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451B1 -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51B1
KR850001451B1 KR8202401A KR820002401A KR850001451B1 KR 850001451 B1 KR850001451 B1 KR 850001451B1 KR 8202401 A KR8202401 A KR 8202401A KR 820002401 A KR820002401 A KR 820002401A KR 850001451 B1 KR850001451 B1 KR 850001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ape
recording
slider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023A (ko
Inventor
세이찌 도미다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84000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rever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11B5/55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 G11B5/5513Specially adapted for transducing in both travelling directions of tape
    • G11B5/5517Controlled by automatic tape drive reversing arrangement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
제 1 도 및 제 2 도는 각각 이 발명이 적용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를 보이는 정면측사시도 및 이면측사시도.
제 3 도는 동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의 테이프 주행의 정역절환(正逆切煥)기구를 보이는 구성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각각 동 정역 절환기구의 동작설명도.
제 6 (a)도 내지 제 6 (c)도는 각각 이 발명에 관계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장치의 1실시예를 보이는 외관도 및 동작설명도.
제 7 도 및 제 8 도는 각각 동 실시예의 헤드 회전기구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 9 (a)도 내지 제 9 (c)도는 각각 동헤드 회전기구에 사용되는 토오숀(torsion) 스프링의 구성 및 동작을 보이는 구성도 및 동작설명도.
제10 (a)도, 제10 (b)도 및 제11 (a)도, 제11 (b)도는 각각 동 헤드 회전기구를 여러가지의 각도에서본 상태를 보이는 구성도.
제12도는 동 헤드 회전기구에 설치되는 테이프 주행 방향표시부의 변형례를 보이는 도면.
제13도는 카세트 하우징에 대한 녹음재생헤드의 부착위치를 보이는 구성도.
제14 (a)도 내지 제 14 (c)도는 각각 녹음재생헤드와 소거헤드와의 부착관계 및 그 작용을 보이는 구성도 및 동작 설명도.
제15도 내지 제17도는 각각 녹음재생헤드와 소거헤드와의 부착관계의 변형예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메인샤시 12 : 조작부
13 : 헤드슬라이더 14 : 녹음재생헤드
15,16 : 핀치롤러 17,18 : 캡스턴
19 : 좌리일대 20 : 우리일대
21 : 테이프 카운터 22 : 모터
23,24 : 조작 레버 25 : 좌 재생슬라이더
26 : 우 재생슬라이더 27 : 리버이스 구동레버
28 : 치차 29 : 록 레버
30 : 제어 슬라이더 31 : 구동 슬라이더
32 : 소거 헤드 33 : 헤드 지지체
34 : 헤드 설치구체 35 : 헤드 대판(臺板)
36 : 치차 37 : 부채꼴치차
38 : 테이프 39 : 접속선
40 : 화살표 41 : 토오숀 스프링
42 : 나사 43 : 속선부재(束線部材)
44 : 평판 워셔 45 : 스프링
46 : 카세트 하우징 47 : 테이프 가이드 롤러
48 : 테이프 가이드핀 49 : 테이프 패드
50 : 판 스프링 51 : 테이프 가이드
(RH) : 녹음 헤드 (PH) : 재생 헤드
(EH) : 소거 헤드
이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오오토리버어스(auto reverse)기능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왕복녹음 또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오오토리버어스 장치라고 불리어진다. 즉 이 오오토리버어스 장치는 왕(往)동작에 있어서의 테이프 종단에서 테이프 장전상태와 조작부 설정상태를 하등 바꾸지 않고, 복(復)동작에 있어서도 녹음 또는 재생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장시간의 녹음 또는 재생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편리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오오토리버어스장치는, 아직 개발도상에 있는 단계로서, 여러가지 개량할 점을 가지고 있다. 예컨데, 상기 오오토리버어스 장치가 채용된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재생헤드는 테이프 주행의 정역(正逆) 즉 왕동작 및 복동작으로 재생(녹음)을 가능하게 하므로, 당연히 아지머스각(azimuth 角)을 정확히 하여 테이프 주행방향에 따라 테이프에 대응하는 트랙(track)에 당접(當接)할 수 있도록 이동되어져 있지 않으면 안되는 것인데, 종래에는 녹음재생 헤드를 테이프의 긴쪽 방향에 대하여 대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있으므로, 테이프 기구부내(機構部內)에 녹음재생헤드를 이동시키는데 충분한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그만큼 테이프 레코더 자체의 대형화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테이프 레코더 기구부내의 스페이스에 불필요한 것이 생기지 않고도 조립작업이 쉽고, 녹음 및 재생에 있어서의 특성 열하(劣下) 등도 생기지 않는 녹음재생헤드의 이동기구를 구비한 오오토리버어스 장치의 개발이 강하게 소망되고 있다.
이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오오토리버어스에 있어서의 테이프 정역 절환(切換)시에 녹음재생헤드와 소거헤드와의 두 헤드를 각각 이동시켜서 카세트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된 헤드 삽통공(揷通孔)에 함께 삽통시킴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輕量)화를 촉진할 수 있는 극히 양호한 카세트 테이프레코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 (11)은 콤팩트(compact)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대략 상자모양의 메인샤시로, 그 전후부, 상하부 및 좌우 측부에 후술하는 여러가지 기구가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중 메인샤시(11)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장치되는 것이 조작부(12)로서 제 1 도중 좌단에서 스톱 겸이젝크(eject)용의 스톱(stop) 조작자(121), 권려(卷戾)용의 REW(rewind) 조작자(122), 역방향(복동작) 재생용의 PLAY(R) 조작자(123), 녹음용의 REC(record) 조작자(124), 정방향(왕 동작) 재생용의 PLAY(F) 조작자(125), FF(Fast Forward) 조작자(126), 일시정지(포오즈)용의 PAUSE 조작자(127)의 순으로 각기가 화살표방향으로 피아노터치(pianotouch)식으로 압압 조작자재로, 또 화살표(B)방향으로 복귀 자재로 배치되고, 이들 각 조작자(121)-(127)은 각각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개재하여 각 구동계를 구동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조작레버는 메인 샤시(11)의 저상(底狀) 평면부(111)의 제 1 도 중 이면측에서 도중 상하 방향으로 왕복접동자재가 되도록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록(lock)기구와 계합(係合)하여 압압조작에 의한 밀어 넣는 상태로 록 되도록 된다. 다만 상기 STOP 조작자(121)의 조작레버는 록되지 않고, 록상태에 있는 다른 조작자의 조작레버를 해제하는 것처럼 상기 록기구와 계합한다. 또 상기 PAUSE 조작자(127)의 조작레버는 록기구와 하등 계합하는 일없이 독립하여 동작하는 것이고, 메인샤시(11)의 저상평면부(111)의 제 1 도중 이면측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는 공지의 푸쉬-푸쉬(push-push)기구와 계합하여 첫번째의 압압조작으로 압압상태로 록되어서 예컨대 재생상태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킴과 동시에 두번째의 압압조작으로 록상태가 해제되어서, 예컨대 재생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처럼 기능시킨다.
