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627Y1 - 광전식 자동 점멸기 - Google Patents

광전식 자동 점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627Y1
KR890003627Y1 KR2019850010392U KR850010392U KR890003627Y1 KR 890003627 Y1 KR890003627 Y1 KR 890003627Y1 KR 2019850010392 U KR2019850010392 U KR 2019850010392U KR 850010392 U KR850010392 U KR 850010392U KR 890003627 Y1 KR890003627 Y1 KR 890003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etal
cds
contact
lamp
s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512U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이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진 filed Critical 이동진
Priority to KR2019850010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627Y1/ko
Publication of KR870004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9/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operating incandescent light sources
    • H05B39/02Switching on, e.g. with predetermined rate of increase of lighting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9/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operating incandescent light sources
    • H05B39/04Controlling
    • H05B39/06Switching arrangements, e.g. from series operation to parallel operation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전식 자동 점멸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광전식 스위칭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A접점 스위칭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B접점 스위칭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
제5도는 종래의 광전식 스위칭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D : 브리지 정류회로 cds : 빛감지용 광도전소자
SCR : 다이리스터 DA : 다이액
C1: 콘덴서 D1, D2: 다이오드
R1-R4: 저항 BT : 바이메탈
Ri : 바이메탈의 내부저항 Ta, Tb : 바이메탈접점
LP : 램프
본 고안은 광전식 자동점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센서를 이용하여 전력제어용 스위칭소자를 온ㆍ오프시켜 부하의 전원을 제어하고자 한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의 빛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부하전원을 스위칭시키고자 한 것은 제5도에서와 같이, 입력측에서 빛을 감지하는 광도전소자(cds)를 거쳐 바이메탈(BT)에 연결하고, 바이메탈(BT)의 접점(Tb)에 의해서 입력전원이 출력측에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광도전소자(cds)의 저항값이 빛에 의해 서서히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이에 직렬로 연결된 바이메탈(BT)의 내부저항에 열이 발생하게 될때 이열에 의해서 접점(Tb)를 온, 오프시켜서 입력측의 전원을 스위칭시키고자 한것인데 흐린날에는 서서히 변화하는 저항열을 감지하여 접점(Tb)을 스위칭시키고, 여름과 같이 기온이 높을때에는 저항열이 급격히 변화하여 접점(Tb)을 스위칭시키기 때문에 외부 기온에 매우 민감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오차가 크게된다.
즉 외부기온에 따라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오동작이 발생하게 되어 흐린날 낮에도 점등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빛을 감지하고자 이용되는 빛 감지용 광도전소자(cds)는 빛의 조사량에 따라서 그 물질의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하는 광전변환소자의 일종으로서 고감도이면서 저조도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용할시에 기온에 따라서 오동작에 염려가 따르게 되고, 전력사용에 따라서 대전력용일때는 용량이 매우 큰 광도전소자(cds)를 접속시켜야 되므로서 이 광도전소자(cds)가 고가인 소자를 사용하여야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 전력일때에도 용량이 적은 광도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기온에 따른 오동작의 염려를 방지하여 항상 안정된 정확한 램프의 점소등이 가능하게 한것에 목적을 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같이 입력전원을 브리지 정류회로(BD)에 입력시켜 정류된 전원(B+)에 다이리스터(SCR)의 애노드를 접속하며, 다이오드(D1)와 저항(R1)을 거친 단자점(P)에 광도전소자(cds)와 병렬로 저항(R2) 및 콘덴서(C1)를 연결시켜 이단자점(P)에서, 분압된 전압이 다이액(DA)과 저항(R3)를 통해 상기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에 인가되도록 하여 다이리스터(SCR)를 스위칭시켜 이 다이리스터(SCR)의 캐소드에 연결된 바이메탈(BT) 내부저항(Ri)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압전압의 단자점(P)에서, 역방향 다이오드(D2) 정궤환용 저항(R4)을 거쳐 상기 다이리스터(SCR)의 캐소드에 연결된 바이메탈(BT) 내부저항(Ri)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압전압의 단자점(P)에서, 역방향 다이오드(D2) 정궤환용 저항(R4)을 거쳐 상기 다이리스터(SCR)의 캐소드에 연결 하여서 된 것이다.
