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771B1 - 절첩식 가동무대 - Google Patents

절첩식 가동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771B1
KR850000771B1 KR1019800000012A KR800000012A KR850000771B1 KR 850000771 B1 KR850000771 B1 KR 850000771B1 KR 1019800000012 A KR1019800000012 A KR 1019800000012A KR 800000012 A KR800000012 A KR 800000012A KR 850000771 B1 KR850000771 B1 KR 850000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stage surface
leg
members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126A (ko
Inventor
콘라드 뷰 리차드
Original Assignee
싸이코 인코퍼레이티드
해롤드 케이. 윌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싸이코 인코퍼레이티드, 해롤드 케이. 윌손 filed Critical 싸이코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3000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04H3/26Revolving stages; Stages able to be low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04H3/28Shiftable or port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가동무대
제1도는 일부 절결하고 그 단면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의 사용상태의 측면도.
제2도는 일부 절결하고 그 단면을 도시한 제1도에 도시한 무대의 보관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일부 절결한 제2도의 도시된 무대의 우측면도.
제4도는 제3오의 선(4-4)에 따라 취한 확대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하며 바퀴가 연장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측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선(6-6)을 따라 취한 일부 절결확대평면도.
제7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무대를 더 높은 위치로 끌어올리기 위해 보조 지지다리를 연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8-8)에 따라 취한 일부 절결확대평면도.
제9도는 제7도의 선(9-9)에 따라 취한 부품을 상세히 도시한 확대부분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와 유사하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평면도.
본 발명은 사용상태에서는 수직무대표면을 제공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상태로 절첩하여 바퀴를 이용해서 이동시켜 보관구역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절첩식 가동무대, 특히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절첩식 가동 무대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개별 부품으로 구성된 절첩식 가동무대는 가정의 다용도실 또는 호텔, 학교등에서 조속조립, 조속보관등 다양한 용도와 기능이 요구되는 곳에 널리 사용된다. 이런 목적으로여러가지 절첩식 무대가 개발되었다. 절첩식 가동무대의 한 예로서 본 발명의 양수자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3,351,029호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야에 관련있는 선특 청중 승강조정가능한 무대에 관한 것은 켈미트 에어취 윌슨이 특허받은 미합중국 특허 제3,999,491호와 제4,074,636호가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것이다. 상기 공지의 특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는 주 지지다리가 무대 중앙하부에 교차 연결되어 있고, 힌지장치는 수직 보관 상태로 절첩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무대표면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힌지링크를 포함한다.
수직방향으로 끼워서 삽입할 수 있는 슬리이브에 연결된 주 지지다리 저부 근처에는 운반용 바퀴가 달려 있다. 조정링크는 무대표면부재를 미끄럼 슬리이브에 연결하여 무대사용상태에서는 바퀴를 감추고, 무대 절첩상태에서는 주 지지다리밖으로 연장시켜 무대를 보관구역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무대구조를 지지한다. 이런 형태의 구조는 예정된 기능을 성취하는데 매우 성공적이었으나 본 발명은 더욱 견고하고 무대표면이 잘 정돈되며 더욱 편리하고 보관상태에서 무대를 안전하게 절첩할 수 있는 등, 확실한 특징 및 장점을 갖는 무대구조물을 제공한 것이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주 지지다리를 연결하여 바퀴용 미끄럼 슬리이브를 위치시킴으로써 베이스 프레임의 강성이 제한되어 있었다. 상기 슬리이브는 승강해야 하기 때문에, 다리 사이의 최저 횡단프레임은 플로어에서부터 약 23내지 25,4㎝(약 9내지 10인치) 정도 떨어져서 주 지지다리사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부주의하게 사용할때는 굽혀지는 등의 단점을 가진다. 또, 다리에 슬리이브를 설치할때는 부품이 서로 꼭 끼어서 슬리이브가 이동하는 문제를 완벽히 해결하기 위해 끼워맞춤은 어느정도 헐거워야 한다. 그러나 다리의 상태가 약간 헐거워지면 무대표면부재의 약간의 측부 오배열을 피하기 위해 다리의 상부의 측부이동을 위해 무대표면부 재하방에 위치 고정판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슬리이브가 헐거우면 무대무게가 바퀴에 가해지는 경우 슬리이브가 다리를 탑핑하게 되어 절첩 또는 전개과정중에 다리를 상하 이동시킬때 마하이 발생한다. 물론 이 마찰은 절첩 및 해제동작을 더욱 어렵게 한다. 또 슬리이브를 헐겁게 탑핑하면 바퀴는 수직상태에서 이탈되어 바퀴의 마모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더욱 견고한 다리와 숨길 수 있는 바퀴를 가진 개선된 지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점과, 또다른 문제를 극복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개의 무대표면부재와, 절첩상태에서 무대를 지지하고 무대사용 상태에서 무대표면부재의 내측단을 지지하여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는 교차연결된 복수개의 주 지지다리를 갖는 절첩식 가동무대를 제공한다. 