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947B1 - 폐 문 기 - Google Patents

폐 문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947B1
KR850000947B1 KR1019800001144A KR800001144A KR850000947B1 KR 850000947 B1 KR850000947 B1 KR 850000947B1 KR 1019800001144 A KR1019800001144 A KR 1019800001144A KR 800001144 A KR800001144 A KR 800001144A KR 850000947 B1 KR850000947 B1 KR 85000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tension member
piston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134A (ko
Inventor
힐리아 샤도크 데니스
Original Assignee
피킨스 앤드 포웰 리미티드
소벨 히스, 알버트 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킨스 앤드 포웰 리미티드, 소벨 히스, 알버트 훠드 filed Critical 피킨스 앤드 포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3000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piston rod protruding from the closer housing; Telescoping clo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 문 기
제1도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폐문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종 단면도.
제2도는 문이 열린 상태에서의 폐문기를 도시하는 제1도의 선Ⅱ-Ⅱ에 따른 수평단면도.
제3도는 및 제4도는 각각 제1도의 선 Ⅲ-Ⅲ 및 Ⅳ-Ⅳ에 따른 수직 횡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화살표 Ⅴ방향에서 도시된 도면.
제6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
본 발명은 문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속도를 크게 제한하지 않고 폐문기가 설치된 문짝의 패쇄방향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한 방향으로 작동되는 유체완충수단의 제어하에 스프링에 의해서 작동되는 인장부재를 가지는, 특수한 종류의 폐문기에 관한 것이다.
폐문기는 각기 목적에 맞도록 구체적으로 고안된 여러가지 형이 알려져 있다. 그중의 하나는 문짝면에 고정되는 몸체 및 문틀체에 고정되는 판절아암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는 하우징이 언제나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조절할 수 있으나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미관상의 이유로 매우 부적합하다.
그를 통해 문으로 운동이 전달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또 다른 형태는 문틀안에 감추어질 수 있으나, 설치상의 어려움때문에 가정용으로 적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미 사용중에 있는 문짝에 설치하기에는 더욱 부적합하다.
가정 및 기타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종류의 문폐쇄기가 보통 바람직한데, 말하자면 인장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 작동되는 것. 더 구체적으로, 문짝자체 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형태것이다. 바로 이러한 것이 본 발명이 관계되는 문폐쇄기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개폐기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a. 문짝에 끼워지는 하우징 및 상기 문짝에 인접한 문틀에 끼워넣기 위한 고정판
b. 상기 고정판에 연결된 관절체인의 형태로 그 외측단부를 지니며 하우징안에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인장부재.
c. 인장부재에 작용하여 하우징내부로 힘을 가하여 하우징과 고정판이 서로 맞닿도록 끌어당겨서 본 폐문기가 설치된 문짝이 닫히도록 하는 상기 하우징내부에 설치되는 주스프링 장치.
d. 상기 인장부재에 연결되며 두 개의 격실로 분할된 유체층 전실안에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된 피스톤을 포함한 완충장치로서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즉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인장부재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이 움직일 때 한 격실에서 다른 격실로 유체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이동을 하게 하나, 반대방향의 유체의 이동에는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하우징의 내부방향 즉 상기 스프링장치의 작용력하에서 문이 닫히는 방향으로 인장부재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한 완충장치.
e. 인장부재가, 완충장치의 조절하의 스프링장치에 의해 결정된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외부힘에 반응하여 문이 닫히는 방향으로 즉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피스톤이 인장부재에 연결되게 피스톤의 횡단두부가 인장부재의 와셔형 돌출부분과 결합되는 공전장치.
f. 상가 주 스프링에 독립하여 상기 관절체인의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보조스프링 장치.
