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866Y1 - 창구(艙口)덮개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구(艙口)덮개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866Y1
KR850001866Y1 KR2019850007413U KR850007413U KR850001866Y1 KR 850001866 Y1 KR850001866 Y1 KR 850001866Y1 KR 2019850007413 U KR2019850007413 U KR 2019850007413U KR 850007413 U KR850007413 U KR 850007413U KR 850001866 Y1 KR850001866 Y1 KR 850001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djacent
arm
horizontal
hatc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꾸오 야마다
기요시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고꾸도 막구 구레고 가부시기가이샤
이도 쓰께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4271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4108A/ko
Application filed by 고꾸도 막구 구레고 가부시기가이샤, 이도 쓰께모리 filed Critical 고꾸도 막구 구레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50007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63B19/19Hatch covers foldable
    • B63B19/197Hatch covers foldable actu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구(艙口)덮개의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취부한 창구덮개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3도는 제1도 장치의 동작의제1단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제1도 장치의 제2단계 준비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제1도 장치의 동작의 제2단계를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제1도 장치의 동작의 제3단계 준비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제1도 장치의 동작의 최종단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창구(艙口)덮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격납대(格納坮)위에 병풍처럼 접혀지는 3매로 된 패널을 가진 아코디언형 창구덮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패널로된 종전의 아코디언형 창구덮개는 인접하는 2매의 패널 연결부에 토오숀바아(torsion bar)또는 유압기구를 내장시켜 창구덮개를 접게하는 것이 있었으나 취급 및 배관이 복잡하고 값도 비싸다. 또 유압구동 기구를 바깥에 장비하는 경우에는, 패널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기구가 복잡해지고 다수의 주행레일 및 가속용 경사로를 필요로 하며 제조원가도 높아질 뿐더러 보수를 번잡하게 한다.
본 고안은 종전의 아코디언형 창구덮개의 개폐장치에서 생기는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부품의 종류와 수량을 대폭적으로 절감시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낮은 단가로 제작되는 아코디언형 창구덮개의 개폐장치를 얻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접하는 끝 가장자리 부분을 서로 경첩으로 연결시켜서 창구 가장자리 부재에 인접하는 격납대상에 병풍처럼 절첩시킨 3매로 이루어진 복수매의 패널을 구비하여 폐창(閉艙)시 격납대에 가장 근접하는 패널(이하 제1패널이라고 한다)을 격납대 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시킨 아암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아코디언형 창구덮개에 사용되고, 격납대에 인접설치한 지지대위에 한쪽 끝부를 수평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 상기 제1패널로부터 순서적으로 번호가 붙여진 모든 기수번 패널의 측가장자리에 설치한 수평돌기의 하측 레벨에서 그 수평핀으로 부터 창구 가장자리 부재로 향하여 수평으로 뻗어나가는 대기 위치와 그 수평핀에서 연직 상방으로 뻗어나가 일으켜세운 위치 사이에서 황복하는 회동아암과, 상기 지지대에 인접하여 갑판상에 설치되어 작동 끝부를 상기 회동아암에 접속시키고 있는 유압잭등의 회동 구동원과, 제1패널로부터 세어서 최후미의 패널에 접속되어 최후미 패널을 폐창위치와 격납위치 사이에서 왕복시키는 무단체인 등의 주행구동원을 구비한 창구덮개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이 상기 수평핀을 부착한 끝부와 반대측끝부 사이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프(telescope) 구조로 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덮개의 개폐장치가 얻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여 보면 창구 가장자리 부재(17)의 윗면에 나란하게 위치된 복수매(도시예에서는 6매)의 창구덮개 패널(11),(12),(13),(14)(15)(16)로 된 아코디언형 창구덮개(20)와, 이것에 사용하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10)가 나타내져 있다. 각 창구덮개 패널(11),(12),(13),(14),(15)은 각각 경첩(23a)(23b)(23c)(23d)(23e)에 의해 인접하는 접속패널에 접속되어 있다. 격납대(18)가 창구 가장자리부재(17)의 좌측끝부로부터 그 연장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의 폐창 상태에서 격납대(18)에 가장 근접하는 패널(11)(이하 제1패널이라 한다)은 그 좌측끝부에 부착된 아암부재(21)가 있으며 아암부재(21)는 회동핀(22)에 의해 격납대(18)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패널(11)은 도면에 나타낸 수평위치에서 회동핀(22)의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직립 격납위치에 둘수 있다.