무대표면부재의 표면이 서로 인접되며 베이스 프레임상에 거의 수직으로 위치되는 보관상태와 무대표면부재가 수평으로 위치되는 무대표면을 형성하며 내측단부가 지지되는 사용상태사이에서 선회운동하도록 무대표면부재를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하기 위해 힌지링크 또는 힌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다리장치는 사용상태에서 무대표면부재의 외측단을 지지하기 위해 무대표면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용 비임에는 회전식 또는 고정식 이동용 바퀴가 달려있다. 이동용 비임은 베이스 프레임의 저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이동용 바퀴를 지면 또는 플로어에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선회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작동링크는 무대 사용상태에서 비임을 회전시켜 이동용 바퀴를 감추도록 무대표면부재에 이동용 비임을 연결하게 되어 있어서 무대는 주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무대표면부재가 보관상태로 접첩되어 이동용 바퀴에지지될때는 지면 접촉하기 위해 이동용 비임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그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은 미끄럼 슬리이브의 끼워맞춤이 헐거워지는 것과 마찰, 강성, 무대배열, 바퀴위치 등에 관련된 문제점을 제거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주지지다리 사이에서 하부를 지지하는 연결부재의 수를 줄이면서 더욱 견고한 가동무대를 제공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3,999,491호와 제4,074,636호에 기재된 절첩실 보조 지지다리를 사용하는 승강조정 가능한 무대에 본 발명의 구조를 사용하면 강성과구조적 문제가 더욱 개선되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조정과 보조다리의 위치조절을 할 수 있는 등, 장점이 있다. 이런 목적으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이동용 비임은 무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보조 지지다리와 결합되며 보조 다리를 이동용비임에 근접하는 수직으로 펼친 상태로 안내하는 만곡된 폐쇄단부를 갖고 있다. 무대 표면부재의 내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로 완전한 수직배열을 유지하기 위해서,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보조 다리를 길이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맞대기 브래킷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무대 보관상태에서 외측 지지다리와 그 조절링크가 겹쳐서 위치되어 무대 표면부재를 수직 보관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하는 잠금장치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제2도,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가동무대의 총체적인 윤곽을 도시하였다. 무대 표면부재는 도면부호 10과 11을 부여하였다. 베이스 프레임(12)은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주 지지다리와 상호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힌지장치(13)는 무대표면부재(10, 11)를 베이스 프레임(12)에 연결한다. 외측다리부재(14, 15)는 무대표면부재(10, 11) 외측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무대표면부재의 모양은 평평하고 직사각형이며 강철이나 합판, 하드보드등으로 제조할 수 있고 잘 알려진 장식용 또는 보호용 피막층을 입힐 수도 있다. 무대 표면부재(11)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21, 22, 23)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한 복수개의 앵글 레일로 만들어진다. 보강 프레임(21, 22)은 양측부에 보강프레임(22)은 상기 프레임(21, 23) 사이에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다. 무대 표면부재(11) 는기술분야에서 공지된바와같이 지지프레임에 어떤 적당한 체결구로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프레임은 무대에 보조강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골격과 부품을 연결하는데도 편의를 제공한다. 무대 표면부재(10)에도 이와 비슷한 지지프레임임이 제공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2)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지 주 지지다리(30, 31, 32, 33)를 포함한다. 무대 표면부재(10)의 양측에 배치된 주 지지다리(30, 32)는 제1도의 사용상태에서 무대 표면부재(10)의 내측단부에 인접한 내측단부의 하방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주 지지다리(31, 33)도 무대 표면부재(11)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주 지지다리는 무대에 알맞도록 부하에 따라 충분한 크기를 갖는 관형 철강부재로 형성하면 적당하다. 주 지지다리 상단부에는 활자 또는 캡(28)이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상태에서 주 지지다리 상부에 무대 표면부재가 놓일때 지지다리의 날카로운 상부가 무대 표면부재를 깎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상부 횡단부재(34)는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로써 주 지지다리(30, 31) 상단부 근처에서 이를 연결한다. 상부 횡단부재(34)는 강철바아로 형성하여 주 지지다리에 용접시키면 양호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유사한 횡단부재도 무대 반쪽으로 주 지지다리(32, 33)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고 있다.
