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17Y1 - 전자석 기대(base)식 드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석 기대(base)식 드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17Y1
KR860000917Y1 KR2019810006284U KR810006284U KR860000917Y1 KR 860000917 Y1 KR860000917 Y1 KR 860000917Y1 KR 2019810006284 U KR2019810006284 U KR 2019810006284U KR 810006284 U KR810006284 U KR 810006284U KR 860000917 Y1 KR860000917 Y1 KR 860000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drill
electromagnet
iron
manua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6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473U (ko
Inventor
이 다다오 다노
미치히로 쇼우지
도시오 미키야
Original Assignee
닛토오 고오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오 미키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5036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64361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539280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42972Y2/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오 고오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오 미키야 filed Critical 닛토오 고오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14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4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57Devices for securing hand tools to the work
    • B25H1/0064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 B25H1/0071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by magnet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1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interlock between machin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5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work-engaging structure other than Tool or tool-support
    • Y10T408/554Magnetic or su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석 기대(base)식 드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전체의 정면도.
제2도는 조작레버를 인상시킨 상태에서의 정착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조작레버를 압하시킨 상태의 정착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조작레버를 회전시켜서 도중까지 인상한 상태의 정착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정착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펀치를 인상한 상태의 일부를 파단한 정면도.
제7도는 동일한 일부절결 우측면도.
제8도는 회로의 제1형식을 표시한 회로도.
제9도는 회로의 제2형식을 표시한 회로도.
제10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한 전체의 정면도.
제11도는 종래의 드릴스탠드의 1예를 표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60 : 정착장치 14, 14' : 전자석
11 : 드릴장치 25, 65 : 펀치
27, 68 : 첨단 30 : 스톱퍼
40 : 수동레버 50 : 철제공작물
본 고안은 전자석 기대(base)식 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석의 작용으로 철제공작물에 정착되도록 한 종래의 드릴스탠드는 스탠드(1)의 후부(後部)하방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안정간(安定杆)(2)의 체부(締付)높이를 조절하는 작업에서 시작하여, 전자석(4)을 작동시켜 스탠드(1)를 철제공작물(5)에 정착시키고, 다음에 드릴(6)을 구동시키는 작업순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작업은 어느 것이나 상호관련성이 없는 공구에 의한 안정간(2)의 체부작업, 스윗칭 조작등에 의하여 행하여져야만 하였으므로 매우 손이 많이 가고 비능률적이었다. 더구나 안정간(2)의 하단은 단지 철제공작물(5)위에 당접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철제공작물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보호지지력은 있으나 수평방향의 보호지지력은 약하며, 천공작업중 드릴에 커다란 토오크(torque)가 걸리면, 드릴스탠드 전체가 드릴을 중심으로 흔들려 돌아가거나 또는 엇갈리거나하여 심히 위험하며, 이때 드릴의 회전인부(刃部)가 파손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드릴스탠드가 상기와 같은 결점이 있는 것을 감안하여, 수동레버나 전기회로를 단계적으로 변환조작하여 압압(押壓)수단, 예를들면 스프링의 힘이나 솔레노이드의 힘에 의해 펀치의 첨단을 철제공작물에 타격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드릴장치의 선회를 방지하고, 조작을 용이하고도 안전하게 행하도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정면에 전동드릴(13)을 