제1패널(11)로부터 오른쪽으로 향하여 차례로 번호를 붙이면 모든 기수번의 패널(11),(13),(15)은 측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수평돌기(4A),(4B),(4C)가 있고, 최종 패널 즉 제6패널(16)은 그 측 가장자리 부분으로 부터 밑으로 처진 접속금구(5)를 구비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수평돌기(4A),(4B),(4C)에는 각각 동축(同軸)적인 로울러를 부착하여도 좋다.
제3패널(13), 제5패널(15) 및 제6패널(16)은 각각 창구 가장자리부재(17)상의 궤도(도시않음)를 따라 회전하는 차륜(24A),(24B),(24C)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10)는 격납대(18)에 인접하여 갑판(19)에 부착된 지지대(9)에 수평핀(6)에 의해 한쪽 끝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한 회동아암(1)을 구비하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동아암(1)은 좌측끝부를 수평핀(6)에 의해 지지대(9)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한 관형부분(31)과, 이관형부분(31)에 그 우측끝부에서 삽입된 텔레스코프 구조의 접동부분(摺動部分)(3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형부분(31)의 내부 좌측끝부에 인접하여 텔레스코프용 구동실린더(25)가 부착되어 작동끝부 (25W)를 상기 접동부분(32)에 접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구동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해 접동부분(32)이 관형부분(31)을 따라 접동되어 수평핀(6)과 접동부분(32)의 우측끝부 사이의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브래킷(26)에 의해 한쪽끝부가 갑판(19)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유압잭(2)이 반대끝부 즉, 작동끝부(2W)를 회동아암(1)의 관형부분(31)에 접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유압잭(2)의 작동에 의해 회동아암(1)은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수평위치와 제3도에 나타낸 직립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동한다.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회동아암(1)이 수평위치에 놓여질때 이 회동아암(1)이 상기 수평돌기(4A),(4B),(4C)의 하측레벨에서 수평핀(6)으로 부터 창구 가장자리부재(17)로 향하여 뻗어나오도록 수평핀(6)의 높이가 선정되는 것으로 한다.
회동아암(1)의 수평위치는 수평아암(1)을 상기 수평돌기(4A),(4B),(4C)의 하측에 늘어뜨려 펼치기위해 텔레스코프 구조를 신장시키는 조정위치이며, 수평핀(6)으로 부터 연직 상방으로 뻗어나오는 제3도,제5도,제7도의 위치는 각 기수번 패널(11),(13),(15)을 격납위치에 일으켜 세운 위치이다.
텔레스코프 구조의 회동아암(1)의 접동부분(32)은 구동실린더(25)에 의해 제2도의 우측으로 밀려 나아갈때 각 기수번패널(11)(13),(15)의 각 수평돌기(4A),(4B),(4C)를 넘어 충분하게 오른쪽 방향으로 뻗어나올 만큼의 길이를 가진 것으로 한다.
제1도를 다시 설명하면 창구 가장자를부재(17)의 양끝부에 부착된 한쌍의 스프로켓(7),(8)에 무단체인(3)이 걸어져 있다. 한쌍의 스프로켓(7),(8)중 어느 한쪽이 적당한 구동원(도시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동원은 가역형의 것으로 하고, 구동측과 이것에 부착된 스프로켓(7),(8)과의 사이에는 적당한 라쳇트 기구 및 정지기구를 부착한다. 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무단체인(3)에는 소요되는 유도 스프로켓 및 헐거운 스프로켓을 부착한다. 무단체인(3)은 그 상측주행부(3U)를 각 창구덮개패널(11 내지 16)의 하면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놓고 최종패널(16)의 측가장자리 부분에서 밑으로 처진 접속금구(5)가 상측주행부(3U)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6패널(16)은 그 외의 패널과 함께 무단체인에 의해 창구 가장자리부재(17)상의 궤도를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작동시에 제1도의 폐창 상태에서 개창하는 경우에는, 수평 대기위치에 있는 회동아암(1)의 접동부분(32)을 충분하게 우측으로 밀어내어 제1패널(11)의 수평돌기(4A)의 하측에 놓여지도록 한다. 그래서 구동원(2)에 의해 회동아암(1)을 수평핀(6) 주위에 반시계방향(제1 a도)으로 회동시킬 때는 제1패널(11)을 회동핀(22)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한꺼번에 직립 격납위치로 일으켜 세운다. 이때 제2패널(12)은 제1패널(11)에 절첩되며 나머지 후속패널(12 내지 16)이 격납대(18)쪽으로 끌어당겨져 제3도의 위치에 달한다. 이때 최종패널(16)에서 밑으로 처진 접속금구(5)가 무단체인(3)의 상측 주행부(3U)를 좌측으로 끌어당기지만 구동스프로켓(8)에는 라쳇트 기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무단체인(3)의 추종은 지장없이 행해진다.
