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3271Y1 -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3271Y1
KR850003271Y1 KR2019850014942U KR850014942U KR850003271Y1 KR 850003271 Y1 KR850003271 Y1 KR 850003271Y1 KR 2019850014942 U KR2019850014942 U KR 2019850014942U KR 850014942 U KR850014942 U KR 850014942U KR 850003271 Y1 KR850003271 Y1 KR 850003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counter
reverse rot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4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이가라시
나까시로오 무까이
하루끼 오오쓰끼
Original Assignee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10000963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4988A/ko
Application filed by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filed Critical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50014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3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3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271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 장치
제1도는 본고안장치의 1실시예를 적용한 농업기계의 밋숀케이스 앞부분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동력전동 계통도.
제3(a)도-제3(d)도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회전용 및 역회전용의 1방향 회전클러치의 각각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4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력전동 계통도.
제5(a)도-제5(d)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각각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본 고안은 엔진쪽에 설치한 입력축으로서 구동되는 카운터축과, 차륜등의 주행부를 구동하는 쪽에 설치되는 변속축을 복수조(組)의 변속기어기구 및 역회전기어기구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클러치의 작동에 의하여 택일적으로 결합되어서 변속을 행하도록 구성한 트랙터 및 기타의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이 예컨대 유압클러치 와 같은 클러치 진입단절 동작으로서 변속절환을 행하는 차량에 있어서는 언덕길등에서 엔진을 정지하여 주차시킬때 가령 유압클러치를 그 클러치를 넣은 상태로 하여 놓더라도, 이때 오일펌프도 정지되는바 유압클러치에서 압력오일이 빠져나가 버리므로 인하여 그 유압클러치의 개소에서 주행부와 엔진쪽과의 동력전동경로가 단절되는 것으로 되어서 엔진브메이크의 작용을 기대할 수 없이 주차브레이크 힘이 부족한 경우라면 동력농업기계가 자연히 전동(轉動)될 염려도 있고 또한, 동일한 이유로서 밧데리가 과(過)방전 되었을 때의 엔진의 견인시동작업도 이와같은 동력농업기계에서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키 위한 것으로, 엔진을 정지함에 있어서도 기체의 자연적인 전동등이 충분히 억지되도록 구성한 변속전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표시한 동력농업기계의 실시예에 따라서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단측면도로서 제2도에 동력전동 계통도로서 표시한 바와같이, 엔진(1)에 메인클러치(2)를 개재하여 연결된 입력축(3)의 뒷부분에는 변속축(4)의 앞부분을 베어링(5)으로서 축지지함과 아울러, 이 변속축(4)의 뒷부분은 베어링(6)으로서 밋숀케이스(7)로 축지지하고, 변속축(4)에 병렬로 연결시킨 카운터축(8)을 베어링(9)(10)으로서 밋숀케이스(7)에 축지지하며, 작은 지름의 역회전용 카운터기어(11) 및 바깥지름이 각각 다른 정회전용 카운터기어(12b)(12c)를 카운터축(8)에 설치하고, 전기한 역회전용 카운터기어(11)와 변속축(4)에 베어링(13)을 설치하여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끼운 역회전용 변속기어(14)를 역회전 아이들기어(15)를 개재하여 치차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서 역회전용 변속장치로 구성하고, 또 베어링(16)(17)에 의해서 전기한 변속축(4)에 각각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설치한 정회전용 변속기어(18b)(18c)를 정회전용 카운터기어(12b)(12c)와 치차 연결시키며, 전기한 입력축(3)의 뒷부분에 형성한 