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650B1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650B1
KR850000650B1 KR1019800000394A KR800000394A KR850000650B1 KR 850000650 B1 KR850000650 B1 KR 850000650B1 KR 1019800000394 A KR1019800000394 A KR 1019800000394A KR 800000394 A KR800000394 A KR 800000394A KR 850000650 B1 KR850000650 B1 KR 850000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signal
output
inpu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801A (ko
Inventor
가즈히로 사까다
다께오 유미나가
마사오 나가자도
겐지 요네다
누끼 소오시로 구즈
야스노리 가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650B1/ko
Publication of KR83000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제1도-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제1도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도.
제3도는 입출력 절환회로의 구성도.
제4도는 고장검출회로의 구성도.
제5도는 재시행회로의 구성도.
제6도는 제12도는 상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동작설명용 플로우 챠트로서,
제6도는 마이크로 컴퓨터(1)의 기본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7도 마이크로 컴퓨터(3)의 기본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8도는 마이크로 컴퓨터(1)의 초기치 설정과정의 플로우챠트.
제9도는 마이크로 컴퓨터(1)의 시이퀀스 과정의 플로우챠트.
제10도는 마이크로 컴퓨터(1)의 재시행 과정의 플로우챠트.
제11도는 마이크로 컴퓨터(3)의 감시과정의 플로우챠트.
제12도는 마이크로 컴퓨터(3)의 복구운전과정의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부를 복수대의 컴퓨터로 구성한 경우에 가장 적합하게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무접점화는 반도체 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발전되어 왔으나 특히 요즈음 반도체집적기술의 진보에 의한 대규모 집적회로(LSI)가 발달되어 이 기술에 의한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고 약함)가 출현된 후, 제어장치중의 엘리베이터 제어의 시이퀀스 처리를 행하는 논리제어부의 디지틀 컴퓨터화가 계획되어 일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마이컴화는 1칩중에 컴퓨터의 모든 기능이 집적화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컴퓨터와 같이 컴퓨터의 내부에 까지고 장검출회로를 넣음으로서 시스템 전체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는 없다. 이때문에 엘리베이터와 같이 사람을 수직방향으로 운반하는 장치로서는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전면적으로 채용되기에는 미흡함 실정이다. 그리고 특징적인 것은 1칩화된 소자가 고장이 나면, 즉시 모든 시스템이 고장이 나게되고, 이 사태가 엘리베이터의 운전중에 발생하면, 카아내에 승객을 감금시키게 되어 승객에게 큰 불편을 주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부분적인 논리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일부의 기능만 정지되는 정도이고, 전체의 시스템이 정지되는 일은 없으며, 상기의 감금시에는 즉시 가장 가까운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기능이 동작하여 즉시 가까운 층까지 가서 도어를 열어 승객을 구출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마이컴 시스템에서는 전체 기능이 정지되므로 이와같은 구출기능을 발휘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반도체 집적기술의 진보에 따라 마이컴을 싼값으로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점을 이용하여 마이컴을 1대 구비하여 1대는 예비마이컴으로 대기시켜 두고, 운행중에 1대가 고장이 났을때 상기 예비마이컴으로 바꾸어 운행하는 시스템도 개발되어 있다(일본특개소 54-8350호).
또 마이컴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특유한 문제로서, 그 사용환경이 있다. 통상 컴퓨터는 온도변화가 적고 잡음이 없는 장소에 설치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구동용 전동기등의 전기회로와 함께 하나의 제어반내에 격납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잡음이 많고 특히 엘리베이터의 가동시마다 대단히 큰 잡음이 발생하고, 엘리베이터의 가동시간에 따라 온도변화도 격심하다. 이 때문에 저전압으로 구동되는 컴퓨터에 주어지는 영향을 크며, 컴퓨터 자체는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소음등에 의한 오동작이 빈번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 대책으로서 감전측이나 마이컴측에서 완전하게 잡음을 제거하려고 하면 제어징치가 매우 비싸게 된다.
또 이 경우도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동시 기동등으로 인하여 가끔 발생하는 극단적인 큰 잡음까지는 빙지하기는 어렵다. 이와 같은 잡음대책에 관해서는, 엘리베이터 제어용 마이컴의 이싱이 검출됐을때, 일단 전원을 OFF하여 소정의 시간후 재투입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일본특개소 52-115048호). 그러나 마이컴에 이상이 있을 때 엘리베이터가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를 모르고, 무조건 전원을 OFF 또는 ON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논리제어부에 컴퓨터를 구비한 경우에, 오동작에 의한 불가동시간을 단축하여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논리제어용의 컴퓨터 고장시에도 안전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엘리베이터의 논리제어부에 복수대의 컴퓨터를 구비하여, 그중 적어도 1대의 컴퓨터에 다른 컴퓨터를 재시행시키기 위한 수단을 설치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논리제어부를 구성하는 복수대의 컴퓨터에, 각각 해당 컴퓨터의 고장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각 컴퓨터는 각각 다른쪽의 컴퓨터의 고장검출수단을 감시하여, 다른쪽의 컴퓨터의 이상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지했을 때, 자체 컴퓨터의 이상검출수단이 이상검지하고 있지 않음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다른쪽의 컴퓨터를 재시행시키도록 구성한 점에 있다.