제1 및 제2패널(11),(12)을 격납위치에 일으켜 세운후 텔레스코프용 구동실린더(25)를 작동시켜 회동아암(1)의 접동부분(32)을 관형부분(31)의 내부로 후퇴시켜 회동아암(1)의 길이를 축소시키면 제4도의 상태가 된다. 그렇게 하면 회동아암(1)이 제4도의 위치에 놓여진 제3패널(13)의 수평돌기(4B)에 충돌하지 않고 수평위치로 되돌려 진다.
이 경우 제6패널(16)이 무단체인(3)에 의해 제4도의 위치에 보전되므로 각 패널이 폐창위치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운동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래서 다시 텔레스코프용 구동실린더(25)를 작동시켜 회동아암(1)의 길이를 증대시켜 앞끝부분을 수평돌기(4b)의 하부에 놓고, 유압잭(2)을 작동시켜 회동아암(1)을 수평핀(6)의 주위에 반시계방향(A)으로 회동시킬때는 제3패널(13)을 일거에 직립 격납위치에 넣어 제5도의 위치에 달한다. 이 경우에는 제4패널(14)이 제3패널(13)에 절첩되어 후속패널(15),(16)이 격납대(18)쪽으로 끌어당겨져 있다. 그래서 텔레스코프용 구동실린더(25)에 의해 회동아암(1)의 길이를 축소시키면 제6도의 위치에 달한다. 그래서 회동아암(1)을 수평위치로 되돌린후 다시 텔레스 코프용 구동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해 회동아암(1)의 길이를 증대하여 그 앞끝 부분을 제5패널(15)의 수평돌기(4C)의 하측에 놓은 유압잭(2)을 작동시켜 회동아암(1)을 수평핀(6)주위에 반시계 방향(A)으로 회동시킬때는 한꺼번에 제5패널(15)을 직립 격납위치에 넣고, 제6패널(16)을 제5패널(15)에 절첩하여 모든 패널의 격납을 완료한 제7도의 위치에 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제3도의 끌어올리는 작업을 3회 반복함으로써 6매패널의 개창작업이 행해진다.
본 고안은 기수매 패널의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다.
격납위치에서 패창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과는 반대의 순서로 모든패널(11 내지 16)이 무단체인(3)에 의해 창구가장자리부재(17)상으로 나온다. 즉 제7도의 격납위치에서 우선 제6도, 제5패널(16),(15)을 무단체인(3)에 의해 창구 가장자리부재(17)상으로 끌어내지만, 이운동중에 회동아암(1)이 제5패널(15)의 수평돌기(4a)에 걸어 맞춰진채 서서히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쌍방패널(15),(16)의 급격한 전도 또는 낙하를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제54, 제3패널(14),(13)을 잡아 끌때에는 회동아암(1)이, 수평돌기(4B)에, 제2, 제1패널을 잡아끌때에는 회동아암(1)이, 수평돌기(4A)에 걸어맞춰져 패널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회동하여 낙하속도를 제어하면서 차차 패널을 끌어 잡아당긴다.
이상과 같이 나타낸 것처럼 본 고안에 의하면 개폐장치 전체가 매우 간소화되어 구성부분으로는 양현(兩舷)으로 1개아암의 회동아암(1)과 무단체인(3)등이 설치되는 것만으로서 다른 부품은 일체 필요치 않다. 따라서 구동부품의 종류의 수량이 대폭적으로 절감되어 원가를 절감할뿐만이 아니라 작동 및 보수도 단순 용이하므로 사용시의 노력도 대폭적으로 절약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각 패널의 창구 가장자리부재상의 위치에서 한꺼번에 격납위치로 넣어지고, 중간 위치에 머물지 않으므로 패널의 불안정한 자세 및 이것에 의해 패널의 폭주, 오조작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회동아암을 수평위치로 되돌릴때 수평돌기(4A),(4B),(4C)가 있으므로 각 패널의 개폐운동을 가감할 필요가 없는점, 각 유압잭(2) 및 텔레스코프용 구동용 실린더(25)등의 유압회로가 단순화되어 작동을 안전하게 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것도 본 고안의 이점이다.