그와같은 공전운동장치의 설비는 문이 손으로 더빨리 여닫는 것을 허용하는데 예를들면 방에서 열이 달아 나는 것을 막기위해 또는 열린창으로 들어오는 바람을 막기위해 기구에 변형을 주지 않으면서 할 수 있다. 반면에, 그런 분절되는 체인의 사용은 강체링크 판이 인장부재를 고정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때 이전까지 가능했던 것보다 훨신 더 큰 각으로 문이 열릴 수 있으며, 만일 문이 개폐기 자체에 의해 받는 힘을 초과하는 외부력을 받는다면 추가적인 스프링의 설비는 체인이 휘고 찌그러드는 것을 막아준다.
인장부재는 크로스헤드에 의해 그 안측단에서 연결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평행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완충장치는 축에 평행하게 뻗어있고 크로스 헤드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로드에 의해 움직이는 피스톤을 갖고서 축들 사이에 설치된 하나의 유니트로서 이루어 진다.
그런 구조에 있어서, 크로스헤드는 축의 내축단을 가로질러 똑바로 뻗어있거나 또는 축의 내측단에서 떨어져서 위치하는 크로스부재를 포함하는 말등받이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공전운동장치는 크로스헤드에 고정된 피스톤로드를 갖음으로서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고 반면에 크로스 헤드는 축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유체 바이패스장치는, 상기의 주스프링 장치에 의해 작용된 힘이 문상의 레치나 캐치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저항을 극복하여 문이 가속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인장부재의 이동범위중 최상단 위치상의 저항을 문이 패쇄된 위치로 이완하기 위해 제공되고 그리고 조절장치는 개폐기가 설치됐을 때 상기 바이패스의 작동이 조절가능 하도록, 고정판에 피스톤의 위치를 조절가능 하도록 제공된다.
조절장치는 고정판에 대해서 인장부재와 피스톤을 각각 조정하는 데에 효과적이고, 특히 지지판과 인장부재의 외측단 사이에서 동작가능하다. 이 경우에, 조절장치는 두판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상에 조절가능하게 장치된 조정판을 포함하고 , 인장부재는 상기 조절판의 외측단에 연결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 조절장치가 인장부재와 지지판에 대해 피스톤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에 효과적이며, 조절장치가 하우징과 같이 있고, 하우징이 조절장치로 진입을 위해 바깥단에 개방부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예로서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제1도에서 제5도까지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패쇄기의 실시예는 중심구멍(11)과 두개의 바깥구멍(12)등 3개의 내부 평행구멍을 가지는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우징의 일단 즉 내부끝(10a), 슬로트(13)는 이후에 설명되는 목적을 위해 중심구멍(11) 및 바깥구멍(12) 사이에 하우징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은 내부단부마감판(14)과 그 반대편에 외부단부(10b) 및 외부단부설치판(15)로서 완비된다. 외부단부 설치판은 제2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구멍들(12)의 각자와 각형 개구부를 한정시키기 위해 판체로부터 휘어진 곡선의 설부(16a)을 압출하여 바깥으로 넓어지는 곡민가이드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구멍(16)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할 때, 하우징(10)은 문짝(D)안에 내부적으로 형성된 홈안에 설치되어 있다. (제2도 참조). 그리고 그것은 나사등의 수단에 의해 (도시되지 않았음) 구멍(15a)하우징으로 부터 평행하게 떨어져 위치에 설치판안에 구멍(15a)을 관통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문패쇄기는 또한 문틀(F)에 비슷하게 설치되는 앵커판(17)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에서 제5도까지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앵커판(17)은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인장부재(20)에만 연결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앵커판(17)은 제2도에 도시된 전통적인 경첩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판에 한지로 연결되어 있다.
