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448B1 - 열려있는 용기에서 쓰레기 농축에 관한 장치 - Google Patents

열려있는 용기에서 쓰레기 농축에 관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448B1
KR850000448B1 KR1019810002274A KR810002274A KR850000448B1 KR 850000448 B1 KR850000448 B1 KR 850000448B1 KR 1019810002274 A KR1019810002274 A KR 1019810002274A KR 810002274 A KR810002274 A KR 810002274A KR 850000448 B1 KR850000448 B1 KR 85000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ivot arm
waste
roll
press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274A
Other languages
German (de)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008A (ko
Inventor
베르그만 하인즈
Original Assignee
베르그만 하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13107383 external-priority patent/DE3107383C1/de
Application filed by 베르그만 하인즈 filed Critical 베르그만 하인즈
Publication of KR830006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8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with compression means other than rams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려있는 용기에서 쓰레기 농축에 관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수행형태를 표시한 일부 종단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제1도의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 장치중 압착롤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장치의 수행 형태를 표시한 구성 개요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압착롤의 투입 및 제거 작동을 도시한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에서의 VI-VI선 상에서 취한 정면도.
제7도는 제5도중 피봇암의 지지점의 확대도.
제8도는 제7도의 VIII-VIII선 상에서 취한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중 역회전 장치의 부분 확대도.
제10도는 제9도의 X-X선 상에서 본 정면도.
제11도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행 형태도.
제12도는 제11도의 일부를 절결한 확대도.
본 발명은 쓰레기, 특히 마분지 또는 그와 유사한 두꺼운 종이 쓰레기에 대하여 위가 열려 있는 용기에서 압착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처리 용기는 종이와 마분지, 특히 사무실, 백화점(상점) 또는 창고에서 내버리고 손쉽게 쓰레기가 가득 채워 수송할 수 있도록 특별히 발명된 것이다.
지금까지는 그런 종류의 쓰레기 용기는 단순히 손으로 채워졌다. 그리고 쓰레기 압착작용은 그 용기안에 투입된 마분지나 종이 같은 것의 자체중량으로 이루어 졌다.
여기서 나타난 문제점은 용기의 내부가겹겹이 쌓인 두꺼운 종이나 그와 같은 것으로 인하여 충분히 채워지지 못하고 따라서 용기 자체가 수용할 수 있는 가능한 한양을 완전히 수용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마분지, 종이 그리고 그와 같은 두꺼운 류의 쓰레기를 용기에 넣고 간단한 방법으로 압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용기가 백화점과 창고등에서 나온 쓰레기 포장재료 같은 것을 가능한 한 최대양을 수용운반할 수 있는데 장점이 있다. 이 장치는 용기안에서 전후로 움직이며 회전하는 압착롤과 또 이롤은 피보트암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기둥에 의해 분절되어 지지되는 피봇암의 자유단에 연결되도록한 것이다.
이 장치는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쓰레기위를 롤이 전후 운동하게되며, 롤라 기둥의 피봇트암 축받이점사이의 상대적 거리에 따라 피봇트암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간단한 방법으로 용기 안에서 쓰레기에 계속적인 압착을 가하는 것으로서 여태까지의 쓰레기를 단순히 집어넣는 방법보다 더 많은 양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압착롤은 속이 비고, 양면이 막힌 드럼형으로 만들고, 롤의 재질은 강철판으로 하여 쓰레기의 두께에 견디게하며, 직경은 약 80cm정도, 그 중량은 200-300kg 정도로 제작한다. 이 압착롤의 자체 중량은 쓰레기를 압착 처리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압착롤 자체 중량외의 추가 압력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압착롤의 동력원이 내부에 있기 때문에 압착롤의 전체 중량 모터와 부가되는 기아의 중량에 의하여 보다 증가된다. 동력 장치는 롤의 중앙부에 고정된 스피어기어 장치 및 모터와 결합된 피봇암의 일단과 고정결합되어 구성된다. 롤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는 2개의 외부 회전롤은 중앙에서 결합된다.
