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543B1 - 자동 판매기의 상품 선반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상품 선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0543B1 KR860000543B1 KR828203056A KR820003056A KR860000543B1 KR 860000543 B1 KR860000543 B1 KR 860000543B1 KR 828203056 A KR828203056 A KR 828203056A KR 820003056 A KR820003056 A KR 820003056A KR 860000543 B1 KR860000543 B1 KR 8600005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rail segment
- goods
- shelf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zig-zag form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서어펀타인식 상품선반의 측면도.
제2도는 제2(a)도, 제2(b)도,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인 실시예의 상품미수납상태 및 상품수납상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3도 내지 제12(a)도, 제12(b)도는 각각 상이하는 본 발명의 응용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3도, 제4도는 상품선반의 요부측면도.
제5도, 제6도는 동 상품선반의 요부사시도.
제7(a)도, 제7(b)도는 지지축 위치조절기구를 갖춘 실시예의 동작설명을 위한 부측면도.
제8도는 조절이 가능한 스토퍼기구를 갖춘 실시예의 요부측면도.
제9도는 부세스프링을 갖춘 실시에의 요부측면도.
제10(a)도, 제10(b)도는 각각 부세평형추를 갖춘 실시예의 동작설명을 위한 요부측면도.
제11도는 스토퍼완충부재를 갖춘 실시예의 요부측면도.
제12(a)도, 제12(b)도는 매어달린 요동식의 만곡레일세그먼트를 결합시킬 실시예의 상품미수납상태 및 상품수납상태를 나타낸 선반 전체의 구성도.
제13(a)도, 제13(b)도는 각각 선반안이 빈 상태 및 상품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실시예의 개략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있어서의 요부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15도는 제14도에 있어서의 P-Q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16(a)도, 제16(b)도는 상품투입시의 동작설명도.
제17도는 스타휘일식 벤드기구를 채용한 서어펀타인식 상품선반 전체의 개략구성도.
제18도는 판매대기상태를 나타낸 벤드 기구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19도 내지 제21도는 제2도와 상이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상품반출동작의 설명도.
제22도는 반출동작의 타임차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만곡레일세그먼트 3, 4 : 안내레일
5 : 상품통로 6 : 상품투입구
11 : 상품 12 :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
13 : 힌지아암 14 : 지지축이 되는 회전핀
15, 16 : 스토퍼핀 19, 20 : 지지축 위치조절기구의 핀구멍
21 :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의 부세용 스프링
22 : 평형추
24 : 만곡레일세그먼트의 매어달린 지지용 회전핀
112 : 지지축 113 : 플래퍼 부세스프링
114 : 제동플래퍼 115 : 스토퍼핀
204 : 스타휘일식 상품반출장치 205 : 스타휘일
206 : 스타휘일
211 : 간헐이송제어기구의 분할이송 래칫
212 : 요동링크
본 발명은 소위 서어펀타인식 상품선반이라 호칭되고, 선반내에 원통형상의 상품을 한줄로 병설수납하는 사행(蛇行)형상의 상품통로를 가진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1도에 의해서, 상기 서어펀타인형 상품선반의 종래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구조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1)은 좌우의 선반옆판이며, 이 선반 옆판 사이에 각각 상하로 병설해서 결합한 만곡레일 세그먼트(2)를 가설해서, 전후 2열의 안내레일(3)과 (4)를 구성하고, 안내레일(3)과 (4)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는 사행형상의 상품통로(5)를 구획 형성하고 있다. 이 상품통로(5)는 고 상하단이 상품선반의 전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으며, 상부를 상품투입구(6), 하부를 반출구(7)로하고, 그위에 하부의 상품반출구(7)에는 판매지령에 따라서 1개씩의 상품을 반출제어하는 벤드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9)는 각 만곡레일세그먼트(2)의 고정핀, (10)은 투입구(6)에 설치된 톱트레이(top tray)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상품의 수납동작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부호(11)의 상품은 투입구(6)에서 1본씩 넘어진 전동자세로 투입된다. 따라서 상품(11)은 톱트레이(10)의 위를 전동하고, 그 종단으로부터 상품통로내에 연해서 화살표 A와 같이 안내레일의 위를 전동낙하한다. 또 후속하는 상품은 순차로 먼저 수납된 상품의 위로 낙하해서 서로 포개져서 상품통로내에 한줄로 나란히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 판매지령이 부여되면, 벤드기구(8)가 작동하여, 최하위에서 차례로 상품을 1본씩 반출하는 것은 주지된 바와 같다.
한편, 최근에는 자동판매기에서 취급하는 상품이 다양화해서, 상품용기로 캔들이의 것부터 유리병들 이의 것까지 많은 종류가 있다. 또 상품내용물로서도 탄산음료, 맥주 등 다양하다.