앵커판(17)은 나사수단으로 문틀에 설치되기 위해 종래의 나사구멍(17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목적을 위해 문틀에 형성된 홈부에 수납되는 조절판(18)을 포함한다. 조절판(18)은 나사(19)에 의해 지지되는데 판(18)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8a)을 통해 뻗어있다. 중앙구멍(17b)은 나사(19a)을 수납하기 위해 앵커판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판(17)의 후면부에서 지지하는 두부(19a)의 밑부분에 톱니와셔(19a)가 고착되어 있다. 인장부재(20)는 조절판(18)의 중앙부분을 통해 앵커판(17)에 연결되어 있어서, 나사(19)가 회전함에 따라 두판(17,18)사이에 틈은 패쇄기가 설치된 후에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장부재(20)는 각각 외부구멍(12)안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길이방향 평행축과 축의 외단부로부터 뻗어 설치판(15)안에 구멍(16)을 통해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온 각각의 관절체인(22)을 구비하고 있다. 체인(22)들은 조절앵커판(17)에 구멍(17c)을 관통하여 뻗어있어 조절판(18)에 부착된다. 그 내부끝에서는 축(21)이 길쭉한 구멍(13)을 통해 두축사이에 가로질러서 뻗어있는 횡단두부(24)의 내부면과 관련되는 와셔의 형태로 된 돌출부분(23)을 구비하고 있다. 횡단두부(24)는 제1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축들이 뻗어있는 구멍(24a)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외부구멍(12)은 그 내단부가 횡단두부(24)의 외부면을 누르고 그 외측단이 구멍뚫린 원판(27)을 누르는 주 코일 압축스프링(26)을 지니며, 상기 원판은 내부로 굽혀진 설부(16a)의 단부를 누른다. 따라서, 시프링(6)은 횡단두부(24)를 받침대와셔(23)에 대해 하우징의 내부로 밀어대어 축(21)을 하우징속으로 당겨서 앵커판(17)과 하우징(10)을 서로를 향해 당긴다. 이렇게 해서, 폐문기가 설치된 문(D)은 닫힌 위치에서 통상 유지된다. 문이 열리면 설치판(15)은 앵커판(17)으로부터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원호상의 통로를 따라 멀리 당겨져서 축(21)은 바같쪽으로 당겨지고 스프링(26)은 압축된다. 따라서 문을 놓으면 스프링(26)에 의해서 문이 패쇄위치로 되돌아간다.
문이 너무 급히 닫히지 않게 하기위해서, 한 방향으로 작동되는 완충기(30)가 하우징(10)의 중앙구멍(11)속에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기는 축(21)에 평행하게 위치된 피스톤로드(31)를 지나며 횡단두부(24)의 중앙구멍(24b)을 통하여 연장하는 적은 직경의 단부(31a)를 지니고 스프링 클립(25)을 지니어서 횡단두부가 피스톤로드(31)의 주부분과 적은 직경의 단부(31a)의 결합부에서 견부(31a)에 대해 유지된다. 따라서 횡단두부(24)는 피스톤로드(31)와 견고하게 조립되나 축(21)과다 미끄럼가능하게 조립되고 통상 스프링(26)에 의해서 받침대와셔(23)와 결합되어 유지된다.
피스톤로드(31)는 몸체(10)의 횡단구멍을 통하여 연장하고 부싱속에 형성된 원주홈(32a)속에 들어는 한쌍의 핀(33)에 의해서 중앙구멍 속에서 지지되어 있는 부싱(32)내에서 안내된다. 또한, 피스톤로드는 피스톤로드(31)와 중앙구멍(11)의 내부면과 밀폐되게 결합하는 글랜드(gland)(34)를 통하여 연장된다. 피스톤로드는 구멍속에 미끄러지게 결합되는 피스톤(36)을 지니고 잘 휘어지는 다이어프램(38)이 구멍(11)의 외축단에 설치판(15)에 의해서 적당히 위치된다.