작은지름의 입력기어(3a)를 큰지름의 카운터기어(12a)와 치차 연결시켜서 정회전용 변속장치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전기한 역회전용 변속기어(14)를 변속축(4)에 결합시키는 역회전용 클러치(20)와, 정회전용 변속기어(18b)(18c)를 각각 변속축(4)에 결합시키는 정회전용 클러치(21a)(21b)(21c)를 각각 설치하여서 전기한 클러치(20)(21a)(21b)(21c)를 택일적으로 클러치 진입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변속축(4)에 기어를 개제하여 연결한 제2변속축(22)위를 축방향으로만 미끄럼작동하는 것이 자유로운 쉬프트 기어군(群)(23)이 제2카운터축(24)에 유전시킨 제2카운터 기어군(25)에 택일적으로 치차 연결되도록 한 기계식 변속장치(26)를 설치하고, 전기한 제2변속축(22)에 붙었다 떨어졌다하는 것이 자유자재롭게 되는 클러치(27)를 개재하여 구동되는 구동되는 구동피니온축(28)은 뒷바퀴 자동장치(29)를 개재하여 브레이크장치(30)(30)을 갖춘 좌우의 뒷차륜(31)(31)을 각각 구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역회전용 클러치(20)와, 정회전용 클러치(21a)(21b)(21c)의 구조에 있어서 예컨대, 정회전용 클러치(21a)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변속축(4)에 끼워진 클러치 하우징(32)내에 기름이 새지 않도록 밀접하게 설치되어서 스프링(33)에 의하여 클러치 이탈방향으로 접동하여 탄성력이 가해지게되는 피스톤(34)을 설치하고, 전기한 클러치 하우징(32)에 서축방향으로만 미끄럼작동이 자유자재 하게 되도록 끼워맞추어진 마찰판(35)과 입력기어(3a)의 축두(HUB)부분에 축방향으로의 미끄럼작동만이 자유자재하게 되도록 끼워맞추어진 마찰판(36)과로 구성된 것에 의하여, 오일펌프(37)의 압력오일이 변속축(4)의 뒷부분에 끼워맞추어진 어댑터(38)를 개재하여 변속전환밸브(39)로 도입되어 운전조작원이 회전조작하는 변속레버(40)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작동되는 이 변속전환밸브(39)의 스프울(41)은 밋숀케이스(7)의 유로(7a)와 어댑터(38)의 유로(38a) 및 변속축(4)에 천설되어 있는 유로(도면표시 생략)에서 변속레버(40)가 지시하는 전기한 유압클러치의 클러치 하우징의 유로(a)(b)(c)(d)를 각각 개재하여 오일펌프(7)의 압력오일을 택일적으로 오일을 분배하는 것으로 되는 것이며, 예컨대 유로(a)에서 피스톤(34)의 뒷부분에 압력오일이 공급되면 이 피스톤(34)은 마찰판(35)(36)을 눌러서 접촉되도록 하여 입력기어(3a)가 변속축(4)에 결합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정회전용 클러치(21c)의 클러치 진입동작에 의한 정회전용 카운터기어(12c)와 정회전용 변속기어(18c)와의 치차 연결에 의한 동력전달은, 정회전방향에서는 가장 늦은 전진 1속도(V1)의 회전속도가 변속축(4)에 주어지며, 정회전용 클러치(21b)의 클러치 진입동작에서는 정회전 카운터기어(12b)와 정회전용 변속기어(18b)가 치차 연결되어 전진 2속도(V2)가 주어지고,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정회전용 클러치(21a)의 클러치 진입에 의하면 정회전 방향에서는 가장빠른 직결인 전진 3속도(V3)가 변속축(4)에 주어진다. 한편 역회전용 클러치(20)가 클러치 진입으로 되면 역회전용 카운터기어(11), 역회전용 아이들기어(15), 역회전용 변속기어(14)의 치차연결에 의하여 변속축(4)에는 상기한 전진 1속도(V1), 전진 2속도(V2), 전진 3속도(V3)와는 반대방향이며, 역회전용 변속기어(14)보다도 저속으로 되는 후진 1속도(R1)가 주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즉, 역회전용 카운터기어(11)의 외경보다도 역회전용 변속기어(14)의 직경이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입력기어(3a)와 전기한 변속축(4)을 1방향 회전클러치(42)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서, 전기한 정회전용의 1방향 회전클러치(42)는 변속축(4)쪽에서의 정회전 구동력만을 입력축(3)으로 전달한다. 즉, 제3(a)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뒷쪽에서 보아서 좌측으로 회전되는 입력축(3)의 입력기어(3a)에 끼워진 외측링(42a)은 이 입력축(3)과 동일한 방향이며, 또한 이것보다 늦은 전진 1속도(V1), 전진 2속도(V2)로서 회전되고 있는 변속축(4)에 끼워진 내측링(42b)에 대하여서는 좌측으로의 상대되는 속도를 보유하게 되므로 전기한 입력기어(3a)와 변속축(4)은 서로 자유로 운상태로서 회전되며, 또 제3(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변속축(4)이 우측으로의 역회전을 할 때에도 내측링(42b)에 대하여 좌측으로의 상대속도를 보유하는 외측링(42a)과 입력기어(3a)는 서로 자유로운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같이 내측링(42b)이 외측링(42a)에 대하여 좌측으로의 상대속도를 보유하는 것으로 되는 예컨대, 제3(c)도의 상태에 있어서는 이 1방향회전클러치(42)에 의하여 변속축(4)과 입력기어(3a)가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의 것으로한다.
