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278Y1 - 모심는 장치 - Google Patents

모심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278Y1
KR850002278Y1 KR2019810003592U KR810003592U KR850002278Y1 KR 850002278 Y1 KR850002278 Y1 KR 850002278Y1 KR 2019810003592 U KR2019810003592 U KR 2019810003592U KR 810003592 U KR810003592 U KR 810003592U KR 850002278 Y1 KR850002278 Y1 KR 850002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driven
cam surface
side membe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3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834U (ko
Inventor
다다시 곤도오
지아끼 몬덴
Original Assignee
얀마-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filed Critical 얀마-노오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0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심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모심는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그 일부 절결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클럿치 부분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전개 평면도.
본 고안은 모심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로는 본체 케이싱에 식부조를 구동하는 식부축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식부축을 클럿치를 개재하여 입력축에 연동 연결하고, 또 클럿치에 있어서 종동측부재를 축심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그 종동측 부재의 구동측 부재와의 맞물림과 떨어짐을 행하도록 하는 한편, 전기한 종동측 부재의 이동을 포오크 부재에 의해서 행하도록한 모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와같은 모심는 장치에 의해 모심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식부조를 소정의 회전궤적에 따라서 회전시켜서, 그 식부조가 상부위치에 도달했을때 모재치대로부터 모를 취출하여 하부위치로 회전되었을때 모를 논바닥에 심을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따라서, 모심는 작업을 할 논의 끝부분에서 모심는 장치의 방향 전환을 행할 경우에는 전기한 클럿치로서 식부조를 정지시켜서 행하도록 하는바, 그때 식부조는 클럿치 조작과 동시에 그 조작 시점에서 정지되므로, 식부조가 회전 궤적의 아래쪽위치에 있을때 전기한 클럿치를 조작하면, 모심는 장치의 방향 전환시에 식부조가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바, 그 식부조가 경작지의 진흙등과 접촉해서 식부조 및 식부 아암등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폐단점이 있었다.
한편 일특공소 49-34486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식부조의 설정위치 정지기구가 구동륜, 접동체, 접동체시프트용 포오크 캠, 식부조 회전 스톱퍼등으로 구성된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와같은 것은
1) 클럿치 조작시에 스프링의 압력을 받고 있는 접동체를 미끄럼 작동시키는 것이므로 클럿치 조작하중이 크고,
2) 식부조의 설정위치 정지기구 전체가 많은 부분품을 요구하여 매우 복잡하게되며,
3) 각 부분품의 배치에 정밀도가 요구되고,
4) 식부조가 그 궤적의 어느 한 특정위치에 존재할때만 클럿치 단절이 행하여지는 것이므로 클럿치 단절의 시간이 정해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식부조가 회전궤적의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클럿치 조작을 행하여 식부조를 항상 윗쪽위치에 위치되도록 정지시키므로서 그 식부조 및 식부 아암등의 손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로는, 전기한 클럿치의 종동측 부재에 전기한 포오크 부재가 맞닿는 것에 의해 종동측 부재를 구동측 부재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캠면과, 전기한 포오크 부재의 종동측 부재 중심축으로의 돌입에 의해 종동측 부재를 구동측 부재로 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제2캠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2캠면을 제1캠면의 회전방향 뒷쪽부분으로 연속되도록 배치하고, 또한 종동측 부재에 있어 제2캠면의 회전 방향뒷쪽부분으로 포오크 부재가 미끄럼 작동되어서 충돌되는 것에 의하여 종동측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퍼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면중 (1)은 모심는 장치의 본체 케이싱이며, 그 케이싱(1)내에는 식부축(2)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식부축(2)의 축방향 양측에서 전기한 케이싱(1)으로부터 돌출되는 양단부에 각각 식부아암(3)을 개재해서 식부조(4)를 부착함과 아울러, 케이싱(1)내에는 식부축(2)과 평행하게 중간축(5)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이 중간축(5)에는 모심는 장치의 기체측에서 연장된 입력축(6)의 축끝부분에 설치한 입력 베벨기어(7)와 맞물리는 종동 베벨기어(8)를 헐겁게 끼우는 한편, 전기한 중간축(5)과 식부축(2)에는 기어(9), (10)를 설치하고, 그 양쪽기어(9), (10)사이에는 체인(11)을 가설하여 입력축(6)에서 입력되는 회전동력을 중간축(5)을 개재해서 식부축(2)에 전달하여 식부조(4)를 소정의 회전 궤적에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중간축(5)위에서 종동 베벨기어(8)의 옆쪽에는 클럿치(12)를 설치해서 