복수개의 다른 힌지장치도 사용할 수 있으나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3,351,029호에서와 같이 다수의 링크 힌지를 사용한다. 링크(40)와 엘보우링크(41)는 하단부가 상부 횡단부재(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단부는 무대 표면부재(11) 하방의 횡단 보강프레임(26)에 볼트로 연결된 브래킷(42)에 연결되어 있다. 무대표면부재(11)의 양쪽에도 같은 두 개의 링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무대 표면부재(10)의 내측 단부 양쪽에도 같은 링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 특허에 기재된 바와같이, 이 링크는 제1도에 도시한 사용상태와 제2도에 도시한 보관상태 사이에서 무대 표면부재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상태에서, 무대 표면부재(10, 11)의 내측단부는 큰 어려움없이 직접 지지된다.
주 지지다리의 하단부에는 무대에 대해 적절히 미끄럼에 저항하도록 하면서 플로어에 자국을 남기지 않기 위해 잘 알려진 바와같이 활차 또는 캡(29)이 설치되어 있다.
주 지지다리는 하단부 근처에서 이동용 횡단프레임(4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 프레임(45)은 다리의 하단부 근처에 설치되어 이동용 바퀴의 높이에 의해 제한되면서 베이스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되어있다. 제6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이동용 횡단 프레임은 주 지지다리(30, 31) 사이에 연장된 하부 횡단부재(48)를 포함하며 주 지지다리(32, 33)에 사이에도 이와 유사한 하부 횡단부재(49)가 연장되어 있다.
두 개의 마운팅 바아(50, 51)는 복수개의 볼트-너트 조립체(52)에 의해 하부 횡단부재(48, 49)에 체결되어 있다. 마운팅 바아(50, 51)에는 측부부재(53, 54)가 용접되어 있고 무대 한쪽 측부에서 다른쪽 측부까지 연장된다. 측부부재(53, 54)는 제4도와 제5도에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같이 4각 단면 강관으로 형성하면 적당하다. 비임 지지부재(55, 56, 57, 58)는 바아로 만들수도 있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측부부재(53, 54)에 용접시킬수도 있다. 이동용 바퀴는 비임 지지부재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이동용 비임(60, 61, 62, 63)에 설치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이동용 비임은 U자형으로 구부러진 강관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이동용 비임의 개방부는 피봇볼트(64)에 의해 비임 지지부재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이동용 비임(60, 61)은비임 지지부재(55, 56)사이에서, 그리고 이동용 비임(62, 63)은 비임 지지부재(57, 58)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U자형 이동용 비임의 만곡된 폐쇄단부는 측부부재(53, 5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동용비임의 만곡된 폐쇄단부 밑에는 반원판(65)이 용접되어 있고 이 반원판 하방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이동용 비임(60, 61)의 반원판(65)에는 고정식바퀴(70, 71)가, 이동용 비임(62, 63)의 반원판(65)에는 회전식바퀴(72, 73)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리하여 보관위치로 이동시킬때 더욱 쉽게 무대를 안내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네바퀴 모두 회전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비임 지지부재(56, 57) 내측에는 두 개의 돌출 플랜지(76, 77)가 각각 용접되어 있다. 이 돌출 플랜지에는 두개의 횡단지주(78, 79)가 체결되어 있다. 