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017B1 - 조립식 건물의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물의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017B1
KR860000017B1 KR1019810002153A KR810002153A KR860000017B1 KR 860000017 B1 KR860000017 B1 KR 860000017B1 KR 1019810002153 A KR1019810002153 A KR 1019810002153A KR 810002153 A KR810002153 A KR 810002153A KR 860000017 B1 KR860000017 B1 KR 86000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roof
ribs
wal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546A (ko
Inventor
캠프벨 암스트롱 개빈
Original Assignee
앵글로 아메리칸 코포레이션 오브 사우스 아프리카 리미티드
밀톤 그램 몽고메리 애트모어 및 존 테오도르 골드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앵글로 아메리칸 코포레이션 오브 사우스 아프리카 리미티드, 밀톤 그램 몽고메리 애트모어 및 존 테오도르 골드핀치 filed Critical 앵글로 아메리칸 코포레이션 오브 사우스 아프리카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81000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017B1/ko
Publication of KR83000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건물의 접합방법
제1도는 형판에 의해 적소에 배치된 지지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마루판에 고정된 리브와 지지블록의 상부면상에 있는 요구부와의 계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지지블록의 상부면상에 있는 요구부내에 리브와 벽판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2개의 인접한 벽판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연접부가 밀봉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지붕판과 벽판의 계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인접한 지붕판들 사이의 밀봉이음법 및 처마형성법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조립식으로 시공하게 되면, 종래의 건축물 시공법에 비하여 볼 때 공기가 단축되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시공법은 건축물 구성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보통 사용되는 작업의 관점에서 볼때 약간 불리한 점이 있다. 복잡한 나사조임 및 고정작업이 빈번하게 필요하게 되므로 시간낭비가 뒤따르게 된다. 이는 특히 건축공사 현장에 보통 세워지는 임시 막사나 작업기지를 수시로 옮겨야 하는 지지학자 및 측량기사에 의해 세워지는 임시막사와 같은 임시건축물을 지울때에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별한 연결작업을 수반하지 않는 간단하고 신속한 조립식 건축물 접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형태는 마루를 깔고 벽을 설치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부면에 요구부가 있는 지지블록을 공간의 마루지역 경계부 주위에 설치하고, 상기 블록을 수평으로 조정하며, 마루판을 공간의 마루지역에 설치함으로써 마루판으로부터 현수된 리브를 블록의 요구부내에 끼워 맞추고, 벽판을 요구부에 끼워 맞추어지게 경계부 주위에 설치하는 수단들을 포함한다. 상기 요구부의 폭은 리브와 벽판 모두를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정해진다. 벽판은 초기에는 느슨하게 설치한 다음,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서로 당겨주는 것이 적합하다. 인접한 벽판간의 연접부는 그 사이에 밀봉재료를 삽입시킴으로써 악천후의 영향을 예방하도록 밀봉될 수 있다. 밀봉재료는 벽판 을 서로 당겨줄때에 밀봉재료가 압착되어 연접부의 간극을 밀봉시킬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형태는 마루를 깔고 벽을 설치한 공간에 지붕을 덮는 시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간의 대향하는 벽판 사이에 1개이상의 지붕판을 마찰식으로 끼워맞추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시공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형태에서 언급한 시공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각 지붕판은 공간의 대향하는 벽판 사이에 설치되고, 이 벽판들은 이들 사이에 지붕판을 마찰식으로 끼워맞추도록 서로 당겨진다.
