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447Y1 - 더블클럿치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더블클럿치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447Y1
KR870002447Y1 KR2019820007165U KR820007165U KR870002447Y1 KR 870002447 Y1 KR870002447 Y1 KR 870002447Y1 KR 2019820007165 U KR2019820007165 U KR 2019820007165U KR 820007165 U KR820007165 U KR 820007165U KR 870002447 Y1 KR870002447 Y1 KR 870002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to
clutch
transmission shaft
gear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545U (ko
Inventor
마사요시 미야하라
마사오 다까기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게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게가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15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ssentially with both gears that can be put out of gear and continuously-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37/042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 F16H37/043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2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omprising at least one creep low gear, e.g. additional gear for extra low speed or cree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84Meshing assisters
    • Y10T74/19288Double clutch and interposed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더블클럿치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더블클럿치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제 1 도는 밋숀의 단면도.
제 2 도는 변환레버부의 사시도.
제 3 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요부의 개략도.
본 고안은 트랙터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더블클럿치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목적에 따라서 싱글클럿치형과 더블클럿치형으로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부터 트랙터에 있어서는, 주행클럿치와 PTO 클럿치를 병설한 더블클럿치장치를 갖추고, 주행클럿치에 연동하는 주행주측과 PTO 클럿치에 연동하는 PTO 주축을 내외 2중축상으로 설치하고, 이들 주측을 개재하여 주행계 및 PTO 계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것은 통상적으로 1개의 클럿치페달에 각 클럿치를 연동시키고 그 제 1 단을 밟았을 때에 주행클럿치가, 다시 더 깊이 밟아서 제 2 단을 넣을때에 PTO 클럿치가 각각 단절되는것으로서, 목초용등의 작업시기에 있어서는 대단히 편리하다.
그러나 종래는 더블클럿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도 반드시 제 2 단을 밟아넣는 위치까지 페달을 밟지 않으면 PTO 클럿치를 단절시킬 수가 없어서, 페달을 조작할 때의 스트로크가 크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그 특징으로 하는 바는 PTO 주축에 연동하는 제 1 기어기구와, 주행주축에 연동하는 제 2 기어기구 및 양기어기구를 PTO 전동축에 선택적으로 연동연결하는 연결수단인 시프터를 설치한 점이다.
따라서 전기한 연결수단의 변환에 의하여, 제 1 기어기구를 개재하여 PTO 주축과 PTO 전동축을 연동연결하면 종래와 같은 더블클럿치형으로 되어, 목초용등의 작업에 있어서 대단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전기한 연결수단의 변환으로서 제 2 기어기구를 개재하여 주행주축과 PTO 전동축을 연동연결하면 싱글클럿치형으로 되어 클럿치 페달의 제 1 단으로 밟아넣는 것에 의하여 주행계와 PTO 계에의 동력의 절단을 동시에 행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PTO 구동장치는, 본래 더블클럿치형이면서도 연결수단의 변환조작에 의하여 더블클럿치형은 물론 싱글클럿치형으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작업목적에 따라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기재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도에 있어서(1)은 클럿치하우징 내에 설치된 더블클럿치 장치로서, 주행클럿치(2)와 PTO 클럿치(3)로 이루어진다.
(4)는 주행클럿치(2)에 연동하는 주행주축, (5)는 PTO 클럿치(3)에 연동하는 PTO 주축으로서 이들 주축(4)(5)은 내외 2중축형상으로 끼워맞추어짐과 아울러 클럿치 하우징과 밋숀케이스와의 격벽(6)을 관통하여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축가되어 있다. 주행주축(4)의 상하에는 축받이 (7),(8),(9),(10)을 개재하여 제1주행전동축(11) 및 제 1 PTO 전동축(12)이 각각 평행하게 축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제 1 주행전동축(11)의 후방축심위에 제 2, 제 3 주행전동축(13)(14)이 축받이(15),(16),(17)을 개재하여 축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제 3 주행전동축(14)의 하부이며 또한 주행주축(4)의 후방측심위에는 측받이(18),(19)를 개재하여 제 4 주행전동축(20)이 축방향으로 설치되어서, 그 제 4 주행전동축(20)은 베벨피니온(21)을 개재하여 도면 외의 차동장치에 연동되어 있다.
