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501Y1 - 증기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501Y1
KR830002501Y1 KR2019810008276U KR810008276U KR830002501Y1 KR 830002501 Y1 KR830002501 Y1 KR 830002501Y1 KR 2019810008276 U KR2019810008276 U KR 2019810008276U KR 810008276 U KR810008276 U KR 810008276U KR 830002501 Y1 KR830002501 Y1 KR 830002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ing
water supply
steam
generating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176U (ko
Inventor
이덕우
Original Assignee
이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우 filed Critical 이덕우
Priority to KR2019810008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501Y1/ko
Publication of KR830004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176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7/00Instantaneous or flash steam boilers
    • F22B27/16Instantaneous or flash steam boilers involving spray nozzles for sprinkling or injecting water particles on to or into hot heat-exchange elements, e.g. into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22D5/34Applications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기 발생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취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기발생 탱크 1a : 바이메탈
2 : 급수관 2a : 조절변
3 : 분무노즐 4 : 세관
4a : 일단부 4b : 타단부
5 : 급수 분배면 a : 증기발생관
본 고안은 적은 열량으로 많은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게 한 증기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증기 보일러는 가열조나 가열관 내에 들어 있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케 하엿으나 이는 많은 양을 가열할 때 물을 잔재하는 열과 외부로 발산되는 열손실 때문에 증기 발생효율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적게하기 위하여 증기발생 탱크의 가열면에서 관을 다수 권설되게 장설하여 급수 분배변에 일단을 연관하고 타단은 증기 발생탱크에 연관한 급수관의 단부에 연관시켜 세관에서 발생된 증기압으로 급수관 단부에 착설한 분무노즐에 물을 압출 분무시켜 증기 발생탱크에 균일하게 분무케 되면 가열온도에 따라 무화상태의 물이 짧은 시간에 증기화되므로 적은 열량으로 많은 증기량을 얻을 수 있어 각종 난방기에 공급시켜 난방할 수 있는 동시에 공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기 발생 탱크(1)에 단부에 분무노즐(3)을 형성한 급수관(2)을 연관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증기 발생탱크(1) 내부에 바이메탈(1a)을 장설하여 급수관(2)에 장설된 조절변(2a)과 연결간으로 연결하고 증기발생탱크(1)의 가열면에 세관(4)으로 다수권회시킨 공지한 증기 발생관(a)을 장설하여 일단부(4a)는 급수분배변(5)에 연관하고 타단부(4b)는 분무 노즐(3)과 근접되게 급수관(2)에 연관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6은 압력계, 7은 송기관, 8은 안전변, 9는 유량계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기 발생 탱크(1)의 가열면에 세관(4)으로 다수 권회시킨 증기 발생관(a)을 장설하여 일단부(4a)는 급수 분배변(5)에 연관하고 타단은 분무노즐(3)에 근접되게 급수관(2)에 연관하였기 때문에 연소기로 부터 증기 발생 탱크(1)의 가열면을 가열하면서 급수 분배변(5)을 열어 물을 공급시키면 일부는 세관(4)을 통하여 증기 발생 탱크(1)의 가열면에 권설된 증기 발생관(a)을 통과할 때 증기화되어 급수관(2)으로 공급되어 급수된 물을 분무노즐(3)로 밀어 주면 물은 분무노즐(3)을 통할 때 무화상태로 증기 발생 탱크(1)내로 분무 되므로 증기 발생 탱크(1)가 연소기에 의하여 가열되어 있어 무화상태의 미세한 물방울이 단시간에 포화 증기로 되어 송기관(7)으로 송출된다.
이 때 증기 발생탱크(1)의 온도가 저하될 경우에는 증기 발생탱크(1)에 장설한 바이메탈(1a)에 의하여 유량조절변(2a)이 조절되므로 온도변화에 따라 급수량도 조절되고 증기발생관(a)의 증기압이나 증기 발생탱크(1)의 증기압보다 항상 낮은 압력으로 급숭되는 물을 가압해 주면 역류 현상은 발생하지 않아 항상 일정 압력의 증기를 송출시킬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적은 열량으로 많은 증기를 발생시켜 각종 난방기나 공업에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증기 발생 탱크(1)에 단부에 분무노즐(3)을 형성한 급수관(2)을 연관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증기 발생탱크(1) 내부에 바이메탈(1a)을 장설하여 급수관(2)에 장설된 조절변(2a)과 연결간으로 연결하고 증기발생탱크(1)의 가열면에 세관(4)으로 다수 권회시킨 증기 발생관(a)을 장설하여 일단부(4a)는 급수 분배변(5)에 연관하고 타단부 (4b)는 분무노즐(3)과 근접되게 급수관(2)에 연과하여서 된 증기 발생 장치.
KR2019810008276U 1981-12-08 1981-12-08 증기 발생 장치 KR830002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276U KR830002501Y1 (ko) 1981-12-08 1981-12-08 증기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276U KR830002501Y1 (ko) 1981-12-08 1981-12-08 증기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01Y1 true KR830002501Y1 (ko) 1983-12-05
KR830004176U KR830004176U (ko) 1983-12-30

Family

ID=1922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276U KR830002501Y1 (ko) 1981-12-08 1981-12-08 증기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5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76U (ko) 198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959B1 (ko) 고압 포화 증기 발생 장치
KR830002501Y1 (ko) 증기 발생 장치
GB1192212A (en) Improvements in Heat Exchangers.
US1689667A (en) Liquid-fuel combustion
GB202079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fuel burner assembly
KR940003747Y1 (ko) 열저장기의 중기액화탱크
US3048982A (en) Closed cycle gaseous medium system and method
US2667384A (en) Oil burner
CN2290810Y (zh) 一种电热水器蒸汽发生装置
DE59901273D1 (de) Reinigungsgerät mit einer sprüheinrichtung
KR860001041Y1 (ko) 기화식 증기 보일러
CA10820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fuel oil by the utilization of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US1338965A (en) Heating apparatus
US1737826A (en) Apparatus for supplying steam or other vapors
KR970701336A (ko) 원자력 증기 발전기에서 수리 슬리브와 주위 열 전달 관 사이에 형성된 갭으로부터 수분을 기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vaporating moisture from a gap defined between and repair sleeve and a surrounding heat transfer tube in a nuclear steam generator)
KR200149613Y1 (ko) 과열 저감기 벤츄리
JPS576262A (en) Water heater for absorbing solar heat
US21047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liquids
US1953870A (en) Production of expansive fluid
FR2372385A1 (fr) Bruleur, utilisant notamment un melange gazeux obtenu a partir d'un produit combustible liquide
US1867921A (en) Humidifying apparatus
JPS6423007A (en) Liquid fuel burning equipment
FR2360044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pulverisation mecanique des combustibles liquides a faible viscosite
US595101A (en) henniq
JPS6438591A (en) Heat excha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