글랜드(34) 및 다이어프램(38)사이의 중앙구멍(11)은 적당한 유체로 채워지는 챔버(35)를 제공하며 피스톤(36)은 한 방향으로는 피스톤을 지나는 유체통로에 제한을 주나 반대방향으로는 제안을 주지않는 공지의 구성밸브(도시적으로 참조번호 37로 도시됨)를 지닌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 밸브(37)가 글랜드(34)와 피스톤(36)사이에 제공된 챔버의 내부격실(35a)로부터 피스톤(36)과 다이어프램(38)사이에 제공된 챔버의 외부격실(35b)으로의 유체의 전달에 저항을 가하게 설치된다. 챔버의 외부격실(35a)은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또는 그 반대로 위치되며 피스톤로드(31)가 스프링(26)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을 받으며 횡단 헤드(24)에 의해서 하우징내부로 이동될 때 밸브(37)는 하우징(10)에 대해 피스톤(36)의 내부 이동에(즉, 제1도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또는 챔버(35)에 대해 외부로) 대해 저항을 제공하는 것을 알수 있다. 이렇게 해서 고정판과 설치판(15)이 축(21), 체임(22) 및 횡단헤드(24)로 구성된 인장부재(20)에 의해서 완충기(30)의 밸브(37)에 의해서 제한된 속도로 함께 당겨지며 문이 닫히는 속도로 이와 유사하게 제어된다.
그러나, 때로는 완충기(30)의 제어하에서 스프링(26)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보다 빠른 속도로 수동으로나 다른 외력에 의해 문이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단두부(24)는 축(21)에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문이 강하게 닫히면 축(21)이 횡단두부(24)보다 빨리 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되며 받침대와셔(23)는 횡단두부(24)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축(21)이 횡단두부(24)사이의 미끄럼 연결부는 문이 인장부재(20)위를 주행하게 공전장치로서 사용되며 관절체인(22)이 이러한 조건하에서 찌그러지거나 구멍(16)속에 끼어들지 않도록 보조스프링(28)이 각각의 외부구멍(12)속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스프링은 그 외측단이 원판(27)에 대해 작용하나, 그 내측단은 횡단헤드의 구멍(24a)을 통하여 연장하여 받침대와셔(23)를 직접 누른다. 따라서, 보조스프링(28)은 관절체인(22)이 항상 인장하에 있게하며 축(21)이 문(D)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서 횡단두부. (24)보다 빨리 하우징(10)내부로 이동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문기는 문위의 걸쇠 또는 그와 유사물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어떠한 저항도 극복할 수 있도록 완충기(30)의 제한효과가 문의 패쇄이동 말기에는 작용하지 못하게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완충기(30)의 유체를 지니는 챔버(35)를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하우징의 중앙구멍(11)이 환상의 리베이트(rebate)(39)를 지니어서 구멍(11)은 글랜드(34)에 인접해서 부분적으로 증가된 내경을 지닌다. 따라서, 피스톤(36)이 글랜드(34)에 인접한 챔버의 단부근처에 있으면 리베이트는 유체바이패스로서 작용하여 유체는 피스톤의 외축 주위로 자유롭게 흐르며, 따라서 스프링(26)의 전체의 힘은 문이 걸쇠에 의한 저항을 이기고 안장부재(20)를 통하여 가해지게 된다.
피스톤의 이러한 비제한 운동량은 두가지 이유 때문에 조절할 필요가 있다. 첫째로, 여러 가지 형태의 걸쇠에 의해서 제공되는 저항은 상당히 변화하며 문이 요란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벼운 저항만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강한 걸쇠에 의해서 제공되는 저항을 극복할때 필요한 이동량에 비해서 비제한 이동량은 감소되는 것이 좋다. 실제로, 어떠한 걸쇠로 설치되지 않은 문에 폐문기가 설치되면 비제한 이동은 제거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작업은 조절이 수행되는 동안에 폐문기를 반복적으로 설치 및 제거하는 난점이 있기 때문에 폐문기 설치중에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설비를 해야하는 두번 째 이유는 더욱 중요하다, 폐문기는 문의 힌지 모서리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인장부재(20)가 아주 조금만 움직여도, 문의 자유단은 크게 움직인다. 따라서 피스톤의 비제한 이동범위를 조절하는 장치가 없으면 문에 설치한 하우징의 위치 오차가 비교적 근소할 때도 피스톤의 비제한 이동의 적당한 범위를 제공하는 유체 바이패스의 효과가 완전히 무효가 된다. 따라서, 설치판(15)이 문에 너무 깊이 들어가면(예컨대, 단지 2mm정도)문을 완전히 닫았을 때 설치판(15)은 앵커판(17)과 떨어져서 피스톤은 제1도에 도시된 위치의 오른쪽에 위치되어 유체바이패스는 전혀 작동하지 않는다.