이상의 목적 및 특징외에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많은 연구를 하고 있으나, 이러한 점에 관해서는 실시예 설명중에서 그때마다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대의 컴퓨터로서, 논리제어부를 구성하는 2대의 마이컴을 예로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각각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또는 군관리부와 각 엘리베이터에서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한편으로는 엘리베이터 제어이외의 목적으로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등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제1도-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1 실시예, 제6도-제12도는 그 동작설명도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1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마이컴(1)과 (3)두대로 구성된 시스템이다. 이 마이컴(1), (3)으로의 입력은 입력장치(5)에서 입출력절환회로(7)를 거쳐 행해진다.
한편 마이컴(1), (3)으로 부터의 출력은 반대로 입출력절환회로(7)를 거쳐서 출력장치(9)에 출력된다. 그리고 마이컴(1), (3)에는 각각 마이컴의 이상검출회로(11), (13)와 마이컴 고장시 등에 있어서의 초기치설정을 행하기 위한 재시행회로(15), (17)를 설치하고 있다.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이컴(1), (3)은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마이컴(1)측에, 마이컴(3)측의 동인부의 부호를 괄호로 병기하여 설명한다. 마이컴(1)(3)의 입력단자(RS)는 외부로부터의 초기치 설정용 단자로서, 이 입력단자(RS)에 재시행회로(15)(17)의 출력단자(RS)로부터 신호가 들어어면 마이컴(3)내의 모든 레지스터류가 초기상태로 세트되고, 이 신호가 없어진 시점으로부터, 마이컴(1)(3)의 동작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때의 초기치 설정용의 신호는 마이컴(1)(3)내에서 증폭되어 출력단자
Figure kpo00001
로부터 출력된다. 이 출력단자
Figure kpo00002
는 고장검출회로(11) (13)의 입력단자
Figure kpo00003
에 신호선(33) (34)을 거쳐 접속된다. 마이컴(1) (3)은 내부에 클럭을 가지고 있으며, 이 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모든 동작이 행해지고 있다. 이 클럭신호의 일부가 출력단자(C)로부터 신호선(35)(36)을 거쳐 고장검출회로(11)(13)의 입력단자(C)에 가해지고 있다. 마이컴(1)(3)의 연산출력이나 연산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신호를 입력하는 단자는 IN, OUT, PAO, PAI, PA2, PA3이다. 입력단자(IN)는 입출력 절환회로(7)의 출력단자(INA)(INB)에 신호선(37)(3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INA, INB는 입출력 절환회로(7)의 입력단자(IN)의 내부에서 접속되어 있으나, 입출력 절환회로(7)의 입력단자(C)에 신호가 없는 때는 입출력 절환회로(7)의 입력단자(IN)의 신호가 출력단자(INA)에 접속되며, 신호가 있으면 입출력 절환회로(7)의 입력단자(IN)의 신호가 출력단자(INB)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 관계는 입출력 절환회로(7)의 입력단자(OUTA), (OUTB)가 출력단자(OUT)에 접속되는 것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동시에 행해진다. OUTA, OUTB는 마이컴(1)(3)의 출력단자(OUT)와 신호선(41)(4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호선(37), (39), (41), (43)은 단일의 신호선이 아니고 복수개의 신호선이다.
입출력 절환회로(7)의 입력단자(IN)에는 입력장치(5)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움직이기 위한 푸시버튼(45)이나 스위치(47) 및 속도제어부로 부터의 유접점신호(49) 등으로 구성된 신호가 신호선(51)을 거쳐 입력된다.
한편 마이컴(1)(3)으로 부터의 출력은, 입출력 절환회로(7)의 출력단자(OUT)에서 신호선(53)을 거쳐 출력장치(9)에 입력된다. 이 신호에 의해 출력장치(9)의 표시등(55)(마이컴의 고장표시등도 포함)이라든가 속도제어부로의 유접점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릴레이(57)등을 동작시킨다. 이러한 신호선(51)(53)은 복수의 신호선이다. 마이컴(1)(3)의 출력단자(PAO)는 신호선(59)(60)을 거쳐 고장검출회로(11)(13)의 입력단자(R)에 접속되어 있다.
이 고장검출회로(11)(13)은 단자(C)로 부터의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카운터를 동작시켜, 일정시간후에 출력단자(T)로부터 고장신호를 출력하려고 하는 것이나, 평상시는 마이컴(1)(3)의 출력단자(PAO)로 부터의 리세트신호에 의해 카운터가 리세트되므로 단자(T)로부터 출력되는 일은 없다. 즉 마이컴(1)(3)이 잡음등에 의해 오동작하여 폭주하면, 고장검출회로(11)(13)의 입력단자(R)에 신호가 들어오지 않게 되므로 카운터가 동작하고 고장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장검출회로(11)는 소위 감시용 타이머이다. 고장검출회로(11)의 출력신호선(61)은 입출력 절환회로(7)의 입력단자(C)에 입력되고 있다. 또 고장 검출회로(13)의 출력신호선(62)은 입출력 절환회로(7)에 접속되지 않는다.
상기 고장검출회로(11)(13)의 출력신호선은 제시행회로(15)(17)의 입력단자(T)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 입력단자(T)에 신호가 들어오면 제시행회로(15)(17)는 기억한다. 이 상태에서 입력단자(RT)에 마이컴(3)(1)의 출력단자(PA2)로 부터의 재시행 지령신호가 신호선(64)(63)을 거쳐 들어오면 출력단자(RS)로부터 재시행 신호가 출력되어 마이컴(1)(3)은 재시행된다.