상하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드릴장치(11)의 하부에 전자석(14)을 부착하고, 이 드릴장치(11)의 후방하부에 정착장치(20)을 부착한다. (15)는 전동드릴(13)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핸들로서 드릴장치(11)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정착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하면, 드릴장치(11)의 후방에 설치된 돌출부(16)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볼트(17)등의 공지수단으로 부착된 부착부(18)에, 같은 볼트(17a)로 부착한 보호지지부(21)에 상하방향의 축지지 구멍(22)을 뚫고, 이 축지지 구멍(22)의 대략적인 중간부에 계단부(23)에 의해 약간 직경이 큰 구멍(24)을 하단까지 형성하고, 계단부의 상방에 직경이 작은 구멍(24a)을 형성한다. (25)는 축지지 구멍(22)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통시킨 펀치로서, 상단에 약간 직경이 큰 정지두부(25')를 핀(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착시킨다. 펀치의 하부에는 상기 구멍(24)내에 합치하는 대직경부(26)의 사이에 강력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며, 펀치(25)를 하방으로 눌러내리는 작용을 한다. (30)은 축지지 구멍(22)의 직교시켜 보호지지부(21)의 상부에 수평으로 뚫은 부착공(31)내에 수용한 스톱퍼로서, 이 스톱퍼(30)의 선단은 상기 펀치의 원주면에 설치된 홈부(25a)와 결합된다. 스톱퍼의 거의 선단에 설치된 정지부(32)와 부착공(31)의 입구부분에 나사결합된 정지반(33)과의 사이에 스프링(34)을 탄발시키고 스톱퍼(30)의 정부(頂部)에는 직경이 큰 두부(35)를 부착시켰다. (36)(36)은 보호지지부(21)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된 한쌍의 부착판으로서, 그 사이에는 공극(空隙)(37)을 설치하고, 이 부착판(36)(36)에 수평축(38)을 축지하면, 축(38)의 일단에 설치된 보스부(39)에 수동레버(40)를 고착시키며, 축(38)의 타단은 전동드릴(13) 및 전자석(14)으로의 전원회로를 제어하는 로타리 스윗치, 또는 기타의 공지의 스윗치, 또는 기타의 공지의 스윗치(41)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극(37)내에 위치시켜 축(38)에 부착된 원통부(42)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부(43)를 돌설하고 있다. 이 돌출부(43)는 수동레버(40)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부착하여 상기 정지두부(25')와 결합되고, 또 다른쪽 스톱퍼(30)의 두부(35)와도 결합된다. 또한 보호지지부(21)의 상면에 그리고 공극(37)내에는 통과면(29)을 설치하여 돌출부(43)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44)(45)(46)은 축(38)의 원통부(42)의 측면에 45도씩 위치를 어긋나게하여 동심원상에 형성된 반구상(判球狀)의 구멍으로서, 한쪽의 부착판(36)에 형성된 끝이 막힌 구멍(47)내에 압축스프링(48)을 내재시켜 출몰자재롭게 설치된 스톱볼(49)을 구멍(44)(45)(46)에 순차적으로 결합 및 해제하도록 하여, 수동레버(40)의 단계적인 작용을 확실하게 하여, 전자석(14) 및 전동 드릴(13)의 전원회로의 개폐와 펀치(25) 및 스톱퍼(30)의 해방, 정지등의 조작을 단계적으로 순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것이므로, 드릴장치(11)에 연결된 코드선(도시하지 않았음)을 전원에 접촉하여도 수동레버(40)가 제2도(Ⅰ)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립하여 원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스윗치(41)는 작동하지 않아서, 전자석(14)이나 전동드릴(13)에 아직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2도(Ⅱ)의 위치까지 약 45도 수동레버(40)를 회전시키면 펀치(25)는 그대로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나, 돌출부(43)는 정지두부(25')에서 떨어진다. 이와 동시에 수동레버(40)와 연동되어 있는 스윗치(41)가 작동하여 전자석(14)을 여자시키며, 철제공작물(50) 위에 흡착고정된다. 또한 수동레버(40)를 (Ⅱ)의 위치로부터 45도 회전시켜 제2단계 조작으로 제3도 (Ⅲ)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돌출부(43)에 의해 스톱퍼(30)는 스프링(34)에 대항하여 후퇴되어서 스톱퍼(30)의 선단은 홈부(25a)에서 벗어나고, 펀치(25)는 압축스프링(28)의 탄발력에 의하여 급격하게 눌려내려져 철제공작물(50) 위에 첨단(27)을 끼워넣어서 드릴장치가 정착됨과 동시에 스윗치(41)가 작동하여 전동 드릴(13)에 전기를 통하게 하고 회전인부(12)를 회전시켜 천공작업을 준비한다. 천공작업은 수동핸들(15)을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전동드릴을 하강시켜 가며 행한다. 더우기, 회전인부(12)가 철제공작물(50)에 당접하면, 한편에서는 드릴반력이 생겨서 전자석의 앞쪽을 부상시키려고 하며, 하방에서는 인선(刃先)에 비틀림 토우크가 발생하여 드릴장치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힘이 심해진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펀치(25) 하단의 첨단(27)이 철제공작물(50)에 박혀들어가 있기 때문에, 펀치(25)가 철제 공작물상을 수평으로 어긋나거나 진동회전하는 일이 없다.
천공작업이 완료되고, 조작핸들(15)을 제1도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회전인부(12)를 철제공작물(50)에서 인상시키고, 다음에 제3도 (Ⅲ)에 위치한 수동레버(40)를 제4도에 도시된 (Ⅱ)위치까지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면 연동하고 있는 스윗치(41)의 접점이 바뀌어져 전동 드릴(13)로 전기가 통하는 것을 정지시켜 드릴회전을 정지한다. 이때 전자석(14)은 여자된 채로 있으며, 또 펀치의 첨단(27)은 철제 공작물(50)에 박혀 들어간 상태로 있다.
