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947Y1 -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947Y1
KR850001947Y1 KR2019830011458U KR830011458U KR850001947Y1 KR 850001947 Y1 KR850001947 Y1 KR 850001947Y1 KR 2019830011458 U KR2019830011458 U KR 2019830011458U KR 830011458 U KR830011458 U KR 830011458U KR 850001947 Y1 KR850001947 Y1 KR 850001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ng
paper
separation
corona wir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1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206U (ko
Inventor
임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 성 사
Priority to KR2019830011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947Y1/ko
Publication of KR8500052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2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9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corona discharge devices, e.g. wires, pointed electrodes, means for cleaning the corona discharge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 G03G2215/026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ronas
    • G03G2215/027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ronas using 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 장치
제1도는 전자복사기의 전체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종이 분리 장치의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이 분리 장치의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종이 분리 장치의 사시도.
제5(a)도는 본 고안의 종이 분리 장치의 단면도. 제5(b)도는 종래의 종이 분리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분리코르 나와이어 13 : 분리용호 울더
14' : 분리부재 15 : 감착부
본 고안은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복사기에 있어서 드럼의 감광층에 정전적으로 흡착된 종이를 드럼의 감광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한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장치의 분리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부(1), 현상계(2), 드럼(3), 분리전사부(4), 크리닝부(5), 광학계(6), 정착기(7), 및 카세트(8)로 구성되어 복사시드럼(3) 면상에 감광층을 설치하여 드럼이 1회전할 동안에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분리 및 정착의 공정을 반복실시하게되는바, 이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 있어 상기한 전사 공정에 있어서는 전사용 호울더(16)의 DC 고전압 코로나 와이어(Corona Wire)(10)로써 종이(9)를 드럼(3) 윗면에 설치된 감광층 위에 압접시켜 드럼(3)의 감광층위에 현상되어 있는 토우너(Toner) 입자를 종이(9)로 옮겨주게되고, 이토우너입자를 함유한 종이(9)를 AC고전압 코로나 와이어(11)로서 드럼(3)의 감광층으로부터 분리시켜 정착부로 안내하는 판(12)으로 보내주는 것이 분리장치이다. 그런데 이 분리공정중 AC 고전압 코로나 와이어(11)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으로 말미암아 전사된 토우너입자를 함유한 종이(9)가 정착부로 안내하는 판(12)으로 반송되지 못하고, 코로나 와이어(11)를 가진 분리용 호울더(13)의 속으로 들어가 꾸겨짐을 일으키는 원이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의 분리장치에서는 분리용 호울더(13)의 상부에 분리부재(14)를 설치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제2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부재(14)가 분리용호울더(13)의 윗면에 고정설치되고 또한 고전압 코로나 와이어(11)는 분리부재(14)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코로나 와이어(11)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을 전사된 토우너입자를 함유한 종이에 발생시켜줄 경우 분리부재(14)를 통과하게 되는 고전압은 분리부재(14)의 폭으로 인하여 드럼(3)의 감광층과 분리코로나 와이어(11)사이의 방전전류가 증가하게되어 전사된 토우너입자를 함유한 종이(19)의 토우너입자가 드럼(3)의 감광층으로 되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영향으로 인하여 화상이 흐려지게 되고 복사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시킨 것으로, 분리코로나 와이어가 설치된 분리 호울더의 일측 상단부에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중간저면에 감착부를 돌설한 분리부재의 일측 하향경사면을 분리코로 나와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4도 및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고, 내측에 AC고전압분리 코로나 와이어(11)가 설치된 분리용 호울더(13)에 있어서, 분리용 호울더(13)의 일측상단부에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중간저면에 감착부(15)를 돌설한 수개의 분리부재(14')를 그 감착부(15)가 호울더(13)의 상단에 감착고정되게 설치하되 분리부재(14')의 일측경사면이 분리 코로나 와이어(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분리부재(14)가 분리코로나 와이어(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드럼(3)의 감광층에 대해 분리용 호울더(13)의 상면이 완전히 개방되므로 분리 코로나 와이어(11)의 방전시, 전류의 일부 증가됨을 방지하여 종이 전면에 균일한 방전을 함으로써 복사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상면이 개구되고 내측에 AC 고전압 분리 코로나 와이어(11)가 설치된 공지의 분리용 호울더(11)의 일측상단부에,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중간 저면에 감착부(15)를 돌설한 분리부재(14')를 그 일측 경사면이 분리코로나 와이어(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서된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장치.
KR2019830011458U 1983-12-31 1983-12-31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 장치 KR850001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458U KR850001947Y1 (ko) 1983-12-31 1983-12-31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458U KR850001947Y1 (ko) 1983-12-31 1983-12-31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206U KR850005206U (ko) 1985-08-07
KR850001947Y1 true KR850001947Y1 (ko) 1985-09-11

Family

ID=7016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1458U KR850001947Y1 (ko) 1983-12-31 1983-12-31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9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206U (ko) 1985-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947Y1 (ko) 전자복사기의 종이 분리 장치
JPH03213887A (ja) 電子写真装置の転写装置
JPS59119373A (ja) 画像形成装置
JP2536550B2 (ja) 静電複写機の除電分離装置
JPH06314005A (ja) 画像形成装置
KR950003315B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전사부 용지 가이드 장치
JP3455018B2 (ja) 画像形成装置の作像ユニット
JPS59218470A (ja) 電子写真複写機の転写装置
KR012619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히트롤러 장치
KR950000163Y1 (ko) 정전방식 프린터
KR930000489B1 (ko) 레이져 프린터의 용지안내 장치
JP2988953B2 (ja) 電子写真装置のコロナチャージャ
JPH02213879A (ja) 電子写真装置における用紙剥離装置
JPS6273279A (ja) 記録紙搬送部を備えた複写装置
JPH085478Y2 (ja) コロナ放電器
KR100191201B1 (ko) 소모품에 장착된 전사장치
JPH03174178A (ja) 画像形成装置
JPH03188474A (ja) 帯電装置のガイドリブ
JPS63155171A (ja) クリ−ニング装置
JPS63163385A (ja) 複写紙搬送装置
JPH0727301B2 (ja) 複写機
JPS61211253A (ja) シ−ト搬送案内装置
JPH0377984A (ja) 転写装置
JPS62178288A (ja) 転写・剥離チヤ−ジヤユニツト
JPH0695534A (ja) 転写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