그리고 일정시간 후에 마이컴(3)(1)으로 부터의 신호가 제거되도록 프로그램하기 때문에 그후의 마이컴(1)(3)은 동작을 시작한다. 동작을 시작하면 제일 먼저 처기치설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지만, 그때 출력단자(PA1)로부터 신호선(65)(66)을 거쳐 입력단자(R)에 입력하여 재시행회로(15)(17)의 상기 기억은 해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마이컴(1)(3)의 초기값 설정을 하는 프로그램이 기동되는 것은, 상기 신호선(61)(62)에 신호가 출력되어 그것을 마이컴(3)(1)의 (PA3)단자에 입력되고, 마이컴(3)(1)으로 부터의 재시행 지령신호로서 행해진다.
이하 각 블럭을 더욱 상세하게 실행하기 위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마이컴(1)(3)의 상세한 블럭도이다. 마이컴에 관해서는, 현재 여러종류가 판매되고 있으며 그 하나하나가 특색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식회사 히다찌 제작소제의 HMCS 6800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본 시스템에서 가장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외 마이컴 시스템이라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있어서 차이는 없다.
또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각 LSI의 형식을 기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컴(1) 또는 (3)의 중심이 되는 것은 MPU(Micro Processing Unit) (HMCS 6800 및 HD 46800D)(81)이다. 이 MPU(81)의 동작은 모두 입력단자(ø1), (ø2)의 클럭신호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MPU(81)의 동작은 입력단자
Figure kpo00004
에 신호가 들어오면, MPU(81)내의 모든 레지스터류에는 초기치 설정이 행해지고, 신호가 없이진 시점에서 지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을 개시한다.
프로그램은 ROM(HMCS 6800의 HN 46830A 및 HN 462708)(83)에 기억되어 있으며, 연산에 사용하는 일시적 데이터의 기억은 등속호출 기억장치(RAM)(HMCS 6800의 HM 46810A)(85)에 기억된다. 이 ROM(83), RAM(85)과 MPU(81)사이는 어드레스 버스(87)와 데이터 버스(89)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외에 마이컴(1)(3)의 출력, 입력을 행하기 위한 PIA(Peri-pheral Interface Adapter)(HMCS 6800의 HD 46821)(91), (93)가 접속되어 있다. 이 PIA(91)는 입력장치(5)로 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IN)와 출력장치(9)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OUT)로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PIA(91)는 A포오트 8개, B포오트 8개의 입출력 단자가 있으나, 이 PIA(91)를 1개만으로 행하는 경우는 예를들면, 입력장치(5) 또는 출력장치(9)의 개개의 어드레스를 출력한 후에 입력 또는 출력하도록 하는 등의 주지의 기술을 사용하면 된다. PIA(93)는 출력단자(PIA), (PA1), (PA2) 및 입력단자(PA3)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나타낸 바와 같이(91), (93)의 입출력단자는 입력용이나 출력용에도 프로그램에 따라 자유로히 변경할 수 있는 LSI이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폭수했을 경우, 이 PIA의 입력, 출력세트용의 레지스터(Data Direction Register)가 바꿔져 기입될 우려가 있다. 이때 입력용에 세트되어 있던 단자가 출력용에 절환되면, 이 영향이 다른쪽에도 미친다. 즉 하나의 신호선내에 두 개의 출력점이 있게되어 신호가 절달되지 않는 피해외에 엇갈린 신호가 나온 시점에서 그 출력소자는 파괴되어 버리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입출력 절환회로(7)를 마이컵(1)과 입력장치(5)와의 사이에 넣어 고장검출회로(11)의 신호에 의해 절환하여 고장시의 마이컵(1)의 입력단자가 출력단자로 변하여도 불량상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입력장치(5)의 출력단자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확한 입력신호를 마이컵(3)이 입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이 PIA(91), (93)도 입력단자
Figure kpo00005
가 있으며, 전원 ON이 될때 등에 신호를 부여하여 내부의 레지스터류를 모두 초기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MPU(81)의 입력단자(ø1), (ø2)에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클럭펄스 발생기(CPG)(Clock Pulse Generator)(HMCS 6800의 HD 26501)(95)이다. CPG(95)에는 수정진동자(97)가 접속되어 클럭을 전달하고 있다. 이 CPG(95)의 입력단자
Figure kpo00006
에는 저항(99)과 콘덴서(101)가 각각 전원과 접지(GND)간에 접속되어 있다. 그외에 입력단자(RS)에도 접속되어 있으나, 이 입력단자(RS)에 신호가 없을때 전원이 되면 상기 저항(99)과 콘덴서(101)의 시정수에 의해 입력단자
Figure kpo00007
의 전압은 상승하여 일정값에 달하면 출력단자(ø1), (ø2)로부터 클럭신호가 발생한다.
그리고 전원이 on되는 때로부터 이 클럭신호가 발생될 때까지는, 출력단자(RES)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 신호선(103)에 접속되어 있는 MPU(81), PIA(91), (93) 마이컴(1)(3)외부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8
에 전해진다 이에 의해 각 LSI는 초기 설정된다. 또 클럭신호(ø2)는 마이컴(1)(3)밖으로의 출력단자(C)에서 외부로 공급된다.