또한 수동레버(40)를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면, 수동레버(40)는 제2도 (Ⅰ)의 원위치로 복귀하여 스윗치(41)를 OFF하여 전자석(14)으로 전기가 통하는 것을 정지함과 동시에 돌출부(43)는 정지두부(25')와 결합하며, 펀치(25)는 압축 스프링(28)에 대항하여 당겨 올려지며, 다음에 펀치(25)의 홈부(25a)에 스프링(34)의 탄발력에 의해 스톱퍼(30)가 걸려서 멈추게 되므로 이 펀치(25)을 당겨 올린 위치로 유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정착장치(20)는 해제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제6-9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1도에 표시된 드릴장치(11)의 하부에 전자석(14)을 설치함과 동시에 후방하부에 정착장치(60)를 부착하고 있다. 정착장치(60)에 관하여 설명하면, 드릴장치(11)의 후방에 설치된 돌출부(16)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볼트(17)들의 공지의 수단으로 부착된 보호지지부(61)내에 상하방향의 축지지구멍(62)을 뚫어 축지지구멍의 거의 하부에 계단부(63)에 의해 직경이 작은 구멍(64)을 하단까지 형성하고, 계단부(63)의 상부에는 직경이 큰 구멍(64a)을 형성한다. (65)는 축지지구멍(62), 즉 구멍(64a)(64)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통시킨 펀치로서, 상단에 축지지구멍의 내벽에 대한 직경을 갖는 정지두부(66)를 부착하고 정지두부(66)와 계단부(63)와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67)을 탄발시키고 있다. (68)은 펀치(65)의 하부에 착탈자재롭게 부착된 첨단이다. (69)는 보호지지부(61)의 상면에 부착된 부착판으로서, 중앙에 개구(70)를 형성하고, 이 부착판(69) 위에 부착한 심부(core)(71)의 중심구멍(74)내에 자성재(磁性材)로 이루어진 타격자(打擊子)(75)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또한 심부(71)의 저부에 상기 개구(70)에 합치시켜 설치한 구멍(76)과 개구(70)내에 연결간(77)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78)은 심부(71)의 양측에 부착된 측판(79)(79)의 상부에 위치시켜 부착된 정지판으로서, 타격자(75)의 상방으로의 탈출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본 고안장치로 채용한 회로의 제1예를 제8도에 의해 설명하면, 입력단자(80a)와 제1분기단자(81)와 변환을 스윗치(82)와 제2분기단자(83)와 정류기(84)와 제3분기단자(85)와 제4분기단자(86)와 제5분기단자(87)와 입력단자(80b)로 제1회로(A)를 형성한다. 제1분기단자(81)와 스윗치(82)와 제6분기단자(88)와 솔레노이드(73)와 제4분기단자(86)를 접속하여 제2회로(B)를 형성하고, 제6분기단자(88)와 제5분기단자(87)와의 사이에 드릴모우터(13')를 접속하여 제3회로(C)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드릴장치(11)의 하부에 부착된 전자석(14)은 제1회로(A)의 정류기(84)의 2차측에 접속되어 있다. (55)는 파이롯트 램프, (56)은 접지이다.
또한 입력단자(80a)(80b)를 전원에 접속하여, 스윗치(82)에 있는 스윗치 편(도시하지 않았음)이 원위치(E)에 있을 때에는 제1, 2, 3회로는 OFF가 된다. 다음에 레버를 조작하여 제1실시예의 수동레버에 상당하는 스윗치편을 제1단자 위치(F)로 이동시키면 제1회로 (A)는 ON으로 된다. 전자석(14)은 철제공작물(50)을 흡착하여, 드릴장치(11)를 정착시킨다. 다음에 스윗치편을 제2단 위치(G)로 이동시키면 제1, 2, 3회로 전부가 ON으로 되며, 펀치(65)가 솔레노이드(73)에 의하여 철제공작물(50)을 타격하여 박혀 들어감과 동시에 드릴모우터(13')가 회전하여 천공작업을 준비한다. 이 상태에서, 제1도에 도시한 조작핸들(15)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천공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스윗치편을 (G)에서 (F)로 즉, 제2단계에서 제1단계로 제1단 복귀시키면, 먼저 제2, 3회로(B)(C)가 OFF로 되어 드릴모우터(13')가 정지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73)도 소자(消磁)되고, 펀치(65)는 스프링(67)에 의하여 상승복귀된다. 다음에 스윗치편을 (F)에서 (E)로 이동시키면 제1회로 (A)도 OFF되어 전자석(14)은 소자되고, 드릴장치(11)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본 고안장치에서 채용한 회로의 제2예를 제9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입력단자(90a)와 제1분기단자(91)와 스윗치(92)와 제2분기단자(93)와 전류기(94)와 제3분기단자(95)와 제4분기단자(96)와 제5분기단자(97)와 입력단자(90b)로 제1회로(A')를 형성한다. 전류기(94)의 2차축에 드릴장치(11)에 설치된 전자석(14')이 접속되어 있다. 제1분기단자(91)와 스윗치(92)와 솔레노이드(73')와 제4분기단자(96)로 제2회로(B')를 형성한다. 또한 제1분기단자(91)와 스윗치(92)와 드릴모우터(13')와 제5분기단자(97)로 제3회로(C')를 형성한다. (55')는 파이롯트램프, (98)은 접지이다. 그리고, 천공작업중에 드릴의 회전인부(12)에 과부하가 가해지면 부저(buzzer) 및 램프등의 경보장치를 내는 과부하 경보장치를 본 장치의 회로에 설치하면, 작업자는 안전하게 조작 핸들(15)을 조작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단자(90a)(90b)를 전원에 접속하면, 스위치(92)에 있는 스윗치편이 원위치(H)에 있을 때에는 제1, 2, 3회로는 전부 OFF가 된다. 다음에 스윗치편을 제1단위치(1')로 이동시키면 제1회로 (A')는 ON으로 되어 전자석(14')은 여자된다.