횡단지주(79)의 다른쪽 단부는 이와 대향이며 주 지지다리(32, 33) 사이에 연장된 상부 횡단부재(도시 않음)의 뒷면에 용접된 돌출플랜지(81)에 체결되어 있다. 이 횡단지주는 무대의 베이스 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 반원판(65)의 상면에는 이동용 비임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돌출플략지(83)가 용접되어 있다. 자동링크(86, 87, 88, 89)는 무대 표면부재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는 상기 돌출플랜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었다. 특히, 작동링크(86)의 단부는 이동용 비임(60)에 용접된 돌출플랜지(83)에 피붓볼트(8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같은 방법으로, 작동링크(87)는 이동용 비임(61)에 용접된 돌출 프랜지에 연결되어 있다. 또 작동링크(88, 89)는 이동용 비임(62, 63)에 각각 용접된 돌출 플랜지(8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동링크(86, 87, 88, 89)의 상단부에 무대 표면부재 내측 단부 부근 하방에 위치된 브래킷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들면, 작동링크(87)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무대 표면부재(11)의 횡단 보강 프레임(26)에 용접된 두 개의 돌출 플랜지로 구성되는 브래킷(91)에 피붓 볼트 조립체(9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링크 연결되어 있다. 브래킷(91)은 제2도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무대 표면재로부터 그 내측 단부쪽으로 하향 경사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작동링크(89)는 브래킷(9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무대 표면부재(10)에는 브래킷(90)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90)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동링크(86)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작동링크(88)의 상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같은 모양의 브래킷이 제공되어 있으나 도면에는 이를 도시하지 않았다.
제1도, 제2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바퀴를 상승시키는 장치의 작동과정을 알 수 있다. 제1도와 제4도는 무대가 수평으로 펼쳐진, 사용상태에서의 바퀴와 이동용 비임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작동링크의 브래킷의 위치와 작동링크의 길이는 무대가 제1도에 도시한 수평연장 사용상태에 있을 때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무대표면부재가 제2도에 도시한 보관위치로 상향 선회되면 작동링크는 제2도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향 이동되어, 바퀴는 지면 또는 플로어에 접촉되면서 주 지지다리는 플로어로부터 상승된다. 이 상태로 무대는 보관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브래킷(90, 91)이나 무대 반대쪽 대응브래킷은 무대 표면부재의 피붓축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무대 표면부재의 외측단부가 상향이 동됨에 따라 수반되는 하향 운동이 이동용 비임의 작동링크에 전달된다. 물론, 무대 표면부재 또한 힌지장치의 다른 부위에 적당히 연결된 같은 모양의 다른 링크에 의해 이동용 비임을 감춘 상태로 연장시킬 수도 있다.
외측 다리부재(15)의 모양과 동작은 제1도, 제2도, 제3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다른 무대부분의 외측 다리부재(14)의 모양과 동작도 같다.