제3도는 입출력 절환장치(7)의 상세한 블럭도이다. 입력장치(5)로 부터의 입력은 신호선(51)에 의해 입력단자(in)에 들어가고, 마이컴(1)에의 TSG(Tri-State Gate)(게이트 컨트롤 입력에 신호가 없는 때는 출력은 고임피던스가 되고 신호가 있을때는 입력의 상태를 그대로 출력에 전달하는 소자)(111)와 마이컴(3)에의 TSG(113)로 된 입력블럭에 병열로 접속된다. 이 TSG(111)의 출력은 출력단자(INA)로부터 출력되며, TSG(113)의 출력은 출력단자(INB)로부터 출력된다. 마이컴(1)으로 부터의 출력은 입력단자(OUTA)로부터 TSG(115)으로 출력되고, 마이컴(3)으로 부터의 출력은 입력단자(OUTB)로 부터 TSG(117)으로 입력된다. TSG(115), (117)는 서로 병열로 접속된 후에 출력단자(OUT)로부터 출력장치(9)에 출력된다.
그리고 이 절환은 입력단자(C)에 신호가 없는 때는 TSG(113), (117)의 출력은 고임피던스가 되고, 출력단자(INB)에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또 입력단자(OUTB)로 부터의 신호는 출력단자(OUT)에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NOT(부정)소자(119)의 출력이 TSG(111), (115)의 컨트롤 게이트에 들어와 있으므로 이 TSG(111), (115)를 통하여 마이컴(1)에로의 입력과 마이컴(1)으로 부터의 출력이 전해진다.
이와 같이 입력장치(5)와 마이컴(1), (3)의 사이에 TSG(111), (113)가 삽입되어 있어 신호선(61)으로 부터의 이상신호에 의해 고임피던스로 되므로 마이컴 폭주시에 입력해서 출력으로 바뀜으로써 소자를 파괴한다든가, 다른쪽의 입력신호에 영향을 주게 되는 일은 없다. 고장신호가 있으면, 상기와 반대의 상태로 되어 입력장치(5)와 출력장치(9)는 TSG(113), (117)를 통해 마이컴(3)의 쪽으로 접속된다.
제4도는 고장검출회로(11), (13)의 상세한 블럭도이다. 입력단자(C)에는 마이컴(1)(3)으로 부터의 클럭신호가 항상 입력되어 있으며, 이 신호는 다단 카운터(131)의 입력단자(T)에 가해진다. 이 신호에 의해 다단 카운터(131)는 카운트하고, 최종단계까지 동작하면 출력단자(Q)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 다시 출력단자(T)로부터 신호선(61)(62)에 출력된다. 이 다단카운터(131)의 리세트 입력단자(R)에는 NAND소자(133)가 접속되어 있다.
이 NAND소자(133)의 한쪽의 입력은 입력단자
Figure kpo00009
에 접속되어 마이컴(1)(3)으로 부터의 신호선(33)(34)에 신호가 있으면 다단카운터(131)를 모두 리세트하는 것이다. 또 입력단자(R)에도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신호에 의해 리세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로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5도는 재시행회로(15), (17)의 상세한 블럭도이다. 고장검출회로(11)(13)의 출력신호선(61)(62)에 신호가 있으면, 입력단자(T)로부터 우선 FF(플립플롭)(151) S의 세트입력으로 들어가고, FF(151)에 기억된다. 이 출력(
Figure kpo00010
)는 이때 논리 "0"이 되고 NOT(153)를 거쳐 논리 "1"이 된다. 그리고 다른쪽의 마이컴(3)(1)으로부터의 재시행 지령신호(64)(63)가 입력단자(RT)에 있으면, 개방된 콜렉터의 NAND소자(155)의 두입력은 모두 신호가 들어온 것이 되기 때문에, NAND소자(155)의 개방 콜렉터의 출력 트랜지스터는 ON되어 출력단자(RS)를 접지시킨다. 그러면 제2도의 콘덴서(101)는 방전되어 CPG(95)의
Figure kpo00011
단자에는 신호가 없어지고, 출력단자
Figure kpo00012
에 초기값 설정신호가 나오게 되어 초기값이 설정된다.
이 신호는 신호선(33)(34)을 거쳐 제4도의 고장검출회로(11)(13)에도 입력되어 있으므로 다단 카운터(131)가 리세트되어 그 출력단자(T)로부터 신호선(61((62)을 거쳐 입력되는 제5도의 FF(151)로 세트입력단자(S)의 신호도 없어진다. 이후에 다른쪽의 마이컴(3)(1)에서 신호선(64)(63)의 신호를 제거하면, NAND소자(155)의 출력트랜지스터 OFF된다. 그러나 개방콜렉터로 인하여 제2도의 입력단자(RS)에는 신호가 들어오지 않게되어, 다시 콘덴서(101)에 충전이 시작된다. 일정한 전압에 달하면 기상한 바와 같이 다시 마이컴(1)(3)이 초기치 설정으로부터 동작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 회로에 있어서 개방콜렉터 소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콘덴서(10)의 용량을 적게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면, 통상의 논리소자에서는 출력저항이 낮으므로 일정시간을 얻으려고 하면, 콘덴서 용량이 증가하여 값이 비싸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고장시의 초기치설정은 전원이 ON될때의 초기치설정과 공유하고 있으므로 값도 싸고, 확실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초기치 설정의 프로그램에는, 마이컴(1)(3)의 출력단자(PA1)로부터 논리 "0"→"1"로 변화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조립되어 있으므로, 그 신호가 제5도의 입력단자(R)에 가해진다. 이 신호는 원쇼트펄스회로(157)에 가해지면, 일정시간만 신호를 출력하여 OR소자(159)를 거쳐 FF(151)의 리세트입력단자(R)에 입력되어 FF(151)의 기억을 소거한다. 따라서 다시 다른쪽의 마이컴(3)(1)으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시행되는 일은 없다.
