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005Y1 - 광전식 자동 점멸기 - Google Patents

광전식 자동 점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005Y1
KR860001005Y1 KR2019840004761U KR840004761U KR860001005Y1 KR 860001005 Y1 KR860001005 Y1 KR 860001005Y1 KR 2019840004761 U KR2019840004761 U KR 2019840004761U KR 840004761 U KR840004761 U KR 840004761U KR 860001005 Y1 KR860001005 Y1 KR 860001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s
voltage
relay
resistor
tri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10571U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이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진 filed Critical 이동진
Priority to KR2019840004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005Y1/ko
Publication of KR850010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10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전식 자동 점멸기
도면은 본고안의 실시 회로도.
본 고안은 광도전소자(cds)에 직렬로 계전기(RELAY)을 연결하여 광도전소자에 직접 계전기 전류를 흘려 작동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직접회로로서 구성시킨 자동 점멸기며 지금까지의 자동 점멸기는 자동소등시 계전기 전압이 서서히 증가하게 되므로 접점이 순식간에 떨어지지 못하고 접점의 접촉력이 서서히 적어지므로, 접촉 저항도 서서히 증가해 접점에 마크가 발생하는 등 열이 발생되어 빨리 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직접회로(IC)을 사용하여 트라이악(TRIAC)을 동작시켰으며 작은 용량은 무접점 점멸기로 동작이되며,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어 정부에서 추진하는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조기소등을 할 수 있어 보안등(100W)용으로 적합하게 되어 있다. 계전기(RELAY)의 용량을 변화시켜 구성하므로서 대용량까지, 직접회로(IC)에 의해 구동되므로 신뢰성 있는 제품으로 된다.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입력단자(가)와 (나)사이에 트랜스(T1) 1차축이 연결되고 트랜스(T1) 2차측에 다이오드(D1,D2)을 연결하고 다이오드(D1, D2)에 콘덴서(C)를 연결하였으며, 광도전소자(cds)와 저항(R1)을 연결하고 저항(R2)와 저항( R3)을 연결하여 직접회로(IC)와 연결하였으며, 정궤한 저항(R4)을 연결하여 동작을 정확히 하였으며 제너다이오드( ZD)와 저항(R5)을 트라이악(T)의 게이트(G)에 연결하였으며 트라이악(T)와 계전기(Ry)을 연결하여 계전기(Ry)접점(a)(b)을 통해 출력단자(다)와 연결되었다. 출력단자(라)는 입력단자(나)와 연결하고 트랜스(T1) 2차측중간단자(d) 콘덴서(C) 저항(R1)(R3)트라이악(T) 한쪽(A2)이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된 단자(마)(바)사이에 계전기(Ry)을 사용치 않고 단자(마)와 (바)을 출력단자 (마)와 (바)로 사용하여 부하을 사용하면 무접점 점멸기로 구성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로의 입력단자(가)와 (나)사이에 교류(110/220V, 60Hz)가 인가되면, 트랜스(T1)에 전압이 인가되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어 다이오드(D1, D2)와 콘덴서(C)에 의해 정류되어 직류전압이 직접회로(IC) 및 트라이악(T)을 게이트시키는 전원으로 된다.
광도전소자(cds)와 저항(R1)의 분배된 전압과 저항(R2)와 저항(R3)의 분배된 전압을 오페암프(OP Amp)에서 비교하여 출력이 나오는데 정궤환 저항(R4)으로 인하여 하이(HIGH)로 우(LOW) 동작이 확실하게되며 제너다이오드(ZD)와 저항(R5)을 거쳐 트라이악(T)을 게이트시키면 단자(마)와 (바)사이에 입력전압과 같은 전압(110 /220V, 60Hz)이 발생되어 무접점 점멸기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계전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면과 같이 단자(E)와 F사이에 연결되어 작동하게되며 계전기(Ry) 단자(a)와 (b)을 통해 출력단자(다)와 (라)에 전압이 나타나 자동으로 점소등할 수가 있다.
점등되는 경우도 저항(R2)와 (R3)로 분배된 전압이 직접회로(IC)의 비반전 입력으로 기준 전압이되고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주위가 어두워지면 광도전소자(cds)의 저항값이 증가하여 저항(R1)와의 분배 전압이 낮아지게 되어 반전입력의 전의가 비반전입력(기준전위)보다 낮아져 오페암프(OP Amp)의 출력은 하이(HIGH)로 되어 제너다이오드(ZD)와 저항(R5)을 통해 게이트(G)에 전압이 공급되 트라이악(T)를 도통시켜 점등시킨다.
계전기(RELAY)을 사용하는 경우는 트라이악(T)을 통해 계전기(Ry)을 여자시켜 단자(a)와 (b)을 통해 점등시킨다.
소등되는 경우는 자동 점멸기 주위가 밝어지면 광도전소자(cds)의 저항값이 감소되므로 광도전소자(cds)와 저항(R1)사이의 분배 전압이 높아져 기준전압인 비반전 입력전압보다 반전 입력이 높아져 오페암프(OP Amp)의 출력은 노우(Low)로 되어 트라이악(T)을 도통시키지 않어 소등된다.
미설명된 정궤환 저항(R4)은 히스테리시스(HISTERESIS) 특성에 의해 확실하게 작동하도록 하여 준다.
어둡고 밝기에 따라 동작하는 지점은 저항(R1, R2, R3, R4)값을 알맞게 설계하면 되는데 설치장소에 따라 추후 점소등작동의 룩스(Lux)값을 조정해야 할 경우 인곳은 저항(R1,R2,R3)중 한개를 가변저항(V/R)로 구성하면 된다. 또 한가지 방법은 자동 점멸기의 케이스에 일부분을 조정(돌리다)할 수 있게하여 광도전 소자(cds)에 비치는 광량을 조절하면 가변저항으로 조정하는 것보다 편리하게되며 조기소등할 수 있게 조정을 하면 에너지 절약은 더욱 많이 된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되고 명세서에 명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T1)으로 전압을 낮추어 직류 전압을 만들고 광도전소자(cds)와 오페암프(OP Amp), 저항(R4)을 이용한 정궤한 회로와 트라이악(T)으로 구성되며, 용량에 따라 계전기(Ry)을 추가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광전식 자동 점멸기.
KR2019840004761U 1984-05-23 1984-05-23 광전식 자동 점멸기 KR860001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761U KR860001005Y1 (ko) 1984-05-23 1984-05-23 광전식 자동 점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761U KR860001005Y1 (ko) 1984-05-23 1984-05-23 광전식 자동 점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571U KR850010571U (ko) 1985-12-30
KR860001005Y1 true KR860001005Y1 (ko) 1986-05-23