그리고 역회전용 변속기어(14)와 변속축(4)을 역회전용 1방향 회전클러치(43)로서 연결하는바, 이 역회전용의 1방향회전 클러치(43)는 변속축(4)쪽에서의 역회전 구동력만을 역회전용 변속기어(14)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즉, 제3(a)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뒷쪽에서 보아 우측으로 회전되는 역회전용 변속기어(14)에 끼워진 외측링(43a)은 전진 1속도(V1) 또는 전진 2속도(V2)로서 좌측으로 회전되고 있는 변속축(4)에 끼워진 내측링(43b)에 대해서는 자유로원 상태로서 회전되는바, 후술하는 바와같이 이 내측링(43b)과 외측링(43a)에 대해 우측으로의 상대속도를 보유하게 된다.
제3(d)도의 상태에 있어서는 이 1방향회전클러치(43)에 의하여 역회전용 변속기어(14)와 변속축(4)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4도에 표시한 다른 심시예에 있어서는, 역회전용 변속기어(44)를 변속축(4)에 설치하고 역회전아이들기어(15)에 치차연결된 역회전용 카운터기어(45)는 베어링(46)을 개재하여 카운터축(8)에 회동이 자유자재하게 끼우며, 전기한 카운터기어(45)를 카운터축(8)에 클러치 하우징을 끼워붙인 역회전용 클러치(47)를 개재하여 그 카운터축(8)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역회전용 카운턴기어(45)와 카운터축(8)을 역회전용의 1방향회전 클러치(48)를 개재하여 연결하는바, 이 역회전용 1방향 회전용 클러치(48)는 역회전용 카운터기어(45)쪽으로부터의 정회전 구동력만을 카운터축(8)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즉, 제5(a)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뒷쪽에서 보아 우측으로 회전되는 카운터축(8)에 끼워붙인 내측링(48a)이 역회전용 카운터기어(45)에 끼워붙인 외측링(48b)에 대하여 우측으로 회전되는 상대속도를 보유할때는 내측링(48a)와 외측링(48b)은 자유로운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바와같이 외측링(48b)이 내측링(48a)에 대하여 바른쪽으로의 상대속도를 갖는 것으로 된다.