문의 내측 모서리면과 이에 상응하는 문틀의 면 사이의 간격은 실제로 0에서 약 최소한 5mm까지 변화하기 때문에 설치판(15)을 매우 정확하게 설치하여 그 외측면이 문의 모서리면과 일치하도록 할지라도 유사한, 오히려 더 크기 조차한 난점이 이러한 요소에 의해서 간단히 발생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과거의 어떤 폐문기도 설치한 후 문이 닫히는 말기에 문의 비제한 이동범위를 조절하는 설비가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만족스럽지는 못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앵커판(17)에 대한 조절판(18)의 위치를 조절하는 설비를 함으로서, 폐문기를 설치한 후문을 닫았을때의 중심 구멍속에서 리베이트(39)에 대한 피스톤(36)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렇게해서 문의 내측 모서리면과 이에 상응하는 문틀의 모서리 사이의 간격으로 인한 차이는 없앨 수 있으며, 문에 설치한 어떠한 특수한 걸쇠에 의한 저항에 따라서, 피스톤의 비제한 이동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문을 닫는 마지막에 그 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을때는, 피스톤(16)이 구멍(11)의 리베이트(39)속에 완전히 들어가기전에 문이 완전히 닫힐 수 있도록 나사(19)가 조절된다. 이와 달리, 비제한 이동이 필요할 경우에는 문폐쇄위치가 그 필요한 운동량에 따라서 리베이트(39)의 축상 길이의 어떤 선택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은 문을 닫았을때 문의 내측 모서리에서의 간격이 문에 따라 틀림에도 불구하고 또한 설치판이 문의 모서리면 속으로 들어가는 깊이가 어느정도 부정확함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리베이트(39)의 축상 길이는 피스톤의 축상 길이에다. 문의 자유단에 제공되는 최대비제한 이동량에 상응한 길이와 실제로 발생될 수 있는 문의 내측모서리에서의 최대 틈새폭에 상응한 길이가 더해진것과 같아야 한다.
제6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도-제5도에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것과 같은 부품은 똑같은 참조부호로서 도시되며 하기의 설명을 제외하고는 상기의 설명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22)이 앵커판(17)에 직접 고정되었으며, 조절판(18)과 나사(19)는 생각되었다. 따라서 앵커판의 설치가 간단해지는데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고정판의 후방에서 떨어져서 조절판이 위치하게 문틀에 요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이 닫혔을때의 리베이트(39)에 대한 피스톤(36)의 위치 조절은 인장부재(20)에 대하여 조절하면된다. 이렇게 하기위해서, 완충기(130)의 구조가 완충기(30)에 대해 역이며, 따라서 피스톤로드(131)는 상기 실시예 에서와 같이 하우징(10)에 대해 피스톤으로부터 내부로 연장하는 대신에 외부로 연장하며, 직선 횡단두부(24)는 받침대와셔(23)와 결합하는 러그(141)와 안충기(130)를 따라서 중앙구멍(11)외부로 연장하는 평행한 스트랩(142)과 상기 실시예의 슬로트(13)대신에 구멍(11)의 외단부에 형성된 슬로트(113)를 통하여 연장하는 횡단부재(143)로 구성되는 등자형의 변경된 횡단두부(124)에 의해서 교체된다.
피스톤로드(131)는 나선단부(131a)를 지니며 횡단부재(143)속에 형성된 나선구멍(143a)속에 수용된다. 피스톤(131)의 단부의 슬로트(131b)는 본 실시예의 설치판(15)속에 형성된 중앙구멍(15b)에 접근가능하다.