그 클럿치(12)에 의해 입력축(6)에서 식부축(2)에 이르는 회전동력을 클럿치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한 클럿치(12)는 구동축 부재와 종동측 부재로 구성되며, 종동 베벨기어(8)를 구동측 부재로해서 그 기어(8)의 축방향측 단면에 클럿치조(13)를 설치함과 아울러, 종동측 부재로는 중간축(5)에 형성한 스플라인부(5a)와 계합되는 스플라인(14a)를 가진 주연부(14b)가 부착된 통체(14)와, 이 통체(14)위에 그 통체(14)의 주연부(14b)와 소정 간격을 두고 끼워부착시킨 환체(15)로 형성하고, 그 통체(14)의 주연부(14b)에 베벨기어(8)의 클럿치조(13)와 맞물림이 가능한 클럿치조(16)를 설치해서 통체(14)의 주연부(14b)와 환체(15)의 사이에 전기한 중간축(4)에 가깝게 축가한 포오크 부재(17)를 개입시켜서, 그 포오크부재(17)에 의해 유체(14)를 중간축(5)의 스플라인부(5a)에 따라 이동시켜 양 클럿치조(13), (16)가 서로 맞물림과 떨어짐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모심는 장치에 있어서 제4도 및 제5도에 상세하게 표시한 바와같이, 클럿치(12)의 종동측 부재를 구성하는 환체(15)의 통체(14)에 주연부(14b)와 대향하는 내면측 위치에 환체(15)의 외주면보다 낮은 위치의 원호상 단부(15a)를 형성하고, 이 원호상 단부(15a)의 환체(15)측벽부에 그 환체(15)의 회전방향 앞쪽에 있어서 폭방향 두께가 얇고 또 회전방향 뒷쪽의 폭방향 두께가 두껍게 되도록 환체(15)의 회전 방향 앞쪽에서 뒷쪽에 걸쳐서 축심방향 바깥쪽으로 경사진 제1캠면(15b)을 형성하고, 포오크 부재(17)를 환체(15)의 원호상단부(15a)에 돌입시키는 것에 의해 환체(15)의 회전에 따라 전기한 캠면(15b)을 포오크부재(17)에 안내시켜서 그 환체(15) 즉, 통체(14)를 클럿치(12)의 구동측 부재인 종동 베벨기어(8)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환체(15)에 있어서 원호상단부(15a)가 형성된 측단면에 그 원호상단부(15a)의 회전방향 뒷쪽으로 연결되도록 전기한 원호상 단부(15a)에 축심방향 바깥쪽으로 경사지는 제2캠면(15c)을 형성하고, 환체(15)에 있어서 제1캠면(15b)의 종단측이 포오크부재(17)에 이르렀을때, 그 포오크 부재(17)를 제2캠면(15c)에 따라서 반경 방향 안쪽으로 요동되게 하고, 이에 따라 포오크 부재(17)를 개재해서 환체(15) 즉 통체(14)를 종동 베벨기어(8)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클럿치(12)가 완전히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전기한 포오크부재(17)의 제2캠면(15c)에 따른 반경 방향 안쪽에의 요동은 그 포오크부재(17)를 환체(15)의 반경 방향 안쪽으로 항상 탄성압력이 가해지도록 설치한 스프링(18)에 의해 행하여지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환체(15)에 있어서 제2캠면(15c)의 회전 방향 뒷쪽에 스톱퍼면(15d)을 형성하고, 이 스톱퍼면(15d)에 포오크부재(17)를 미끄럼 작동되게하여 충돌시키는 것에 의해 환체(15) 즉, 통체(14)의 회전을 정지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스톱퍼면(15d)이 포오크부재(17)와 맞닿아서 환체(15) 및 통체(14)가 회전 정지한때 전기한 식부축(2)에 부착시킨 식부조(4)가 회전 궤적의 윗쪽위치에서 모재치대(19)로부터 모를 취출하기 전의 상태에 위치되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중(20)은 모재치대(19)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축(21)의 구동축으로서 전기한 중간축(5)과 체인(11)에 의해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 모심는 장치를 논의 끝부분에의 방향전환시키게 되는 경우에 포오크부재(17)를 조작해서 그 포오크부재(17)의 선단을 클럿치(12)의 환체(15)와 통체(14)의 주연부(14b)와의 사이에 개입되도록 요동시킨다.
그러면 포오크부재(17)가 제4도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환체(15)에 형성한 원호상단부(15a)에 돌입되고, 이 상태로 양 클럿치조(13), (16)가 맞물리게되어 통체(14) 및 환체(15)는 종동 베벨기어(8)와 일체로 회전하고, 따라서 환체(15)는 그 제1캠면(15b)이 포오크부재(17)에 안내되어서 양 클럿치조(13), (16)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환체(15)의 회전에 따라 제1캠면(15b)의 종단측이 포오크부재(17)를 통과하여서 그 포오크부재(17)가 제2캠면(15c)의 위치에 이르면, 그 포오크부재(17)가 스프링(18)에 의해 제2캠면(15c)을 타고 반경방향 안쪽으로 요동되며, 따라서 환체(15) 즉, 통체(14)가 전기한 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양 클럿치조(13), (16)가 서로 떨어져서 종동베벨기어(8)로부터 통체(14)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된다. 그리고 통체(14) 및 환체(15)는 회전탄성력에 의해 다시 회전되며, 제4도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환체(15)의 스톱퍼면(15d)에 포오크부재(17)가 미끄럼 작동되어서 충돌되었을때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 스톱퍼면(15d)에 포오크부재(17)가 맞닿게 되면 식부조(4)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회전 궤적의 윗쪽위치로 위치되고, 따라서 식부조(4)는 클럿치(12)에 의한 동력의 차단시에 항상 윗쪽에 위치되어 방향전환시등에 경작지의 진흙등과 접촉되는 일이 없다.
또 방향 전환후에는 포오크부재(17)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요동조작시 통체(14)를 복귀용 스프링(22)에 의해 자동복귀시켜서 양 클럿치조(13), (16)을 맞물리게 하여 식부조(4)에 회전동력을 전달시키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모심는 장치로는 방향 전환시등에 식부조가 회전 궤적의 어떠한 위치에 있을때에 클럿치 조작을 행하여도 식부조를 항상 윗쪽위치에 위치시켜서 정지시킬수가 있고, 따라서 식부조를 아래쪽에 위치시킨채로 방향전환등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식부조및 식부아암등을 손상시킬 우려를 확실히 방지할수가 있다.