즉, 다른쪽의 마이컴이 폭주했을때 신호선(63), (64)에 제시행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사태가 되어도, 상대쪽의 마이컴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한 NOT소자(153)의 출력이 없으므로 그 신호는 받지 않는다. 따라서 착오로 인하여 재시행을 하는 일이 없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재시행회로(15)(17)의 FF(151)는 고장검출회로(11)(13)의 출력을 고장이 발생한 마이컴(1)(3)에 의해 리세트할 때까지 기억하고 있으므로, 확실하게 고장시의 재시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다른쪽의 마이컴(3)(1)으로 부터의 재시행 지령신호를 받아, 출력단자(RS)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면 CPG(95)의 출력단자(RES)로부터 신호가 나오게 되고, 다단카운터(131)가 리세트되어 고장출력이 없게되므로 단자(RS)의 출력도 없어진다. 따라서, CPG(95)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13
의 신호출력시간이 짧고, MPU(81)의 스타트시간이 부족하는 등의 불안정요인은 없으며 확실하게 동작한다. 그리고, 이 FF(151)를 고장난 마이컴에 의해 리세트되고 있으므로 스타트가 확실하게 행해지지 않을 때는 몇번이라도 재시행회로(15)를 동작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원쇼트 펄스회로(157)는 고장시의 재시행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즉 고장의 상태(프로그램의 폭주없태)에 의해서는 신호선(65)(66)에 출력된대로 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원쇼트 펄스회로(157)가 없으면 FF(151)는 리세트 된 채로 다른쪽의 마이컴으로부터 재시행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에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도 일시적으 밖에 리세트 펄스가 원쇼트 펄스회로(157)로부터 출력되지 않으므로 FF(151)가 리세트를 계속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재차 발생한 고장시에도 확실하게 재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저항(161)과 콘덴서(163)가 직열로 전원과 접지사이에 삽입되고, 그 접속점은 NOT소자(165)에 입력되어 있다. 이 NOT소자(165)의 출력은 상기 OR소자(159)의 한쪽의 입력으로 되어 있다. 이 회로는 전원이 ON되면 FF(151)의 리세트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원이 ON될때 전원 전압의 상승시간보다 충분히 늦은 시정수를 갖게 해두면 그 차의 시간만큼 NOT소자(165)의 입력은 논리 "0"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그 출력은 "1"이 되어 FF(151)를 리세트한다.
이것을 다시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전원이 ON될때, FF(151)에 기억된 것이 있고, 또 NAND소자(15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입력단자 RT)에 신호가 있으면 출력단자(RS)가 논리 "0"으로 되어, CPG(95)의 입력단자
Figure kpo00014
에서는 콘덴서(101)가 충전되지 않게되어 마이컴의 초기치가 설정되지 않으므로 동작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이 회로에 의하면 FF(151)를 리세트하므로, 예를들어, 단자(T), (RT)에 신호가 있어도, 반드시 단자(RS)는 논리 "1"(개방콜렉터의 트랜지스터 OFF)이 되므로 CPG(95)의 콘덴서(101)는 충전되어 정규의 초기치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FF(151)의 리세트에 본 회로를 삽입하면, 다른 방법보다도 값도 저렴하고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이라고 하는 것은, CPG(95)와는 별개로 신호선(103)에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컴의 출력단자(PA2)에 접속되는 신호선(61), (62)의 역할에 관하여 상술한다. 이 신호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폭이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것이지만, 신호선(61)에서 마이컴(3)으로의 입력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마이컴(3)의 입력단자(IN)에는 통상 아무것도 없으며 마이컴(1)이 고장이 생기면 입력이 들어가기 시작한다. 이것에 의해 마이컴(1)이 고장이 있음을 알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입력이 들어옴으로 해서 마이컴(1)은 고장시의 재시행을 해도 좋다. 단, 이 결점은 단일신호를 감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검출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결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즉시 고장을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제6도-제12도의 플로우 챠트에 의해 마이컴(1), (3)의 프로그램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6도는 마이컴(1), 제7도는 마이컴(3)의 소프트웨어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6도에 있어서 블럭(201)은 상술한 MPU(81)의 입력단자(RES)가 "0"에서 "1"로 변경된 시점에서 그 다음의 블럭이 실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첫째로, 블럭(203)에서 이 마이컴(1)의 초기치 설정이 행해진다. 즉 MPU(81)내의 레지스터의 초기치설정, PIA(91), (93)의 초기치 설정(입력용, 출력용의 세트), RAM(85)내의 데이터 영역의 클리어등을 행한다. 이밖에 PIA(93)의 출력단자(PA1)로부터 출력하여 재시행회로 FF(151)의 리세트도 행한다. 초기치설정후에 블럭(205)으로 진행하고, 엘리베이터의 시이퀸스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예컨대, 발생한 호출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서어비스시키기 위한 것이며 주지의 방법이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블럭(207)에서 마이컴(3)의 감시를 행한다. 즉 PIA(93)의 입력단자(PA3)를 조사하여 신호가 있으면 후술하는 재시행과업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출력단자(PA2)로부터 신호를 출력하여 상대의 마이컴(3)을 재시행시켜 정상으로의 회복을 행한다. 블럭(209)에서 이 기본흐름은 종료되는 것이다.