에컨대 제5(d)도의 상태에 있어서는 이 1방향회전클러치(48)에 의하여 역회전용 카운터기어(45)와 카운터축(8)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표시예의 동력농기계에 있어서는 카운터기 '(12a)의 회전동력을 P.T.O. 클러치(49)와 P.T.O. 변속기어 유니트(50)를 개재하여 동력취출축(51)에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회전용 변속장치 및 역회전용 변속장치를 함께 유압클러치를 넣었다 떼었다하는 것에 의한 변속전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기계식의 클러치에 의하여 변속전환되는 상기한 각 변속장치에도 물론,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정회전용 클러치(21a)는 설치하지 않더라도 위에서 말한 동작에는 지장이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의 변속전동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의 실시예의 엔진구동의 경우에 있어서 정회전용 클러치(21c)(21b)를 택일적으로 클러치를 넣는 상태로 변환하게 되면 입력축(3)의 회전속도(V)는 전진 1속도(V1), 전진 2속도(V2)의 어느 것보다도 크므로 제3(a)도로서 표시한 바와같이 변속축(4)에 대하여 뒷쪽에서 보아 좌측으로의 상대속도를 보유하는 입력기어(3a)는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며, 또 역회전용의 1방향회전 클러치(43)에 대해서는, 변속축(4)에 대하여 뒤쪽에서보아 우측으로의 상대속도를 보유하는 역회전용 변속기어(14)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으로 되므로, 입력축(3)의 회전동력은 정회전용 클러치(21c) 또는 (21b)의 클러치를 넣는것에 대응하는 전진 1속도(V1) 또는 전진 2속도(V2)의 어느 것인가의 속도로 감속되어 변속축(4)이 구동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역회전용 클러치(20)를 넣는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제3(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정회전용의 1방향회전클러치(42)는 위에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하게 자유로운 상태로 되며, 역회전용의 1방향 회전클러치(43)는 변속축(4)보다도 고속회전 되는 역회전용 변속기어(14) 및 이것과 일체로된 외측링(43a)은 변속축(4)에 대하여 뒷쪽에서 보아 우측으로 회전되는 상대속도를 갖기 위하여 자유롭게 되어 소정의 반대방향 회전속도로서 변속축(4)이 회전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엔진(1)을 정지시킨 주차상태로서 하향 비탄길인 경우 그 차량이 자연히 전진하기 시작하였을 때는 제3(c)도의 표시와 같이 역회전용의 1방향 회전클러치(43)는 변속축(4)에 대하여 뒷쪽에서 보아 우측으로 회전되는 상대속도를 갖게 되므로 제3(a)도의 경우와 동일하게 자유롭게 되지만, 이에대하여 정회전용의 1방향회전 클러치(42)는 변속축(4)과 내측링(42b)이 좌측으로 회전되므로 외측링(42a)은 이 내측링(42b)에 대하여 우측으로의 상대속도를 보유하게 되어 내측링(42b)와 외측링(42a)는 감겨지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변속축(4)의 회전은 입력축(3)을 개재하여 엔진(1)로 전하여지는 것으로 되는바 엔진 브레이크가 작용하여서 차량의 앞쪽으로의 자연전동은 억지될 수가 있다.
또 상향비탈길에 주차하였을 때에도 제3(d)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역회전용의 1방향회전 클러치(43)의 외측링(43a)는 변속축(4)에 대하여 좌회전 상대속도를 보유하는 것으로 되므로, 내측링(43b)와 외측링(43a)는 잠겨지는 상태로 되어서 전기한 변속축(4)의 회전은 역회전용 변속기어(14), 역회전용 아이들기어(15), 역회전용 카운터기어(11)를 개재하여 카운터축(8)으로 전달되는 카운터기어(12a) 및 입력기어(3a)를 개재하여 엔진(1)으로 전달되므로 엔진 브레이크가 작용하는 것으로 되며, 정회전용의 1방향 회전클러치(42)는 변속축(4)에 대하여 뒷쪽에서보아 좌측으로 회전되는 상대속도를 갖게되므로 자유롭게 된다.