그러나 전술한 서어펀타인식 상품선반은 상품통로(5)가 사행하고 있으며, 투입구(6)에서 투입된 상품은 상품통로(5)에 연해서 지그자그 행정을 반복하면서 전동낙하하므로 낙하충격도 비교적 작아지고 알루미늄캔들이상품등은 충분히 견딜 수 있다. 그래도 투입구(6)에서 선반내의 아래쪽으로 자유전동 낙하하는 동안에는 낙하속도가 가속되어, 착지직전에는 낙하속도도 상당한 속도가 된다. 이때문에 깨어지기 쉬운 병들이 상품을 투입했을 경우에는 착지시의 충격에 의해서, 혹은 병끼리의 충돌에 의해서 병이 파손되어 버리는 현상이 생긴다. 또 파손에까지 이르지 않는다 하드래도 탄산음료, 맥주 등은 충돌충격에 의해서 소위 포오밍 현상이라 불리우는 마개를 딸대의 이상발포현상이 발생한다. 덧붙여서 용기의 형상이 통형 등 비교적 자세의 안정이 낮은 상품에서는, 전동낙하 속도가 빨라질수록, 상품통로구조체와의 약간의 접촉에도 전통자세가 흐트러지기 쉽고, 특히 상품통로의 칫수에 대히서 칫수가 작은 상품에서는 낙하도중에서 자세가 무너지고 통로의 도중에 걸려서 상품의 막힘을 일으킬 위험성도 커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서어펀타인식 상품선반에서는, 될 수 있는한 상품의 낙하속도를 낮게 억제해서 상품의 낙하에 수반하는 충격하중을 완화함과 동시에, 전동낙하도중에서의 전동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때문에 예를들면 선반내의 상품통로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도 고려되나, 이 경우에는 상품선반의 안쪽 깊이의 칫수가 커지고 그만큼 자동판매기의 캐비닛의 안쪽깊이 칫수가 증가해서 가게앞에의 설치에 장소적인 제약을 받게 되어, 실정에 맞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비추어 종래의 결점제거를 목적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서 상품투입대기상태에서는 상품통로내로 향해서 대각선 윗쪽방향에 돌출하도록 대기 위치하고 있어서, 상품투입때에는 상품통로내를 전동낙하하는 상품을 일단 받아내어 감속작용을 부여함과 동시에, 그후 상품의 자체하중에 의해서 하향으로 기울어서 상품을 아래쪽으로 송출하는 판형상의 보조레일세그먼트를 착설하므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a)도, 제2(b)도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기본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안내레일(3)(4)은 종래와 마찬가지의 만곡레일세그먼트(2)와, 이 만곡레일세그먼트(2)의 하부에 이어서 늘어서도록 설치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와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는, 그 힌지아암(13)을 회전핀(14)에 끼워서 지지되어 있으며 회전핀(14)을 지지축으로 해서 이 지지축의 주위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레일세그먼트(12)는 제2(a)도와 같이 상품(11)이 올라있지 않은 자유로운 대기상태에서는 세그먼트의 레일면이 상품통로(5)의 안쪽으로 향해서 대각선 윗쪽방향으로 돌출하는 경동자세가 되도록, 예를 들면 지지축에서 선단까지의 길이보다도 지지축에서 후단까지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만들어져 있다. 한편 제2(b)도와 같이 상품(11)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레일면에 올려진 상품의 자체중량에 의해서 레일세그먼트(12)는 레일면이 상품통로(5)에 연한 대각선 아래쪽방향의 자세가 된다.다음에 제2(a)도에서 제2(b)도의 상태에 이르는 상품투입시의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동작을 제3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투입구에서 투입된 상품(11)이 만곡레일 세그먼트(2)위를 전동낙하해 오면, 레일세그먼트(2)를 통과한 직후에 상품(11)은 제2(a)도의 대기위치에 있는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레일면에 닿아서 일단 받아 낸다. 이어서 그때의 상품(11)의 하중에 의해서 레일세그먼트(12)는 시이소식으로 지지축의 주위에서 화살표 B와 같이 요동하고, 레일면이 대각선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자세를 바꾼다. 따라서 상품(11)은 자체중량에 의해서 레일면위를 전동해서 아래쪽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어서 다음의 코오너에서도 상품이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에 닿아서, 마찬가지의 동작을 순차로 반복한다. 더우기 상품(11)이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에 닿아서 레일세그먼트(12)를 요동시키는 과정에서는, 낙하도중의 상품(11)이 보유하는 운동에너지는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를 경동시키는데 소비되고, 이 결과 상품의 낙하속도는 대폭적으로 감속된다. 이 경우에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대기위치의 경사각 및 지지축을 적절하게 설정하므로서, 작품의 낙하속도를 일단은 거의 0가까이 까지 감속하고, 새로이 레일세그먼트(12)에서 자체중량으로 낙하하기 시작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해서 상품통로(5)의 전역에서, 상품(11)의 전동낙하속도를 낮은 값으로 억제할 수가 있고 상품의 낙하충격을 충분히 완화해서 병의 깨어짐, 상품내용물 음료의 이상발포, 더우기는 전동자세의 흐트러짐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는 상품통로내에 짧은 피치로 다수 배열할 수록 상품에 부여하는 감속효과가 크며, 이점에서 제2도와 같이 만곡레일세그먼트(2)와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를 한개 걸러 교호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실용상 지장이 없는 정도로 일부의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를 솎아내는 것도 가능하다.