Claims (1)

  1. 인접하는 끝가장자리 부분을 경첩(23a,23b,23c,23d,23e)으로 연결시켜 창구 가장자리부재(17)에 인접하는 격납대(18)위에 병풍처럼 절첩시킨 3매로 이루어진 복수매의 패널(11 내지 16)을 구비하여 팽창시 격납대(18)에 가장 인접하는 패널(11)(이하 제1패널이라 한다)을 격납대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시킨 아암부재(21)를 구비하고 있는 아코디언형 창구덮개(20)에 사용되고, 격납대에 인접설치한 지지대(9)상에 한쪽끝부를 수평핀(6)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 상기 제1패널(11)로 부터 순서적으로 번호가 붙어진 모든 기수번 패널(11,13,15)의 측가장자리에 설치한 수평돌기(4A,4B,4C)의 하측 레벨에서 그 수평핀(6)으로 부터 창구 가장자리 부재(17)로 향하여 수평으로 뻗어나가는 대기(待機)위치와 그 수평핀(6)에서 연직 상방으로 뻗어나가 일으켜세운 위치 사이에서 왕복하는 회동아암(1)과, 상기 지지대(9)에 인접하여 갑판(19)상에 설치되어 작동끝부(2W)를 상기 회동아암(1)에 인접시키고 있는 유압잭(2)등의 회동구동원과, 제1패널부(11)로부터 세어서 최후미의 패널(16)에 접속되어 최후미 패널(16)을 폐창위치와 격납위치 사이에 왕복시키는 무단체인(3)등의 주행구동원을 구비한 창구덮개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1)이 상기 수평핀을 부착한 끝부와 반대측 끝부사이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프 구조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덮개의 개폐장치.
KR2019850007413U 1980-11-06 1985-06-20 창구(艙口)덮개의 개폐장치 KR850001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413U KR850001866Y1 (ko) 1980-11-06 1985-06-20 창구(艙口)덮개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271A KR830004108A (ko) 1980-11-06 1980-11-06 창구(艙口) 덮개의 개폐장치
KR2019850007413U KR850001866Y1 (ko) 1980-11-06 1985-06-20 창구(艙口)덮개의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271A Division KR830004108A (ko) 1980-11-06 1980-11-06 창구(艙口) 덮개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866Y1 true KR850001866Y1 (ko) 1985-08-31

Family

ID=2662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413U KR850001866Y1 (ko) 1980-11-06 1985-06-20 창구(艙口)덮개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8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1267B2 (ja) コンピュータモニタ箱の自動昇降装置
US6179546B1 (en) Externally stowed wheelchair lift
US4263854A (en) Cutting table storage mechanism
KR850001866Y1 (ko) 창구(艙口)덮개의 개폐장치
DE3328015T1 (de) Automatischer projektionsschirm
US3950050A (en) Gear driven linkage for moving members between limit positions
US20180132624A1 (en) Vertically deployable sofa convertible into bunk bed
JPH08210049A (ja) ブラインド装置
JPH0838267A (ja) 棚板昇降装置
US5570485A (en) Bed assembly
CN116354207A (zh) 一种可折叠的电梯井道及轿厢
JP4432176B2 (ja) ブラインド装置
US5785183A (en) Display unit and arrangement of this display unit in premises furnished with an opening
KR0122161Y1 (ko) 컴퓨터모니터함의 자동승강장치
EP0507993B1 (en) A device capable of achieving opening and closing of a plurality of wing elements by combined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thereof
JPH10203792A (ja) 床下昇降装置
JP3179057B2 (ja) ベルト式昇降装置
JPH0429629Y2 (ko)
RU1789482C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нвалидных кол сок
JP2000118650A (ja) 設置物の移動用支持構造
JP2573139Y2 (ja) 貨物自動車のリフト装置
JPH0735112Y2 (ja) パネルシヤツターのパネル懸架装置
JPH0728337Y2 (ja) 客席装置
JPH0725429Y2 (ja) シヤツター装置
JP3215044B2 (ja) 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