Family

ID=1923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761U KR860001005Y1 (ko) 1984-05-23 1984-05-23 광전식 자동 점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0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571U (ko) 198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6894A (en) Electronic ballast
JP4541380B2 (ja) 調光蛍光灯とその回路
US3392284A (en) Photosensitive power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arc type lamps
US4841164A (en) Light-sensitive switch structure and method with inverse off/on ratio
KR860001005Y1 (ko) 광전식 자동 점멸기
US3294974A (en) Photo-control device employing thermal relay
US5325023A (en) Outdoor lighting control apparatus
CA1334679C (en) Light-sensitive switch structure and method with inverse off/on ratio
KR890003627Y1 (ko) 광전식 자동 점멸기
US3443106A (en) Radiation sensitive power control system
KR890007023Y1 (ko) 무접점 광전식 자동 점멸기
US5075601A (en) Power supply dynamic load for traffic and pedestrian signal
KR890007022Y1 (ko) 광전식 자동 점멸기
CN218526470U (zh) 一种光控灯驱动控制电路及控制器
KR900002170Y1 (ko) 자동 점등회로
KR19980026658U (ko) 광센서를 이용한 램프의 자동 점등회로
JP4635037B2 (ja) 電子式自動点滅器
KR830003032Y1 (ko) 유도 전동기의 광도전소자 방식 전력 자동조절 절전기
KR940005497Y1 (ko) 형광등의 on/off 자동제어장치
GB2266141A (en) Hazard light control with hysteresis
JPH09320770A (ja) 点灯装置
KR900009192Y1 (ko) 방범등 자동 절전식 점/소등 장치
KR20000004240U (ko) 광 감지를 이용한 스위치
US4644258A (en) Electronic switch
SU86016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освеще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