스윗치편을 제2단 위치(J)로 이동시키면, 제1회로 외에 제2회로(B')도 ON으로 되어 솔레노이드(73')가 여자되고, 펀치(65)는 철제공작물(50)에 박혀 들어간다. 또한 스윗치편을 제3단 위치(K)에 위치시키면, 제1, 2, 3회로는 전부 ON으로 되고, 드릴모우터(13")도 구동하며, 제1도에 도시된 조작핸들(15)을 사용자 앞쪽으로 회동조작함에 의해서 천공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스윗치편을 (K)에서 제2단 위치(J)로 복귀시키면 제3회로 (C')는 OFF로 되어 드릴모우터(13')는 정지되며, 또 스윗치편을 (J)에서 제1단 위치(I')로 복귀시키면 제2회로 (B')는 OFF로 되어 솔레노이드(73')가 소자되어 펀치(65)는 스프링(67)의 힘에 의해 올라가게 된다. 다음에 스윗치편을 제1단 (I')에서 원위치(H)로 복귀시키면 전자석(14')도 소자된다.
이사와 같이 본 고안 드릴반력에 대향하는 펀치와 전자석(14)을 관력시켜 회로의 변환에 의해 드릴장치의 정착과 전자석의 전동드릴의 조작의 일력으로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스프링의 탄발력 및 솔레노이드등의 압압수단으로 펀치의 하단첨단을 철제공작물에 박혀 들어가게 함으로써 철제공작물과 펀치와의 수평방향의 보호지지력을 높여 이에 의하여 드릴장치의 위치가 엇갈리거나 또는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전동드릴의 선단에 부착된 회전인부의 파손까지도 모두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는 안전한 천공작업을 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철제공작물(50)에 흡착하는 전자석(14)(14')을 저부에 갖고 있으며, 또, 회전 인부(12)를 하단에 갖고 있는 전동드릴(13)을 정면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갖고 있으며, 철제공작물(50)의 표면에 첨단(27)이 뚫고 지나가는 펀치(25)를 후부에 상하운동가능하게 설치한 전자석 기대(base)식 드릴장치에 있어서, 이 프레임후부에 상기 펀치(25)와 직교시켜 수평축(38)을 설치하고 이 수평축(38)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단계적으로 2단계 회동하는 수동레버(40)를 설치하고, 또, 수평축(38)의 둘레에는 레버의 원위치에서 전접점을 OFF하고, 제1, 제2단계의 어떤 조작에서도 제1접점을 ON으로 하여 상기 전자석(14)(14')의 전원회로를 ON으로 하여, 제2단계 조작을 할 때에만 제2접점을 ON으로 하여 상기 전동드릴(13)의 모터(13)(13')의 전원회로를 ON으로 하는 스윗치(41)(82)를 설치하고, 또, 이 수동레버의 제2단계 조작시에 레버의 운동을 동기화하여 상기 펀치를 공작물의 표면에 순간적으로 하강시키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 타격수단을 설치한 전자석 기대(base)식 드릴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펀치(25)를 철제공작물(50) 표면을 향해 순간적으로 하강시키는 기계적 수단은 압축 스프링(28)이며, 펀치(25)의 측면부에 형성된 홈부(25a)에 펀치(25)가 상승할 때 결합하고, 수동 레버(40)의 제2단계 조작시에 펀치에서 이탈하는 스톱퍼(30)를 상기 압축 스프링(28)에 부설한 전자석 기대식 드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펀치(65)를 철제공작물(50) 표면을 향하여 순간적으로 하강시키는 전기적 수단은 솔레노이드(73)이며, 수동레버의 제2단계 조작시에 솔레노이드의 전원회로를 ON으로 하는 스윗치(82)(92)와, 펀치(65)를 상승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67)을 함께 설치한 전자석 기대식 드릴장치.
