 있다. 원추형 실지지표면(25)의 축 길이는 제3도에서(34)로 표시되어 있으며, 축적드럼이 축상에 투영시킬때 최소한 1.5mm는 되어야 하며 전형적으로 1.5 내지 5mm정도에 해당한다. 감긴실(33)은 원추실 지지표면(25)상으로 연속적으로 하향 이동하여, 상기 표면상에 연속적으로 새로운 실루프를 형성한다. 제2원추형 원주표면에 의해 압력을 받은 새로운 루프나 감긴실은 즉시 진행된다. 환형쇼울더(26)를 통해 원통원주표면상에 연속적으로 도달된 최하부의 루프는 실제 실 축적 루프(35)로 형성되며, 상기 축적루프는 다수의 감긴실로 구비되며 실(8)의 하부에 감긴실은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향하여 실하향 유도소자(11)를 통과한다.
원추형 실지지표면(25)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통형 원주표면상에 배치된 축적루프(35)인 전달그룹으로 감긴실(33)의 변환에서 개개의 실루프는 다소 느슨하게 된다. 상기의 실이 느슨해지는 것은 환형쇼울더(26) 또는 실지지표면(25)의 원추각의 반지름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축상으로 실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것은 축적루프(35)의 인근에서 개개의 실이 얽히거나 끊어지는 위험이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축적드럼(5)은 한부분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원주표면(15)과 원주표면(27) 또한 실지지표면(25) 및 제2원추형 원주표면의 부근에서 제2도 내지 제3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15a),(27a) 및 (25a)와 (23a)에서 축상으로 연장된 홈 또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실은 단지 립(rib)형태위에만 배치되며, 실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어떤조건에서는 적당하기도 하다.
이것을 제외하더라도, 축적드럼(5)은 여러부분의 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들어 표면(18),(15),(21),(23), 및 (25)은 공통판(39)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원주표면(27)을 지탱하는 링(40)에 결합되어 있고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2종단판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도에서(41)로 표시된 분리판은 링(40)상에 임의로 장치될 수 있다.
링(40) 대신에 개개의 간격을 유지하고 평행한 립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원통형 원주표면(27)은 막대로 된 새장과 같이 형성된다.
특히 제4도에 도시된(42)와 같이 축방향으로 연장된 파상부와 같이 파상모형의 금속판을 환형으로 굽혀서 링(40)이 구비될 수 있다면 그 구조는 간단해질 것이다. 환형 파상금속판(42)는 판(39)의 대응하는 환형홈(43),(44)이나 차단 비드(28)를 구한 판의 홈에 단지 넣으면 된다. 또한 표면(15),(18),(23) 및 (25)는 각각 또는 다함께 파상형 금속판으로 굽혀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끝으로 축적드럼(5)의 전부분은 파냄으로써 깊게 파인 부분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축적드럼(5)의 모형으로 상부쪽으로 깔대기 모양으로 넓히는 것이 적당하다.
실제 크기의 축적드럼(5) 전달하기 위해서는 제2원추형 원주표면(23)의 가장 큰 직경이 약 51 내지 54mm정도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며, 상기 원주표면의 투사된 축부분(24)은 약 0.6mm 정도라는 것이 이미 언급되었으며 원추형 실지지표면(25)의 투영된 축은 최소한 1.5mm는 되어야 하며 5mm이하여야 한다.

