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022Y1 - 광전식 자동 점멸기 - Google Patents
광전식 자동 점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7022Y1 KR890007022Y1 KR2019860014355U KR860014355U KR890007022Y1 KR 890007022 Y1 KR890007022 Y1 KR 890007022Y1 KR 2019860014355 U KR2019860014355 U KR 2019860014355U KR 860014355 U KR860014355 U KR 860014355U KR 890007022 Y1 KR890007022 Y1 KR 89000702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rectifier circuit
- contact
- power
- loa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상셋만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OP : 비교기 BD1, BD2: 정류회로
RY : 릴레이 D1, D2: 다이오드
ZD: 제너다이오드 R1-R7: 저항
CD : 빛감지용 광전도소자 VR : 가변저항
CT : 트랜스
본 고안은 광전식 자동점멸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빛 밝기에 따라서 부하에 전원을 공급·차단시킬수 있게 하여 부하인 형광등이나 방전등을 점소등시킬수 있게 함으로서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2라인으로 점멸기를 구성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이나 방전등을 외부의 빛 밝기에 따라서 점소등시키고자 자동 점멸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전의 점멸기는 대부분 3선식 또는 4선식으로서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여 설치시의 어려움이 따르고 과중한 설치 비용이 든다.
즉, 점멸기의 입력과 출력을 모두 연결하여야만 하며 주위의 조건상 먼곳에 설치하여야 할 경우 입력 2선과 출력 2선을 모두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선 설칙비용이 과중된다.
또한 종전의 2선식으로 된 무접점 점멸기는 전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나 부하에 전전압 모두 공급되지 않고 내부 전력 손실이 많게 되는 문제점이 따르고, 초기 점소등시에 스위칭 소자의 트리거 신호가 짤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점소등시 깜빡거림이 발생하여 부하에 연결한 백열등 또는 형광등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어 실용화가 곤란한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형광등이나 백열등 그리고 방전등에 실용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고, 2선식으로 점멸기를 형성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에 목적을 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입력 전원 단자에 스위치(S1)를 통하여 부하(형광등, 백열등, 방전등)에 연결하는데, 부하의 일측 입력 양단자(a)(b)를 본 고안의 자동 점멸회로에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게 한다.
단자(a)에서 내부 선택스위치(S1)를 거쳐 단자(b)에 접속된 진상 콘덴서(C2)와 접속하며 트랜스(CT)의 1차측과 릴레이(RY)의 접점(Y)을 거쳐 단자(b)에 연결되게 하므로서 상기 접점(Y)에 의해서 부하의 공급 전원을 스위칭 시키도록 한다.
릴레이 접점(Y)의 양단은 브리지정류회로(BD1)에 접속하고 상기 트랜스(CT)의 2차측은 브리지정류회로(BD1)를 접속한다.
상기 브리지정류회로(BD1)의 출력에는 저항(R7)을 접속하고, 브리지정류회로(BD2)의 출력은 정전압용 콘덴서(C1)와 제너다이오드(ZD)를 접속하여 직류전원(Vcc)이 출력되게 한다.
상기 직류전원(Vcc)에 분압 저항(R2, R3)을 접속시켜 비교기(OP)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이 설정되게 하고, 빛감지용 광전도소자(CD)와 가변저항(VR)과 저항(R1)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다이오드(D2)와 저항(R8),콘덴서(C3)를 거쳐서 상기 비교기(OP)의 반전단자(-)에 입력으로 인가되게 한다.
또한 상기 비교기(OP)에 정퀘환용 저항(R4)을 접속하고 이 비교기(OP)의 출력에 트랜지스터(Q)의 바이어스 저항(R5, R6)을 연결하여서 이 트랜지스터(Q)의 콜렉터에 상기 접점(Y)을 온, 오프시키는 릴레이(RY)를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회로로서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C입력 전원 일측은 부하(형광등, 방전등, 백열등)에 연결하고 타측은 선택스위치(S1)를 거쳐 본 고안의 자동 점멸회로의 입력단자(a)에 연결하며 상기 부하의 타측단자를 단자(b)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스위치(S1)와 내부스위치(S2)를 선택하면 AC입력 전원의 일측단은 선택스위치(S1)와 단자(a)와 선택스위치(S2)를 거쳐 브리지정류회로(BD1)에 인가되며 AC입력 전원의 타측은 부하를 거쳐 단자(b)를 통해서 브리지정류회로(BD1)에 인가되므로서 AC 전원이 브리지정류회로(BD1)에 입력되게 되어 정류회로(BD1)에서 직류 전원이 출력되는데 저항(R7)을 거쳐 맥류전원을 제거시켜서 직류전원(Vcc)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CT)의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브리지정류회로(BD2)를 거쳐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데 이때 콘덴서(C1)와 제너다이오드(ZD)로서 일정한 정전압(Vcc)를 얻게 된다.
이 전원(Vcc)은 저항(R2, R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비교기(OP)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으로 인가되고 빛 감지용 광전도소자(CD)와 가변저항(VR)으로 조정한 저항값과 저항(R1)에 의한 분압 전압이 상기 비교기(OP)의 비반전단자(-) 입력전압으로 인가된다.