이후는 블럭(211)으로 부터의 타이머의 개입중단(하드웨어의 블럭도에서는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MPU(81)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타이머에 의해 개입중단신호가 들어온다)에 의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엘리베이터의 시이퀸스 처리와 마이컴(3)의 감시를 행한다. 그리고 마이컴(3)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블럭(207)에서 재시행과업이 기동되지만 이 과업은 타이머 개입중단으로 기동되는 블럭(205), (207)에 의해 우선순위가 낮은 과업이다. 즉 재시행 과업이 동작중에 타이머의 개입중단이 들어오면 중단하여 블럭(205), (207)을 처리한 후에 재실행하게 된다.
제7도의 블럭(231),(233)은 상술한 블럭(201)과 동일한 처리를 마이컴(3)에 대해 행한다. 그리고 블럭(235)에서 마이컴(1)의 감시를 행한다. 즉 PIA(93)의 단자(PA2)에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있을때까지 이 처리를 반복한다. 마이컴(1)이 고장이 있을 때는 입출력장치는 마이컴(1)으로부터 마이컴(3)으로 절환되므로, 제일 먼저 출력을 모두 클리어하여 엘리베이터가 완전히 정지한 후, 그 위치가 정규의 정지위치인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정규위치가 아니라면 정규위치까지 움직이는 지령을 내린 다음 도어를 열고, 그후에 마이컴(1)의 재시행회로(15)를 동작시켜 초기치 설정을 하고, 스타트가 성공하면 다시 마이컴(1)에서 엘리베이터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또, 블럭(235)을 반복하게 된다. 만일 성공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마이컴(3)쪽에서 블럭(205)과 동일한 시이퀸스 처리를 그후 계속하도록 하면 엘리베이터는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상기 블럭에 관해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8도는 블럭(203)의 상세한 설명이지만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징은 초기치 설정의 프로그램속에 PIA(93)의 출력단자(PA1)를 제어하는데 있다. 즉, 블럭(251)에서 단자(PA1)로부터 "0"을 출력한 후 즉시 블럭(252)에서 "1"을 출력하여 원쇼트 펄스회로(157)를 동작시켜 FF(151)를 리세트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마이컴은 기계적 주기가 1MS이므로 즉시 "1"을 출력하여도 원쇼트 펄스회로(157)는 동작속도가 빨라서 문제는 없다. 그리고 이것은 전원이 ON될때 초기치 설정은 필요치 않으나, 프로그램의 광범위한 용으로 구별없이 넣어져 있는 것이다.
제9도는 블럭(207)의 상세한 설명이다. 블럭(271)은 PIA(93)의 단자(PA2)의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통상은 NO에서 블럭(277)으로 진행하고, 블럭(209)에서 일단 종료한다. YES인 때는 마이컴(3)이 고장이 있으므로 재시행 과업을 기동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미 기동중(기동중 플래그를 조사하여 행한다)이라면 YES에서 블럭(277)으로, NO라면 블럭(275)에서 기동한다. 즉 블럭(275)에 도달하면 재기동 과업이 실행되고, 또 기동중 플래그도 세워두고 블럭(275)에서 기동한 후는 블럭(277)으로 진행하여 이 블럭(207)의 처리를 종료한다.
제10도는 재시행 과업을 처리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이다. 이 재시행 과업(300)이 블럭(275)에 의해 기동되면 고장의 이력을 블럭(301)에서 조사한다. 그 이유는 재시행을 행하지만 어느 특정조건인때 폭주하게 한다든가, 재시행하여 엘리베이터가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 폭주하게 되는 경우에, 고장시의 재시행 회수를 한정해 두지 않으면 쓸데없는 시행을행 하는 것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회수를 1회로 하고 2회째에는 블럭(315)에서 마이컴(3)의 고장표시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고장표시가 나오게 되면 보수원에 의한 보수가 행해지면, 오동작이 정상적인 것이라면 그 대책을 강구하고, 우발적인 것이라면 이 마이컴(1)내의 고장이력의 기억을 클리어하여 고장표시를 소거하도록 하면 좋다. 그러나 제1회째의 고장이라면, 마이컴(3)을 재시행하기 위해 블럭(303)에서 PIA(93)의 단자(PA2)로부터 신호를 내서 재시행회로(17)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마이컴(3)은 초기치가 설정되고, 그리고 초기치 설정에 필요한 시간경과후 단자(PA2)로 부터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이 블럭(303)에 의해 마이컴(3)은 동작을 시작하고 재시행회로(17)의 FF(151)도 리세트된다. 블럭(305)에서는 이와 같이 마이컴(3)이 완전하게 움직일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블럭(307)이 일정시간 후에 실행된다. 즉 입력단자(PA3)에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신호가 있으면 재시행 실패로서 블럭(315)으로 진행한다. 성공이라면 신호가 없어지므로 블럭(309)에서 이번에 고장이 발생한 것을 기억하고, 블럭(311)에서 이 재시행 가업기동종료를 블럭(273)을 위해 출력한다(재시행 과업기동중의 플래그를 리세트한다). 그리고 블럭(313)에서 이 과업은 종료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재시행이 성공하지 못했을 때는 즉시 블럭(315)으로 옮겼으나, 재시행 지령을 낸 직후에서는 다시 한번 블럭(303)으로 옮겨 재시행시켜도 좋다. 또 본 실시에에서는 고장시의 재시행회수를 1회로 하고, 또 그 해제는 보수원에 의한 것이었으나, 일정시간 경과후도 다시 고장이 없는 경우(입력단자 PA3에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는 우발사고라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고장의 이력을 소거하도록 하여 우발적인 고장시는 보수를 요하지 않는 방식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장치(9)에 있는 고장표시등을 사용하였으나, 마이컴의 근처에서 PIA(93)에 의해 출력하여 고장표시를 하여도 좋다. 제11도는 마이컴(3)의 소프트웨어 구성흐름인 블럭(235)의 상세한 설명도이다. 블럭(331)에서는 마이컴(1)이 고장이 있는지의 여부를 PIA(93)의 단자(PA3)의 입력신호에 의해 조사하는 것으로서 신호가 없으면 정상이라고 판단하여 즉시 블럭(347)으로 가고 제7도의 흐름으로 되돌아온다.
