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743Y1 - 벤딩 프레스 - Google Patents

벤딩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743Y1
KR850001743Y1 KR2019800008135U KR800008135U KR850001743Y1 KR 850001743 Y1 KR850001743 Y1 KR 850001743Y1 KR 2019800008135 U KR2019800008135 U KR 2019800008135U KR 800008135 U KR800008135 U KR 800008135U KR 850001743 Y1 KR850001743 Y1 KR 850001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unch
bending
fixed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8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657U (ko
Inventor
히데아끼 데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고마쓰세이사꾸쇼
히라오까 히로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고마쓰세이사꾸쇼, 히라오까 히로스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고마쓰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800008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743Y1/ko
Publication of KR8300006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21D5/0227Length adjustment of the di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벤딩 프레스
제1도는 벤딩 프레스의 정면도.
제2도는 가공 상태의 요부의 단면도.
제3도는 제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의 VI-V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본 고안은 벤딩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세하게는 좌우로 긴 에프론(apron)의 상방에 이를 향해 승강하는 좌, 우로 긴 슬라이드를 설치하고, 고정 에프론의 상부에 다이를, 슬라이드의 하부에 펀치를 각각 고정하며, 가압 장치로 슬라이드를 통해 펀치를 다이에 가압함으로써 펀치와 다이 사이에 삽입된 피가공물을 굽힘가공하는 벤딩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굽힘 작업의 펀치와 다이의 침투 깊이의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딩 프레스는 고정 에프론상에 V형 다이를 그리고 슬라이드에는 이에 대응하는 펀치를 구비하며, 피가 공물은 다이상에 위치 시킨다. 가공 장치에 의해 슬라이드 및 펀치가 하강하면 펀치는 피가공물에 접촉하고 이어서 다이내로 들어가 피가공물을 구부리기 시작하며, 슬라이드가 정지점까지 하강하면 굽힘 가공이 완료한다.
피가공물의 굽힘 각도는 V형 다이의 홈 폭 및 펀치의 침투 깊이에 의해 정해진다. 여기서, 침투 깊이는 단지 슬라이드의 정지점 만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아니고 고정에 프론 및 슬라이드의 진직상태, 펀치의 높이, 다이홈의 깊이, 또한 작업중에 있어서의 고정 에프론 및 슬라이드의 변형등에 영향을 받는다.
벤딩 프레스에서 슬라이드에 작용하는 가압 장치의 가압력은 집중 하중이며, 또 고정 에프론은 양단에서 지지된다. 이에 대하여, 굽힘 작업 중에 피가공물은 고정 에프론 및 슬라이드에 작업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분포된 반작용을 미친다. 에프론 및 슬라이드에는 탄성 변형이 발생되며, 이 변형은 굽힘 작업을 행하는데 필요한 가압력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1)의 좌우 양단부에 가압 장치(3)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펀치(4)에는 좌, 우 가압장치(3)의 가압점 간의 중앙에서 최대 δ의 변형이 생긴다. 또, 다이(5)에도 같은 최대 δ'의 변형이 생긴다.
그러나, 이 변형 δ 및 δ'는 최대치며 가압장치의 가압점에 접근함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고정에프론 및 슬라이드의 진직 상태가 그 가공후에 있어서 완전하게 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이들 요인이 복잡하게 영향을 미치어 펀치(4)와 다이(5)의 침투깊이가 변하게 되어 굽힘 각도가 변화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 침투 깊이는 고정 에프론 및 슬라이드의 중앙 부근에서 최소가 되고, 가압장치의 가압점 부근에서 최대가 된다.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근에서 펀치(4)와 다이(5)의 침투 깊이가 얕은 것을 d2라 하면 굽힘 각도는 θ2가 된다. 또, 양단부에 있어서는 침투깊이가 d1이 되며 굽힘 각도도 θ1이 되어 상기 θ2와 비교하여 작게되어 가운데가 처지는 (가운데가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제품의 굽힘 정도에 악영향을 미친다(제3도 참조).
이러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는 복수개의 연결 장치로 펀치와 슬라이드를, 연결하고 각 연결장치에는 경사키이를 구비하며, 경사 키이가 횡방향으로 이동 함으로써 펀치와 슬라이드의 간격을 조절하여 미리 펀치가 변형 δ 만큼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방법을 취하였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상당한 시간과 숙련을 요하고 조정이 상당히 곤란하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 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는 벤딩 프레스의 정면도 및 측면도로써, 펀치(4)는 슬라이드(1)에 취부되어 있다. 가압장치(3)는 프레스 프레임(1a)의 양측부에 취부되어 슬라이드(1)를 상하로 구동하며, 다이(5)는 테이블(6)상에 볼트(7)에 의해 고정되며, 테이블(6)은 고정 에프론(2) 상에 볼트(18)로 취부되어있다. 테이블(6)과 고정 에프론(2) 사이에는 복수조의 웨지가 삽입되어 있다.,
각조의 웨지의 1쪽(16)은 테이블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쪽의 웨지(15)에는 랙(13)이 취부되어 있어 이것을 피니언(11)에 의해 좌, 우로 이동함으로써 굽힘 작업시의 슬라이드 및 고정에프론의 변형을 보정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따라 웨지 부분의 상세한 설명을 한다. 테이블(6)에는 볼트(10)로 판(9)이 취부되어 있다. 이 판(9)은 테이블(6)에 4개소 있으며, 볼트(7)와 너트(8)에 의해 다이(5)를 테이블(6) 상에 고정함과 동시에 펀치(4)와 일직선이 되게 정렬시키는 것이다. 테이블(6)은 볼트(18)에 의해 고정 에프론(2)에 취부되며, 테이블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한 홈이 가공되어 있다.
홈에는 복수개의 상측의 웨지(16)가 볼트(17)로 고정되며, 또 이에 대응하는 슬라이드가 자유 자재한 하측의 웨지(15)가 삽입되어 있다. 이 하측의 웨지(15)에는 랙(13)이 볼트(1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 에프론(2)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한 홈이 가공되며, 또 피니언(11) 및 부싱(12)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가공되어 있다.
니피언(11)은 회전이 자유자재하며, 양단에 가공된 6각 구멍(19)에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테이블(6)과 고정 에프론(2)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18)를 풀어 조정한 후 다시 볼트(18)를 조인다. 따라서, 피니언(1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측의 웨지(15)는 랙(13)과 함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웨지(15)(16)는 서로 계합이 가능하도록 경사져 있다. 즉, 웨지(15) 및 웨지(16)는 우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면을 가지기 때문에 웨지(15)와 웨지(16)의 슬라이드면에는 틈이 생긴다. 이와는 반대로 피니언(1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하측의 웨지(15)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측의 웨지(16)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 경우 테이블(6)과 고정 에프론(2) 사이에는 틈이 생긴다. 피니언(11) 단부면에는 방사상으로 눈금이 각인되어 웨지의 상하 이동량 및 현재치를 읽을 수 있다.
그 이동이 그위에 다이(5)를 설치한 테이블(6) 측상의 스트레인 델타에 상응하게 피니언(11)을 회전시킴으로써 제7도의 상태에서 좌측으로 하부웨지(15)가 이동될 때, 테이블(6)은 상부웨지(16)의 개재에 의해 상향하여 구부려 진다. 각 피니언(11)을 바람직하게 회전 시킴으로써, 테이블(6)의 상부 표면은 그 중앙이 정점이 되며 슬라이드(1)의 스트레인델타에 따르도록 상향하여 둥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5)의 표면은 슬라이드(1), 나아가서 펀치(4)의 스트레인 델타와 일치하도록 테이블(6)의 둥근 표면을 따라서 둥글게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펀치(4)는 제2도와 같이 그 전체길이에 걸쳐 굽힘각 θ1으로 공작물을 균일하며 바람직하게 구부리도록 굽힘 작업중 다이(5)내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동시에 삽입된다. 이상에 기재한 것과 같은 본 기구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1) 피니언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단순한 작업으로 조정이 행해지므로 조정 시간이 단축되며, 미숙련자라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펀치의 공통화 및 굽힘 가공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수종의 짧은 펀치를 조합하여 긴 굽힘 가공을 행하는 방법이 취해지지만, 연결 장치에 의해 펀치와 슬라이드를 연결하는 것에서는 연결 장치의 단계적인 요철이 분할된 펀치를 취부한 경우 펀치의 결합부에 있어서 단차가 되어 나타나 피가공물에 악영향을 줄 염려가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펀치의 취부는 슬라이드에 직접 취부하던가 또는 각각의 높이가 동일한 복수개의 연결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Claims (1)