무대의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무대의 수직높이는 외측 다리부재(14, 15)에 의해 결정되므로 도면에 도시되고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하부를 삽입식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승강조정 가능한 무대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측 다리부재(15)는 무대표면부재(11)의 양쪽 하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관형 다리부재(96, 97)로 구성된다. 관형 다리부재(96, 97)는 상단부가, 보강 프레임(22)에 용접된 복수개의 돌출플랜지(99)를 통과하는 피붓핀(98)에 의해 무대 표면부재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관형 다리부재(96, 97) 하단부 사이에는 관형 횡단 지지부재(100)와 두 개의 횡단지주(101, 102)가 용접되어 있어서 이에 의해 보강된다. 관형 다리부재(96)는 다리내측으로 삽입식으로 끼워 맞추는 하부부분(106)을 갖고 있으며 관형 다리부재(97)는 그에 대응하는 삽입식 하부부분(107)을 갖고 있다. 이 두 개의 삽입식의 다리하부는 관형 횡단지주(10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외측 다리는 삽입식 하부(106, 107)의 대응구멍과 관형 다리부재(96, 97)의 구멍을 통과하는 핀(109)으로써 승강조절할 수 있다. 핀을 제거하고 삽입식 하부부분을 연장시키고 적당한 구멍에 핀을 삽입함으로써 외측 다리부재(15)의 총 길이 중 유효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여러쌍의 구멍이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제공되어 있다. 높이를 변화시킬때 핀을 잃어버리는 일이 없도록 지지체인(110)이 제공되어 있다. 외측 다리부재의 절첩 및 전개동작은 한쌍의 외측 다리 조절링크(112, 113)에 의해 수행된다. 링크(112)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붓핀(114)에 의해 주 지지다리(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반대쪽은 또 다른 피붓핀(117)에 의해 관형 다리부재(96)에 용접된 돌출 플랜지(116)에 연결된다. 나머지 세 개의 외측다리 조절 링크에도 이와 유사한 피붓 연결이 제공되어 있다. 제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다리 조절링크(112)는 만곡부(120)를 갖고 있다.
사용시에, 무대 표면부재가 상향 선회하면 외측 다리 조절링크는 외측 지지다리(15)를 무대 표면부재에 대하여 내측으로 선회시켜 무대가 완전히 절첩되었을때 이 외측 지지다리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무대 표면부재의 배면을 따라 밀착되게 절첩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외측다리의 이런 절첩동작은 공지된 것이며 상기 서술한 종래 특허에서도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무대를 절첩 상태에서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중심 상부 잠금력을 제공하는 더욱 개선된 것이다. 특히, 돌출 플랜지(116)는 핀(117)를 위한 피붓점의 위치를 관형 다리부재(96) 평면으로부터 편위시킨 것이다. 외측다리 조절링크의 만곡부(120)와 함께 이런 편위된 피붓점은 무대 절첩시에 피붓핀(98, 114)를 포함하는 평면을 통하여 피붓핀(117)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링크(112)의 측부 탄성굽힘으로 인하여 저항력이 미약하게 발생하게 된다. 제2도에 무대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피붓핀(117)은 피붓핀(98, 114)을 포함하는 평면을 통하여 통과하고 있다. 이 평면은 제2도에서 도면번호 122로 표시되어 있다. 무대를 전개시키기 위해서는 중심위치를 통하여 상기 설명한 피붓점을 회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절첩된 외측 다리상에 가하여 외측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중심 편위력때문에 무대의 반쪽은 보관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중심 편위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필요하다. 안전성을 더 부가하기 위해 스프링 걸쇠가 제공된다. 스프링(123)의 한쪽단부는 체인을 통하여 보강프레임(22)에 용접된 브래킷(125)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는 다른 무대 표면부재상의 대응하는 보강프레임주위를 걸기 위한 갈고리(124)를 갖는다. 갈고리는 무대를 전개시키기 전에 손으로 해제시켜야 한다.
탭(126, 127)은 공지기술에서와 같이 계단형 무대혹은 승강형 무대를 만들기 위해 낮은 높이에서 인접 무대부재의 단부를 걸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같은 베이스 프레임 및 삽입식 바퀴 조립체와, 외측 지지다리를 중심상부에서 걸어놓는 조립체등은 고정식 또는 승강조정식 무대의 어느 경우라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높이 고정식 무대의 경우에는 외측 지지다리의 삽입식 하부부분이 필요없다.