그러나 고장이 있을 때는 신호가 있으므로 다음 블럭(333)으로 진행한다. 이 블럭(333)에 관해서는 제12도의 플로우 챠트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엘리베이터내의 승객을 구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즉 마이컴(1)이 고장이 있으면 엘리베이터내의 승객은 감금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구출을 제일 먼저 고려하고 마이컴(1)의 재시행은 그후에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재시행에서 한번은 고쳐졌어도 즉시 또 고장이 날 가능성이 있고, 그리고 그 고장정도가 나빠져서 승객에게 위험을 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한 상태에서 재시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복구한 후에 제10도의 블럭(303), (305), (307), (345)과 마찬가지로 블럭(337), (339), (341), (343), (345)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그리고 블럭(345)에서 고장표시를 한 후, 이 마이컴(3)쪽에서 이후의 엘리베이터운전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의 프로그램이 블럭(349)이다. 그리고 완전하게 마이컴(1)때와 같은 운전을 행하는데는 제6도의 블럭(205)과 거의 동일한 프로그램으로 하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력장치(5), (9)과 모두 마이컴(1), (3)에 대등하므로 동일한 프로그램으로도 된다는 이점이 생긴다. 이 블럭(349)이후는 매회 이 처리만 행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장상태의 회복은 고장표시를 발견한 보수원에 의해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블럭(349)의 내용에 관해서는 상기 설명에서 블럭(205)과 거의 동일한 프로그램으로 하였으나, 이것은 더 간단한 기능의 프로그램이라도 좋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어떤 빌딩에서도 공통적인 프로그램으로 하고, 기능도 엘리베이터가 단독으로 움직일 수 있는 최저한의 프로그램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잇점은 동일한 프로그램을 대량으로 사용하기 위해 마스크 ROM(LSI생산시에 프로그램을 기입해 두는ROM)을 값싸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을 저하시켜 엘리베이터가 마이컴(1)의 고장시는 움직이지 않게 하는(마이컴(1)의 고장시에는 복구운전과 마이컴(1)의 재시행만으로 하고, 블럭(349)의 사이퀸스 처리를 행하지 않고 그 시점에서 처리를 멈춰버린다)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는 또, 상기 마이컴(3)의 범용성이 나오기 때문에 1칩 마이컴이라도 구성이 가능하다. 다시 블럭(333)도 없애고 직접 재시행만 행하는 경우는 더욱 이러한 면에서 본 발명이 잇점은 커진다.
다음에 제12도에 의해 블럭(333)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블럭(333)에서 마이컴(1)은 고장이 발생되었음을 알았으므로, 우선 그 사후처리로서, 폭주한 마이컴(1)에서 이상이 있는 출력신호가 나와 있을 우려가 있으므로, 모든 출력을 일단 클리어하여 엘리베이터가 고장시의 동작을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를 블럭(373)에서 취한 후에 블럭(375)에서 입력장치(5)를 거쳐 엘리베이터의 현상위치를 조사한다. 이 일정시간 경과의 필요성은 폭주했을 때 엘리베이터가 고속으로 달리고 있다면 전출력이 클리어 된 시점에서, 브레이크가 걸리고, 소정시간 후에 정지한다.
상기 소정시간은 브레이크 개시로부터 완전하게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그리고 블럭(377)에서 정지하고 있는 위치가 우선 승강로의 맨 끝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즉, 끝층이라면 블럭(379)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지령을 하고, 끝층이 아니라면 블럭(381)에서 하강지령을 내린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는 저속운전으로 천천히 움직인다. 그리고, 엘리베이터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입력장치(5)에 의해 가장 최초에 들어오는 층상의 정규위치에서 정지하기 위한 정지신호를 기다린다. 그리고 이 정지신호가 들어오면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정지한 후에 도어열림 지령을 출력하여 도어를 연다. 그리고 입력장치(5)에 의해 도어가 완전히 열려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완전히 열려있으면, 블럭(387)에서 제11도로 되돌아온다.