제3도에서는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요동각도를 규정하기 위해서, 만곡레일세그먼트(2)의 고정핀(9)을 이용해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요동스토퍼에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을 제4도와 같이 만곡레일세그먼트(2)와 별개로 스토퍼핀(15)(16)을 착설해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점선, 실선위치 사이의 요동각도를 규정할 수도 있다. 또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는 제5도와 같이 상품통로폭에 맞추어서 폭칫수(ι1)를 만곡레일세그먼트(2)의 폭칫수(ι2)와 같게 결정해서 선반 옆판에 축지지하도록 구성하든가, 혹은 제6도와 같이 창(17)을 절결한 경사배치의 직선적인 고정레일틀(18)에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해서 구성해도 된다. 또 이 경우에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는 상품의 자세제어의 면에서 될 수 있는 한 폭넓은 칫수로 해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 제2도에 나타낸 구성을 기본으로 해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를 더욱 발전시킨 몇개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7도(a)도, 제7(b)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힌지아암(13)에 서로 위치를 빗겨서 복수의 핀구멍(19)(20)을 뚫고, 이 핀구멍(19)(20)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해서 회전핀(14)을 끼우도록 한 지지축위치조절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축 위치조절기구를 착설하므로서 핀구멍(19)(20)의 선택에 따라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상품통로(5)내에의 돌출길이, 즉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선단과 이것에 대향하는 만곡레일세그먼트(2)와의 사이에 구획되는 상품통로의 실효적인 통로폭을 바꿀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서 상이한 상품칫수에의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7(a)도와 같이 직경이 큰 상품을 취급할 경우에는, 핀구멍(19)을 선택해서 회전핀(14)에 끼우므로서 실효통로폭을 크게 설정한다. 반대로 직경이 작은 상품을 취급할 경우에는, 제7(b)도와 같이 핀구멍(20)을 선택하므로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돌출길이를 크게해서 실효통로폭을 좁힌다. 이렇게 해서 상품(11)의 칫수에 따라서 상품통로(5)의 칫수를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제8도는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대기위치에 있어서의 레일면의 경사각을 가변설정하기 위한 조절이 가능한 스토퍼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이 기구는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스토퍼핀(16)의 부착 위치를 부호(16I)(16Ⅱ)의 복수단에 선택적으로 절환될 수 있도록 해서 구성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실선 혹은 점선위치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대기위치 경사각을(θ1)(θ2)로 가변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대기위치 경사각을 크게하면 레일세그먼트를 시이소식으로 요동시키는 데에 요하는 전동낙하상품의 운동에너지의 소비량이 커지고, 반대로 경사각을 작게 선택하면 운동에너지의 소비량도 적어진다. 따라서 상품(11)의 중량에 따라서 스토퍼핀의 위치를 적당하게 선택하므로서, 상품의 낙하속도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9도는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에 이 레일세그먼트를 화살표 C와 같이 대기위치로 향해서 부세하는 스프링(21)을 착설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축 지지점 주위의 저울식의 균형조건에 따라 자유로운 상태에서 레일세그먼트를 대기위치로 경동시키도록 하고 있었으나, 스프링(21)을 착설하므로서, 실선위치에서 점선의 대기위치를 향해서 강제적으로 레일세그먼트(12)를 부세할 수 있다. 더우기 스프링(21)의 강도선정에 따라 낙하상품에 부여하는 제동력이 변하므로 상품의 낙하속도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21)은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핀(14)과 동축적으로 착설한 코일스프링 외에, 레일세그먼트(12)와 고정축부재와의 사이에 개삽된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등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제10(a)도, 제10(b)도는, 제9도에서 설명한 부세스프링 대신에,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를 화살표 C와 같이 대기위치로 향해서 부세하는 평형추(22)를 부착한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제10(a)도 혹은 제10(b)도와 같이 상품(11)의 중량에 따라서 평형추(22)의 무게를 선택하도록 해두면, 낙하상품에 대해서 적정한 감속효과를 부여할 수가 있다. 즉 제10(a)도와 같이 경량의 상품에 대해서는 평형추(22)를 가볍게, 무거운 상품에 대해서는 제10(b)도와 같이 평형추(22)의 매수를 증가해서 무게를 증가토록 조정하면 된다.