피스톤로드(131)가 횡단부재(143)로 부터 우연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셔(144)는 횡단부재(143)에 결합하고 피스톤로드의 하우징 내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양호하게 부착된다.
문을 열면 횡단두부(124)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른쪽으로 124A로 표시된 지점까지 움직이며, 이 지점에서 피스톤로드(131)는 구멍(15b)를 통하여 삽입되는 나사 드라이버에 의해서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피스톤(36)은 문이 닫혔을 때 하우징(10)에 대하여 챔버(135)의 내단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리베이트(39)는 피스톤로드(131)가 제1실시예의 피스톤로드(31)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피스톤(36)으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글랜드(34)와 부싱(32)이 외단부에 위치되더라도 챔버의 내단부에 형성된다. 밸브(37)는 공지의 방법으로 설계되어 피스톤이 문의 개방이동에 따라 제6도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피스톤(36)과 글랜드(34)사이의 격실(135a) 즉, 하우징(10)과 피스톤로드에 대한 외부격실)로부터 피스톤(36)과 디이어프램(38)사이의 격실(135b)(즉, 하우징과 피스톤로드에 대한 내부격실)속으로의 비제한 유체흐름을 허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반대로 문이 닫히면 피스톤이 스프링(26)에 의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격실(135b)에서 격실(135a)으로 반대방향으로 유체가 흐를 때 밸브(37)에 의해서 저항을 받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문의 닫히는 속도는 피스톤(36)이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리베이트(39)와 완전히 합치되기 전까지는 제어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완충기는 하우징(10)과 일체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달리 하우징(10)의 중앙구멍(11)속에 위치되는 외부실린더를 지니는 독립식 완충기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된 것 같은 완충기는 유체바이패스를 제공하도록 넓은 환상의 리베이트(39)를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축상으로 연장하는 슬로트에 의해서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원활히 작동되도록, 유체바이패스에 의해서 제공된 유체통로의 횡단 면적은 피스톤에 의해서 도시되듯이 점차로 증가되게 설게되는, 즉 리베이트(39)의 폭 또는 깊이는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Claims (1)

  1. 문속에 고정된 하우징과 문에 인접한 문틀에 고정된 앵커판, 하우징속에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고정판에 연결된 관절체인 형태의 외단부를 지니는 인장부재, 하우징속에 있으면서 인장부재를 하우징의 내부로 밀쳐서 폐문기가 부착된 문을 닫도록 하우징과 앵커판을 함께 당기도록 작용하는 주스프링장치, 상기의 스프링 장치의 작용하에 인장부재가 하우징의 바같쪽으로 이동하는 데에 대응하여 피스톤이 움직일 때 즉 문이 개방되는 방향일때는 격실간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인장부재가 하우징의 안쪽으로 이동할 때 즉 문이 닫히는 이동율을 조절하기 위해 반대방향으로의 유체이동에 충분한 저항력을 줄 수 있는 밸브장치를 갖추고서 두 개의 격실로 분리되어 있는 유체중전 실에서 미끄럼 가능하면서 인장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완충장치로 구성된 폐문기에 있어서, 완충장치의 조절을 받고있는 상기 주스프링장치에 의해 결정된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외력에 상응하여 문이 닫히는 방향 즉 하우징의 안쪽으로 인장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의 횡단두부가 상기 인장부재의 와셔형 돌출부분과 결합되는 공전장치, 상기 주 스프링장치와 별도로 관절체인 내에서 인장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보조스프링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문기.