제 1 PTO 전동축(12)의 후방축심위에는 제 2 및 제 4 PTO 전동축(22)(23)이 축받이 (24),(25),(26)을 개재하여 축방향으로 설치되며, 또 주행주축(4)와 제 4 주행전동축(20)과의 사이에는 축받이 (27)등을 개개하여 제 3 PTO 전동축(28)이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29)는 주변속장치로서, 주행주축(4) 위의 기어(30)(31)(32)(33)과, 여기에 상시 맞물리도록 제 1 주행 전동축(11)위에 헛돌게 끼워진 기어(34),(35),(36),(37)를 갖추고, 또한 제 1 주행전동축(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럼작동만 가능하며 기어(34)와 (35)에 선택적으로 교합되는 쉬프터(38)와 기어(36)과 (37)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쉬프터(39)를 갖추고 있다.
(40)은 크리이프 변속장치로서 제 1 주행전동축(11)위에 고정설치된 기어(41), 대경부(大徑部)(42a)가 기어(41)에 교합하도록 제 3 PTO 전동축(28)위에 헛돌게 끼워진 크리이프기어(42), 제 2 주행전동축(13)위에 스프라인 끼워맞추어지며 또한 제 1 주행전동축(11) 및 크리이프기어 (42)의 소경부(42b)에 선택적으로 맞물렸다 떨어졌다 하게된 쉬프트기어(4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4)는 전후진변환기구로서 제 3 주행전동축(14)위에 고정설치된 스프라인보스(45) 및 기어(46), 제 3 주행전동축(14)위에 혈겁게 끼워진 기어(47), 제 4 주행전동축(20)위에 헐겁게 끼워지며 또한 대경부(48a)가 기어(46)가 맞물리는 기어(48), 기어(47)과 기어(48)의 소경부(48b)에 맞물리는 중간기어(49), 제 2 주행전동축(13)위에 스프라인되도록 끼워맞추어져 있으며 또한 교합부(50a)가 스프라인보스(45) 및 기어(47)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렸다 떨어졌다 하게된 쉬프터(50)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쉬프터(50)에는 쉬프트기어(51)가 계합시켜지고 또 그 쉬프트레버(51)는 밋숀케이스의 측벽에 삽입지지된 회동측(52)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회동축(52)을 개재하여 변환레버(53)에 연결되어 있다.
변환레버(53)는 제 2 도에 표시와 같이 안내판(54)의 안내홈(55)에 따라서 후동측(52) 주위에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자재롭고 그 조작방향과 전후진 변환기구(44)의 변환방향이 일치시켜지고 있다. 그리고 안내판(54)의 지시판(56)에는 전후방향으로 화살표(57),(58)가 표시되어 있다.
(59)는 부변속장치로서, 제 4 주행전동축(20)위에 키이(60)로서 결합된 기어(61),(62), 기어(62)에 맞물리도록 제 3 주행전동축(14)위에 헛돌게 끼워진 기어(63), 기어(61),(63)에 대하여 맞물렸다 떨어졌다 하게 제 3 주행전동축(14)위에 스프라인되도록 끼워 맞추어진 쉬프트기어 (64)로 구성되어 있다.
(65)는 제 1 기어기구로서, PTO 주축(5)의 후단에 고정설치된 기어(66)와 이 기어(66)에 맞물려서 제 1 PTO 전동축(12)위에 헛돌게 끼워진 기어(67)로 이루어진다.
(68)은 제 2 기어기구로서, 주행주축(4)에 고정설치된 기어(31)와 이 기어(31)에 맞물리도록 제 1 PTO 전동축 (12)위에 헛돌게 끼워진 기어(69)로 이루어진다.
제 1, 제 2 기어기구(65),(68)의 감속비는 제 1 기어기구(65)쪽이 약간 크며, 또 각 기어기구(65),(68)의 기어(67),(69)는 연결수단인 쉬프터(70)에 의하여 제 1 PTO 전동축(1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다.
(71)은 PTO 변속장치로서, 제 3 PTO 전동축(28)위에 고정설치된 기어(72)(73), 기어(73)에 맞물리도록 제 2 PTO 전동축(22)위에 고정설치된 기어(74), 기어(72) 및 제 2 PTO 전동축(2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렸다 떨어졌다 하도록 제 1 PTO 전동축(12)에 스프라인 되도록 끼워맞추어진 쉬프트기어(7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77)은 제 4 PTO 전동축(23)위에 헛돌게 끼워진 앞바퀴(미도시)의 구동용 기어로서, 대경부(77a)와 소경부(77b)로 이루어지며, 소경부(77b)가 제 4 주행전동축(20)에 고정설치된 기어(78)와 맞물려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엔진으로 부터의 동력은 주행클럿치(2), 주행주측(4), 주변속장치(29), 제 1 주행전동축(11), 크리이프변속장치(40), 제 2 주행전동축(13), 전후진변환기구(14), 제 3 주행전동축(14), 부변속장치(59) 및 제 4 주행전동축(20)을 경유하여 차동장치에서 뒷바퀴로 전달되며 동시에 앞바퀴 구동용기어(77)을 경유하여 앞바퀴에도 전달된다.