또 제11도의 실시예는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에 스토퍼핀(15)과 대향해서 고무조각과 같은 스토퍼완충부재(23)를 착설한 것이다. 즉 낙하상품(11)이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에 닿아서, 이것을 요동시켜 다시 아래쪽으로 낙하하려고 하는 동작과정에서, 레일세그먼트(12)가 스토퍼핀(15)에 부딪치는 충격쇼크가 크면 그 반동이 상품(11)에 전해져서, 레일세그먼트(12)에서 떨어질때의 상품의 전동자세를 흐트러지게 할 염려가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완충부재(23)를 착설하므로서, 상기의 충격쇼크를 완화해서 자세를 흐트러지게 함이 없이 상품(11)의 송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완충부, (23)는 상대측의 스토퍼핀에 착설해도 된다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12도에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와 매어달린 요동식의 만곡레일세그먼트(2)와의 결합에 의한 더욱 감속효과가 높은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의 설치에 덧붙여서, 만곡레일세그먼트(2)는 앞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와 같이 고정식으로 하지 않고 그 상단을 회전핀(24)에 축지지해서 요동자재케 매어달아 지지되어 있다. 또한(25)는 레일세그먼트(2)의 배후에 착설한 레일세그먼트의 퍼짐위치규제용 스토퍼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품의 투입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는, 만곡레일세그먼트(2)는 자유상태이다. 그 만곡형상에 따른 중심위치에서 레일세그먼트(2)는 제12(a)도와 같이 상품통로를 좁히는 방향으로 늘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투입구(6)에서 상품을 투입하면, 상품은 먼저 만곡레일세그먼트(2)의 레일면에 닿아서 이것을 잡아늘이면서 아래쪽으로 전동낙하하므로 제동작용을 받고, 상품의 낙하운동에너지의 일부는 만곡레일세그먼트(2)를 잡아늘이는데에 소비되어서 감속된다. 이어서 상품은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감속된다. 이렇게 해서 상품투입시에 상품통로내를 전동낙하하는 상품의 낙하속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속할 수가 있다. 제12(b)도는 상품수납상태를 나타내고, 만곡레일세그먼트(2)는 스토퍼핀(25)의 위치까지 넓혀져있다.
다음에 제13(a)도, 제13(b)도에 의해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한 실시예의 기본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내레일(3)(4)을 구성하는 각 만곡레일세그먼트(2)는 선반판(1)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가설하지 않고, 그 상단을 지지축(112)에 걸어서 선반내에서 요동가능하게 매어달아 지지되어 있다. 또한 만곡레일세그먼트(2)에는 평상시에는 선단이 레일세그먼트(2)의 레일면보다 상품통로(5)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스프링(113)으로 부세된 요동식 제동플래퍼(114)가 착설되어 있다. 또 만곡레일 세그먼트(2)의 배후에는 레일세그먼트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핀(115)이 선반판(1)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세그먼트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레는 제14도, 제15도와 같다. 즉 플래퍼(114)는 레일세그먼트(2)의 중앙에 뚫린 창 (116)에 끼워져서 힌지아암(117)을 개재해서 레일세그먼트(2)에 부착한 지지추(118)에 요동식으로 지지되고, 또한 코일 스프링(113)으로 윗쪽에 밀어올려서 부세되어 있다. 또 스프링(113)의 탄력은 평상시에는 플래퍼(114)를 윗쪽에 밀어올려서, 플래퍼(114)의 위에 상품(11)이 올라올 경우에, 그 하중으로 플래퍼(114)가 하향으로 요동해서 창(116)속으로 후퇴하도록 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품(11)의 수납되어 있지 않은 대기상태에서는 제13(a)도와 같이, 각 만곡레일세그먼트(2)는 전후에서 서로 접근하도록 자체중량으로 늘어져서 대기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동플래퍼(114)는 스프링부세로 상품통로내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선반내에의 상품보충을 위해서, 투입구(9)에서 상품(11)을 투입하면, 먼저 톱트레이(10)위를 전동되어 온 상품(11)은 제16(a)도와 같이 쇄선으로부터 실선위치에 전동하는 과정에서, 후열 최상위의 레일세그먼트(2)에 부딪쳐서 이것을 쇄선위치에서 실선위치까지 화살표 B와 같이 잡아늘인다. 따라서 상품(11)의 운동에너지의 일부는 레일세그먼트(2)를 잡아늘이는데 소비되어 낙하에 제동이 부여된다. 여기에서 레일세그먼트(2)의 레일면에 연해서 전동이 진행되면, 다음에 제16(b)도와 같이 상품(11)은 제동플래퍼(114)에 부딪쳐서, 이것을 스프링(113)에 저항해서 화살표 C와 같이 후퇴위치로 향해서 잡아늘인 후에, 플래퍼(114)를 넘어서 실선에서 파선위치로 향해서 이동한다. 이 플래퍼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상품(11)은 플래퍼(114)의 반력에 의한 제동작용을 받는다. 이어서 상품(11)이 앞줄의 레일세그먼트에 도달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레일세그먼트(2) 및 플래퍼(1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것들을 잡아늘일때게 제동작용을 받는다. 이와 같이 해서 상품투입시에 상품통로내를 전동낙하하는 상품(11)은 레일세그먼트(2)를 통과할때마다 제동을 받게 되며, 통로 전역에서의 낙하속도가 자유전동낙하에 비해서 대폭적으로 감속되게 된다. 또한 상품수납상태에서는 제13(b)도와 같이 수납상품의 자체중량에 의해서, 레일세그먼트(2)는 배후의 스토퍼핀(115)에 닿는 위치까지 잡아늘려제 있으며, 또 플래퍼(114)도 레일세그먼트(2)의 레일면과 평행인 위치까지 후퇴하고 있어서 판매지령에 따라서 상품반출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는 안내레일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만곡레일 세그먼트에 대해서, 요동식으로 매어달아서 지지하고, 또한 제동플래퍼를 착설한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실용상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안내레일의 일부에 고정식 레일세그먼트를 결합해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제14도에 나타낸 레일세그먼트의 창(116)은 플래퍼(114)가 박판으로 상품(11)의 전동안내에 지장이 없으면 특히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상품을 취급하는 자동판매기의 서어펀타인 상품선반에 적합한 스타휘일식 벤드기구를 설명한다.