승강조정 가능한 무대로 사용하려면,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3,999,491호와 제4,074,63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절첩식 보조 지지다리가 제공되어야 한다. 무대 표면부재에는 한쌍의 보조다리가 각각 제공된다. 제3도에는 보조지지다리(131, 133) 가 무대 표면부재의 배면에 가까이 절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고무줄이나 갈고리(134)로 제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무대 표면부재(10)에도 이와 유사한 한쌍의 보조 지지다리가 제공되어 있고 이 보조 지지다리(130)는 제7도에 연장된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보조 지지다리는 U자형 관형부재로 형성되는데, 그 상부는 상기한 바와같이 무대표면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하부는 무대를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시켰을때 지면 또는 플로어에 접촉된다. 제9도는 오프셋탭(136)에 용접된 보조다리(130)의 상부의 부분 확대도인데, 이 오프셋탭은 피붓볼크(137)에 의해 무대 표면부재 하방의 횡단 보강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4개의 보조 지지다리의 직립부위에도 이사 유사한 오프셋탭과 용붓장치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도 다리를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관상태로 측면 절첩하거나 제7도에 도시한 상태로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연장된 위치에서 오프셋탭(136)의 측면은 보강 프레임의 플랜지에 결합되어 무대의 무게를 보조 지지다리에 전달하도록 되어있다.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이런 형태의 보조 지지다리는 미합중국 특허 제3,999,491호와 제4,074,636호에서도 사용도지만, 본 발명의 개선된 베이스 프레임과 바퀴구조와 함께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개선된 베이스 프레임과 바퀴구조와 함께 사용하면 작등상 더욱 이롭다. 종래의 특허에도 사용시에 수직위치에서 보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해 보조 지지다리상에 복수개의 위치고정용 탭이 설치되어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동용 비임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탭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제6도의 한쪽 단부 의형상과 거의 비슷한 부분을 도시한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10도는 제8도의 이동용 비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용 비임의 폭과 위치는 이동용 비임의 측부가 보조 지지다리에 맞닿아서 보조 지지다리를 완전히 연장된 수직위치에서 파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 지지다리(130)는 이동용 비임(60)의 측부에 맞닿아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는 다리가 접혀지지 않게 된다. 동시에, 다리는 더 이상 외측으로 벌려지지 않는다. 즉, 이동용 비임(60)을 넘어서 더 이상 벌려지지 않는데, 이는 오프셋탭(136)이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무대 표면부재 보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지 지다리는 구조에 강성을 더욱 부여하면서 완전 수직위치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특허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보조지지다리는 무대가 절첩된 상태에서 사용위치로 전개된다. 먼저 보조 지지다리를 무대 표면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외향 연장시킨 다음 표면부재를 수평위치로 하향 선회시키면 된다. 보조 지지다리는 무대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길기 때문에 무대 표면부재의 외측단이 완전히 수평위치로 되기 전에 지면에 접촉된다. 외측측단이 완전히 수평위치로 도면 무대는 보조 지지다리의 지면 접촉부분에 대하여 선회하려는 힘을 받는데 이렇게 되면 주 지지다리와 전체 베이스 프레임이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면으로부터 상승된다.
무대 표면부재가 하향되기 전에 보조 지지다리가 완전히 연장되면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동용 비임의 U자형 폐쇄부가 적당한 위치로 안착되고 보조 지지다리(131)가 완전히 연장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이동용 비임(61)의 견부(140)에서 이동용 비임(61)과 결합된다. 이동용 비임의 폐쇄단부는 U자형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무대 표면부재(11)가 수평위치로 됨에 따라 이동용 비임의 만곡된 단부는 보조 지지다리를 제8도에 도시한 위치로 안내하고 완전히 연장시킨다. 물론, 보조 지지다리가 처음부터 너무 잘못된 위치에 있으면 이 효과는 발생하지 않지만 이런 오배열 정도는 조각자가 무대를 설치할 때 문으로 알아볼 수 있다. 하여간, 상기 효과는 보조 지지다리의 최종 위치에 자동 조심작용을 제공한다. 이동용 비임을 다른 형태로 사용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들어 각이 진 견부를 갖는 V자형 또는 다른 형태의 부재로도 보조 지지다리의 중심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점은 비임 지지부재(55, 58)의 단부에 형성된 탭(141내지 144)을 사용하는 것이다. 제8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 지지다리(130, 131)는 탭(141, 142)에 맞닿아 있다. 무대의 다른쪽 측면에도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탭(143, 144)이 위치되어 있다. 이 탭은 대향된 무대 표면부재상에서 보조 다리사이에 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베이스 프레임 구조가 무대 표면부재(10, 11)의 인접내접내측단이 약간의 수직 오배열을 일으킬 수도 있는 약한 잠금상태 또는 베이스 프레임의 선회작용등을 방지하게 된다. 제조상 간단히 하기 위해 비임지지부재(56, 57)는 탭을 갖는 것을 사용하므로 동일부품은 네위치 어느곳에도 사용되지만 내측 비임 지지부재의 탭은 사용되지 않는다.