그리고 상기 REW 및 FF 조작자(122),(126)의 각 조작레버는 도시하지 않은 고속 보내기계의 정역절환 기구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테이프를 정(正) 또는 역(逆)방향으로 고속주행시키는 것처럼 기능한다. 또, 상기 PLAY(R) 및 PR PLAY(F) 조작자(123),(125)의 각조작 레버는 후술하는 정속보내기계의 정역절환 기구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테이프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정속주행시킴과 동시에 제 1 도중 화살표(C), (D)방향으로 왕복접동자재의 헤드 슬라이더(head slider)(13)을 구동하고 이 헤드 슬라이더(13)상에 탑재(搭載)되는 녹음재생 헤드(14)등을 테이프의 소정면에 당접시키고, 또 같은 한쌍의 핀치 롤러(15),(16)을 선택적으로 한쌍의 캡스턴(17),(18)에 당접시키므로서, 정 또는 역방향에서 재생상태로 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녹음재생헤드(14)는 테이프 주행의 정역 즉 왕동작 및 복동작으로 재생(녹음)을 가능하게 하므로, 당연히 아지더스각을 정확히 하여 테이프 주행방향에 따라, 테이프가 대응하는 트랙에 당접할 수 있도록 이동되는 것이고, 이 헤드 이동기구(100)의 구성 및 그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런데 통상의 테이프레코더 이면 정방향의 재생(녹음)을 할 수 있으면 되므로 당연히 하나의 PLAY조작자로 좋으나, 여기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오오토리버어스를 가능하게 하는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정 및 역의 양방향에서 재생(녹음)을 할 필요가 있으므로 , 정 및 역방향용의 서로 독립한 두개의 PLAY 조작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두께의 PLAY 조작자 중 한쪽만을 조작한 경우에는 그 방향만의 재생(녹음)이 가능하게 되고, 양쪽을 동시에 조작한 경우에, 이른바 오오토리버어스가 할 수 있는 것이고, 통상의 재생(녹음)의 경우에는 정방향의 PLAY 조작자만을 조작하여 하면되는 것이다.
또, 도시 중앙의 REC조작자(124)는, 전술의 PLAY 조작자와 조합하여 조작한 경우에 정 또는 역방향의 한방향만으로, 혹은 오오토리버어스에 의한 왕복녹음이 가능하도록, 그 조작레버로 녹음계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 1 도 중 메인샤시(11)의 중앙부에 돌출하고 있는 것은 좌리일대(臺))(19)와 우리일대(20)로서, 각각 자동정지기구나 왕복동작절환기구 등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샤시(11)의 제 1 도중 상방에는 우리 일대(20)에 연결되는 테이프 카운터 (21)이나 각 구동계의 동력원이 되는 모우터(22) 및 오오토리버어스 회수제한 기구든가 매뉴얼(manual) 리버어스기구의 조작레버(23),(24)가 장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3 도는 상기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테이프 정속보내기계의 정역절환기구를 꺼내서 보이는 것이다. 즉, 도면중 점선으로 표시한 것은 전기한 헤드 슬라이더(13)이고, 제 1 도에서 표시한 것과는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편의상 간략화하여 표시되어 있다. 이 헤드 슬라이더(13)에는 그 양측부 소정위치에 한쌍의 돌부(突部)(131),(1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슬라이더(13)의 각 돌부(131),(132)는 이 헤드 슬라이더(13)의 하면에 병설되는 도면중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좌 및 우재생 슬라이더(25),(26)의 각 중앙부에 형성된 투공(251),(261)의 도면중, 하부에 형성된 계합편(片)(252),(262)과 계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 및 우재생 슬라이더(25),(26)은 각기에 형성된 한쌍의 장공(253),(254) 및 (263),(264)에 전기 메인 샤시(11)에 형성된 가이드 핀(255),(256) 및 (265),(266)이 각각 삽통되므로써, 헤드 슬라이더와(13)같이 도면중 화살표(C),(D) 방향으로 왕복접동 자재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좌 및 우재생 슬라이더(25),(26)은 전기 PLAY(R) 및 PLAY(F) 조작자(123),(125)의 각조작 레버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을 개재하여 연동관계로 되어진 것으로서 PLAY(R) 및 PLAY(F) 조작자(123),(125)의 조작시에 각각 도면중 화살표(C)방향으로 부세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좌 및 우재생 슬라이더(25),(26)은각각 전기한 핀치롤러(15),(16) 및 전기한 모우터(22)의 회전을 전기 좌 및 우 리일대(19),(20)에 각기 전달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아이들러나 치치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좌재생 슬라이더(25)는 도면중 화살표(C)방향으로 슬라이더 되었을 때, 전기 핀치 롤로(15)를 캡스턴(17)(제 1 도 참조)에 압접시키는 동시에 좌 리일대(19)를 회전구동시켜서 테이프 권취(卷取)를 시켜서, 테이프 역방향 주행의 재생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 우재생 슬라이더(26)은 도면중 화살표(C)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었을 때 전기핀치 롤러(16)을 캡스턴(18)(제 1 도 참조)에 압접되는 동시에, 우 리일대(20)을 회전 구동시켜서 테이프 권취를 시켜서, 테이프 정방향 주행의 재생이 행해지는 것이다. 결국 테이프가 정방향으로 주행하든가 역방향으로 주행하는가는 우 및 좌 재생슬라이더 (26),(25)의 어느쪽이 제 3 도중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로 결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재생 슬라이더(25)의 도중 상단 우측부에는 테이퍼를 갖는 계지부(25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우재생 슬라이더(26)의 도면중 상단 대략 중앙부에는 대략 요상(凹狀)으로 절결(切欠)되는 계지부(26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 및 우 재생슬라이더(25),(26)의 하면에는 전기 메인샤시(11)에 돌설(突設)된 축(112)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대략 T자 모양의 리버어스 구동레버(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버어스구동레버(27)의 기부(基部)(271)의 도면중 좌측에는 상기 좌재생 슬라이더(25)의 계지부(257)과 계합 하는 절곡계합편(27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기부(271)의 도면 중 우측에는 상기 우재생 슬라이더(26)의 계지부(267)와 계합하는 절곡계합편(2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기부(271)의 도면 좌측에는 거의 크랭크(crank)상의 장공(27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장공(274)내에는 메인샤시(11)에 돌설된 축(113)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치차(28)의 일측면에 돌설된 돌부(281)가 끼워 붙여져 있다. 이때문에 상기 치차(28)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따라서 리버어스 구동레버(27)는 축(11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搖動)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치차(28)의 돌부(281)가 설치되어 있는 축과, 반대측의 다른 측면에는 그 치차(28)의 도면중 시계방향에의 회전에 대하여 후술하는 록 레버(29)에 깊이 먹어 들어가는 한쌍의 계지부(282),(28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282),(283)는 축(113)을 중심으로 하여 대향(對向)하는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록 레버(29)는 전기한 메인샤시(11)에 돌설된 축(114)에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치차(28)의 계지부(282),(283)와 선택적으로 계탈(係脫)이 가능한 계합편(29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록 레버(29)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통상 그 계합부(291)가 치차(28)의 계지부(282),(283)에 계합하는 방향, 결국 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 이 록 레버(29)는 전술한 왕복작동절환시에 있어서의 테이프 종단검출상태(자동정지 기구에 있어서의 테이프 종단 검출과 같아도 좋다)나 전기 메뉴알 리버어스 기구의 조작 레버(24)(제 1 도 참조)의 조작시 등에 상기 스프링의 부세력이 저항하여 제 3 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그 계합부(291)가 치차(28)의 계지부(282),(283)에서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기 치차(28)에는 상기 도시하지 않은 제 1 의 치차가 교합(
Figure kpo00001