먼저 제17도에 의해서 상기 스타휘일식 벤드기구를 채용한 서어펀 타인식상품선반의 개요를 설명한다. 제17도에 있어서, 선반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사행형상의 상품통로(5)에는 넘어진 자세의 상품(11)이 한줄로 나란히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품통로(5)의 하부 반출단에는 스타휘일식 벤드기구(20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는 상품통로(5)를 향해서 돌출된 회전자재한 스타휘일(205)과 판매지령에 따라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206)과, 솔레노이드(206)의 동작으로 스타휘일(205)를 연결, 석방제어하는 링크기구(207)로 이루어져 있다. 판매대기상태에서는 상품통로(5)의 최하위의 상품을 스타휘일(205)이 연결해서 전체상품을 선반내에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판매지령이 부여되면 솔레노이드. (206)의 동작으로 스타휘일(205)의 로크가 풀려, 상품(11)은 자체중량 낙하식으로 아래쪽의 반출슈우트(208)로 향해서 낙하 반출되고, 도시되어 있지않은 상품취출구로 꺼내어진다. 또한 상품의 반출에 종동해서 스타휘일(205)은 회전 이송되나, 솔레노이드의 복귀동작에 의해서 스타휘일(205)은 회전을 멈추고 재차 연결로크되고, 두번재 이후의 상품이 상품 1개분만 선반내를 이동한 곳에서 스타휘일에 연결지지된다. 이러한 스타휘일식 상품반출장치는, 그 구동부로서 전동기등에 비해서 값싸고 견고하며 신뢰성이 높은 전자솔레노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캔, 병상품을 취급하는 자동판매기에 가장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벤드기구의 기능으로서는, 상품을 1개씩 확실하게 반출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품의 손상,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프트핸들링이 요구된다. 특히 상품종류의 다양화에서 최근에는 금속제용기들이의 캔상품 뿐만이 아니라 유리용기들이의 병상품도 자동판매기로 판매에 제공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의 소프트핸들링기능이 점점 중요시되는 경향에 있다.
이러한 점은 종래에 있어서의 스타휘일식 벤드기구에서는, 1회 판매동작마다 스타휘일은 1개의 상품이 그 연결위치에서 자중낙하식으로 완전하게 반출할때까지 연속적으로 회전 이송된다. 따라서 상품통로내에 남아 있는 각 상품은 한번 판매동작마다에 상품 1개분의 직경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자유낙하해서 선반내를 이동하고, 재차 스타휘일에 연결되게 된다. 더우기 이 선반내 이동에 수반해서 상품과 스타휘일과의 충돌, 상품끼리의 충돌이 생기므로서, 병상품은 이 충격으로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이 일이 스타휘일식 벤드기구의 커다란 난점이 되고있다. 그래서 상술한 난점을 해소하고, 양호한 소프트핸들링기능을 갖게해서 유리병 상품도 안전하게 취급되도록 한 스타휘일식 벤드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스타휘일식 벤드기구에서는 스타휘일과, 레노이드와의 사이를 연결해서, 1개의 상품을 반출시키는데 요하는 스타휘일의 회전이송을 복수단의 분할이 송행정으로 나누어서 간헐적으로 행하는 간헐이송제어기구가 설치된다.
다음에 이 벤드기구를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다. 먼저 제18도에 의해서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스타휘일(205)은 1개의 상품반출에 따라 1/4회전하도록 부호(A)(B)(C)(D)로 표시한 4매의 아암을 가지고 있으며, 기대(209)에 부착된 지지축(210)에 회전자재로 축 지지되어 있다. 이 스타휘일(205)에 대해서 동축상에 병설한 부로(a)~(h)로 나타낸 치열을 가진 래칫(211)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래칫(211)의 치수는 스타휘일(205)의 아암수 "4"의 정수배 "8"에 선정되어 있다. 또한 래칫(211)의 치열에 대향해서 2개의 클릭(X)(Y)을 가진 두 갈래형상의 요동26크(212)가 핀(213)의 주위에 요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이 링크(212)는, 한편에서는 인장스프링(214)에 의해서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는 연결레버(215)를 개재해서 솔레노이드(206)의 전기자(21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206)의 통전오프시에는, 스프링(214)의 부세에 의해서 링크(212)는 클릭(X)이 래칫(211)에 결합하여, 래칫(211)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연결한다. 이것에 대해서 솔레노이드(206)를 통전 온으로 하면, 전기자(216)의 흡인동작에 의해서 스프링(214)에 저항해서 링크(212)가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클릭(X)이 후퇴해서 대신에 클릭(Y)이 래칫(211)에 향하여 돌출해서 래칫(211)을 연결한다. 이어서 솔레노이드의 통전오프에 의해서 복귀동작하면, 클릭(Y)이 후퇴하고(X)가 돌출한다. 이 솔레노이드의 왕복동작에 의해서, 래칫(206)따라서 스타휘일(205)은 래칫(211)의치열 1피치분만큼 시계방향의 회전이송이 허용되게 된다. 여기서 구조의 설명을 마치고, 다음에 상품의 반출제어동작을 제18도 내지 제21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8도는 판매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래칫(211)의 치(a)에는 링크(212)의 클릭(X)이 결합하고, 이위치에서 상품통로(5)에 병설된 상품(11 I)(11Ⅱ)(Ⅲ)을 스타휘일(205)의 아암(C)으로 연결지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판매지령에 따라 솔레노이드(206)가 통전온이 되면, 제19도와 같이 링크(212)가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이 사이에 상품의 자체중량에 의해서 스타휘일(205)은 래칫(211)의 치(C)가 링크(212)의 클릭(Y)에 부딪칠때까지 시계방향으로 다소 회전 이송된다. 따라서 최하위의 상품(11 I)은 쇄신으로 표시한 대기위치에서 실선위치까지 이동량(ι1)만큼 상품통로내를 낙하이동한다. 이어서 솔레노이드(206)가 통전오프되면 제20도와 같이 이에는 래칫(211)의 치(h)가 링크(212)의 클릭(X)에 부딪칠때까지 대략 1피치분 회전 이송되고, 상품상품(11 I)의 누계이동량은(ι2)까지 증가한다. 