제10도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임지지부재(55, 56)에 이동용 비임의 개방단부를 각각 선회 가능하게 연결지지하는 단일 피붓볼트(64)가 제공되어 있다. 제10도의 실시예에서 이동용 비임의 단부는 상기 실시예와 약간 다르며 이런 이유로 비임의 60', 61'등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근본적으로, 이동용 비임의 관형부위는 개방단부에서 납작하게 되어 있어서 두 개의 대향비임이 서로 동일 피붓볼트와 함께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피붓볼트가 한개만 필요하다는 장점을 갖지만 단부를 납작하게 하는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에 더욱 큰 강성을 부여하고 바퀴를 신축, 연장시키는 작동을 부드럽게 하고 무대 표면부재를 보관상태로 파지하고 외측 지지다리에 중심상부 안정성을 부여하고 무대를 상승시킬 때 보조다리를 위치시키는 자동 조심 구조를 제공한 개선된 절첩식 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한쌍의 무대표면부재와, 복수개의 주 지지다리와, 상기 주 지지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수직으로 표면이 서로 인접되면서 위치되는 보관상태 및 무대 표면부재의 내측단부가 거의 맞아 닿아 거의 수평으로 위치되는 사용상태 사이에서 상기 무대 표면부재의 외측단부에 연결된 외측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절첩식 가동무대에 있어서, 개방단부쪽으로 피붓볼트(64)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2)과 비임 지지부재(55내지 58)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만곡된 폐단부수 하방에는 이동용 바퀴(70내지 73)가 설치된 반원판(65)이 용접되어 있어서 작동링크(86내지 89)에 의한 선회운동에 따라 이동용 바퀴(70내지 73)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이동용 비임(60내지 63)과, 상부는 무대표면부재내면 인접하방에 위치한 브리킷(90내지 9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향 연장되며 하단부는 이동용 비임(60내지 63)의 돌출플랜지(8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용 비임을 선회시키는 작동링크(86내지 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가동무대.
KR1019800000012A 1979-02-01 1980-01-04 절첩식 가동무대 KR850000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1379A 1979-02-01 1979-02-01
US008613 1979-02-01
US8613 1979-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126A KR830002126A (ko) 1983-05-21
KR850000771B1 true KR850000771B1 (ko) 1985-05-29

Family

ID=2173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012A KR850000771B1 (ko) 1979-02-01 1980-01-04 절첩식 가동무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JP (1) JPS5951284B2 (ko)
KR (1) KR850000771B1 (ko)
AU (1) AU528563B2 (ko)
BR (1) BR7905334A (ko)
CA (1) CA1126772A (ko)
CH (1) CH644927A5 (ko)
DE (1) DE2927365C2 (ko)
FR (1) FR2448017A1 (ko)
GB (1) GB2041216B (ko)
HK (1) HK72984A (ko)
MY (1) MY8500654A (ko)
PH (1) PH16090A (ko)
SG (1) SG39784G (ko)
YU (1) YU443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9661A (en) * 1981-04-12 1984-12-25 Fitzgerald Patrick W Foldable tables and the like
DE3447127A1 (de) * 1984-12-22 1986-07-17 Artur 7916 Nersingen Striemer Podium
JPS62142106U (ko) * 1986-03-04 1987-09-08
GB8617690D0 (en) * 1986-07-19 1986-08-28 Roberts J Collapsible seat assembly
US4779542A (en) * 1987-07-31 1988-10-25 Stageright Corporation Fold and roll staging
GB8822796D0 (en) * 1988-09-28 1988-11-02 Barrett R C Mobile staging
US5325640A (en) * 1991-08-09 1994-07-05 Sico Incorporated Folding stage system
DE4230381A1 (de) * 1991-09-13 1993-04-08 Kotobuki Corp Rollenlageranordnung fuer einen fahrbaren tisch
JP3895841B2 (ja) * 1997-09-30 2007-03-22 和夫 藤田 多重折れステージ装置