인접한 지붕판간의 연접부는 그곳에 보충지붕소재를 삽입시킴으로써 밀봉될 수 있다. 처마는 지붕의 말단부에 처마소재를 삽입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시공법을 달성하기 위해서, 마루를 깔고 벽을 설치한 공간을 축조하기 위한 부재들이 제공되는데, 이들 부재는 상부면에 요구부가 형성되어 공간의 마루지역 경계부 주위에 소정의 위치로 배치되도록 된 복수개의 지지블록, 말단부에 리브가 현수되어 요구부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된 1개이상의 마루판, 리브와 접하여 요구부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된 복수개의 벽판 및 이 벽판들을 서로 당겨주어 적소에 유치되게 하는 소재를 포함하고 있다.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구부는 블록내에 설치된 돌편등의 구조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들 부재는 또한 벽판을 서로 당겨줄때에 변형되어 연접부를 밀봉시키도록 인접한 벽판간의 연접부내에 삽입되도록 된 변형가능한 밀봉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리콘고무가 그러한 밀봉재료로서 적합하다.
마루를 깔고 벽을 세우고 지붕을 덮은 공간을 축조시키기 위해서, 상기 부재들은 공간의 대향하는 벽판 사이에 마찰식으로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1개이상의 지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지붕판에는 보충밀봉소재 및 보충처마소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절연의 목적으로, 벽판과 지붕판은 중공현상으로 되어, 유리섬유와 같은 절연재료가 채워질 수 있다.
건축작업자가 지지블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간의 마루지역 경계부 주위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들 부재는 요구부내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형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부재중에서 마루판은 판자를 주변프레임에 대하여 접촉히켜 고정시킴으로써 형성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이 프레임은 현수리브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상술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블록(10)은 지면상의 대략적으로 배치된다. 각 블록에는 요구부(12)가 제공된다. 요구부(12)는 적당한 길이의 돌편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들 돌편은 그 대판(合板)의 저면에 용접된채 블록내에 매설된 돌조에 의해서 블록에 고정된다. 블록과 요구부의 정확한 위치는 형판(14)를 사용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는데, 형판은 마루판을 놓기 전에 제거된다.
제2도에는 각각 리브(20), (22)가 형성된 2개의 인접한 마루판(16), (18)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마루판은 목재판자(24)로 만들어지는데, 이들 판자는 나사(26)에 의해서 정방형 관상단면 구조의 리브(20), (22)에 고정된다. 마루판은 그 리브에 의해서 요구부(28)내에 놓이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블록(10)은 형판(14) 대신에 마루판을 사용함으로써 단독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도는 리브(32)가 형성된 마루판(30)이 블록(36)에 고정된 돌편(34)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건축물에 소요되는 전체 마루판을 설치한 다음에는 벽판을 세운다. 제3도는 벽판(38)이 리브(32)를 배치시킨 후에 남은 돌편(34)의 공간내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돌편(34)의 칫수는 리브와 벽판이 합리적으로 끼워맞추어질 수 있도록 정해진다.
제4도는 접합장치(40)에 의해서 인접한 벽판(42), (44)를 연결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밀봉재료(46)이 악천후에 대한 대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벽판(42)는 중공상으로 되어 유리섬유(48)과 같은 적당한 절연용 충전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접합장치의 작용은 벽판(42), (44)가 함께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이들은 서로 당겨줌으로써 밀봉재료(46)을 눌러주어 연접부를 효과적으로 폐쇄시켜 주는 것이다. 벽판은 견고한 건축물을 제공하도록 필요한 높이까지 연접된다.
제5도에는 골함석으로 된 지붕판(50)이 도시되어 있다. 골함석의 저면에 고정된 것은 절연된 천장(52)이다. 지붕판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합장치(40)을 최종적으로 체결시키기 전에 벽판(52), (56) 사이에 내려진다. 벽판이 접합장치에 의해서 서로 당겨지게 되면, 이들의 상연부는 천장(52)와 견고하게 끼워맞추어져 천장을 바람의 영향으로부터 지지시켜 주게 된다.