즉, 외부의 조건이 어두운 상태이면 광전도소자(CD)의 저항값이 크므로서 낮은 전압이 입력되고 외부 조건이 밝은 상태이면 광전도소자(CD)의 저항값이 낮으므로서 높은 전압이 비교기(OP)의 반전단자(-)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외부 조건이 어두운 상태이면 비교기(OP)의 출력에서는 하이 전원이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를 도통시키므로 릴레이(RY)가 여자되어 접점(Y)이 온 되므로서 AC입력 전원은 선택스위치(S1)와 단자(a), 트랜스(T) 및 접점(Y), 단자(b) 를 통해서 부하에 공급되게 부하에 연결한 형광등이나 방전등, 백열등이 점등되게 된다.
이때 정류회로(BD1)의 입력이 접점(Y)에 의해 쇼트된 상태이므로 정류회로(BD1)의 입력에 전압이 걸리지 않고, 트랜스(CT)의 2차측에서 유기된 전압이 정류회로(BD2)에 걸리게 되어 이 정류회로(BD2)의 출력전원(Vcc)이 공급되어 회로를 동작시킨다.
또한 외부의 조건이 밝아지면 비교기(OP)의 비반전단자(-) 입력전압이 높아지므로서 비교기(OP)의 출력이 로우전위로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가 오프됨에 따라 릴레이(RY)가 여자되지 않아 접점(Y)이 오프 상태로 되어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AC전원을 차단시켜 소등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 빛의 밝기에 따라 부하인 조명등을 점소등할수 있고, 가변저항(VR)의 조정에 의해 어느 정도의 밝기 상태에 점소등할 것인가를 임의 설정할수 있게 되며, 비교기를 이용하므로 적은 전압변동(외부밝기)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여 깜빡거림을 막을수 있게 되어 조명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2선식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게 된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 AC입력 전원 단자에서 선택스위치(S1)를 거쳐 부하인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 차단하여 점소등시킬 수 있게 한 것에 있어서, AC타측입력(a)와 부하 타측 단자(b)에 정류회로(BD1)(BD2)를 구비하고 릴레이(RY)의 접점(Y)에 의해 부하전원이 스위칭 되게 하는 수단과, 저항(R2, R3)에 의한 분압 전압을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으로 설정하고 빛 감지용 광전도소자(CD)와 가변저항(VR) 저항(R1)으로서 감지된 분압전압이 반전단자(-)에 입력되게 하여 이 비교기(OP)로서 외부 밝기를 감지하는 수단과 이 비교기(OP)의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를 스위칭시켜 릴레이(RY)를 여자시키므로 상기 접점(Y)이 스위칭되게 하는 수단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점멸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접점(Y)애 의해서 정류회로(BD1)가 차단되면서 부하가 점등되고 트랜스(CT)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이 정류회로(BD2)를 거쳐 출력전원(Vcc)을 얻고, 상기 접점(Y)오프시 정류회로(BD1)에서 출력전원(Vcc)를 얻도록 정류회로(BD1)(BD2)와 릴레이(RY)의 접점(Y)을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자동 점멸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4355U KR890007022Y1 (ko) | 1986-09-16 | 1986-09-16 | 광전식 자동 점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4355U KR890007022Y1 (ko) | 1986-09-16 | 1986-09-16 | 광전식 자동 점멸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7249U KR880007249U (ko) | 1988-05-31 |
KR890007022Y1 true KR890007022Y1 (ko) | 1989-10-14 |
Family
ID=1925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14355U KR890007022Y1 (ko) | 1986-09-16 | 1986-09-16 | 광전식 자동 점멸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7022Y1 (ko) |
-
1986
- 1986-09-16 KR KR2019860014355U patent/KR89000702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7249U (ko) | 1988-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85661A (en) | Uninterrupted desk lamp | |
KR890007022Y1 (ko) | 광전식 자동 점멸기 | |
US5841238A (en) | Dimmer protection for compact fluorescent | |
JPH0550838B2 (ko) | ||
KR890003627Y1 (ko) | 광전식 자동 점멸기 | |
KR890007023Y1 (ko) | 무접점 광전식 자동 점멸기 | |
KR940005497Y1 (ko) | 형광등의 on/off 자동제어장치 | |
KR860001005Y1 (ko) | 광전식 자동 점멸기 | |
KR900003663Y1 (ko) | 램프의 자동교환 점등회로 | |
KR890007024Y1 (ko) | 광보상 장치 회로(룩스 검출형) | |
KR200151206Y1 (ko) | 윙크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 |
KR890007025Y1 (ko) | 광보상 장치 회로(전류 검출형) | |
KR900002170Y1 (ko) | 자동 점등회로 | |
KR890000060B1 (ko) | 형광등의 자동 조광회로 | |
KR200143317Y1 (ko) | 윙크 튜브의 자동 전원공급회로 | |
Trostl | Self configuring dimming interface for fluorescent lamp ballasts | |
KR920010175B1 (ko) | 가로등 점멸기의 자동 조도 제어장치 | |
KR890000913Y1 (ko) | 형광등 조광회로 | |
KR950000157Y1 (ko) | 조명등 원격 점멸장치 | |
SU1368824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 и смены перегоревшей нити накала лампы | |
SU1430997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нагрузки сети освещени | |
SU1178646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перегорани двухнитевых ламп светофора | |
RU10005U1 (ru) |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й индикатор | |
JPS6226972Y2 (ko) | ||
FI97674C (fi) | Pää/apuhehkulangan vaihtokytkin vaihtojännitteellä syötettyjä kaksoishehkulankalamppuja varten liikenneopastelaitoksiss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210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