合)되어 있다. 이 제 1 의 치차와 치차(28)와의 치차비는 1 : 2로 되어 있고, 제 1 의 치차가 1회전하면 치차(28)은 반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의 치차에는 소정위치에 1개소만 치차가 없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절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기모우터(22)에서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테이프 주행에 관계없이 한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의 치차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의 치차는 제 1 의 치차와 교합된 때 치차(28)을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지금 오오토리버어스를 하려고 전기 PLAY(R) 및 PLAY(F) 조작자(123), (125)를 함께 조작하였다고 하자. 그러면, 이 PLAY(F) 및 PLAY(F) 조작자(123),(125)에 연동하는 조작레버 및 스프링을 개재하여 좌 및 우 재생 슬라이더(25),(26)가 함께 제 3 도 중 화살표(C)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여기서 지금 제 3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록 레버(29)의 계합부(291)가 치차(28)의 계지부(283)와 계합하고 있다고 하면 돌부(281)의 위치에 의하여 리버어스 구동레버(27)는 도시의 위치에 구제되는 셈이 된다. 이 때문에 우재생 슬라이더(26)는 충분히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좌 재생 슬라이더(25)는 그 계지부(257)가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절곡계합편(272)에 당접하여, 충분히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 재생 슬라이더(26)에 의하여 제어되는 핀치롤러(16)나 아이들러 등이 캡스턴(18)에 압접된다든가, 우 리일때(20)을 회전시키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든지 하여, 여기에 정방향의 재생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때, 우 재생 슬라이더(26)의 화살표(C)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그 계합편(262)이 헤드 슬라이더(13)의 돌부(132)에 당접하여 그 헤드 슬라이더(13)을 화살표방(C)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문에 헤드 슬라이더(13)에 설치된 상세를 후술하는 녹음재생 헤드(14)(제1도 참조)가 테이프에 당접되는 것이다. 또, 이때 좌재생슬라이더(25)가 화살표(C)방향에 부세되고 있는 것을 리버어스 구동레버(27)가 누르고 있으므로써, 이 리버어스 구동레버(27)에는 도면중 시계 방향의 회동부세력이 가해지고 있는 셈이 된다. 이 때문에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장공(274) 내에 끼워맞춰지는 돌부(281)를 갖는 치차(28)도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부세력이 부여되게 되는데, 그 계지부(283)가 록 레버(29)의 계합부(291)에 계합되어 있어서, 치차(28)는 회전하지 않고, 리버어스 구동레버(27)는 제 3 도에 보이는 위치에서 안정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정방향의 재생상태에 있어서,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였다고 한다. 그러면 전술한 테이프 종단 검출기구에 의하여 제 4 도에 보이는 것처럼 록 레버(29)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계합부(291)가 치차(28)의 계지부(283)에서 이탈한다. 이때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제 3 도에 보이는 상태로 치차(28)에는 도면중 시계방향의 회전부세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치차(28)는 제 4 도 중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그러면 이 치차(28)에 교합된 전기 제 1 의 치차가, 치차(28)와 역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이 때문에, 제 1 의 치차와 전기 제 2 의 치차가 교합상태가 되고 이 제 2 의 치차의 회전력에 의하여 치차(28)은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 제 1 의 치차가 1회전하고, 그 절결부가 다시 제 2 의 치차와 대향할 때, 제 5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치차(28)은 꼭 반회전하여 그 계지부(282)가 록레버(29)의 계합부(291)에 계지(係止)된다. 이때, 치차(28)가 반회전하는 데 수반하는 돌부(281)에 추종하여, 리버어스 구동레버(27)는 제 5 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문에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절곡계 합편(273)이 우 재생 슬라이더(26)의 계지부(267)에 당접하고, 우 재생 슬라이더(26)은 도면중 화살표(D)방향으로 후퇴 된다. 이에 대하여 좌 재생 슬라이더(25)는 그 계지부(257)에 대한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적곡 계합부(272)의 계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화살표(C)방향으로 충분히 이동된다. 따라서 좌재생 슬라이더(25)에 의하여 제어되는 핀치롤러(15)나 아이들러 등이 캡스턴(17)에 압접된다든가 좌 리일대(19)를 회전시키는 소정의 위치에 이동되든가 하여, 여기에 역방향의 재생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때, 좌 재생 슬라이더(25)의 화살표(C)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그 계합편(252)이 헤드 슬라이더(13)의 돌부(131)에 당접하고, 이 헤드 슬라이더(13)를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문에 헤드 슬라이더(13)에 설치된 녹음 재생헤드(14)가 테이프에 당접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13)은 후술하는 기구에 의하여 테이프가 정방향의 재생상태에서 역방향의 재생상태로 변하는 과정(그 반대의 과정에 대여도 동일하다)에 있어서, 일단 화살표(D)방향으로 후퇴되어지는 것으로, 그후 좌 또는 우재생 슬라이더(25) 또는(26)이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5 도에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 우재생 슬라이더(26)가 화살표(C)방향으로 부세(付勢)되어 있는 것을 리버어스 구동레버(27)가 누르고 있으므로써, 이 리버어스 구동레버(27)에는 도면중 반시계방향의 회전부세력이 가해지고 있는 셈이 된다. 이때문에 치차(28)는 도면중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부세력이 부여되는 셈이 되는데 그 계지부(282)가 록 레버(29)의 계합부(291)에 계합되어 있으므로, 치차(28)은 회전하지 않고, 리버어스 구동레버(27)는 제 5 도에 보이는 위치에서 안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역방향의 재생상태에 있어서, 테이프가 종단에 도달하면 앞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테이프 종단 검출기구에 의하여, 록 레버(29)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상술한 것과 거의 동일하게 치차(28)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반회전되고 재차 제 3 도에 보이는 테이프의 정방향의 재생상태로 되는 것이다. 또 상기한 테이프의 정역절환기구는 테이프 종단에서 작동하는데 한하지 않고, 전기 매뉴알 리버어스 기구의 조작레버(24)의 조작시에도 작동하는 것은 쉽게 위의 설명에서 엿보아 알 수 있는 것이고, 테이프 주행의 임의의 시점에서 테이프 주행방향의 정역절환(正逆切換)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테이프 주행의 정역절환기구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다음에 전기한 헤드 이동기구(100)(제 1 도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재차 제 3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대략 T자 모양으로 형성된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연출(延出)부(275)의 선단부에는, 절곡 계합편(276)이 형성되어있다. 또, 상기 좌 및 우 재생 슬라이더(25),(26)의 장공(254),(264)내를 삽통하는 가이드 핀(256),(266)은, 이 좌 및 우 재생 슬라이더(25)(26)와 전기 메인샤시(11)와의 사이에 있어서 서로 겹쳐있는 제어 슬라이더(30) 및 구동 슬라이더(31)의 각 양단부에 형성된 장공(301),(302) 및 (311),(312)를 각각 삽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어 슬라이더(30) 및 구동 슬라이더(31)은, 각각 독립하여 상기 좌 및 우 재생 슬라이더(25),(26)의 접동방향과 대략 직교(直交)하는 방향, 결국 도면중 화살표( ),( )방향으로 왕복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슬라이더(30)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시형상의 투공(30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303)의 도면중 하부에는, 후술하는 헤드 회전기구에 설치되는 부채꼴치차의 피구동부가 끼워맞춰지는 대략 요상(凹狀)의 끼워맞춤부(30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투공(303)중 끼워맞춤부(304)의 도면중 우측에는, 이 제어 슬라이더(30)의 긴쪽 방향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한쌍의 계지부(305),(30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슬라이더 (31)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시형상의 투공(3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314)의 도면중 상부에는, 양측에 테퍼를 가지는 대략 산(山)모양의 돌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돌부(314)에는 전기 헤드 슬라이더(13)의 도면중 하부에 식설(植設)된 핀(133)이 계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공(313)중 돌부(314)의 도면중 우측에는, 이 구동슬라이더(31)의 긴쪽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한쌍의 계지부(315),(3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한쌍의 계지부(315)(316)사이에 전기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연출부(275)에 형성된 절곡 계합편(276)이 개재되는 것이다.
