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206Y1 - 윙크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 Google Patents

윙크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206Y1
KR200151206Y1 KR2019960039558U KR19960039558U KR200151206Y1 KR 200151206 Y1 KR200151206 Y1 KR 200151206Y1 KR 2019960039558 U KR2019960039558 U KR 2019960039558U KR 19960039558 U KR19960039558 U KR 19960039558U KR 200151206 Y1 KR200151206 Y1 KR 200151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circuit
invert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659U (ko
Inventor
한철호
Original Assignee
한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철호 filed Critical 한철호
Priority to KR2019960039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2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6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2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윙커 튜브(winker tube)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위의 빛 밝기에 따라 윙커 튜브의 점,소등이 자동으로 제어되며 DC 전원을 이용하는 발광다이오드의 적용으로 전력소모를 줄이고 사용수명이 보다 연장되며 전압공급의 안정성으로 점멸작용을 원활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AC 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회로(BD)와, 일출 및 일몰시의 빛을 감지하는 광 도전셀(CDS)과, 상기 광 도전셀(CDS)의 신호를 입력하는 인버터(IC)와, 인버터(IC)에 인가시켜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를 ON/OFF 동작시키는 발진회로부(1)와, 상기 트랜지스터(Q1),(Q2)의 콜렉터단에 다수 연결시킨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윙커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본 고안은 윙커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주위 빛의 밝기에 따라 윙커 튜브의 점,소등이 자동으로 제어되고 DC 전원을 사용하는 발광다이오드의 적용에 따라 전력소모의 최소화와 함께 사용수명이 연장되며 전압공급의 안정성으로 점멸작용을 원활하게 한 것이다.
윙커 튜브(winker tube)는 일정길이의 반투명 단위 튜브내에 램프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각 단위 튜브를 커넥터로 연결시켜 AC 전원의 공급에 의해 램프가 간헐적으로 점멸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윙커 튜브(일명:휀스전선)는 토목공사 특히, 도로나 지하철 등의 공사현장에서 공사구간의 식별을 위해 주변에 설치하여 야간에는 점멸되게 함으로써, 보행자나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되게 한 것이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윙커 튜브는 AC 전원을 사용하여 내부에 배치한 파이롯 램프를 점멸되게 하고, 일출과 일몰시의 점,소등은 스위치의 ON/OFF 조작에 의해 이뤄지게 하고 있다.
이같은 윙커 튜브는 그 내부에 배치한 파이롯 램프를 AC 전원으로 점멸되게 한 것이므로, 고르지 못한 전압의 영향과 파이롯 램프의 짧은 사용 수명으로 인해 수시로 파이롯 램프를 교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 파이롯 램프의 수시 교환에 따라 작업이 지연되고 파이롯 램프에 인가되는 일정치 못한 전압의 영향으로 점멸상태가 원활하지 못했다.
본 고안은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안정된 전압 공급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상태가 원활한 윙커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출과 일몰시의 점,소등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함에 따라 스위치에 의한 인위적인 소등조작의 불이행으로 발생되었던 전력낭비를 배제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AC 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회로와, 빛을 감지하는 광 도전셀과, 광 도전셀의 신호를 입력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에 인가시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ON/OFF되게 하는 발진회로부 및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에 접속한 발광다이오드로 구성하여 브릿지 정류회로와 제너다이오드에 의해 안정화된 직류전압을 각 회로부에 공급하고, 광 도전셀에 의한 빛의 감지로 점,소등이 자동적으로 이뤄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윙커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도.
제2도는 발광다이오드의 배열상태도.
제3도는 인버터 내부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진회로부 BD : 브릿지 정류회로
CDS : 광 도전셀 IC : 인버터
Q1,Q2 : 트랜지스터 LED : 발광다이오드
제1도 및 제2도에서, AC 전원을 브릿지 정류회로(BD)에서 정류하고, 이 정류 전압을 제너다이오드(ZD)에 의해 안정화시켜 각 회로부에 공급시킨다.
브릿지 정류회로(BD)에는 광 도전셀(CDS)를 설치하여 인버터(IC)에 입력되도록 하고, 인버터(IC)의 8번 단자에 다이오드(D1)(D2)를 연결시켜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의 각 베이스에 연결하며, 이들 베이스단에는 각각 인버터(IC)의 6번, 5번 단자를 연결한다.
상기 인버터(IC)의 1∼5번 단자에는 저항(R2)(R3) 및 콘덴서(C3)로 이뤄진 발전회로부(1)를 연결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Q2)의 콜렉터단에는 각각 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1∼LED24)를 연결시킨다.
제3도에서는 상기 인버터(IC)의 각 단자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윙커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는, 브릿지 정류회로(BD)와 제너다이오드(ZD)에 의해 안정화된 전압의 직류전원을 각 회로부 및 발광다이오드(LED)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저전력으로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멸시킴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이는 반면에 종래의 파이롯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사용수명이 크게 연장된다.
이같은 특성을 갖는 점멸회로를 적용한 윙커 튜브를 공사현장의 주변에 설치한 상태에서, 일몰로 주위가 어두워지면 광 도전셀(CDS)은 그 저항치가 높아져 인버터(IC)의 13번 단자에 낮은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8번 단자에서 반전된다.
인버터(IC)의 8번 단자의 반전으로 각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단에는 높은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이때 인버터(IC)에 인가되는 신호는 발진회로부(1)에 의해 인버터(IC)의 5번, 6번 단자에는 낮은 레벨과 높은 레벨의 신호가 교대로 출력되게 한다.
인버터(IC)의 5번, 6번 단자에서 높고 낮은 레벨의 신호가 교대로 출력됨에 따라 상기 각 트랜지스터(Q1)(Q2)는 도통동작이 교대로 이뤄지면서 발광다이오드(LED)를 교대로 점등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주위의 불빛이 밝아지는 일출 때는 인버터(IC)의 8번 단자에는 낮은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각 트랜지스터(Q1),(Q2)는 비도통상태가 되어 발광다이오드(LED)는 자동적으로 소등되어 점멸동작을 멈추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윙커 튜브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안정적인 전압공급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이 원활하며 일출과 일몰시에 점,소등이 자동적으로 이뤄져 사용상 편리한 등의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AC 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회로(BD)와 일출 및 일몰시의 빛을 감지하는 광 도전셀(CDS)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를 점,소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광 도전셀(CDS)의 신호를 인버터(IC)에 입력시켜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를 ON/OFF 동작되게 한 발진회로부(1)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의 콜렉터측에 통상의 발광다이오드(LED)를 다수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커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KR2019960039558U 1996-11-12 1996-11-12 윙크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KR200151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558U KR200151206Y1 (ko) 1996-11-12 1996-11-12 윙크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558U KR200151206Y1 (ko) 1996-11-12 1996-11-12 윙크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659U KR19980026659U (ko) 1998-08-05
KR200151206Y1 true KR200151206Y1 (ko) 1999-07-15