ITPD20080026U1 (it) * 2008-04-16 2009-10-17 Lapalma Srl Tavolo ribaltabile
CN106730924B (zh) * 2016-12-05 2023-09-08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锁紧扣的移动道具
CN107568891A (zh) * 2017-11-01 2018-01-12 盘锦雨源新创意开发推广有限公司 一种利于新生接待时携带的折叠桌
CN108049663B (zh) * 2017-12-18 2023-06-20 华强方特(芜湖)文化产业有限公司 一种舞台交替式升降装置
CN114310805B (zh) * 2020-09-29 2023-08-1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工作台
CN112814434A (zh) * 2020-12-31 2021-05-18 武汉武船重型装备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式舞台支撑装置及舞台
CN113250498A (zh) * 2021-06-11 2021-08-13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偏心轮传动的舞台升降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8754A (en) * 1959-11-16 1961-04-11 Sico Mfg Co Portable stage
FR1280051A (fr) * 1960-11-16 1961-12-29 Estrade transportable
US3101064A (en) * 1961-07-31 1963-08-20 Hamilton Mfg Co Folding table construction
US3351029A (en) * 1965-11-22 1967-11-07 Sico Inc Folding stage construction
FR1485047A (fr) * 1966-06-28 1967-06-16 Sico Inc échafaudage pliant
US3999491A (en) * 1975-12-05 1976-12-28 Wilson Kermit H Elevationally adjustable folding s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126A (ko) 1983-05-21
BR7905334A (pt) 1980-10-14
DE2927365A1 (de) 1980-08-07
YU13880A (en) 1983-02-28
JPS5951284B2 (ja) 1984-12-13
GB2041216B (en) 1984-01-25
HK72984A (en) 1984-09-28
MY8500654A (en) 1985-12-31
CA1126772A (en) 1982-06-29
FR2448017A1 (fr) 1980-08-29
GB2041216A (en) 1980-09-10
JPS55103807A (en) 1980-08-08
PH16090A (en) 1983-06-20
DE2927365C2 (de) 1986-11-27
AU528563B2 (en) 1983-05-05
AU4817979A (en) 1980-08-07
CH644927A5 (de) 1984-08-31
FR2448017B1 (ko) 1984-07-27
SG39784G (en) 1985-03-08
YU44310B (en) 199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771B1 (ko) 절첩식 가동무대
US4327650A (en) Support structure for mobile folding stage
US4949649A (en) Folding stages
SU822764A3 (ru) Передвижные складные подмостки
US4243263A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and devices formed therefrom
US2650014A (en) Stepladder
US4191111A (en) Bench folding leg and brace structure
US5109954A (en) Weight bearing apparatus for hanging on upright structures
CA1303640C (en) Fold and roll staging
SU659102A3 (ru) Складные подмости
US2671229A (en) Collapsible frame structure for trampoline beds or the like
AU741452B2 (en) Folding stage
EP0791122B1 (en) Mobile folding stage
CA1042335A (en) Portable riser
DE60218801T2 (de) Zusammenklappbarer Wagen mit Fachboden
US4722538A (en) Shopping cart capable of climbing stairs
HU207367B (en) Erecting floor of foldable supporting structure for cradling
US4801117A (en) Portable support boom for window washer
KR100899226B1 (ko) 작업대
US4240522A (en) Extension trestle ladder
GB2113625A (en) Collapsible trolley
JPS5927162Y2 (ja) 折畳式テ−ブル
US2126805A (en) Stepladder
AU713350B3 (en) Banquet table
JP3423856B2 (ja) 折り畳み台座の開閉支持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