또, 상기 투공(313)의 도면중 하부에는, 상기 제어 슬라이더(30)의 계지부(305),(306)사이에 개재되는 절곡 계합편(3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금 테이프가 정방향의 재생상태에 있다고 하면,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은 제 3 도에 보이는 위치에 있고, 이때에는 그 절곡 계합편(276)이 구동 슬라이더(31)의 계지부(316)에 당접하고, 구동 슬라이더 (31)을 도면중 화살표(F)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또, 구동슬라이더(31)의 절곡 계합편(317)이 제어 슬라이더(30)의 계지부(306)에 당접하여 이 제어 슬라이더(30)도 도면중 화살표(F)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와같은 정방향의 재생상태에서, 전기한 바와같이 역방향의 재생상태로 절환(切換)이 행해지면, 제 4 도에 보이는 것처럼 리버어스 구동 레버(27)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절곡 계합편(276)이 구동 슬라이더(31)의 계지부(315)에 당접하고, 이 구동 슬라이더(31)을 화살표(E)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는, 구동 슬라이더(31)의 절곡 계합편(317)은 제어 슬라이더(30)의 계지부(305),(306) 사이를 이동하고 있을 뿐이고, 제어 슬라이더(30)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 구동슬라이더(31)가 도면중 화살표(E)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헤드 슬라이더(13)의 핀(133)이 돌부(314)의 테퍼에 따라 도면중 하방(下方)으로 이동되고, 결국 전기한 바와같이 절환과정에 있어서 헤드 슬라이더(13)이 도면중 화살표(D)방향으로 후퇴시켜지는 것이다.
그리고 역방향의 재생상태에의 절환이 완료하면, 제 5 도에 보이는 것처럼, 구동 슬라이더(31)는 충분히 도면중 화살표(E)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헤드 슬라이더(13)의 핀(133)은 구동 슬라이더(31)의 돌부(314)의 정점을 넘어서 제 3 도와 반대측에 위치한다. 동시에 이때 좌재생 슬라이더(25)는 충분히 도면중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그 계합편(252)와 계합하는 돌부(131)를 갖는 헤드 슬라이더(13)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문에, 헤드 슬라이더(13)의 핀(133)은 구동 슬라이더(31)의 돌부(314)를 역으로 압압하고, 이에 의하여 구동 슬라이더(31)는 그 계지부(315)를 리버어스 구동레버(27)의 절곡 계합편(276)이 압압하는 이상으로, 도면중 화살표(E)방향으로 충분히 이동되는 것이다. 또 제어 슬라이더(30)도 구동 슬라이더(31)의 이동에 추종하여 화살표(E)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역방향의 재생상태에서 정방향의 재생 상태로 절환하는 경우에는, 리버어스 구동 레버(27)이 제 5 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써 그 절곡 계합편(276)이 구동슬라이더(31)의 계지부(1316)을 압압하고, 이하 상술한 바와 거의 역의 동작으로 구동 슬라이더(31) 및 제어 슬라이더(30)이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되고, 다시 제 3 도에 보이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절환 도중에 있어서도 헤드 슬라이더(13)이 일단 화살표(D)방향으로 후퇴하고 재차 전진 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정방향에서 역방향 및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 절환하는 도중에 있어서, 구동 슬라이더(31) 및 제어 슬라이더(30)을 도면중 화살표(E) 및 (F)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헤드 회전기구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것으로서 이하 헤드 회전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6(a)도는 여기서 설명하는 헤드 회전기구의 외관을 보이는 것이다. 우선 개략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전기 녹음재생 헤드(14)는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용의 것으로서, 그 신호 기록 재생용의 헤드부(141)는, 테이프 당접면(142)의 한쪽편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녹음 재생 헤드(14)는 같은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용의 소거 헤드(32)와 병설되어서, 대략 원통형상의 헤드 지지체(33) 안에 끼워붙여져 있다.
또, 도면중(34)는 헤드 설치구체(構體)로서, 도시와 같이 헤드 대판(35) 및 치차(36)을 일체적으로 회전 자재하게 지지하고 있다. 다시 이 헤드 설치구체(34)에는, 치차(36)와 맞물리는 대략 부채모양의 부채꼴치차(37)가 그 기부(基部)에서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헤드 대판(臺板)(35)에는 헤드 지지체(33)가 장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 설치구체(34)는, 그 설치부(341)가 헤드 슬라이더(13)에 접촉되어서 예컨데 도시하지 않은 나사등에 의하여 붙여지는 것으로서, 이 헤드 설치구체(34)가 헤드 슬라이더(13)에 설치된 상태로 녹음 재생 헤드(14)의 테이프 당접면(142)이 제 3 도중 상방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부채꼴치차(37)의 기부에서는 피구동부(371)이 연설(延設)되어 있고, 헤드 설치구체(34)를 헤드 슬라이더(13)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 피구동부(371)이 전기 제어 슬라이더(30)의 끼워맞춤부(304)내에 개재되는 것이다. 또, 헤드 슬라이더(13)이 제 3 도중 화살표(C),(D)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상기 피구동부(371)은 끼워맞춤부(304)에서 이탈하는 일없이 항상 끼워맞춤부(304)내에 개재되는 것이다. 이때문에 기술한 것처럼 테이프를 정방향에서 역방향 및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 바꿀때에, 제어 슬라이더(30)가 화살표(E) 및 (F)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부채꼴치차(37)도 기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게 된다.
그리고, 예컨데 부채꼴치차(37)가 제 6 (a)도중 화살표(G)방향으로 회동되었다고 하면, 이 부채꼴치차(37)와 맞물리는 치차(36)가 도면중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되고 헤드 대판(35) 및 헤드 지지체(33)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결국 제 6(b)도에 보이는 것처럼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가 꼭 180°회전되도록 된다. 그러면 앞서 제 6(a) 도에서는 도면중 2점쇄선으로 표시한 테이프(38)에 대하여 헤드부(141)가 도면중 하측의 트랙에 대향하고 있었는데 대하여 회전후는 제 6(b)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헤드부(141)가 테이프(38)의 도면중 상측의 트랙에 대향하게 되고, 여기에 정역 절환시에 테이프(38)의 트랙변경(헤드 이동)이 되어지는 것이다. 또 제 6 (b)도 중 화살표(I)방향으로 부채꼴치차(37)가 회전되면, 치차(36), 헤드 대판(35) 및 헤드 지지체(33)은, 도면중 화살표(J)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녹음 재생 헤드(14)및 소거 헤드(32)가 원위치에 도로 보내지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기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헤드(32)는, 테이프(38)(콘팩트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에 당접할 때 카세트 하우징에 형성된 통상의 헤드 삽입공에 함께 삽입되어서 테이프에 당접되는 것이다.