Family

ID=1947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558U KR200151206Y1 (ko) 1996-11-12 1996-11-12 윙크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2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866B1 (ko) * 2002-09-27 2004-12-03 리드세이프티(주) 보안등용 점멸회로
KR100885247B1 (ko) * 2007-09-10 2009-02-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초절전형 윙카 시스템
KR101641059B1 (ko) * 2015-02-05 2016-08-01 주식회사 한호 교류전원용 엘이디 윙커호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659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8390B (zh) 發光裝置
KR101101223B1 (ko) Led 구동회로, led 조명등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EP2413662B1 (en) Power source unit for LED lamps, and LED lamp system
KR20110074650A (ko) Led 구동 회로, 위상 제어식 조광기,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JP2001351402A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US20010030514A1 (en) Discharge lamp operating apparatus
JP5412122B2 (ja) Led照明装置
DE602005004167D1 (de) Elektrische Schaltung für LED Signallampen mit einer Schaltschwelle zum Umschalten zwischen Tages- und Nachtbetrieb
KR200151206Y1 (ko) 윙크 튜브의 발광다이오드 점멸회로
KR200285442Y1 (ko) 온도 보상형 엘.이.디. 신호등의 광출력 유지제어기
TWI444099B (zh) 光源裝置及其調光控制電路
CN111356258B (zh) 应用在发光二极管照明系统的调光电路
KR101783675B1 (ko)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
KR200342039Y1 (ko) 램프의 구동회로
JP6011676B1 (ja) 照明灯、照明装置、及び点灯制御回路
TWI622320B (zh) Light-emitting diode lamp with automatic dimming function
CN209824082U (zh) 一种具备延时功能的线性驱动光控电路
PT1502481E (pt) Circuito para accionamento de um sinal luminoso
KR200143317Y1 (ko) 윙크 튜브의 자동 전원공급회로
JP6942425B2 (ja) 照明装置
WO2022190132A1 (en) Street light device
KR200287422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보등 제어회로
KR0114905Y1 (ko) 소화전 표시램프(lamp) 회로
JP2016219135A (ja) 照明灯、照明装置及び点灯制御回路
KR200285439Y1 (ko) 교통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