압착롤의 동력은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되여 있어 압착롤은 1분에 약 25번 회전한다. 압착롤 내부 중심부는 변속기어틀이나 이 변속기어틀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와 동시에 속이 빈 압착롤의 선회하는 두변을 축으로 지지해 주도록 설계된다.
피봇암의 길이변경의 유리한 점은 피봇암이 서로서로 망원경식으로 접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압착롤의 축과 피봇암 상부의 축받이 점사이의 거리가 서로서로 망원경 식으로 확장 단축되는 분절면으로 하여 압착될 쓰레기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피봇암은 자신을 지지하는 기둥을 통과할 때 가장 짧은 길이가 된다. 피봇암의 상부끝 축받이 점을 상하 이동시켜주는 게양 장치를 기둥지지 피봇암에 설치하여 더욱 편리하게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안에 이미 차있는 쓰레기의 양에 따라서 피봇암의 축받이점을 상하로 조절하여 용기안의 쌓여진 쓰레기의 높이를 균형있게 평탄화할 수 있다. 압착롤에 용기의 측벽면과 충돌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피봇암의 길이는 상부 축받이 점에서 압착롤의 반직경의 아래 부분의 자유단까지 용기의 길이의 반보다 약간 짧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피봇암이 수평면과 매우 근사한 각을 이룰때에는 압착롤은 용기의 벽과 충돌하지 않게 된다. 그밖에 티미날 스위치등을 사용하여 압착롤 측면 운동이 제한되며, 양 용기의 끝에서 롤의 진행 방향이 자동적으로 반전된다.
발명에 의한 장치중에서 압력식 게양장치는 이외에도 용기에서 압착롤의 투입제거의 일을 한다. 피봇암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축받이 점으로부터 기둥까지 연결 링크나 체인등으로 분절연결된 기둥의 축받이점위의 압착롤쪽으로 피봇암의 분절면을 위치 시킬 수 있다. 이런 분절연결 장치가 가동되면, 축받이점의 상승이 용기밖으로 피봇암을 끌어올리는 반면 축받이 점의 하강은 피봇암을 용기내로 신속히 내려주는 결과를 낳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피봇암이 망원경식으로 서로 접철되어, 최종단의 분절면은 축받이 점쪽으로 피봇암을 구성하며 이는 체인이나 기타 연결구에 의해 접속된다. 용기의 양면에 기둥을 설치해도 되지만, 용기중간에 설치하는게 더욱유리하며 피봇암의 축받이 점은 피봇암의 자유단에 설치하도록 한다.
압착 운동중 기둥이 일정한 위치에 단단히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용기가 설치된 지면밑에 단단한 밑받침대를 설치하는게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용기의 자체중량으로 기둥은 더욱 안전하게 고정된다. 더욱이 안에서 잠기는 톱니바퀴 멈춤쇠 나이와 유사한 것은 밑받침대와 용기 사이에 결합장치로 사용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밑받침대는 한 끝면에 용기의 양면밑으로 부터 중복되는 제동레일 갖도록 제작한다. 용기는 그와 같이 아래로 비스듬히 향하는 변위운동으로 기본시설 위치로 와서 멈춰, 이용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해서 밑받침대와 기둥 그리고 용기는 항시 같은 방법으로 하여 기둥이 용기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용기는 위로 들어올려 지도록 된 경사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용기가 감아 올려지면서 용기벽이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해 용기를 감아올리는 장치와 떨어진 반대면에 압착롤을 위치시켜 놓는다. 압착롤의 동력 모터는 가역성 모터로 되여 있다. 그래서 터미날 스위치로 압착롤은 되돌아가면서 쓰레기를 압착한다.
이 전환 스위치는 손으로 조종되거나 또는 때때로 터미날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로 조종된다. 이 터미날 스위치는 피봇암 또는 피봇암이 항상 일정한 수행을 하도록하는 부수적인 장치로 작동된다. 그래서 피봇암의 개개의 연속적인 왕복운동을 위하여 기둥에 설치된 게양장치는 피봇암의 축받이 점을 들어올린다.