KR2019810006284U 1980-09-04 1981-09-03 전자석 기대(base)식 드릴장치 KR8600009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5,036 1980-09-04
JP12503680U JPS643612Y2 (ko) 1980-09-04 1980-09-04
JP135,392 1980-09-25
JP13539280U JPS6342972Y2 (ko) 1980-09-25 1980-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73U KR830001473U (ko) 1983-10-17
KR860000917Y1 true KR860000917Y1 (ko) 1986-05-21

Family

ID=2646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6284U KR860000917Y1 (ko) 1980-09-04 1981-09-03 전자석 기대(base)식 드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456410A (ko)
KR (1) KR860000917Y1 (ko)
DE (1) DE3134619C2 (ko)
GB (1) GB2085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1301A (en) * 1984-12-12 1986-05-27 Black & Decker Inc. Magnetic base machine tool
GB8911027D0 (en) * 1989-05-13 1989-06-28 Targett Power Equipment Servic Power tools
GB2249505B (en) * 1989-05-13 1992-11-25 Targett Power Equipment Servic Mounting power tools
JP2598174Y2 (ja) * 1993-12-03 1999-08-03 日東工器株式会社 穿孔機
US8376667B2 (en) * 2007-07-27 2013-02-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C/DC magnetic drill press
DE102008035308A1 (de) 2008-07-23 2010-01-28 C. & E. Fein Gmbh Bohrmaschine, insbesondere Kernlochbohrmaschine,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olchen
US20130287508A1 (en) 2012-04-25 2013-10-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agnetic drill press
US9873156B2 (en) * 2013-11-01 2018-01-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ilot pin for drill press
US9561568B2 (en) 2014-04-25 2017-02-07 Black & Decker Inc. Magnetic drill press with alternate power source
CN105598729A (zh) * 2016-02-02 2016-05-25 宁波市国冠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螺丝刀钻孔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3445A (en) * 1954-03-24 1957-11-19 Brown & Sharpe Mfg Driving mechanism for a screw machine
US3969036A (en) * 1975-01-23 1976-07-13 Hougen Everett D Magnetic drill
US4261673A (en) * 1979-04-05 1981-04-14 Hougen Everett D Magnetic base drill
US4278371A (en) * 1980-02-29 1981-07-14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afety interlock for electro-magnetic drill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134619C2 (de) 1986-04-10
DE3134619A1 (de) 1982-06-09
KR830001473U (ko) 1983-10-17
GB2085767A (en) 1982-05-06
US4456410A (en) 1984-06-26
GB2085767B (en) 198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917Y1 (ko) 전자석 기대(base)식 드릴장치
CA1270101A (en) Fastener driving tool
US2807732A (en) Electric drill with built-in chuck key
US4811885A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an electric stapler
US4317578A (en) Keyless chucking system
DE2328324A1 (de) Elektromagnetische heftmaschine
US6983809B2 (en) Machine tool, especially a hand machine tool
DE4442657A1 (de) Tragbare motorbetriebene Heftvorrichtung
US4639170A (en) Magnetic base for portable tools
EP1207016A3 (en) Impact power tools
EP0091918B1 (de)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elektromotorisch betriebenes arbeitsgerät mit gefahrbringendem, bewegtem werkzeug
US4990873A (en) Reverse switching means for motor operator
US20050045352A1 (en) Method for driving electric percussion tool
USRE33145E (en) Magnetic base for portable tools
US200100246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operated machine tools for optimized cutting of different substrates by energy adaptation
US4487305A (en) Apparatus, especially portable apparatus, for handling tubular- and/or rod-shaped workpieces or the like
US20050205273A1 (en) Method for driving electric percussion tool
CN212392192U (zh) 一种可调节断路器分闸机构
KR100421949B1 (ko) 자력흡착기의 흡착자력 스위치장치
US2364420A (en) Riveting or staking machine
CN111900047A (zh) 一种可调节断路器分闸机构
KR101839543B1 (ko) 볼트 및 너트 자동 결합장치
JPS6342972Y2 (ko)
KR100352422B1 (ko) 리벳팅 전동공구
US1111038A (en) Magnetic vib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