제2도는 상기 본 고안의 회로(제1도)를 이용하여 바이메탈(BT)에 A접점(Ta)를 접속시켜 이 A접점(Ta)으로 입력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켜 출력측인 램프(Lp)를 점소등시키기 위한 실시예의 회로도이고, 제3도는 바이메탈(BT)의 B접점(Tb)로서 입력전원을 공급, 차단시킬수 있도록 하고자 한것으로서, 상기 저항(R1)측에 병렬로 광도전소자(cds)를 접속시켜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출력에 램프(Lp)를 점소등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전체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회로로서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바이메탈(BT)이 A접점(Ta)일때 예를들어 살펴보면 제2도에서와 같이 전원단자(B+)의 전압이 저항(R1)과 빛감지용 광도전소자(cds) 및 저항(R2) 분압전압이 단자점(P)에 걸리게 되는데, 낮과 같이 광도전소자(cds)에서 빛을 받게 되면 광도전소자(cds)의 특성때문에 저항값이 적게되므로 단자점(P)의 분압 전압은 적게되어 일정전위 이하가 되므로서 다이액(DA)과 저항(R3)을 거쳐 다이리스터(SCR)를 온시키지 못하게 되고 분압단자(P)의 전위도 역방향방지 다이오드(D2)에 의해 흐르지 못한다.
그러므로 바이메탈(BT)에 전원이 흐르지 않아 내부저항(Ri)에 열을 받지 않아서 A접점(Ta)을 접속시키지 않게되어 입력측의 전원을 출력측으로 공급시키지 못하고 차단시킨 상태가 된다.
즉 낮과 같이 빛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출력측의 전원이 차단되어 램프(LP)가 소등된다.
반대로 광도전소자(cds)에서 빛을 감지하지 않은(밤과 같은 상태) 상태에서는 광도전소자(cds)에 저항값이 높기 때문에 단자점(P)에 걸리는 분압전압이 높게되어 이 전압은 다이액(DA)과 저항(R3)을 거쳐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에 걸리므로서 다이리스터(SCR)를 도통시켜서 바이메탈(BT)에 전원이 공급되어 이 바이메탈(BT)의 내부저항(Ri)에 열이 발생하여 A점점(Ta)이 접속됨에 따라서 입력전원을 출력측에 공급하게 된다. 즉 광도전소자(cds)에 빛을 감지하지 못할때(밤) 출력측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어 램프(LP)를 점등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바이메탈(BT)의 접점이 B점점(Tb)일 경우는 제3도에서와 같이, 외부의 밝기에 의하여 일정조도 이하로서 어두운 상태에서는 단자(P)의 전위가 낮고, 일정조도 이상인 밝은 상태이면 단자점(P)의 전위가 높게되어 다이리스터(SCR)를 온. 오프시켜서 상기 동작과 같이 바이메탈(BT)의 내부저항(Ri)에 전류가 흐르게하여 접점(Tb)을 온, 오프시켜 램프(LP)를 점, 소등 시킬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에서 저항(R1)과 광도전소자(cds)의 분압전압은 광도전소자(cds)에 연결된 병렬저항(R2)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광도전소자(cds)의 적은 용량을 접속시켰을 때에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종전과 같은 서서히 어두워 지기 시작할때 램프가 깜박거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본 고안에서는 분압단자(P)의 전위가 일정전위 이상이 되어 램프(LP)가 점등후에는 이 램프(LP)에 의해서 광도전소자(cds)에 저항값이 낮이지게 되어 단자(P)의 전위가 떨어지게 되므로 접점(Ta)이 오프되고 램프(LP)가 소등되게 되는 동작을 반복하여 램프(LP)가 껌박거림을 방지하고자 정궤환저항(R4)을 연결하였는데, 이동작을 살펴보면 단자(P)의 전위가 일정전위 이상이 초기에 되었을때 다이리스터(SCR)가 도통되어 바이메탈(BT)의 내부저항(Ri)에 전류가 흐르는 동시에 다이리스터(SCR)의 캐소드 전위는 저항(R4)과 다이오드(D2)를 거쳐 단자(P)에 걸어주고 콘덴서(C1)에서 전위를 변화시켜 다이리스터(SCR)의 스위칭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램프(LP)의 점소등폭을 설정하여 초기에 일단 램프(LP)가 점등되는 후에 단자점(P)에서 일정전위를 유지시켜 주게되어 종전과 같이 초기 램프(LP)가 깜박거림을 방지하게되므로 이른 아침이나 저녁의 어둠이 시작될때 램프(LP)가 깜박거리게 됨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바이메탈(BT)에 의해 접점(Ta)(Tb)의 오동작 발생을 제거하여 항상 일정한 램프(LP)를 점소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소용량의 광도전소자(cds)로서 대전력량의 램프(LP)를 제어할수 있고, 설정한 조도에 따라서 정확하게 점소등시킬수 있게되어 이와 같은 회로를 필요로 하는 기기에 신뢰성을 높일수 있게된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빛감지용 광도전소자(cds)를 이용하여 입력전원은 출력측에 바이메탈(BT)의 접점으로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직류전원(B+)을 분압저항(R1, R2)으로 분압시키고 상기저항(R2)에 빛감지용 광도전소자(cds)를 병렬접속시켜 이 분압된 전압단자(P)에서 다이액(DA)을 거쳐 바이메탈(BT)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를 연결하여 바이메탈(BT)의 A접점(Ta)로서 출력측에 연결한 램프(LP)를 점소등시킬수 있도록 연결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자동 점멸기.