Claims (17)

  1. 다수의 축상으로 인접한 실 축적 또는 실루프수용 표면을 가진 구동축적드럼(5)과 ; 실공급 유도소자(10) 및 드럼에서 드럼으로 실을 유도하는 실하향 유도소자(11)를 가진 실공급 장치, 특히 편물기용 실공급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원추형 원주표면(15)과 ; 공급된 실(8)을 상기 제1표면으로 향하게 하며 상기 제1원추표면과 최소한 높이가 같은 곳에 배치된 실공급 유도소자(10)와 ; 제1원추표면과 인접하여 내측 방사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원추형표면보다 실제로 원추각이 큰 제2원추형 표면(23) 및, 제2원추표면과 인접하고 원추 각이 제2원추 표면의 원추 각 보다 적으며 축의 길이가 원추표면상에 인접하여 배치된 몇 가닥의 실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된 제3원추표면(25)을 구비하여, 제3원추표면이 드럼상에 실루프의 축적 지역을 형성하기 위해 내측 방사상으로 가늘어지는 실지지표면을 형성하게 하고 ; 원통형 원주표면(27)은 제3원추표면과 인접하며 실축적 드럼(5)에 감길 실축적루프(35)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축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실 하향유도소자가 배치되어 원통형 원주표면 상에서 축적드럼 위에 축적실을 하향시켜 실을 직조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2.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원추표면(15)의 원추각이 제2원추표면(23)의 원추각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3.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2원추표면(23)은 축적드럼의 축(19)에 대해 약 60도 내지 70도의 각을 유지하며 양호한 각은 68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4.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원추표면(15)이 환형 또는 둥근표면 부분(20)을 경유해서 환형표면(21)과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5.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원추형 실지지표면은 축적드럼(19)에 대해 2도 내지 10도 사이의 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6. 제5항의 장치에 있어서, 축적드럼 축(19)상에 투영된 원추형 실지지 표면의 길이는 최소한 1.5mm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7.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원주표면(27)은 축적드럼의 끝에 배치된 테두리 혹은 비드(28)에 의해 인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8.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원추형 실지지표면(25) 작은 환형쇼울더를 경유해 원통형 원주표면(27)의 직경이 작은 부분과 인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9. 제8항의 장치에 있어서, 환형쇼울더(26)는 원추형 표면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10.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실공급 유도소자(10)는 축적드럼축(19)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11.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실공급 유도소자(10)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12. 제1항에 장치에 있어서, (a) 제1원추형 원주표면(15)과 ; (b) 원통형 원주표면(23)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홈이나 슬롯(15a,27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13.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축적드럼(5)은 한부분으로 또는 한조각의 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14. 제13항의 장치에 있어서, 축적드럼(5)은 깊게 파낸 부부분이나 돌출부가 있는 한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15.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축적드럼(5)은 여러개의 부분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원통형 원주표면(27)은 임의의 강도를 가진 링(40) 표면상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16. 제15항의 장치에 있어서, 링(40)은 한장의 파상형 금속판(42)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상형판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17.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실진행표면(15)은 파상형 금속판 또는 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KR1019840004311A 1983-07-20 1984-07-20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KR860001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326099A DE3326099C2 (de) 1983-07-20 1983-07-20 Fadenliefer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DE33260990. 1983-07-20
DE3326099,0 1983-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322A KR850001322A (ko) 1985-03-18
KR860001053B1 true KR860001053B1 (ko) 1986-08-01

Family

ID=620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311A KR860001053B1 (ko) 1983-07-20 1984-07-20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74597A (ko)
JP (1) JPS6077069A (ko)
KR (1) KR860001053B1 (ko)
DD (1) DD221984A5 (ko)
DE (1) DE3326099C2 (ko)
ES (1) ES289220Y (ko)
GB (1) GB2143856B (ko)
IT (2) IT8453656V0 (ko)
SG (1) SG18788G (ko)
SU (1) SU1297720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7936C2 (de) * 1984-05-15 1986-06-26 Memminger Gmbh, 7290 Freudenstadt Fadenliefer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DE3501944A1 (de) * 1985-01-22 1986-07-24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7470 Albstadt Faden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JPS61199585U (ko) * 1985-05-31 1986-12-13
JPS623586U (ko) * 1985-06-20 1987-01-10
US4687150A (en) * 1985-10-04 1987-08-18 Alan Gutschmit Strand storing and delivering device
DE3711558C1 (de) * 1987-04-06 1988-06-23 Sipra Patent Beteiligung Fadenliefervorrichtung fuer Strickmaschinen
KR930003806B1 (ko) * 1989-06-17 1993-05-13 유재풍 편물기용 전자동 실 공급장치
US5839685A (en) * 1995-07-25 1998-11-24 Chen; Jen Hui Anti-static thread feeding wheel for knitting machinery
DE19538135A1 (de) * 1995-10-13 1997-04-17 Terrot Strickmaschinen Gmbh Faden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JP4072647B2 (ja) * 1996-01-23 2008-04-09 ニッタ株式会社 コード類の張力調整機構
US5802879A (en) * 1997-01-10 1998-09-08 Min; Lin Chung Knitting machine yarn receiver with accumulated waste discharge device
US5802880A (en) * 1997-01-10 1998-09-08 Min; Lin Chung Improvement of yarn supply reel and yarn guide for knitting machines
KR100365125B1 (ko) * 1998-03-02 2003-08-02 장병인 방직기의 실 공급장치
DE19840727A1 (de) * 1998-09-07 2000-05-25 Memminger Iro Gmbh Fadenliefergerät für Textilmaschinen
US6915831B2 (en) * 2000-07-21 2005-07-12 Hunter Douglas Inc. Drum for wrapping a cord
DE10219537B4 (de) * 2002-05-02 2005-12-29 Memminger-Iro Gmbh Fadenliefergerät
ES2318095T3 (es) * 2002-12-19 2009-05-01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Mecanismo de elevacion y descenso para persianas.