Claims (1)

  1. 본체 케이싱(1)에 식부조(4)를 구동시키는 식부축(2)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 식부축을 클럿치(12)를 개재해서 입력축(6)에 연동연결하고, 또 전기한 클럿치(12)에 있어서 종동측 부재를 축심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그 종동측부재의 구동측 부재에의 맞물림과 떨어짐을 행하게 함과 아울러, 이 종동측 부재의 이동을 포오크 부재(17)에 의해서 행하도록 한 모심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클럿치(12)의 종동측 부재에 전기한 포오크부재(17)를 맞닿도록한 것에 의해 종동측 부재인 통체(14)와 환체(15)를 구동측 부재인 종동베벨기어(8)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캠면(15b)과, 전기한 포오크 부재(17)의 종동측 부재를 중심측으로의 돌입에 의해 종동측 부재를 구동측 부재에서 떨어지게하는 제2캠면(15c)을 형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제2캠면(15c)을 제1캠면(15b)의 회전 방향 뒷쪽부분에 이어지도록 배치하고, 전기한 종동측 부재에 있어서 제2캠면(15c)의 회전 방향 뒷쪽부분으로 포오크부재(17)가 미끄럼 작동하여 충돌되는 것에 의해 종동측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퍼면(15d)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심는 장치.
KR2019810003592U 1980-12-15 1981-05-20 모심는 장치 KR8500022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0180540U JPS6228812Y2 (ko) 1980-12-15 1980-12-15
JP???55-180540 1980-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34U KR830000834U (ko) 1983-09-22
KR850002278Y1 true KR850002278Y1 (ko) 1985-10-15

Family

ID=2997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3592U KR850002278Y1 (ko) 1980-12-15 1981-05-20 모심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28812Y2 (ko)
KR (1) KR8500022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9205B2 (ja) * 2007-08-06 2012-04-04 株式会社クボタ クラッチ装置、及びそのクラッチ装置を用いた苗植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02931U (ko) 1982-06-24
KR830000834U (ko) 1983-09-22
JPS6228812Y2 (ko) 198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2278Y1 (ko) 모심는 장치
ATE35725T1 (de) Mechanischer drehantrieb.
US3481437A (en) One way positive clutch with snap operator
US2316131A (en) Multispeed drive
US4022077A (en) Control means with a spring lever
JP2008082443A (ja) 爪クラッチ構造
DK8805165A (ko)
US3393782A (en) Shifter for toothed drive member
US2670630A (en) Belt drive transmission with friction reverse
JPH0411807A (ja) 定位置停止クラッチ
US2795970A (en) Planetary transmission
WO2001018425A1 (en) Step-gear box having free wheel clutches
JPS55139552A (en) Motive power changeover device
US2586460A (en) One revolution clutch for machines
US1585996A (en) Clutch
US3372782A (en) Clutch with non-rotatable cam actuator
US2081689A (en) Transmission
JPS56160222A (en) Operational error preventing device for power-take-off transmission mechanism
JPS6487971A (en) Gear move-off preventing device
GB2248566A (en) Retracting power tool drive spindle
US1922965A (en) Transmission gear
US2883872A (en) Change speed transmission
JPS59131037A (ja) Ptoクラツチ装置
JPS6021929Y2 (ja) 田植機における動力伝達装置
RU2082045C1 (ru) Планетарный приво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