이 상승 작용은 피봇암이 망원경처럼 안으로 끼어 죄어질때 수행되며, 피봇암은 제동장치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게양 장치가 상승점에 왔을 때 피봇암의 축받이 점을 지탱하는 게양장치의 램을 위로 변위시켜 주게된다. 첵 밸브를 열므로써 압력 오일은 한쪽에 치우쳐 있다가 램의 다른 편으로 배출되며 램 혹은 게양 장치 일부는 피봇암이 자동적으로 상승하는 축받이 점위치에 유지된다. 위의 작용은 쓰레기 압착이 단지 압착롤의 중량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쓰레기 압착 효과에는 무관하다.
또한 이 첵 밸브는 쓰레기가 새로 채워져 있을때, 올라간 장치를 게양 장치로 다시 내리도록 하는데 도 사용된다. 그밖에 게양 장치는 외부에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실질적으로 용기를 바꿀때에만 사용 한다. 이런 기능은 용기를 채우는 사람에 의해서가 아니라 용기를 공급하는 사람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쓰레기를 압착할 때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쓰레기 위에 압착롤이 확실히 운동할 수 있도록 압착롤의 면은 거칠게 만들고 더우기 압착롤의 운동방향으로 비스듬한 날을 표면에 만든다.
이 경사날은 압착되는 재료가 깊이 침투되지 않고 쓰레기를 지나치게 찢지 않도록 압착롤 표면으로 약 15mm 정도 돌출한 철판 또는 그와 같은 것으로 설치한다. 압착롤에 전원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망원경식의 피봇암 상단자유 터미날에 전원선 케이블릴을 설치한다. 이 케이블릴은 다른 건축기계 또는 그와 같은 것에서도 사용한다.
따라서 그 전원 케이블의 길이는 계속하여 길어지고 또 짧아진다. 재료가 용기의 측벽 부근에서 지나치게 압착되거나 이에 의해 용기가 제거되기 어렵기때문에 롤의 끝면 근처에 하나의 테두리를 설치하고 롤 면위의 상부 테두리로 롤을 둥그렇게 둘러싸게 한다.
이 방법으로 그테는 용기의 측벽 근처에서도 재료를 효과적으로 압착하고 그것에 의해 실지로 압착롤의 압착범위가 한정된다. 그래서 용기 벽과 재료사이의 지나친 압착 작용이 배제된다. 이로 인해 압착롤과 용기 측벽과의 충돌로 인한 장치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압착롤의 양끝면에 외형이 둥근벽 또는 뚜껑을 부설하면, 용기의 벽에 부딪치는 압착롤이 다시 중심부로 오게된다.
이미 기술된 장치는 설치면 공간요구면을 고려해 보면 대규모에 적당하다. 그러나 장치의 약간의 개선으로 소규모에 적합한 시설로써 사용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용기안(1)에 쌓여 있는 쓰레기(2)에 화살표(3)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압착롤(4)을 도시하고 있다.
이 압착롤(4)은 기둥(6)으로부터 분절되어 연결된 피봇암(5)의 자유단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되여 있다. 압착롤(4)은 화살표(7)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화살표(3)의 방향으로 쓰레기(2)위를 왕복하며 압착하게 된다.
피봇암(5)은 지지점(8)에 연결되며, 기둥(6)의 상부끝에 설치되며, 개개의 분절면(9)은 망원경 식으로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둥(6)에는 게양장치(100)가 설치되어 화살표(110)의 방향으로 지지점(8)을 움직이게 한다. 압착롤(4)의 동력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롤(4) 자체(제3도)내에 있다.