이때, 주변속장치(29)에서는 쉬프터(38),(39)의 조작에 의하여 4단, 크리이프변속장치(40) 및 부변속장치(59)에서는 쉬프트기어(43),(64)의 조작에 의하여 각각 2단의 변속이 가능하다.
전후진의 변환에 있어서는 변환레버(53)를 지시판(56)의 화살표(57)방향으로 조작하면 쉬프터(50)가 화살표(a)방향으로 미끄럼작동하고 교합부(50a)가 스프라인보스부(45)에 맞물리므로 제 2 주행전동축(13)에서 스프라인보스(45)를 경유하여 제 3 주행전동축(14)으로 동력이 전달되며 차량은 지시판(56)의 화살표(57)와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된다.
또 변환레버(53)를 화살표(58)방향으로 조작하면 쉬프터(50)가 화살표(b)표시방향으로 미끄럼작동하여 기어 (47)에 맞물리므로 제 2 주행전동축(13)의 동력은 기어(47), 중간기어(49), 기어(48),(46)을 경유하여 제 3 주행전동측(14)으로 전달되며 이 제 3 주행전동축(14)이 상기방향과는 방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량은 화살표(58)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한다. 따라서 변환레버(53)의 조작방향과 전후진변환기구(44)의 변환동작에 의한 차량의 주행방향의 일치하므로 운전석, 핸들등의 운전부를 전후로 자세변경하도록한 형식의 차량에 있어서 그것을 변경하였을 때에도 전후진의 구별을 잘못하여 잘못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후진 모두 16속까지의 변속이 가능하여 작업에 적합한 차량속도를 얻을 수가 있다.
한편 더블클럿치 조작을 필요로 하는 작업기를 구동하는 경우는 쉬프터(70)를 기어(67)에 맞물리게 하고 제 1 기어기구(65)를 제 1 PTO전동축(12)에 접속한다.
그러면 엔진으로 부터의 동력 PTO 클럿치(3)에서 PTO 주축(5), 제 1 기어기구(65), 제 1 PTO 전동축(12), PTO 변속장치(71), 제 2 PTO 전동축(22), 제 4 PTO 전동축(23)을 경유하여 PTO축에서 작업기로 전달되어 간다.
이 경우 PTO 변속장치(71)에 의하여 2단변속이 가능하다.
또 제 1 기어기구(65)의 감속비는 엔진의 완전회전에서의 PTO 변속장치(71)의 변환에 의하여 약 540r.p.m 및 1000r.p.m 정도의 회전이 얻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더블클럿치 조작을 필요로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PTO 축의 회전은 540 및 1000r.p.m으로 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블클럿치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기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쉬프터(70)를 기어(69)에 맞물리게하고 제 2 기어기구(68)를 개재하여 주행주축(4)에서 제 1 PTO 전동축(12)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PTO 계를 주행클럿치(2)로서 단속할 수 있기 때문에 폐달의 스트로크가 작게되는 등, 조작이 대단히 용이하다.
이 경우, 제 2 기어기구(68)의 감속비는 PTO 축의 회전이 800r.p.m 및 1300r.p.m 정도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기어기구(65),(68)는 제 1 도에 표시한 것같이 상시 맞물리는 식으로 하는 외에 제 3 도에 표시와 같이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식으로 해도 좋다.
즉 쉬프트기어(76)에 각기어(66),(31)에 맞물릴 수 있는 기어부(76a)(76b)를 설치하고 이 쉬프트기어 (76)를 제 1 PTO 전동축(12)위에 스프라인되도록 끼워맞춤하여서 제 1, 제 2기어기구(65')(68')를 구성해도 좋다.
