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638Y1 -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 - Google Patents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638Y1
KR860000638Y1 KR2019850007906U KR850007906U KR860000638Y1 KR 860000638 Y1 KR860000638 Y1 KR 860000638Y1 KR 2019850007906 U KR2019850007906 U KR 2019850007906U KR 850007906 U KR850007906 U KR 850007906U KR 860000638 Y1 KR860000638 Y1 KR 860000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vertical axis
fixed
ped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 앤드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선경
이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524,355 external-priority patent/US4533330A/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선경, 이순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선경
Priority to KR2019850007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69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2도는 평면도.
제3도는 배면도.
제4도는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구동부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체 4 : 페달
12 : 후차륜 15 : 스크류
19 : 전차륜 20, 29 : 조향 핸들
23 : 돛 스텐드 24 : 죠인트
25 : 지지 아암 25' : 고정고리
26, 26' : 앵커 볼트 K : 안내 지지관
S : 수직축
본 고안은 페달에 의한 인력 또는 돛에 의한 풍력의 힘으로 추진되는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와 같은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 인력으로 페달을 밟아 스크류 및 후차륜을 구동시키거나 돛으로 풍력을 받아 추진될 수 있는 보우트에 있어서, 수상과 육상의 겸용을 위하여 관련 요소 특히 조향 장치의 구조를 개선시킨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모터 보우트는 쾌주감을 느낄 수 있는 반면에 요란한 소음을 발산시켜 정숙한 유원지의 분위기를 깨트리게 되고 연료를 소비하게 되어 대중 오락용으로서는 비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유원지의 수상 레저용으로는 노를 젓는 보우트가 단연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페달을 밟아 수차를 구동시키는 수상 추진기도 다양하게 개발 및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는,
1. 운동과 오락을 겸할 수 있으며,
2. 생산성이 좋고 코스트가 적으며,
3. 공해 및 소음이 없고,
4. 조작의 용이성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보우트의 이용 범위를 더욱 넓히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수상은 물론 육상 주행이 가능하며 인력 또는 풍력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하되, 그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향 장치를 합리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수상에서는 전차륜을 포함하는 주행용 조향 핸들을 들어올려서 유치시키고 육상에서는 이를 지면에 닿도록 내려서 조향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륙 양용 보우트를 이용하면 호수나 해안 연변에서 정숙한 분위기로 운동과 오락을 즐길 수 있으며, 페달을 밟는 힘과 바람의 힘으로 물가 또는 물위를 질주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스퍼기어의 측이 양축으로 연장되어 그 양단에 구동 차륜이 장착되고 피니온축은 선박용 베어링에 지지되어 그 단부에 스크류 프로펠러가 부착된다.
페달을 밟는 힘이 체인과 스프로켓에 의하여 기어 장치에 전달되면, 동시에 스크류 프로펠러와 구동 차륜이 회전 운동을 하게 되므로 선체는 물가에서 주행하다가 물 위에서는 스크류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수상 순항을 하게 된다.
또한 선체의 안정을 기하기 위하여 선체 밑바닥에 안전판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안정판의 상부는 선체 내부 중앙에 원통형 포스트에 장착되어 있다.
선체의 전방에는 승강 자재할 수 있는 전차륜의 구성을 갖추고 조향 핸들의 측선상에 돛을 달 수 있도록 된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하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고안의 페달 추진식 수륙 양용 범선은 앞뒤에 두 사람이라고 추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범선은 선체 내부 주연에 따라 공기 탱크가 설치된 비교적 가벼운 선체에 두 개의 페달스텐드와 이에 관련하여 구동 체인과 스프로켓을 설치하되, 스프로켓의 하나는 기어 박스의 스퍼기어 구동축에 두 개는 뒷좌석 페달 스텐드에 나머지 하나는 앞좌석 페달 스텐드에 장착한 것으로,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이 탑승하여 페달을 밟는 힘에 의한 회전 운동을 구동 체인에 의하여 기어 장치에 전달하고 동시에 스크류우 프로펠러와 두 개의 구동 차륜에 전달하여 물가에서 주행하거나 수상에서 진항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실시예로서는 돛을 세울 수 있도록 형성하여 바람의 힘을 이용한 돛으로 추진력을 전환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의 전반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페달 추진식 수륙 양용 범선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가벼운 선체(1)상에 하나는 앞좌석에 다른 하나는 뒷좌석에 서로 이격설치된 두 개의 페달 스텐드가 설치되고 두 사람의 탑승자에 의하여 페달(4)이 일치하여 구동되도록 동일 직경의 스프로켓(3)에 계합되는 좌측 체인(2)이 설치되어 있다.
한 사람의 탑승자에 의하여 구동될 경우에는 뒷좌석의 페달 스텐드에 설치된 스프로켓(3)이 프리휠로 되어 있으므로 좌측 체인(2)은 작동되지 않는다.
스프로켓(6)에 계합된 우측 체인(5)은 스퍼기어(9)와 피니온(10)으로 구성되는 베벨기어를 내장한 기어박스의 스퍼기어 축(11)에 부착된 소경의 스프로켓(7)에 연결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퍼기어 축(11)의 연장된 양단에는 구동 차륜(12)이 장착되어 있으며, 피니온 축(13)은 선박용 베어링(14)과 밀폐된 베어링 하우징(21)을 관통하여 방향타(22)에 당면하게 선체 외부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스크류우 프로펠러(15)가 장착되어 있다.