여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 대판(35)에는, 그 일부에 한쌍의 계지부(351),(352)가 돌설되어 있다. 또 헤드 설치구체(34)의 일측부에는 한쌍의 나사(342),(343)가 나사식으로 붙여져 있다. 그리고 헤드 대판(35)의 회전은 제 6(a)도, 제 6(b)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그 계지부(351),(352)가 나사(342),(343)와 각각 당접하기까지로 되어 있다. 이때문에 나사(342),(343)의 나사잦춤 심도(深度)를 조절하므로써 제 6 (a)도 및 제 6(b)도에 보이는 상태에서의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헤드(32)의 아지마스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녹음 재생 헤드(14)및 소거 헤드(32)는, 헤드 지지체(33), 헤드 대판(35), 헤드 설치구체(34)를 후술하는 것처럼, 삽통한 후, 치차(36)의 회전중심부를 삽통하는 접속선(39)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는 녹음재생계의 전기회로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지지체(33)의 주측부(周側部)에는, 이 헤드 지지체(33)가 제 6(a)도, 및 제 6(b)도에 보이는 위치에 한상태에서의 테이프 주행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화살표(40),(4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헤드 지지체(33)의 제 1 측부에는 테이프(38)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테이프 가이드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6 (b)도에서 볼 수 있는 토오숀 스프링(41)는 헤드 지지체(33)가 제 6(a)도 및 제 6(b)도에 보이는 그 위치에 있는 상태로 안정하게 간직하기 위한 2안정작용을 행하는 것으로서, 그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여기서 제 7 도는 상기 헤드 지지체(33)와 헤드 대판(35)과의 부착의 상세를 보이는 것이다. 즉 헤드 지지체(33)에는,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가 장치되는 중앙부의 양측에 이 헤드지지체(33)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투공(332),(33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헤드 대판(35)은 헤드 설치구체(34)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그 회전중심부에는 전기한 접속선(39)가 삽통되는 투공(3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투공(353)의 양측에서 헤드 지지체(33)의 각 투공(332),(333)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나사구멍(354),(35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나사(42),(42)를 헤드 지지체(33)의 녹음 재생 헤드(14)의 테이프 당접면(142)측에서 투공(332),(333)에 삽통시켜 헤드 대판(35)의 나사구멍(354),(355)에 나사식으로 붙힘으로서 헤드 지지체(33)와 헤드 대판(35)이 장치되는 것이다.
또, 제 8 도는 상기한 헤드 회전기구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다. 우선, 전기한 헤드 지지체(33)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그 일부에서 거의 중앙부에 걸쳐서 대략 요상(凹狀)의 절결부(3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결부(334)의 대략 중앙부에는, 녹음 재생 헤드(14)가 그 테이프 당접면(142)를 약간 돌출시키는 것처럼 끼워 붙여진다. 또 상기 헤드지지체(334)의 절결부(334)의 단부에는, 소거 헤드(32)가 끼워 붙어진다.
한편, 전기 헤드 설치구체(34)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이 헤드 설치구체(34)를 관통하는 투공(3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헤드 설치구체(34)에는, 그 투공(345)를 회전중심으로 하도록 하여 헤드(35) 대판(36) 및 치차(36)가 회전자재로 지지된다. 또, 상기치차(36)의 회전중심부에는 이 치차(36)을 관통하는 투공(6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접속선(39)은 헤드 대판(35), 헤드 장치구체(34) 및 치차(36)의 각 투공(353),(345),(361)을 삽통하는 것으로, 이 각 투공(353),(345),(361)을 삽통할 때, 대략 원통형상의 속선부재(束線部材)(43)에 의하여 묶어진다.
또, 헤드 장치구체(34)에 나사식으로 붙이는 나사(342),(343)은 함께 평판워셔(44),(44) 및 코일 모양의 스프링(45),(45)를 삽통하여 헤드장치 구체(34)에 형성된 나사 구멍(346),(347)에 끼워붙여진다. 이때문에 각 나사(342),(343)은 나사구멍(346),(347)에 끼워붙여진 상태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하게 간직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기한 부채꼴치차(37)은, 그 기부(372)에 투공(373)이 형성되어 있고, 그 투공(373)내에 대략 원통형상의 스페이서(374)를 개재하여 삽통되는 나사(375)가, 제 9(a)도에 보이는 것처럼 헤드 장치구체(34)의 일측부에 끼워 붙여지므로써, 헤드 장치구체(34)에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또 전기 토오숀 스프링(41)의 일단부는, 치차(36)의 일부에 돌설된 계합편(362)에 계착(係着)되고, 이 토오숀 스프링(41)의 타단부는 부채꼴치차(37)의 기부(372) 근방에 형성된 투공(376)에 계착(係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토오숀 스프링(41)의 전술한 두 안정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부채꼴치차(37)가 제 9 (a)도에 표시한 위치가 있다고 하면 토오숀 스프링(41)의 부세력은 제9(b)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부채꼴치차(37)을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또 치차(36)을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치차(3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전기 헤드 대판(35)의 계지부(351)가 나사(342)와 당접하여, 치차(36)의 도면중 시계방향의 회전은 저지된다. 이때문에 헤드 지지체(33)이 제 6(a)도에 보이는 상태로 흔들리지 않고 간직되고 하나의 안정상태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제 9(b)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안정상태에서 부채꼴 치차(37)을 그 피구동부(37)을 가지고 토오숀 스프링(41)의 부세력에 대향하여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켰다고 하자. 그러면 토오숀 스프링(41)의 양단부는, 일단 근접한 후, 부채꼴치차(37)이 제 9(c)도에 보이는 위치까지 회동되면, 이번에는 도면중 화살표로서 표시하는 것처럼, 부채꼴치차(37)을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또 치차(36)을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부세력을 작용시킨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치차(3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헤드 대판(35)의 계지부(352)가 나사(343)과 당접하여 치차(36)의 도면중 반시계방향의 회전은 저지된다. 이 때문에 헤드 지지체(33)가 제 6(b)도에 보이는 상태로 흔들리지 않고 간직되고, 다른 하나의 안정상태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0(a)도, 제10(b)도 및 제11(a)도, 제11(b)도는 각각 전기 헤드 회전기구를 여러가지 각도에서 본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헤드 회전기구를 사용한 오오토리버어스 장치에 의하면, 먼저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는 제 6 (a)도, 제 6(b)도에 보이는 것처럼 테이프(38)에 항상 대향한 상태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헤드 이동을 위한 스페이스를 테이프 레코더 기구부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테이프 레코더의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헤드 회전기구로서는, 각 헤드 지지체(33), 헤드 대판(35), 치차(36)및 부채꼴 치차(37)등을 모두 헤드 장치구체(34)에 부착하여 되는 것으로서, 이른바 아셈블리유니트화(assembly unit)되어 있다. 이때문에, 양산화에 적합한 동시에, 헤드 장치 구체(34)를 헤드 슬라이더(13)에 부착시키므로써 헤드 회전기구의 설치가 되므로 조립작업이 극히 쉽게 되는 것이다.