  1. 프레임, 고정 에프론, 슬라이드 펀치, 테이블, 다이 및테이블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조정 수단으로 구성된 시이트 금속의 벤딩 프레스에 있어서, 슬라이드의 가운데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조의 웨지를 고정 에프론 측에 설치하고, 하방의 웨지에 랙을 설치하고, 이 랙과 교합하는 피니언을 그 전면으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프레스.
KR2019800008135U 1980-12-17 1980-12-17 벤딩 프레스 KR850001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8135U KR850001743Y1 (ko) 1980-12-17 1980-12-17 벤딩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8135U KR850001743Y1 (ko) 1980-12-17 1980-12-17 벤딩 프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57U KR830000657U (ko) 1983-08-03
KR850001743Y1 true KR850001743Y1 (ko) 1985-08-19

Family

ID=7214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8135U KR850001743Y1 (ko) 1980-12-17 1980-12-17 벤딩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7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57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4374A (en) Bending press
JPH0677920B2 (ja) ストリップ製打抜・押込加工工具およびストリップ製打抜・押込加工工具の調整方法
US48652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dividing into pieces a ceramic plate
US3301110A (en) Means and method of roll forming and punching
KR0154100B1 (ko) 절곡기의 공구위치 제어장치
KR20060069506A (ko) 4-해머 단조 장치
KR850001743Y1 (ko) 벤딩 프레스
SU986543A1 (ru) Штамп дл гибки
US43708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sheet-plate blanks to form shells having cylindrical curvature
JPH10137852A (ja) 折り曲げ、平押し金型
KR900001651Y1 (ko) 순차이송금형의 캠 벤딩장치
KR20210089838A (ko) 원가 절감 및 제품정밀도가 향상되는 포밍금형 설계 및 제작방법
US3908435A (en) Edge bending press
JP2502603Y2 (ja) 型鋼等の歪矯正機
JPH10128463A (ja) プレス装置
JPS5925547Y2 (ja) プレス機械における金型支持装置
JP3285901B2 (ja) 順送り加工装置
JPH0824965B2 (ja) 曲げ加工装置
CN211727051U (zh) 一种自动车床专用折弯治具
JPS60244425A (ja) 曲げ機械のダイ装置
JPS6121128Y2 (ko)
JPS6219381Y2 (ko)
JPS6320409Y2 (ko)
KR920006679Y1 (ko) 프레스용 U-L 동시 벤딩(Bending)금형
JPH04190934A (ja) 数値制御プレス装置の金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