스퍼기어 축(11)에는 고무 시일(Seal)(16)과 나사 가공된 실링 캡(18)과 함께 부싱(17)이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바퀴로 된 전차륜(19)은 길게 연장된 조향 핸들(20)에 의하여 조작되는 것으로서, 돛(34)을 고정하기 위한 돛대 스텐드(23)가 설치되고 선단의 수직축(S) 선상에는 가요성 조인트(24)부를 형성하여 조향 핸들(20)을 절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직축(S)에는 2개의 지지 아암(25)이형으로 착설되고, 후단에 고정 고리부(25')를 형성하여 선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앵커 볼트(26)(26')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축(S)은 선체(1)의 선단 데크에 고착되어 있는 안내 지지관(K)에 삽입되어져 승,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되며 하단에는 호차형으로 된 전차륜(19)이 부착된다.
그러므로 선체(1)를 수상에서 진항되게 할 시에는 전차륜(19)을 포함하는 수직축(S)을 상승시키고 지지아암(25)의 고정고리(25')를 전방에 있는 앵커 볼트(26)에 결속시키므로서 지지 아암(25)은 경사상으로 수직축(S)의 하락을 버티게 되는 것이며, 전차륜(19)은 선두의 밀창에 근접되도록 상승된 위치에 놓여지게 되어 수면 밖으로 물의 저항을 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육상에서 주행할 시에는 연변에 방도하기 전에 미리 지지 아암(25)의 고정고리(25')를 후방에 있는 앵커 볼트(26')에 결속되도록 하여 조향 핸들(20)이 선체(1)의 데크에 닿게 하면 하강된 수직축(S)의 전차륜(19)이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앞좌석의 승선자는 육상 주행을 위한 전차륜(19)의 조향 핸들(20)을 담당하여 조작시키게 되며, 뒷좌석의 승선자는 수상 진항을 위한 방향타(22)를 조정할 수 있는 조향 핸들(29)을 담당하면서 수륙 양용 보우트의 질주 방향을 적절히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보호 27은 선체(1)의 안정을 기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마련되는 안정판으로서 수상에서는 이 안정판(27)을 밑창으로 토출시켜 선체의 균형을 바로잡으며, 육상에서는 선체 내부로 몰입시키도록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연료를 소비하지 않는 페달 구동식 보우트로서 수륙 양용이 가능하고 또한 양용시의 순조로운 질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향 장치를 합리적인 구조로 개선시켜 소음 없이 즐거운 오락과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페달(4)에 의하여 후차륜(12) 및 스크류(15)를 구동시키는 수륙 양용 보우트에 있어서, 선체(1)의 선두부에 안내 지지관(K)을 고착하고 이의 내경에 수직축(S)을 삽입하며, 수직축(S)의 상단에는 가요성 조인트(24)에 의한 절첩식 조향 핸들(20)을 연결하고 2개의 지지 아암(25)은형으로 착설하여 후단에 형성된 고정고리(25')를 선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앵커 볼트(26)(26')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며, 수직축(S)의 하단에는 호차형으로 된 2개의 전차륜(19)을 부착하여 전차륜(19), 돛 스텐드(23) 및 조향 핸들(20)을 포함하는 수직축(S)을 승하강 유동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
KR2019850007906U 1983-08-18 1985-06-28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 KR860000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906U KR860000638Y1 (ko) 1983-08-18 1985-06-28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24,355 US4533330A (en) 1983-08-18 1983-08-18 Pedal powered sailboat
US524355 1983-08-18
KR830005372 1983-11-10
KR2019850007906U KR860000638Y1 (ko) 1983-08-18 1985-06-28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372A Division KR850002430A (ko) 1983-08-18 1983-11-11 페달구동식 수륙양용 범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638Y1 true KR860000638Y1 (ko) 1986-04-18

Family

ID=2734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906U KR860000638Y1 (ko) 1983-08-18 1985-06-28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6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89B1 (ko) * 2013-09-04 2014-02-19 이준구 수륙 양용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89B1 (ko) * 2013-09-04 2014-02-19 이준구 수륙 양용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44092A (ja) 半潜水式乗物
CN110382342B (zh) 人力驱动的水翼车辆及使用方法
JPS61200086A (ja) 舟艇とその駆動手段
US3241511A (en) Boat hulls, motor-propeller units and hydrofoil combinations
US7980907B1 (en) Amphibious paddle track propulsion system
US4533330A (en) Pedal powered sailboat
US6077134A (en) Combination bicycle and boat
US5405275A (en) Personalized watercraft
KR860000638Y1 (ko) 수륙 양용 보우트의 조향 장치
US20110275255A1 (en) Personal marine transporter capable of offering the rider the exhilarating feeling of steering a very maneuverable water craft by the direction of his body motion
CN205131619U (zh) 一种水上脚踏艇
US4631037A (en) Pontoon vehicle
US4657514A (en) Amphibious pedal powered sailboat
US4379701A (en) Buoyant apparatus propelled by a human operator
JPH0487896A (ja) 足力推進カヌー及びこれに用いる操舵装置
KR20160024526A (ko) 수상 자전거
CN2377172Y (zh) 浮体式水上自行车
CN2213657Y (zh) 水陆两用人力舟车
US3704682A (en) Pedal operated water sport vehicle
US3375801A (en) Amphibious device
RU2772919C1 (ru) Водный велосипед (вопед)
CN2328582Y (zh) 水上娱乐车
CN2393818Y (zh) 水上自行车艇
KR880003340Y1 (ko) 레버 구동식 보트
KR950007322Y1 (ko) 수륙양용 삼륜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610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