다만 제 1 도에 표시한 상시 맞물리는 식의쪽이, 제 1 PTO 전동축(12)에 대한 접동부재가 비교적 소형인 쉬프터(70)만이 것에서 적은 힘으로서 양호한 변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제1, 제 2기어기구(65)(65'),(68)(68')는 감속비를 동일하게 해도 좋으나 앞에서 말한것 같이 제 1기어기구(65),(65')쪽을 약간 크게 해서 더블클럿치로하여 사용하는 경우 PTO축의 회전이 540 및 1000r.p.m으로 싱글클럿치로서 사용하는 경우 PTO 축의 회전이 800 및 1300r.p.m 정도로 되도록 구성하면 각각 그 작업에 적용한 PTO 축의 회전수도 얻을 수가 있다.

Claims (5)

  1. 주행클럿지(2)와 PTO 클럿지(3)를 병설한 더블클럿지(1)와, 전기한 주행클럿지(2)에 연동하는 주행주축(4)과 전기한 PTO 클럿지(3)에 연동하는 PTO 주축(5)과, 이들 양 주축(4),(5)는 내외 2중축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장지에 있어서, 전기한 PTO 주축(5)에 연동하는 제 1 기어기구(65)(65')와 주행주축(4)에 연동하는 제 2 기어기구(68)(68') 및 양기어기구(65)(65')(68)(68')를 제 1 PTO 전동축(12)에 선택적으로 연동연결하는 쉬프터(70)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더블클럿지형 밋숀의 PTO구동장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제 1 기어기구(65)가 PTO 주축(5)에 고정설치된 기어(66)와, 이 기어(66)에 상시 맞물리며 제 1 PTO 전동축(12)위에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느슨하게 끼워진 기어 (67)로부터 이루어지며, 전기한 제 2기어기구(68)가 주행주축(4)에 고정설지된 기어(31)와, 이 기어(31)에 상시맞물리며 제 1 PTO 전동축(12)위에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느슨하게 끼워진 기어(69)로 부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럿지형 밋숀의 PTO 구동장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한 제 1 기어기구(65)의 감속비가 제 2 기어기구(68)의 감속비보다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럿지형 밋숀의 PTO 구동장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제 1 기어기구(65')가 PTO 주축(5)에 고정설치된 기어(66)와, 이 기어(66)에 맞물림가능하며 제 1 PTO 전동축(12)에 스프라인되도록 끼워맞추어진 기어부(76a)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제 2 기어기구(68')가 주행주축(4)에 고정설치된 기어(31)와 이기어(31)에 맞물림가능하며, 전기한 제 1 PTO 전동축(12)에 스프라인되도록 끼워맞추어진 기어부(7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더블클럿지형 밋숀의 PTO 구종장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전기한 제 1 기어기구(65')의 감속비가 제 2 기어기구(68')의 감속비보다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럿지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
KR2019820007165U 1981-09-11 1982-09-10 더블클럿치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 KR87000244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35622 1981-09-11
JP1981135622U JPS5844225U (ja) 1981-09-11 1981-09-11 ダブルクラツチ型ミツシヨンのpto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545U KR840001545U (ko) 1984-05-17
KR870002447Y1 true KR870002447Y1 (ko) 1987-07-25

Family

ID=1515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165U KR870002447Y1 (ko) 1981-09-11 1982-09-10 더블클럿치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565102A (ko)
JP (1) JPS5844225U (ko)
KR (1) KR870002447Y1 (ko)
AU (1) AU540339B2 (ko)
CA (1) CA1191365A (ko)
DE (1) DE3233931A1 (ko)
FR (1) FR2512754B1 (ko)
GB (1) GB21086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341A (en) * 1985-08-02 1987-08-11 Kubota, Ltd.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ctor
US4741227A (en) * 1986-06-19 1988-05-03 501 Kubota, Ltd. Tractor transmission to permit smooth change of speed operation effectuated by rotational resistance
IT1211427B (it) * 1987-10-26 1989-10-18 Same Spa Presa di forza a quattro velocita per trattori
IT1219343B (it) * 1988-05-31 1990-05-11 Fiatgeotech Cambio di velocita per un veicolo particolarmente un trattore agricolo
US5339703A (en) * 1990-02-07 1994-08-23 Kubota Corporation Transmission for a vehicle
KR930008957B1 (ko) * 1991-03-11 1993-09-17 금성전선 주식회사 농용트랙터의 트랜스미션
JP2592406Y2 (ja) * 1992-08-27 1999-03-24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4345568A (ja) * 2003-05-23 2004-12-09 Yanmar Co Ltd トラクタ
JP4252400B2 (ja) * 2003-08-25 2009-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二重軸支持構造
JP4380660B2 (ja) * 2006-05-30 2009-12-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
CN101568749B (zh) * 2007-01-16 2012-12-05 博格华纳公司 双离合器变速器
CA2575181A1 (en) * 2007-01-24 2008-07-24 Park Lake Welding & Manufacturing Ltd. Auxiliary transmission for a motor vehicle
US8011261B2 (en) * 2007-01-29 2011-09-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speed transmission with countershaft gearing arrangement
DE102007040040A1 (de) 2007-08-24 2009-02-26 Zf Friedrichshafen Ag Schaltelement umfassend zumindest drei Schaltstellungen zum Schalten von zwei Übersetzungsstufen
CN102057186A (zh) * 2008-07-03 2011-05-11 迪尔公司 用于变速器的紧凑减速传动装置
US8443686B2 (en) 2009-05-12 2013-05-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US10174794B2 (en) 2016-07-28 2019-0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wer take-off assembly having a multiple stage clutch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912A (en) * 1907-07-08 1914-06-02 Columbia Motor Car Company Gearing.