또 이상태가 되면, 스타휘일(205)의 아암(B)도 상품통로(5)내로 돌출되어 오고, 아암(B)이 최하위의 상품(11 I)과 두번째의 순위의 상품(11 Ⅱ)과의 사이에 끼여들어가게 된다. 다음에 재차 솔레노이드(206)가 통전온이 되므로서, 제21도의 상태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누계이동량은(ι3)까지 증가한다. 이상태로는 최하위의 상품상품(11 I)은 스타휘일(205)의 아암(C)과의 결합이 거의 풀리는 직전이 되며, 또한 두번째 이후의 상품은 스타휘일(205)의 아암(B)에 결합지지되어서, 최하위의 상품(11 I)과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된다. 마지막공정에서 솔레노이드(206)가 통전오프되면, 상품(11 I)은 완전히 자유롭게 되어, 자체중량낙하식으로 반출된다. 동시에 스타휘일(205)의 아암(B)은 제18도에 있어서의 아암(C)의 위치까지 회전이송된 곳에서 래칫(11), 링크(12)에 의해서 연결되고, 그 위치에서 두번째 이후의 상품을 판매대기위치에 지지한다. 이것으로 1회의 판매공작이 종료하고, 1개의 상품이 반출된다.
상기의 반출동작을 타임차아트로 나타내면 제22도와 같이 된다. 즉 1회 판매동작마다에 판매지령에 따라서, 솔레노이드(206)는 통전은, 오프를 2회씩 반복한다. 이러한 통전제어는 알맞는 판매제어회로에 의해서 부여된다. 그리고 이 통전제어에 의해서, 스타휘일(205)은 분할이송래칫(211), 링크(212)를 결합해서 이루어진 간헐이송제어기구를 개재해서, 1개의 상품을 반출하는데 요하는 회전이송이 제22도와 같이(a)~(d)로 표시하는 4단의 분할이송행정으로 나누어서 간헐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 각단의 분할이송행정에서의 상품의 선반내 낙하이동량은 1회 판매공작의 전체이동량에 비해서 작고, 따라서 그만큼 낙하이동 속도도 낮게 억제되므로, 상품과 스타휘일과의 사이, 및 상품끼리의 충돌에 의해서 작용하는 충격력은 상기한 종래의 장치에 비해서 대폭적으로 경감되게 된다. 그래서 초기의 목적인 솔레노이드 구동방식에 의한 소프트핸들링기능을 얻고, 파손하기 쉬운 유리병상품도 안전하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시한 예는 스타휘일과 래칫을 동축상에 병설해서 직결한 것을 나타냈으나, 그것 이외에도 치차기구등을 개재해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하므로서 분할이송래칫의 치수의 설정도 광범위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시예는 판매동작을 제22도에 나타낸(a)~(d)의 4단계의 분할이송행정으로 구분한예를 나타냈으나, 더욱 분할단계를 증가하면 상품반출에 요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나, 소프트핸들링기능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Claims (10)
- 만곡레일세그먼트를 상하로 각각 병설하여서 이루어진 두줄의 안내레일 사이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는 사행형상 상품통로를 가지고, 이 상품통로내에 윗쪽에 서투입 된원통형상의 상품을 전공자세로 한줄로 수납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에 있어서, 상품투입 대기상태에서는 레일세그먼트의 레일면보다 상품통로내로 향해서 대각선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부세되고, 상품투입을 할때에 상품통로내를 전동낙하하는 통과상품을 일단 받아내고, 그후 상품의 자체중량으로 하향으로 회동해서 상기 상품을 아래쪽으로 송출하는 판형상의 보조 레일세그먼트를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 제1항에 있어서, 보조안내레일을 상기 만곡레일세그먼트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축의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 제2항에 있어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가 레일세그먼트의 상품통로내로 돌출한 길이를 상품직경칫수에 따라서 조정하기 위한 지지추 위치조절기구를 갖추고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 제2항에 있어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의 대기위치에 있어서의 레일면의 경사각을 가변설정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스토퍼기구를 갖추고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 제2항에 있어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가 이레일세그먼트를 대기위치로 향해서 부세하는 스프링을 갖추고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 제2항에 있어서, 시이소식 레일세그먼트가 이 레일세그먼트를 대기위치로 향해서 부세, 는 평형추를 갖추고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 제2항에 있어서, 만곡레일세그먼트가 그 상부를 지지축으로 해서 선반내에 요동 가능하게 메어달고 지지되어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 제1항에 있어서, 보조레일세그먼트를 만곡레일세그먼트에 지지된 제동플래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 제1항에 있어서, 상품통로의 하부의 상품반출구에 스타휘일식벤드기구가 착설되고, 이 벤드기구는 1개의 상품을 반출시키는데 요하는 스타휘일의 회전이송을 복수단의 분할이송행정으로 구분해서 간헐적으로 행하는 간헐이송제어기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 제9항에 있어서, 건헐이송제어기구가 스타휘일에 연결된 분할이송 래칫과 이 래칫에 대향 설치되고 또한 솔레노이드의 왕복동작에 의해서 요동조작되어서 상기 래칫을 간헐적으로 연결, 석방하는 요동링크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상품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6-109609 | 1981-07-04 | ||
JP10960981A JPS5812087A (ja) | 1981-07-14 | 1981-07-14 | 自動販売機の商品棚 |
JP12532381U JPS5832580U (ja) | 1981-08-25 | 1981-08-25 | 自動販売機の商品棚 |
JP56-125323 | 1981-08-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0844A KR840000844A (ko) | 1984-02-27 |