또, 제4도에 표시한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회전용의 1방향회전 클러치(42)의 동작은 상술한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것이며, 역회전용의 1방향회전 클러치(48)에 대해서는 카운터축(8)에 끼워져있는 내측링(48a)에 대하여, 역회전용 카운터기어(45)에 끼워진 외측링(48b)이 좌측으로의 회전속도를 보유하는 것으로 되는 엔진구동시의 진진상태인 제5(a)도 및 엔진이 정지된 상태로 하향비탈길에 주차시 제5(c)도에 있어서는 내측링(48a), 외측링(48b) 모두 자유로운 상태로 되는바, 그 역회전용 클러치(47)가 클러치 진입상태로 되었을 때는 내측링(48a), 외측링(48b)은 모두 일체로 회전되는 것으로 되며, 또한 외측링(48b)이 우측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되는 상향 비탈길에서의 주차시에는 내측링(48a)에 대하여 외측링(48b)은 제5(d)도의 우측에 표시된 바와같이 우측으로의 상대속도를 갖는 것으로 되므로 이 1방향 회전클러치(48)는 잠겨진 상태로 되어 변속축(4)의 회전은 카운터축(8)을 기재하여 엔진(1)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엔진브레이크가 작용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엔진의 견인시동도 이 주차의 때와동일하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변속전동장치는 차량의 엔진을 정지한 상태로 장시간 주차시켰을때, 유압클러치를 사용하는 변속전동 장치로서 유압클러치의 압력오일이 빠지거나 옥은 또 기계식 클러치를 사용한 변속전달장치로서 클러치 차단의 상태에 있더라도, 차량의 자연전동에 대하여 앞쪽 또는 뒷쪽의 어느쪽 방향에서도 엔진브레이크가 걸레 되므로, 기계식의 주차 브레이크에 비해 한층 더 유효한 주차브레이크로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며, 또 엔진의 견인시동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뒷차륜(31)(31)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변속축(4)을 입력축(3)의 뒷부분에 그 입력축(3)과 동심으로 축지하고, 전기한 변속축(4)에 병렬로 축지한 카운터축(8)에는 카운터기어(12a)를 끼워 부착하여서 입력축(3)에 설치하고 있는 입력기어(3a)와 그 카운터기어(12a)를 향상 치합시키며, 전기한 변속축(4)과 카운터축(8)에는 그 카운터축(8)의 회전을 변속축(4)으로 입력축(3)보다도 감소시키거나 역회전시켜서 전동되도록 상호 서로 치합하는 정회전용 변속기어(18b)(18c)와 정회전용 카운터기어(12b)(12c)로서 이루어지는 정회전용 변속 장치와 역회전용 변속기어(14)와 역회전용 아이들기어(15)와 역회전용 카운터기어(11)로서 이루어진 역회전용 변속장치를 설치하고, 전기한 입력축(3)과 변속축(4)의 사이 및 이들의 변속장치가 형성되는 전동경로에는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러치(20)(21a)(21b)(21c)를 설치한 변속전동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입력축(3)과 변속축(4)의 사이에는 그 변속축(4)의 옆에서 입력축(3)을 차량 전진방향으로만 구동되도록 구성한 정회전용의 1방향 회전클러치(42)를 설치함과 아울러 전기한 변속축(4)과 역회전용 변속장치나, 카운터축(8)과 전기한 역전장치사이에는 변속축(4)의 옆에서 카운터축(8)을 차량 후퇴방향으로만 구동되도록 구성한 역회전용의 1방향 회전클러치(43)(4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전동장치.
KR2019850014942U 1981-03-24 1985-11-13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 장치 KR850003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4942U KR850003271Y1 (ko) 1981-03-24 1985-11-13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963A KR830004988A (ko) 1981-03-24 1981-03-24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장치
KR2019850014942U KR850003271Y1 (ko) 1981-03-24 1985-11-13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963A Division KR830004988A (ko) 1981-03-24 1981-03-24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271Y1 true KR850003271Y1 (ko) 1985-12-30

Family

ID=2662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4942U KR850003271Y1 (ko) 1981-03-24 1985-11-13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32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851B2 (en) Multi ratio drive
US3906817A (en) Multiple speed transmission
JP4616321B2 (ja) 走行車両の変速装置
US5052987A (en) Stepless hydrostatic-mechanical transmission
KR870002447Y1 (ko) 더블클럿치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
US4798103A (en) Automatic transmission with add-on overdrive
GB2063395A (en) Two-speed sub-transmission for a vehicle
US5623851A (en) 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KR850003271Y1 (ko) 차량에 있어서의 변속 전동 장치
KR950013512B1 (ko) 자동차의 자동 변속 장치
US5035682A (en) Automotive transmission apparatus
JPS6128847B2 (ko)
US4538475A (en) Speed-changing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s
CA1102584A (en) Multiple speed transmission with auxiliary transfer drive
KR840001663B1 (ko) 차량용 주행 전동장치
GB2096251A (en) Speed-changing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s
JP4464512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US4232567A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GB2051977A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1143183A (en) Speed-changing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s
US6629470B2 (en) Tractor having a high speed shift device
CN213017558U (zh) 分动器和车辆
KR830002488Y1 (ko) 차량용 트랜스미션
JPS6114688Y2 (ko)
KR20100078379A (ko) 차량의 풀타임 4륜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