US2880833A (en) * 1952-05-17 1959-04-07 Ford Motor Co Tractor control mechanism
US2862398A (en) * 1955-02-24 1958-12-02 Borg Warner Transmission
US2975656A (en) * 1958-04-21 1961-03-21 Haverlender Karl Change-speed gear unit for motor vehicles
DE1211497B (de) * 1961-08-16 1966-02-24 Porsche Kg Getriebe fuer Zugmaschinen, insbesondere Ackerschlepper mit einem stufenlos regelbaren Getriebe
FR1333228A (fr) * 1962-06-15 1963-07-26 Renault Bloc de transmission, en particulier pour tracteur
US3372148A (en) * 1963-02-12 1968-03-05 Goodyear Tire & Rubber Terephthalic acid-aliphatic acid copolyester resins
DE1680674A1 (de) * 1965-12-07 1970-06-04 Xaver Fendt & Co Maschinen U S Antriebsvorrichtung fuer Nebentriebe bei landwirtschaftlichen Zugmaschinen od. dgl.
US3733912A (en) * 1970-05-25 1973-05-22 Kubota Ltd Transmission for farm tractor
JPS543732A (en) * 1977-06-11 1979-01-12 Kubota Ltd Transmission structure for four-wheel drive tractor
JPS5447230A (en) * 1977-09-20 1979-04-13 Kubota Ltd Double clutch device for agricultural tractor
JPS54155356A (en) * 1978-05-29 1979-12-07 Kubota Ltd Transmission for vehicle
JPS55159352A (en) * 1979-05-24 1980-12-11 Kubota Ltd Transmission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65102A (en) 1986-01-21
AU8812582A (en) 1983-03-17
AU540339B2 (en) 1984-11-15
GB2108601B (en) 1985-07-03
JPS5844225U (ja) 1983-03-24
DE3233931C2 (ko) 1989-01-19
FR2512754B1 (fr) 1986-02-21
KR840001545U (ko) 1984-05-17
DE3233931A1 (de) 1983-03-31
CA1191365A (en) 1985-08-06
GB2108601A (en) 1983-05-18
JPS6232098Y2 (ko) 1987-08-17
FR2512754A1 (fr) 198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447Y1 (ko) 더블클럿치형 밋숀의 pto 구동장치
US3455185A (en) Torque split type automatic speed change device
US3962930A (en) Synchronized manually controlled multiple speed ratio transmission
JPS6348413Y2 (ko)
US4138906A (en)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for vehicles
US4292860A (en) Transfer device associated with power transmission
US4356879A (en) Manipulation device for a transmission apparatus
US4458551A (en) Manual transmission
US4170273A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four-wheel drive motor vehicle
US2661634A (en) Change speed transmission for vehicles
KR910000932B1 (ko)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US3403568A (en) Transmission
KR950002365B1 (ko) 작업차의 트랜스밋숀
US4610174A (en) Transmission for a tractor
GB2175361A (en) Gear type transmission
US4718295A (en) Free-wheeling gears for a multiple speed transaxle transmission
CA1102584A (en) Multiple speed transmission with auxiliary transfer drive
CA1044046A (en) Change-speed transmission in range-type design for motor vehicles
JPS6128847B2 (ko)
US2422173A (en) Transmission
JP3739993B2 (ja) 作業車の変速装置
EP0420392A2 (en) Transmission output assemly
JPS608207Y2 (ja) トラクタにおける前後進装置
JPS6244825Y2 (ko)
JPS623061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