또, 헤드 회전기구는 헤드 슬라이더(13)에 부착되기전, 즉 아셈블리유니트화된 상태에서는 그 나사(342), (343)을 정확히 아지머스 조정하여 나사식으로 붙일 필요는 없고, 이 나사(342),(343)는 단지 나사식 붙이기 하여 두기만하면 된다. 결국 이 나사(342),(343)은 아셈블리 유니트화된 단계에서 제 9 도(2) 또는 제9(C)도에 보이는 상태에서 치차(36)가 회전하지 않도록 헤드 대판(35)의 계지부(351),(352)와 당접하면 되는 것으로서, 요컨데 일시 멈추게 하는 스토퍼(stopper)의 역활을 달성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헤드 회전기구가 헤드 슬라이더(13)에 부착된 때에 나사(342),(343)을 정확하게 아지머스 조정위치가 되도록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문에 헤드 회전기구는 보다 한층 아셈블리유니트화하기 쉽게 되는 것이다.
또한 헤드 지지체(33)와 헤드 대판(35)을 부착하는 나사(42),(42)는 헤드 지지체(33)의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헤드(32)가 노출하고 있는 축에서 삽입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헤드 지지체(33)의 측면에는 하등 나사머리등이 노출하는 일은 없다. 이때문에 헤드 지지체(33)의 주위면에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용의 화살표(40)을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나사(42),(42)를 헤드 지지체(33)의 녹음 재생 헤드(14)및 소거 헤드(32)가 노출하고 있는 측에서 삽입하므로써, 헤드 지지체(33)의 주측면(周側面)에 화살표(40)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용의 화살표(40)는 헤드 지지체(33)가 제 6(a)도 및 제 6(b)도에 보이는 위치가 된 때에 각각 테이프 주행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헤드 지지체(33)의 주측면의 대향위치에 서로 반대방향의 화살표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인데, 이 테이프 주행방향의 표시수단으로서는 화살표에 한하지 않고, 테이프 정 역방향으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이다. 요컨대 테이프의 정방향 및 역방향주행을 구별할 수 있는 표시부를 헤드 지지체(33)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예컨데, 상기 표시부의 표시예를 제12도에 표시하는 것이다. 또, 상기 표시부로서는 헤드 지지체(33)에 설치할 뿐만 아니라 예컨데 헤드 지지체(33)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도시하지 않는 표시부용재를 법도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화살표(40)(표시부)를 설치하므로써, 따로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부를 구성함이 없이, 쉽게 테이프 주행 방향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즉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가 테이프(38)에 대향한채로, 헤드 지지체(33)의 회전을 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비로소 헤드 지지체(33)에 화살표(40)(표시부)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성이 극히 유기적으로 되어 있다.
또, 전기 헤드 지지체(33)를 제 6(a)도 및 제 6(b)도에서 표시하는 위치에 간직하기 위하여 토오숀 스프링(41)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점에서도 구성 및 조립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토오숀 스프링(41)은 그 양단부가 부채꼴치차(37) 및 치차(36)에 계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토오숀 스프링(41)자체가 헤드 회전기구의 1구성부품이 되어, 그 어셈블리유니트화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종래의 헤드 이동 기구는 헤드측 아셈블리와 예컨데 샤시와를 코일모양의 스프링으로 연동관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문에 헤드측 아셈블리는 그것을 샤시 에 설치하여도 그것만으로는 완전히 동작하지 않고, 그 후부터 스프링을 계착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결국, 종래의 헤드측 아셈블리는 완전히 아셈블리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토오숀 스프링(41)을 사용하므로써 헤드 회전기구는 그 자신으로 충분히 녹음 재생헤드(14) 및 소거 헤드(32)를 회전시켜서 안정하게 간직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완전한 아셈블리화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조립 작업성도 종래에 비하여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는 각각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용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헤드 지지체(33)가 제 6(a)도 및 제 6(b)도에 표시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는 다함께 콤팩트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하우징에 형성된 헤드 삽통공을 삽통하여 테이프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헤드 지지체(33)는 회전하는 2위치에 있어서, 그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가 함께 콤팩트 카세트 하우징의 헤드 삽통공내에 들어가도록, 그 회전 중심이 정해져 있는 것이다.
또, 실제상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용의 녹음 재생 헤드와, 콤팩트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용의 소거 헤드와를 병설하면, 콤팩트 카세트 하우징의 헤드 삽통공내에 충분히 들어가는 것이다. 이때문에 상기 서고 헤드(32)를 콤팩트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용의 것으로 바꾸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헤드 지지채(33)의 회전 중심을 녹음 재생 헤드 및 소거헤드가 회전하여도 위치에 있는 상태 어느 것이든, 헤드 삽통공에 들어 가는 위치를 취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오토 리버어스의 정역방향의 재생(녹음) 각각 1개로 충분하고, 구성이 간단하고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것이다. 이 점에 관하여 종래의 오오토 리버어스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레코오더는 녹음 재생 헤드를 이동가능하게 하고, 이 녹음 재생 헤드의 양측에서 콤팩트 카세트 하우징의 한쌍의 소거 헤드 삽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의 소거 헤드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경제적으로도 불리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헤드 지지체(33)가 회전하는 2위치에 있어서, 녹음 재생 헤드(14)와 소거 헤드(32)가 함께 콤팩트 카세트 하우징의 헤드 삽통용 매내에 들어가도록 하므로써,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가 한개로 충분하고, 구성상 및 경제상 유리함과 동시에, 정역절환시에 녹음 재생 헤드(14)및 소거 헤드(32)에 대한 전기적 절환도 하지 않아도 좋은 것이다.
또,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는 동일한 헤드 지지체(33)에 부착되므로써 서로의 아오리각(ぬすり角) 갭(gap) 상대위치 및 압입(押
Figure kpo00002
)상대 위치등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쉬운 동시에, 방열효과를 상승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상시 녹음 재생 헤드(14)로서는 녹음용 헤드와 재생용 헤드를 병설하여 되는 이른바 콤비네이숀(combination)헤드를 사용할 수가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제 6(c)도에 표시한 것처럼 헤드 지지체(33)에 녹음 헤드(RH) 재생헤드(PH) 및 소거 헤드(EH)의 3개의 헤드가 부착되는 셈이 되는데, 이때에도 3개의 헤드(RH),(PH),(EH)가 함께 콤팩트 카세트 하우징의 헤드 삽통공에 들어가도록 헤드 지지체(33)을 회전시키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헤드 지지체(33)이 테이프 정 및 역방향의 어느 주행상태에 대응한 위치로 되어 있어도, 녹음 재생헤드(14)와 소거 헤드(32)가 다함께 카세트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된 헤드 삽통공을 삽통할 수 있도록 한점이, 이 발명의 특징이 되는 부분이다.
다음에 제13도는 콤팩트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하우징(46)내의 전기(前記) 테이프(38)에 대한 전기 녹음 재생 헤드(14)가 당접하는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카세트 하우징(46)내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그 양측부에 한쌍의 테이프 가이드 롤러(47),(47) 및 한쌍의 테이프 가이드 핀(48),(48)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카세트 하우징(46)의 대략 중앙부에는, 테이프 패드(49)가 판스프링(5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 하우징(46)의 소정위치에는 전기 한쌍의 캡스턴(17),(18)이 삽통되는 캡스턴 삽통공(461),(462), 전기 메인샤시(11)에 돌설되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핀이 삽통되는 가이드핀 삽통공(463),(464), 헤드 삽통공(465), 소거 헤드 삽통공(466),(467) 및 전기 한쌍의 핀치 롤러(15),(16)이 삽통되는 핀치롤러 삽통공(468),(469) 등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카세트 하우징(46)의 헤드 삽통공(465)에는 제13도에 보이는 것처럼,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가 함께 삽통되어서 테이프(38)에 당접된다. 이때 카세트 하우징(46)의 소거 헤드 삽통공(466),(467)에는 전기 헤드 슬라이더 (13)의 헤드 회전기구의 양측에 부착된 한쌍의 테이프 가이드(51),(51)가 함께 삽통되도록 되어져 있다.