KR860000543B1 true KR860000543B1 (ko) | 1986-05-08 |
Family
ID=2644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828203056A KR860000543B1 (ko) | 1981-07-04 | 1982-07-08 | 자동 판매기의 상품 선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4498569A (ko) |
EP (2) | EP0164761A3 (ko) |
KR (1) | KR860000543B1 (ko) |
AT (1) | ATE24785T1 (ko) |
AU (1) | AU549815B2 (ko) |
CA (1) | CA1199310A (ko) |
DE (1) | DE3275033D1 (ko) |
DK (1) | DK313982A (ko) |
NZ (1) | NZ20123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46684U (ja) * | 1984-08-27 | 1986-03-28 | サンデン株式会社 | サ−ペンタイン方式の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
JPS6392984U (ko) * | 1986-12-05 | 1988-06-15 | ||
DE3929656A1 (de) * | 1989-09-06 | 1991-03-07 | Knapp Guenter Gmbh Co K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gern in und zum automatischen entnehmen von stueckgutsorten aus regalen in grosslagern |
US5199598A (en) * | 1991-09-23 | 1993-04-06 | Tyree Sampson | Dispensing apparatus for tennis ball containers |
JP2549687Y2 (ja) * | 1991-10-17 | 1997-09-30 | サンデン株式会社 | サ−ペンタイン式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器 |
US5368190A (en) * | 1992-03-30 | 1994-11-29 | Hieb; Larry E. | Apparatus for vending work objects |
US5865675A (en) * | 1997-02-28 | 1999-02-02 | Fmc Corporation | Bulk weighing system |
US6685051B2 (en) | 2002-05-21 | 2004-02-03 | Hussman Corporation | Cooling apparatus and releasing system for beverages in containers |
US6786341B2 (en) * | 2002-07-09 | 2004-09-07 | Harold K. Stinnett |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
US7581375B2 (en) * | 2004-09-14 | 2009-09-01 | Westside Equipment Co. | Small scale tomato harvester |
US7921628B2 (en) * | 2004-09-14 | 2011-04-12 | Westside Equipment Company | Small scale tomato harvester |
US7694502B2 (en) | 2004-09-14 | 2010-04-13 | Westside Equipment Co. | Small scale tomato harvester |
GB2450183A (en) * | 2007-06-12 | 2008-12-17 | Jeremy Ralph Shadbolt | Gravity operated self sorting storage rack |
US20090057096A1 (en) * | 2007-08-30 | 2009-03-05 | Larry Hieb | Front Panels for Vending Machines |
CA2773831A1 (en) * | 2009-09-09 | 2011-03-17 | Sanden Vendo America, Inc. | Vending machines for large product containers |
CN104077845A (zh) * | 2013-03-28 | 2014-10-01 |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 自动售货机货道结构 |
CN103935778B (zh) * | 2014-04-21 | 2016-01-20 | 中国矿业大学 | 一种机械摇臂式垂直投料缓冲装置 |
CN104555161A (zh) * | 2014-12-24 | 2015-04-29 | 无锡市南长区科技创业服务中心 | 一种煤仓 |
US9959520B2 (en) * | 2015-05-29 | 2018-05-01 | Endries International Inc. | Systems for ordering products |
JP7124381B2 (ja) * | 2018-03-29 | 2022-08-24 | 富士電機株式会社 |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58090C (de) * | E. dürst in Köln, Werderstr. 64 | Selbstverkäufer mit Einrichtung, um zugleich mehrere Waarenstapel gleichmäfsig zu entleeren | ||
GB882814A (ko) * | 1900-01-01 | |||
US1088980A (en) * | 1912-09-16 | 1914-03-03 | Charles L Coombs | Self loading and unloading barrel-truck. |
US1841926A (en) * | 1930-02-08 | 1932-01-19 | Zuehl Wray | Dispensing apparatus |
US1981272A (en) * | 1930-07-26 | 1934-11-20 | Andrew D Reid | Vending device |
US1985739A (en) * | 1933-08-18 | 1934-12-25 | Murray Paul | Vehicle body for barrels |
US2252493A (en) * | 1939-02-14 | 1941-08-12 | Luther D Dennis | Dispensing machine |
FR1054795A (fr) * | 1952-01-10 | 1954-02-12 | Casier à rayons stockeur et distributeur automatique de marchandises logées en emballages de toute nature, de toutes formes et de tous poids | |
US2701077A (en) * | 1952-06-23 | 1955-02-01 | Swift & Co | Magazine |
FR1091027A (fr) * | 1953-10-10 | 1955-04-06 | Safaa | Distributeur d'objets cylindriques |
