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041Y1 - 기화식 증기 보일러 - Google Patents

기화식 증기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041Y1
KR860001041Y1 KR2019840000387U KR840000387U KR860001041Y1 KR 860001041 Y1 KR860001041 Y1 KR 860001041Y1 KR 2019840000387 U KR2019840000387 U KR 2019840000387U KR 840000387 U KR840000387 U KR 840000387U KR 860001041 Y1 KR860001041 Y1 KR 860001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ing tube
spray nozzle
water
steam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277U (en
Inventor
이덕우
Original Assignee
이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우 filed Critical 이덕우
Priority to KR2019840000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041Y1/ko
Publication of KR8500052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2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0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0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steam
    • F22B1/1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steam coming in direct contact with water in bulk or in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화식 증기 보일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기발생가열통 5 : 분무노즐
8 : 기수분리통 9 : 호형비산구
10 : 호형확산유도구 11 : 재가열통
본 고안은 증기압을 이용하여 물이 무화상태로 가열통 내에 공급되는 것을 가열시켜 많은 양의 증기가 발생되게한 기화식 증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증기보일러는 가열조나 가열관 내에 들어 있는 많은 양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켰기 때문에 물에 잔재하는 열과 외부로 발산되는 열손실이 많아 증기발생효율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어 본인에 선출원하여 83-2501호로 공고된 증기발생장치가 있으나 이는 증기발생가열통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립자로 무화시키기가 어렵고, 기수분리가 되지 않고 증기를 재가열시키는 장치가 없어 건증기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증기 사용시에 응축수가 많이 생기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적게하기 위하여 증기발생가열통 상부에 장설된 노즐을 통하여 증기발생가열통 내로 물을 공급시킬 때 고압증기를 혼합 공급시키면 물이 고압으로 분출되어 무화상태로 비산되면서 하부로 균일하게 확산 낙하될때 증기발생가열통의 고열에 의하여 저면에 낙하되기 전에 증기화되게 하여 기수분리통을 통하여 재가열통에 들어가 재가열되므로 건증기를 얻어 사용할 수 있게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기발생가열통(1)의 하부 외주에 일정간격을 두고 가열세관(2)을 다수 권설하여 하단은 수위 조절탱크(3)와 연결하고 상단은 집기통(4)과 연결시켜 증기발생가열통 (1)의 상부에 장설한 분무노즐(5)에 증기공급관(2a)으로 연관시키고 가열세관(2)과 분사노즐(5)을 연결하고 있는 급수관(12)(12a)의 중간부에 자동급수조절변(7)을 장설하여 증기발생가열통(1)의 내부에 장설된 온도감지기(6)와 연결시킨 통상의 것에 있어서 증기발생가열통(1)의 상부에 장설한 분무노즐(5)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기수분리통(8)을 장설하여 그 상부에 호형비산구(9)를 형성하고 상부에 장설된 분무노즐 (5)에 호형 확산유도구(10)를 착설하였으며, 증기발생가열통(1)의 상부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재가열통(11)을 장설하여 기수분리통(8)과 연관시켜서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3은 증기배출관, 14는 온도계, 15는 연소기이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기 발생가열통(1)의 하부에 장설된 연소기(15)에 의하여 증기발생가열통(1)의 하부를 가열하게 되면 연소가스가 상승하면서 증기발생가열통(1)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권설된 세관(2)에 수위조절탱크(3)에 의하여 일정수위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를 그 상부에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장설된 집기통(4)에 공급시켜 증기공급관(2a)을 통하여 증기발생가열통(1)의 상부에 장설한 분무노즐(5)에 공급시키게 되어 자동급수조절변(7)과 연결된 급수관(12)(12a)으로 분무노즐(5)에 공급된 물을 증기압에 의하여 증기발생 가열통(1)내에 미립자의 무화상태로 분출시키게 되고 이와같이 분사된 무화상태의 물은 분무노즐(5)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설된 기수분리통(8)의 상부에 형성한 호형비산구(9)에 부딪쳐 다시 상부로 확산되면서 튀어 오를때 다시 세분되면서 분무노즐(5)에 장설한 호형 확산유도구(10)에 의하여 하향으로 확산 낙하되면 증기 발생가열통(1)내의 고열에 의하여 기화되어 증기가 된다. 이때 증기발생가열통(1) 내의 온도가 떨어지면 온도감지기(6)에 의하여 자동급수조절변(7)이 조절되어 물의 공급량을 적게해 주므로서 증기발생가열통(1) 내에서는 항상 일정온도에서 증기가 발생되어 항상 일정량의 증기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와같이 발생된 증기는 무화상태의 물방울과 상승되는 증기를 격리시키는 기수분리통(8)을 거쳐 재가열통 (11)에 들어온 증기가 연소가스의 열에 의하여 재가열되어 건증기로 된다.
따라서 적은 용적내에서 적은 열량으로 많은 증기를 발생시켜 가정 난방이나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증기발생가열통(1)의 하부 외주에 일정간격을 두고 가열세관(2)을 다수 권설하여 하단은 수위조절탱크(3)와 연결하고 상단은 집기통(4)과 연결시켜 증기발생가열통 (1)의 상부에 장설한 분무노즐(5)에 증기공급관(2a)으로 연관시키고 가열세관(2)과 분사노즐(5)을 연결하고 있는 급수관(12)(12a)의 중간부에 자동급수조절변(7)을 장설하여 증기발생가열통(1)의 내부에 장설된 온도감지기(6)와 연결시킨 통상의 것에 있어서 증기발생가열통(1)의 상부에 장설한 분무노즐(5)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기수분리통(8)을 장설하여 그 상부에 호형비산구(9)를 형성하고 상부에 장설된 분무노즐 (5)에 호형확산유도구(10)를 착설하였으며 증기발생가열통(1)의 상부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재가열통(11)을 장설하여 기수분리통(8)과 연관시켜서된 기화식 증기보일러.
KR2019840000387U 1984-01-18 1984-01-18 기화식 증기 보일러 KR860001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387U KR860001041Y1 (ko) 1984-01-18 1984-01-18 기화식 증기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387U KR860001041Y1 (ko) 1984-01-18 1984-01-18 기화식 증기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277U KR850005277U (en) 1985-08-10
KR860001041Y1 true KR860001041Y1 (ko) 1986-05-31