  2. 제1항에 있어서 분압저항(R1, R2)의 저항(R1)과 병렬로 빛감지용 광도전소자(cds)를 접소시켜 바이메탈(BT)의 B접점(Tb)로서 램프(LP)를 점소등시킬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자동 점멸기.
  3. 제1항에 있어서, 다이리스터(SCR)의 출력에 정궤한 저항(R4)과 다이오드(D2)를 거쳐 분압단자(P)의 전위를 변화시키므로 다이리스터(SCR)를 스위칭시킬수 있도록 연결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자동 점멸기.
KR2019850010392U 1985-08-14 1985-08-14 광전식 자동 점멸기 KR890003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392U KR890003627Y1 (ko) 1985-08-14 1985-08-14 광전식 자동 점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392U KR890003627Y1 (ko) 1985-08-14 1985-08-14 광전식 자동 점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12U KR870004512U (ko) 1987-07-31
KR890003627Y1 true KR890003627Y1 (ko) 1989-05-27

Family

ID=1924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392U KR890003627Y1 (ko) 1985-08-14 1985-08-14 광전식 자동 점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6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513A (ko) * 2000-12-19 2002-06-26 이형도 편향요크
KR20030056043A (ko) * 2001-12-27 200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20040009158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100431261B1 (ko) * 2001-12-14 2004-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513A (ko) * 2000-12-19 2002-06-26 이형도 편향요크
KR100431261B1 (ko) * 2001-12-14 2004-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20030056043A (ko) * 2001-12-27 200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20040009158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12U (ko) 198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1781C (fi) Effektregulator speciellt ljusregulator
US3900763A (en) Lighting control device
KR890003627Y1 (ko) 광전식 자동 점멸기
US3873882A (en) Auxiliary lighting system for a gaseous discharge lamp
US3450939A (en) Solid state control switch with instant on characteristic and low wattage components
US4841164A (en) Light-sensitive switch structure and method with inverse off/on ratio
US2973456A (en) Lamp flasher with daylight-responsive inhibiting means
US3294974A (en) Photo-control device employing thermal relay
GB2049329A (en) Electrical load control system
JP4384272B2 (ja) 電子式自動点滅器
KR890007023Y1 (ko) 무접점 광전식 자동 점멸기
JP2013171702A (ja) 電子式自動点滅器
JP4635037B2 (ja) 電子式自動点滅器
KR860001005Y1 (ko) 광전식 자동 점멸기
KR890000061Y1 (ko) 가로등의 전자식 자동 스위칭 회로
US4356405A (en) Fail-off photosensitive switch
KR910000831B1 (ko) 형광등 자동 조광장치
US3432728A (en) Photoelectric control of bimetal-type switch with plural heaters
US4644258A (en) Electronic switch
JPH08203677A (ja) 電力制御回路
KR890003628Y1 (ko) 자동조광회로(自動調光回路)
KR930000647Y1 (ko) 무접점 광전식 스위치
JPH11214174A (ja) 自動点滅装置
SU708429A1 (ru) Фотореле
KR900003663Y1 (ko) 램프의 자동교환 점등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