여기에 있어서, 지금, 핀치롤러(16)가 테이프(38)을 개재하여 캡스턴(18)에 압압되고, 테이프(38)가 정방향 결국 도면중 화살표(K)방향으로 주행하는 재생상태라고 한다. 그러면 이때, 도면중 1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헤드 지지체(33)의 회전중심선(i)에 대하여, 녹음 재생 헤드(14)의 중심선(ii)는 소정 간격(a)만큼 테이프(38)의 주행방향으로 움직여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중심선(i)은 카세트 하우징(46) 및 테이프패드(49)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또 상기 간격(a)는 실제의 경우 약 0.5mm 정도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 중심선(i)에 대하여 녹음 재생 헤드(14)의 중심선(ii)을 간격(a)만큼 움직이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카세트 하우징(46)내에 있어서 테이프 패드(49)가 부착된 판스프링(50)은 상당한 여유를 가지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판스프링(50)은 테이프(38)의 긴쪽 방향에의 여유가 큰 것이다. 이때문에 예컨대 테이프(38)가 도면중 화살표(K)방향으로 주행하면, 그 테이프(38)의 주행에 의한 마찰때문에 판스프링(50)도 그 여분만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국 테이프 패드(49)의 중심이 중심선(i)보다도 약간 도면중 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녹음 재생 헤드(14)의 중심을 테이프 패드(49)(카세트 하우징)(46))의 중심보다도 간격(a)만큼 테이프 주행방향으로 움직여 놓으므로써 테이프(38)가 화살표(K)방향으로 주행한 상태로 테이프 패드(49)의 중앙부가 녹음 재생 헤드(14)의 중심선(ii)상에 위치하게 되고, 테이프(38)을 테이프 패드(49)에 의하여 녹음 재생 헤드(14)에 안정하고도 충분히 접촉시킬 수가 있고, 양호한 녹음과 재생을 시키는 것이다. 또 테이프(38)의 주행방향이 반전한 경우에 대하여도 상기와 같은 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핀치롤러(15)가 테이프(38)을 개재하여 캡스턴(17)에 압접되고 헤드 지지체(33)가 제15도와 역방향을 향하고 테이프(38)가 도면중 화살표(L)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를 생각한다. 그러면 녹음 재생헤드(14)의 중심선(ii)는 회전중심선(i)보다도 간격(a)만큼 도면중 좌측에 위치하는 셈이 된다. 이때 테이프(38)의 화살표(L)방향의 주행에 따라서 테이프 패드(49)도 같은 방향으로 약간 이동되고, 결국 전술한 상태의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제14(a)도에 보이는 것처럼 소거 헤드(32)의 꼭대기 부분보다도 녹음 재생 헤드(14)의 꼭대기부분쪽이 소정간격(b)만큼 높게 되어 있다. 이 간격(b)은 실제의 경우 약 0.2mm정도이다. 이와 같이 녹음 재생헤드(14)와 소거 헤드(32)와의 높이를 바꾸어서 설치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예컨대 자동으로 머리를 내미는 곡간(曲間)검출수단으로서 테이프(38)를 가볍게 녹음 재생 헤드(14)에 접속시킨 상태로 테이프 고속 주행을 행하며, 곡간무 녹음(曲間無錄音)부분을 검출하는 것이 알러져 있다. 이러한 경우 녹음 재생 헤드(14)의 높이를 소거 헤드(32)의 그것보다도 높게 하므로써, 제14(b)도에 보이는 것처럼, 테이프(38)가 녹음 재생 헤드(14)의 선단부에만 접속되고, 소거헤드(32)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테이프(38)에 필요없는 부하(負荷)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호한 곡간검출을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곡간검출에 한하지 않고 통상의 고속 재생(큐우, cue) 및 도로감는 재생(레뷰우, review)를 할때에도 유효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4(c)도에 보이는 것처럼, 통상의 녹음 및 재생의 경우에도, 테이프(38)의 녹음 재생 헤드(14)및 소거헤드(32)에 충분히 접속하게 되고, 접속불량에 의한 녹음신호 및 재생신호의 특성열하(劣下)를 방지할 수가 있을 것이다.
또, 통상의 녹음 및 재생시에, 테이프(38)을 녹음 재생 헤드(14)와 소거 헤드(32)에 충분히 접속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제15도 내지 제17도에 표시한 것처럼 하면된다. 먼저 제15도에 보이는 것은, 소거 헤드(32)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소거 헤드(32)에 대하여 녹음 재생 헤드(14)를 소정각도(θ1)만큼 기울러서 부착 하도록 한 것이다. 또, 제16도에 보이는 것은 제15도와 반대로 녹음 재생 헤드(14)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녹음 재생 헤드(14)에 대하여 소거 헤드(32)를 소정각도(θ2)만큼 기울러서 부착시키도록한 것이다. 또한 제17도에 보이는 것은 녹음 재생 헤드(14)와 소거 헤드(32)를 서로 소정각도(θ3)만큼 기울러서 부착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 헤드(32)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기울러서 부착하므로써, 극히 손쉬운 구성으로, 테이프(38)과 녹음 재생 헤드(14) 및 소거헤드(32)와의 접촉을 충분히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도 그 요지에서 일탈(逸脫)하지 않는 범위로 여러가지 변형해서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오오토 리버어스에 있어서 테이프 정역절환시에 녹음 재생헤드와 소거 헤드와의 두개의 헤드를 각각 이동시켜서 카세트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된 헤드 삽통공에 함께 삽통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촉진할 수 있는 극히 양호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테이프 정(正) 및 역(逆)방향 정속주행용 조작자를 복합적으로 조작하므로써, 테이프 종단 검출장치와 관련하여 테이프를 정 및 역방향 정속주행상태로 절환하는 정역 절환기구를 구비하여 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전기한 정역절환기구의 절환동작에 연동하여 소정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헤드 슬라이더와, 이 헤드 슬라이더에 지지되어 각각 단체인 녹음 재생 헤드, 소거 헤드를 그들의 각 테이프 당접면에 노출시 켜서 지지하는 헤드 지지체 및 이 헤드지지체를 전기한 정역절환기구의 절환동작에 연동하여 전기 녹음 재생 헤드, 소거 헤드의 각 테이프 당접면이 전기 테이프에 대향한 상태로 회전시켜, 전기 테이프정, 역 방향 정속주행에 따른 2개의 위치에 전기녹음 재생 헤드 소거 헤드를 회전이동시키는 기구로 되는 헤드 회전기구와를 구비하고, 전기 헤드 지지체가 회전되는 2개의 위치에서 전기 녹음 재생 헤드 및 소거 헤드가 함께 카세트 하우징의 중앙부에 형성된 헤드삽통공을 삽통할 수 있도록 하여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장치.