KR1019800001144A 1979-03-20 1980-03-19 폐 문 기 KR850000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79-09779 1979-03-20
GB7909779 1979-03-20
GB79/09779 1979-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134A KR830002134A (ko) 1983-05-23
KR850000947B1 true KR850000947B1 (ko) 1985-06-29

Family

ID=1050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144A KR850000947B1 (ko) 1979-03-20 1980-03-19 폐 문 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4317254A (ko)
EP (1) EP0016445B1 (ko)
JP (1) JPS55126678A (ko)
KR (1) KR850000947B1 (ko)
AT (1) ATE2157T1 (ko)
AU (1) AU533548B2 (ko)
CA (1) CA1133023A (ko)
DE (1) DE3061475D1 (ko)
DK (1) DK150238C (ko)
ES (1) ES8105435A1 (ko)
GR (1) GR67194B (ko)
HK (1) HK42183A (ko)
IE (1) IE49290B1 (ko)
IN (1) IN152704B (ko)
MY (1) MY8400287A (ko)
NZ (1) NZ193179A (ko)
SG (1) SG27183G (ko)
YU (1) YU74680A (ko)
ZA (1) ZA8015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2135B1 (fr) * 1984-04-02 1989-05-05 Liogier D Ardhuy Louis Ferme-porte a pignons et chaine pour la liaison avec le cylindre
DE3438042A1 (de) * 1984-10-17 1986-04-17 Dictator Technik - Ruef & Co, 8902 Neusäß Rohrtuerschliesser
US5016317A (en) * 1990-05-14 1991-05-21 Hung Sheng Hu Lightly-operating automatic door closer with double cylinders
GB9416376D0 (en) * 1994-08-12 1994-10-05 Heath Samuel & Sons Plc Door closers and dampers primarily for door closers
KR100202260B1 (ko) * 1997-03-04 1999-06-15 우생윤 자동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GB9904845D0 (en) * 1999-03-04 1999-04-28 Heath Samuel & Sons Plc Door closers
GB0102610D0 (en) 2001-02-02 2001-03-21 Heath Samuel & Sons Plc A door closer
US8225458B1 (en) 2001-07-13 2012-07-24 Hoffberg Steven M Intelligent door restraint
GB2415014B (en) * 2004-06-12 2008-10-22 Heath Samuel & Sons Plc Door closer
US20090229935A1 (en) * 2007-01-03 2009-09-17 Stabilus Gmbh Continuously Blockable Locking Device
US8083304B2 (en) * 2007-07-18 2011-12-27 Accuride International, Inc. Self closing mechanism for drawer slides
DE102009020786B4 (de) * 2008-05-28 2012-07-12 Stabilus Gmbh Türfeststeller
DE102009020951B4 (de) * 2008-05-28 2012-07-12 Stabilus Gmbh Stufenlos blockierbare Feststellvorrichtung
GB2474878B (en) 2009-10-30 2012-07-18 Astra Door Controls Ltd Valve mechanism for a hydraulic door and fitting tool for fitting the door
CA2807245A1 (en) * 2010-08-05 2012-02-09 Ptronik International Pty Ltd Dust collector control system
GB2486251B (en) 2010-12-09 2014-02-12 Astra Door Controls Ltd Door closer
US8402606B1 (en) * 2011-10-18 2013-03-26 Patrick Tsai Door closer with buffer mechanism for a sliding door
US9169905B1 (en) * 2014-02-13 2015-10-27 Lift-U, Division Of Hogan Mfg., Inc. Drive assembly with override mechanism
JP5927218B2 (ja) 2014-03-12 2016-06-0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放電管を備えるレーザ発振器、およびレーザ加工装置
US10577846B2 (en) 2017-07-06 2020-03-03 Lippert Components, Inc. Low profile door closer
DE102018007526B4 (de) * 2018-09-21 2020-07-09 Markus Wolf Bandseitiges Türschließsystem und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468A (en) * 1887-09-27 Chaeles e
US1114184A (en) * 1914-02-28 1914-10-20 Percy Augustine Richmond Door closer and check.
US1239510A (en) * 1915-04-26 1917-09-11 Niles Invisible Door Check Company Door-check.
US1711826A (en) * 1926-02-01 1929-05-07 Benjamin S Bernhard Door closer and check
CH192530A (de) * 1937-01-27 1937-08-31 Gauger & Co Selbsttätiger Türschliesser.