상기의 동작으로 알 수 있듯이 이 블록에서는 가장 가까운 층에 안전하게 정지시키도록 구성하여 승객이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도어가 열릴때까지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블럭(375)에서 엘리베이터가 정규위치에 정지하여 있을 때는, 즉시 블럭(385)으로 옮기고 도어가 열려 있지 않다면 블럭(383)에서 도어를 연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블럭(385)에서 도어가 열려 있을 때에, 제11도의 블럭(333)이하가 실행된다. 즉, 엘리베이터가 정규위치에 정지하여 도어가 열린 후에 행하면, 만일 다시 마이컴(1)이 폭주하여도 통상 안전장치로서, 마이컴 이외의 시스템으로 도어가 열려져 있을 때는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전하게 재시행을 할수가 있게 된다. 또 블럭(333)에서 도어를 열고, 그리고 일정시간 후(승객이 모두 내렸을 때쯤 또는 카내의 조명을 소등한 후)에 도어를 닫고, 완전하게 닫혀진 시점에서 블럭(335)의 후를 실행시키면 더욱 안전하게 재시행을 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논리제어부를 구성하는 두대의 컴퓨터가 서로 상대방의 컴퓨터의 고장을 검지하여 재시행하고 있으므로, 어느 한쪽의 컴퓨터가 잡음등에 의해 오동작하여도 즉시 복구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 전체로서 보면 잡음등에 매우 강하고, 잡음대책도 간단하게 된다. 또 고장검출회로를 구비하여 고장을 검지하고 있을 때만 다른쪽의 컴퓨터에 의해 재시행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오동작한쪽의 컴퓨터에 의해 착오로 재시행되는 일은 없으며 장치의 신뢰성도 높다. 그리고 통상적으로는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고, 고장정지시에 다른쪽 컴퓨터에 의해 구출운전을 하고 있으므로, 설사 한쪽의 컴퓨터가 실제로 고장이 나서 감금상태가 되어도 즉시 구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상대방의 컴퓨터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고 그외의 조건으로 재시행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엘리베이터가 중간에 정지한다든가 또는 소정시간마다 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한편으로는 재시행하는 조건등을 엄격하게 실시하여도 좋다. 또 실시예에서는 마이컴(1)의 고장시 가장 가까운 층까지 복구운전한 후에 재시행시키고 있으나, 안전을 확인한 후 즉시 재시행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제어이외에 예컨대, 사무처리용의 컴퓨터는, 잡음등에 의한 영향은 적으며, 또 일단 컴퓨터가 폭주하면, 그 폭주발생직전 및 발생후의 처리내용이 문제가 된다. 즉 폭주발생기간의 처리내용을 해석하여 수정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제어에 있어서는 제어용 컴퓨터가 폭주하여도, 그간의 처리내용에 관계없이 제어대상인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알게됨으로써, 그 이후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1대의 컴퓨터에 다른쪽의 컴퓨터를 재시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폭주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다시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컴퓨터 자체의 고장보다는 잡음등에 의한 오동작이 많은 엘리베이터 제어용 컴퓨터에 특히 유효하며 오동작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불가동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서어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의 층상을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와, 이 엘리베이터의 논리제어부를 디지틀 컴퓨터로 구성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논리제어부를 복수의 컴퓨터로 구성시키고, 적어도 한대이상의 컴퓨터에는 다른쪽의 컴퓨터의 초기치 설정을 재시행하도록 자기의 컴퓨터이상을 검출하는 수단과, 타측 재트라이 수단을 구비하여 이상검출수단의 감시처리를 실행하고, 이상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지하였을 때 타측 컴퓨터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자기컴퓨터의 재시행을 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19800000394A 1980-02-01 1980-02-01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850000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394A KR850000650B1 (ko) 1980-02-01 1980-02-01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394A KR850000650B1 (ko) 1980-02-01 1980-02-01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01A KR830001801A (ko) 1983-05-19
KR850000650B1 true KR850000650B1 (ko) 1985-05-07

Family

ID=1921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394A KR850000650B1 (ko) 1980-02-01 1980-02-01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6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01A (ko) 198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0225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3633092B2 (ja) マイコン故障監視装置
US6883123B2 (en) Microprocessor runaway monitoring control circuit
US4583224A (en) Fault tolerable redundancy control
EP3415453B1 (en) Remote fault clearing for elevators, escalators and automatic doors
EP3415454B1 (en) Automatic fault clearing for elevators, escalators and automatic doors
KR20070049213A (ko) 엘리베이터 제어기의 파워-온-리셋
KR850000650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6230729B2 (ja) エレベータ安全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安全制御方法
JPH05132256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とそ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S6015380A (ja) エレベ−タの遠隔監視装置
KR100186374B1 (ko) 엘리베이터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3256639B2 (ja) デジタルリレー装置
JPS63171783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61154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3320632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S63347B2 (ko)
JPS6223605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の入出力制御装置
KR0167209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JPH0811670B2 (ja) エレベ−タの電源検出装置
JP4613019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H09223444A (ja) 補助リレー駆動回路
JP2023178072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乗客搬送制御装置
JPH06206674A (ja) エレベーターの故障復旧装置
JPH116010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