인접한 지붕판(60), (62) 사이의 연접부(58)은 지붕판의 골함석과 천장 사이에 폭이 좁은 골함석편(64)를 삽입시킴으로써 밀봉된다. 마찬가지로, 골함석편(66)을 삽입시킴으로써 처마가 제공되는데, 처마는 건축물의 벽판으로부터 멀리 낙수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벽판에는 문과 창문을 조립시킬 수 있는데, 이들 문 또는 창문은 벽판에 돌출구조물이 없는 형태의 것이 적합하다. 창문은 예를 들어 미닫이식으로 될 수 있으며, 문에는 요입형 파수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벽판은 불사용시에 적층시켜 둘 수 있으므로 더욱 경제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별한 연결작업을 수반하지 않고서 건축물을 세우기 위한 간단하고 신속한 시공법을 제공한다. 건축물의 구성요소들은 쉽게 운반될 수 있으며, 운반 또는 저장시에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한다. 접합장치(40)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는 벽판의 일측면에서만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이 간단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노동력이 적게 들게 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의 장점은 마루판과 벽판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복잡한 연결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벽판(38)의 하부를 따라 리브(20), (22)를 수용하도록 된 요구부(12)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그 외의 다른 연결기술은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마루판 리브가 정확하게 배치되면, 벽판들은 마루판의 연부를 따라 간단히 직립위치로 배치되고 그 하부들을 리브를 따라 요구부(12)내에 있게 되기 때문에, 리브 및 벽판들을 요구부내에 배치시키는데 노동력이 적게 들게 된다.

Claims (1)

  1. 상부면에 요구부 (12, 28)가 있는 지지블럭(10)을 공간의 마루지역 경계부 주위에 배열시키고, 블록의 높이를 수평으로 조정하며, 벽판(38, 42, 44, 54, 56)을 경계부 주위에서 요구부(12, 28)내에 끼워 맞추는 수단들을 포함한 마루를 깔고 벽을 세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건축물 시공법에 있어서, 마루판(16, 18, 30)으로부터 현수된 리브(20, 22, 32)가 벽판(38, 42, 44, 54, 56)을 따라 요구부(12, 28)에 끼워 맞추어지며, 요구부(12, 28)의 폭이 리브(20, 22, 32)와 벽판(38, 42, 44, 54, 56)을 모두 끼워 맞출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접합방법.
KR1019810002153A 1981-06-15 1981-06-15 조립식 건물의 접합방법 KR86000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153A KR860000017B1 (ko) 1981-06-15 1981-06-15 조립식 건물의 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153A KR860000017B1 (ko) 1981-06-15 1981-06-15 조립식 건물의 접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546A KR830006546A (ko) 1983-09-28
KR860000017B1 true KR860000017B1 (ko) 1986-01-30

Family

ID=1922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153A KR860000017B1 (ko) 1981-06-15 1981-06-15 조립식 건물의 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058A (ko) * 2001-06-14 2002-12-31 양진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와 슬라브 조립 시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546A (ko) 198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333A (en) Unitized post and panel building system
US4068434A (en) Composite wall panel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tion
US4674250A (en) Modular building panel
EP0039614B1 (en) A construction method and kit
US2396828A (en) Building construction
US20170306621A1 (en) An exterior wall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exterior wall
US3736709A (en) Building system
US2396829A (en) Building construction
KR20010012388A (ko) 모듈라 샌드위치 패널과 주택건축방법
KR860000017B1 (ko) 조립식 건물의 접합방법
HU183339B (en) Variable building construction
CA321145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structing and interconnecting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s
GB2109836A (en) Building method
JP2004225461A (ja) 基礎上の空隙構造
US10214903B2 (en) Panel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GB2200383A (en) Engineered housing
GB2166768A (en) Prefabricated building elements with assembly joints
JP3136509B2 (ja) 建物外壁の施工方法
JP3083467B2 (ja) 太陽電池屋根
JP2645250B2 (ja) 装飾パネル
JPS642894Y2 (ko)
AU740462B2 (en) The pre cast wall construction system
JPH11222920A (ja) 外部床の防水方法
JPH10148019A (ja) 建物の入り隅部の組立庇施工方法およびその入り隅部用組立庇
JP2002276148A (ja) 幕板施工用治具および幕板施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