Family

ID=1923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387U KR860001041Y1 (ko) 1984-01-18 1984-01-18 기화식 증기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0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429B1 (ko) * 2004-07-13 2006-07-05 (주)청명씨에스 관류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277U (en) 198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11871A (zh) 一种废气处理系统及其净化处理工艺
US4047511A (en) Perfect fuel gasification devic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combustion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60001041Y1 (ko) 기화식 증기 보일러
JPS5630511A (en) Liquid fuel combusting apparatus
US1519830A (en) Method of atomizing fuel oils
KR820002627Y1 (ko) 보일러의 예열장치
JPS6423007A (en) Liquid fuel burning equipment
KR790001123Y1 (ko) 액체 연료의 기화 연소장치
US4691666A (en) Liquid heater with closed loop heat transfer system
SU7377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жигани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US2637376A (en) Downdraft burner
CA10820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fuel oil by the utilization of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KR830002501Y1 (ko) 증기 발생 장치
JPS602418Y2 (ja) 液体燃料焼装置
US2864439A (en) Arrangement for feeding and burning liquid fuel
JPS5694107A (en) Combusting device for liquid fuel
KR810002044Y1 (ko) 건증식 보일러
US1340803A (en) Liquid-fuel burner
KR830000832Y1 (ko) 온수 보일러의 온수 순환 촉진장치
JPH0426839Y2 (ko)
SU1477993A1 (ru) Жидкотоплив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JPS6014100Y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H0236034Y2 (ko)
SU101921A1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контактный
KR900005588Y1 (ko) 액상연료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