GB635971A (en) * 1945-03-09 1950-04-19 Svend Gunge Norballe Closing device for doors
US2841813A (en) * 1954-11-16 1958-07-08 Wright Products Inc Door check
US2949625A (en) * 1956-02-21 1960-08-23 Hubert A Guyer Door closer
GB897848A (en) * 1957-09-05 1962-05-30 Verreries Appliquee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door closer
US3149366A (en) * 1960-10-18 1964-09-22 Republic Industries Concealed overhead door closer
NL285224A (ko) * 1961-11-11
US3137888A (en) * 1962-01-11 1964-06-23 Bommer Spring Hinge Co Inc Concealed overhead door closer
AT239677B (de) * 1962-08-20 1965-04-26 Schuermann & Co Heinz Teleskopschließer für die Flügel von Türen
CH437043A (de) * 1964-06-10 1967-05-31 Doerken & Mankel Kg Selbsttätiger Türschliesser
DE1584169A1 (de) * 1964-07-21 1971-11-25 Dictator Deursluiter Mij Nv Tuerschliesser mit hydraulischem Stossdaempfer
FR1543821A (fr) * 1966-11-11 1968-10-25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a fermeture automatique d'une porte
GB1239915A (en) * 1967-05-15 1971-07-21 Stanmore Springs Ltd Improvements in hydraulic check floor springs
GB1161859A (en) * 1967-12-08 1969-08-20 F M S Distributing Co Pty Ltd A Stay for Lids and Doors.
GB1263214A (en) * 1969-05-23 1972-02-09 Ammus Sytytin Oy Door-closer for mounting in a door frame or a door
US3834282A (en) * 1970-12-14 1974-09-10 Us Navy Actuator and latch
FI194773A (ko) * 1973-06-15 1974-12-16 Veli Jaakko Saajos
FR2279917A1 (fr) * 1974-07-26 1976-02-20 Levasseur Ets Ferme-porte automatique du type a encastr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28070B2 (ko) 1986-06-28
ES489739A0 (es) 1981-06-01
GR67194B (ko) 1981-06-24
HK42183A (en) 1983-10-21
ATE2157T1 (de) 1983-01-15
AU5653380A (en) 1980-09-25
CA1133023A (en) 1982-10-05
YU74680A (en) 1983-02-28
EP0016445B1 (en) 1982-12-29
JPS55126678A (en) 1980-09-30
EP0016445A1 (en) 1980-10-01
US4317254A (en) 1982-03-02
NZ193179A (en) 1983-07-15
IN152704B (ko) 1984-03-17
AU533548B2 (en) 1983-12-01
ES8105435A1 (es) 1981-06-01
KR830002134A (ko) 1983-05-23
DK150238B (da) 1987-01-19
DK150238C (da) 1987-11-23
DE3061475D1 (en) 1983-02-03
DK118680A (da) 1980-09-21
IE800525L (en) 1980-10-20
MY8400287A (en) 1984-12-31
IE49290B1 (en) 1985-09-04
ZA801593B (en) 1981-04-29
SG27183G (en) 1985-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947B1 (ko) 폐 문 기
US7356878B2 (en) Door closer
EP0544254B1 (en) Method of swinging a pivoted door to a selected position and cam and follower mechanism for use in the method
KR960705122A (ko) 도어 클로저 및 도어 클로저용 댐퍼(door closers and dampers primarily for door closers)
GB2044840A (en) Door closer
GB2474878A (en) Valve mechanism for a hydraulic door closer and fitting tool for fitting of the door closer
US5050268A (en) Door closer with back checking means
US4102006A (en) Door closer
EP1159503A1 (en) Door closer
EP0406482A1 (en) Door closer
KR920003620Y1 (ko) 경첩에 내설되는 여닫이장치
FR2429366A1 (fr) Dispositif a soupapes comportant des obturateurs commandes par les cames d'un arbre a cames
JPS583117B2 (ja) 自動閉戸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