KR8202401A 1981-05-29 1982-05-29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 KR850001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82104 1981-05-29
JP56082104A JPS57198563A (en) 1981-05-29 1981-05-29 Cassette tape reco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023A KR840000023A (ko) 1984-01-30
KR850001451B1 true KR850001451B1 (ko) 1985-10-05

Family

ID=1376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401A KR850001451B1 (ko) 1981-05-29 1982-05-29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4532565A (ko)
EP (2) EP0129918B1 (ko)
JP (1) JPS57198563A (ko)
KR (1) KR850001451B1 (ko)
DE (1) DE3268511D1 (ko)
HK (2) HK2288A (ko)
SG (1) SG574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8563A (en) * 1981-05-29 1982-12-06 Toshiba Corp Cassette tape recorder
JPS59213049A (ja) * 1983-05-18 1984-12-01 Victor Co Of Japan Ltd 反転式テ−プレコ−ダの駆動装置
JPS6124818U (ja) * 1984-07-19 1986-02-14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式テ−プレコ−ダ
US4710835A (en) * 1984-09-14 1987-12-01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agnetic head driving mechanism for tape player
JPS6182309A (ja) * 1984-09-28 1986-04-25 Pioneer Electronic Corp カセツトデツキ
US4799116A (en) * 1985-09-09 1989-01-17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reverse tape recorder having a mode-changing mechanism
US4716482A (en) * 1986-02-14 1987-12-29 Hewlett-Packard Company Head actuator limit stop assembly for a disk memory drive
US4884458A (en) * 1986-10-20 1989-12-05 Lew Hyok S High sensitivity vortex shedding flowmeter
GB2205987B (en) * 1987-05-20 1992-02-26 Tanashin Denki Co Automatic reversing tape recorder
JPH01121111U (ko) * 1988-02-04 1989-08-16
JPH0719337B2 (ja) * 1988-05-10 1995-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回転ドラムヘッド磁気テープ再生方式
US5184264A (en) * 1988-09-30 1993-02-02 Goldstar Co., Ltd. Adjustably mounted audio control head
AT392549B (de) * 1989-06-14 1991-04-25 Philips Nv Magnetbandgeraet mit einem magnetkopf
JP3094662B2 (ja) * 1992-05-20 2000-10-0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5986854A (en) * 1993-06-28 1999-11-16 U.S. Philips Corporation Magnetic cassette recorder with reversing and translating magnetic head
JPH0741702U (ja) * 1993-12-25 1995-07-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磁気ヘッドの接続構造
US5748396A (en) * 1995-11-13 1998-05-05 Seagate Technology, Inc.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recorded signal to noise ratio in contact recording systems
JP3239801B2 (ja) * 1997-05-29 2001-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ープレコーダ
JP3457508B2 (ja) * 1997-07-01 2003-10-20 東京ピジョン株式会社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4273C (de) * 1949-09-23 1952-11-04 Siemens Ag Spiel- und Loeschkopfanordnung bei einem Magnettongeraet
US2711445A (en) * 1951-03-27 1955-06-21 Steinegger Giovanni Soun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DE1209763B (de) * 1955-09-14 1966-01-27 Bernhard Loewe Dr Magnetkopfanordnung fuer Magnettongeraete
US3169720A (en) * 1959-07-27 1965-02-16 Albert C Nolte Recording medium drive
DE1422061A1 (de) * 1961-10-19 1968-10-10 Gatag Ltd Umschaltbarer und regulierbarer Bandantrieb fuer Kleinst-Tonbandgeraete mit neuartiger Kassette
US3236428A (en) * 1962-09-13 1966-02-22 Yamane Ryohei Apparatus for regulating automatically a recording apparatus
US3332085A (en) * 1963-08-01 1967-07-18 Sperry Rand Corp Multi-track magnetic recorder with rotatable head assembly
US3376396A (en) * 1964-06-26 1968-04-02 Bell & Howell Co Bidirectional magnetic recorder with movable head assembly
US3480230A (en) * 1966-11-26 1969-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3573769A (en) * 1967-10-30 1971-04-06 Gen Electric Magnetic head with air relief slots
DE1622861A1 (de) * 1968-03-02 1971-03-25 Dual Gebrueder Steidinger Magnetkopf-Umstelleinrichtung
US3614342A (en) * 1969-06-02 1971-10-19 Ampex Bidirectional tape transport with reversible head mechanism driven by lapstan motor
US3777070A (en) * 1971-09-23 1973-12-04 California Data Machines Tape guide and magnetic head-pressure pad spacer
IT949830B (it) * 1972-03-03 1973-06-11 Honeywell Spa Testina magnetica bitraccia
JPS4924412A (ko) * 1972-06-28 1974-03-04
US3855628A (en) * 1973-02-16 1974-12-17 Motorola Inc Tape head rotator mechanism
US3925819A (en) * 1973-02-16 1975-12-09 Motorola Inc Tape head rotator mechanism for track changing
AT343370B (de) * 1973-03-29 1978-05-26 Eumig Aufnahme- oder wiedergabegerat
US3882543A (en) * 1973-09-10 1975-05-06 American Optical Corp Tape head mount and alignment means
DE2348493A1 (de) * 1973-09-26 1975-04-03 Compur Werk Gmbh & Co Ton-aufnahme- und wiedergabegeraet
JPS5426361B2 (ko) * 1974-09-13 1979-09-04
GB1560745A (en) * 1975-11-06 1980-02-06 Tanashin Denki Co Automatic tape run-reversing device
US4238808A (en) * 1978-02-01 1980-12-09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Tape stop detecting mechanism
JPS6029079Y2 (ja) * 1978-05-08 1985-09-03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式記録再生装置のカセットエジェクト防止装置
SU723659A1 (ru) * 1978-07-31 1980-03-2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Кинофотоинститут Стирающа магнитна головка
JPS5644133A (en) * 1979-09-14 1981-04-23 Toshiba Corp Auto reverse unit with program searching mechanism
US4510543A (en) * 1980-10-31 1985-04-0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agnetic head system for tape player
JPS57198563A (en) * 1981-05-29 1982-12-06 Toshiba Corp Cassette tape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268511D1 (en) 1986-02-27
JPS57198563A (en) 1982-12-06
US4532565A (en) 1985-07-30
EP0129918A3 (en) 1985-05-15
EP0066809A1 (en) 1982-12-15
US4669012A (en) 1987-05-26
EP0129918A2 (en) 1985-01-02
HK108990A (en) 1991-01-04
EP0129918B1 (en) 1988-05-11
US4636895A (en) 1987-01-13
HK2288A (en) 1988-01-22
KR840000023A (ko) 1984-01-30
SG57487G (en) 1987-09-18
EP0066809B1 (en) 198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451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
US4945437A (en) Magnetic head mechanism for reversing head orientation and moving head in tape width direction
JPS6342331B2 (ko)
EP0571200B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head apparatus for a tape player
JPS6334094Y2 (ko)
JPS6331212Y2 (ko)
JPS6331213Y2 (ko)
JPS6334095Y2 (ko)
JPS6342329B2 (ko)
JPS6342330B2 (ko)
JPS6224867B2 (ko)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H0749640Y2 (ja) テープレコーダの録音/再生切換えスイッチ駆動装置
JPH0624017Y2 (ja) テ−プ走行装置用操作レバ−装置
JPS60115019A (ja) カセツト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H0378686B2 (ko)
JPH042421Y2 (ko)
KR930005767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하프로딩장치
JPH0621064Y2 (ja) テ−プレコ−ダのテ−プ走行方向反転装置
JPS6347929Y2 (ko)
JPH0345464B2 (ko)
JP3044908B2 (ja) テープ駆動装置
JP2678682B2 (ja) テープデッキ
JPH0135320Y2 (ko)
JPS647413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