JP2010089908A (ja) * 2008-10-08 2010-04-22 Murata Machinery Ltd 糸弛み取り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繊維機械
US20120097781A1 (en) * 2010-10-26 2012-04-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deep drawn spool
JP2013067447A (ja) * 2011-09-20 2013-04-18 Murata Machinery Ltd 糸貯留装置、紡績ユニット及び紡績機
JP2013067872A (ja) * 2011-09-20 2013-04-18 Murata Mach Ltd 紡績ユニット及び紡績機
CN103789919B (zh) * 2012-10-31 2016-02-24 陈仁惠 送纱轮的改良构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94167A (ko) * 1949-06-10
GB1262179A (en) * 1968-10-14 1972-02-02 Rosen Karl I J Thread storage and delivery device for textile machines
DE1966159B2 (de) * 1968-10-14 1972-09-28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ZA717329B (en) * 1970-11-11 1972-07-26 Bus Division Ltd Electrical systems for vehicles
CH538415A (de) * 1971-03-04 1973-06-30 Sulzer Ag Fadenspeicherein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JPS5134499B2 (ko) * 1972-03-18 1976-09-27
CH550730A (de) * 1972-04-28 1974-06-28 Sulzer Ag Verfahren fuer den gebremsten abzug fadenfoermigen materials von einem wickelkoerper einer speicherein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und ein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3957217A (en) * 1975-06-25 1976-05-18 Wesco Industries Corporation Storage drum for intermediate yarn feeding device
DE2608590C3 (de) * 1976-03-02 1980-08-28 Memminger Gmbh, 7290 Freudenstadt Fadenliefervorrichtung
DE2743749C3 (de) * 1977-09-29 1984-10-11 SIPRA Patententwicklungs-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7000 Stuttgart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JPS5828062B2 (ja) * 1979-10-02 1983-06-13 報国機械株式会社 多軸切削交換ヘツドに於ける送り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9220Y (es) 1986-10-01
SU1297720A3 (ru) 1987-03-15
JPS6250391B2 (ko) 1987-10-23
IT8467736A0 (it) 1984-07-20
DE3326099A1 (de) 1985-02-07
GB2143856B (en) 1986-09-10
IT1180078B (it) 1987-09-23
JPS6077069A (ja) 1985-05-01
IT8453656V0 (it) 1984-07-20
DD221984A5 (de) 1985-05-08
ES289220U (es) 1986-02-16
US4574597A (en) 1986-03-11
DE3326099C2 (de) 1985-05-23
KR850001322A (ko) 1985-03-18
GB8418033D0 (en) 1984-08-22
GB2143856A (en) 1985-02-20
SG18788G (en) 1988-07-08
IT8467736A1 (it) 198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053B1 (ko) 편물기용 실공급장치
US2932152A (en) Textile twisting apparatus
US2479826A (en) Thread antislack device
EP1939340B1 (en) A yarn-feeding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890001491B1 (ko) 방직기용 실 저장 및 공급장치
EP0252866B1 (en) A yarn feed device for textile machines
US4028911A (en) Inclined pin wheel for yarn storage drum
UA53801C2 (uk) Ниткоподавальний механізм для текстильних машин
US3648939A (en) Yarn storing device
US4850544A (en) Yarn metering bobbin
US4299357A (en) Centering plate for supporting a yarn carrier tube
JP2811446B2 (ja) 編み機用糸供給装置
EP0301325B1 (en) Yarn withdrawal apparatus and method
JPH0157025B2 (ko)
EP0460799A1 (en) False twist apparatus
KR100950112B1 (ko) 스파이얼링 장치
US4662575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textile machines
UA58626C2 (uk) Спосіб і пристрій для спарювання або скручування двох або більше ниток для використання в текстильній машині для в'язаних виробів, трикотажу і подібних
JPH05178534A (ja) ストランド供給装置
JPS5916004B2 (ja) 精紡装置
CZ285549B6 (cs) Frikční zařízení pro podávání nití
US3393879A (en) Apparatus for traversing yarn
US5190231A (en) Feed device for travelling threads
GB2172490A (en) Feed mechanism for strip material
US3376699A (en) Roller type travelers and fl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