FR1308840A (fr) * | 1961-12-06 | 1962-11-09 | Rotor | Appareil distributeur |
US3348733A (en) * | 1965-11-08 | 1967-10-24 | Vendo Co |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ly controlled article releasing assembly |
US3360163A (en) * | 1966-06-27 | 1967-12-26 | Cornelius Co | Vending machine |
US3379294A (en) * | 1967-01-26 | 1968-04-23 | Vendo Co | Serpentine chute for can vender having structure preventing rim interlock |
US3467275A (en) * | 1967-12-26 | 1969-09-16 | Vaughan Ind Inc | Container dispenser having an escapement assembly |
US3498497A (en) * | 1968-04-15 | 1970-03-03 | Vendo Co | Double-depth serpentine can vender |
US3508669A (en) * | 1969-02-12 | 1970-04-28 | William H Cook | Storage facility for pipes and similar articles |
JPS6029439B2 (ja) * | 1980-11-26 | 1985-07-10 | 富士電機株式会社 |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
-
1982
- 1982-06-30 AU AU85469/82A patent/AU549815B2/en not_active Ceased
- 1982-07-07 EP EP85108278A patent/EP0164761A3/en not_active Withdrawn
- 1982-07-07 CA CA000406761A patent/CA1199310A/en not_active Expired
- 1982-07-07 EP EP82106084A patent/EP0069984B1/en not_active Expired
- 1982-07-07 AT AT82106084T patent/ATE24785T1/de active
- 1982-07-07 DE DE8282106084T patent/DE3275033D1/de not_active Expired
- 1982-07-08 KR KR828203056A patent/KR860000543B1/ko active
- 1982-07-12 NZ NZ201235A patent/NZ201235A/en unknown
- 1982-07-13 DK DK313982A patent/DK313982A/d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82-07-14 US US06/398,196 patent/US4498569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164761A3 (en) | 1986-03-19 |
DK313982A (da) | 1983-01-15 |
EP0069984A2 (en) | 1983-01-19 |
DE3275033D1 (en) | 1987-02-12 |
US4498569A (en) | 1985-02-12 |
KR840000844A (ko) | 1984-02-27 |
ATE24785T1 (de) | 1987-01-15 |
EP0069984A3 (en) | 1984-01-04 |
EP0069984B1 (en) | 1987-01-07 |
EP0164761A2 (en) | 1985-12-18 |
CA1199310A (en) | 1986-01-14 |
AU8546982A (en) | 1983-01-20 |
NZ201235A (en) | 1985-02-28 |
AU549815B2 (en) | 1986-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60000543B1 (ko) | 자동 판매기의 상품 선반 | |
US3938700A (en) | Multi-rack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 |
US5009329A (en) | Dispensing apparatus | |
US5806712A (en) |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beverage containers | |
US2877928A (en) | Vending machine | |
WO1999041716A1 (en) | Dispensing means for vending machine | |
US3107812A (en) | Dispensing mechanism for articles in staggered stack | |
US3158290A (en) | Retarder for dispensing mechanism for articles in a stack | |
JPS6111829Y2 (ko) | ||
US2255007A (en) | Shift container vending mechanism | |
US3118567A (en) | Article dispensing mechanism | |
US3319821A (en) | Plural source article dispenser with separate discharge means for each source | |
US3151770A (en) | Dispensing mechanism with motor driven regulator | |
US3008783A (en) | Shelf assembly for supporting and feeding bottles to point of delivery in vending machines | |
JP2005004731A (ja) |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 |
JPH02183891A (ja) | コンベア式商品棚の商品落下防止機構 | |
US3151772A (en) | Dispensing mechanism for articles in staggered stack | |
JP4848610B2 (ja) | 商品搬出装置および自動販売機 | |
US2996218A (en) | Vending machines | |
JPS5812087A (ja) | 自動販売機の商品棚 | |
JP4099007B2 (ja) | 自動販売機の商品ガイドストッパ | |
JP4301698B2 (ja) |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 |
JPH0282391A (ja) |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 |
JP4464577B2 (ja) |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 |
KR0150511B1 (ko) | 자동판매기의 상품수납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