그리고 압착롤(4)의 동력원인 동력모타(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케이블릴(130)을 피봇트암(5)의 상부 끝에 설치한다. 압착롤(4)의 표면에는 압착롤의 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경사날(140)를 만든다. 이 경사날(140)은 압착롤(4)의 운동이 매끄러운 쓰레기에도 확실히 작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둥(6)은 용기(1) 및 밑하부판(150)에 설치하여 용기(1)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 하부판(150)은 가동중 용기(1)에 공간적 여유를 주고 아래로부터 용기(1) 끝면에 인접하도록 정지레일(150a)를 갖춘다. 하부판(150)은 기둥(6)의 하부판(16)과 직접 결합된다.
제2도는 이 관계를 명확하게 한다. 수압을 이용한 게양 장치(100)는 그의 상부 끝부분에 용기를 결합하는 피봇암(5)을 구성함을 제2도에서 알 수 있다. 그 끝에 피봇트암(5)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8)이 있다. 설명한 것처럼 기둥(6)은 용기(1)의 세로 방향으로 하여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의 피봇트암(5)의 길이(L)은 확장된 상태에서 압착롤(4) 직경의 반(D)을 포함한 피봇암(5)의 전체 길이는 용기(1)의 전장(A)의 반보다 다소 작도록 해서 피봇암(5)이 수평선상에 위치 하더라도 압착롤(4)과 용기(1)의 벽이 충돌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압착롤(4)의 동력모타(120)는 가역성 모타로서 그 회전 방향은 리미트 스위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압력을 이용한 게양장치(100)는 피봇암(5)이 망원경 형태로 완전히 끼워 접속된 상태에서 기둥(6)을 지날때 피봇암(5)이 제동 장치와 반대로 움직이며 그렇게 하여 램이나 암(170)을 지탱해주는 게양장치(100)의 일부분을 또한 지나고 피봇암(5)의 지지점(8)은 새로 들어오는 쓰레기에 양에 따라 위로 상승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압력 오일은 빠지게 되고, 첵 밸브의 작용으로 이 상태가 유지되며, 지지점(8)을 지지하는 게양 장치(100)는 피보트암이 내려갈 수가 없게 한다. 이 방법으로 지지점(8)은 채워지는 쓰레기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하로 작동한다.
압착롤(4)을 쉽게 투입,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케이블 릴(130)을 지지하는 분절편(90a)은 압착롤(4)의 반대편에 있는 지지점(8) 이상으로 나가게 된다. 이 분절편은 막대나 체인 혹은 그와 유사한 것으로서 기둥(6)과 분절되어 지지점(8)과 떨어진 끝부분(190)에 연결되고, 거기서 막대나 그와 유사한 것은 지점(200)에 있는 분절편(90a)에 작용한다. 압력식 게양 장치(100)가 상부로 움직이면 압착롤(4)은 화살표(210)의 방향으로 선회운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 방법으로 쉽게 용기 밖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쉽게 투입도 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운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용기(1)를 지면(150)에 설치할 때 화살표(220)의 방향으로 하여 게양장치(100)가 최상의 위치에 있고 압착률(4)은 위에서 선회한다. 이는 제1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다. 용기(1)은 하부판(150)에 설치되고, Stop레일(150a)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며, 게양장치(100)가 내려가며, 압착롤(4)이 용기(1) 밑면으로 내려온다. 다음, 쓰레기(2)를 채우고, 압착롤(4)에 동력을 가한다. 압착롤(4)은 지금 화살표(3)의 방향으로 쓰레기(2)위를 이리 저리 선회한다.
또한 피봇암(5)의 횡축 길이와 종축 길이로 결정된 각(α)에 따라서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압착롤(4)은 역회전도 된다. 그것으로 용기(1)의 전면벽(1a)와 (1b)의 근처에 압착롤이 미칠 수 있는 끝위치가 결정된다. 압착롤(4)이 기둥(6)을 지나칠때마다 즉 피봇트암(5)이 최대로 확장 되었을때, 이 피보트암은 피보트암 지지점(8)을 지지하는 게양장치(100)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제도 장치와 반대로 움직이게 된다.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일정한 위치에서 게양장치(10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첵 밸브를 설치했다. 이렇게 하여, 지지점(8)은 채워지는 쓰레기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승 이동된다. 또한 첵 밸브는 게양장치(100)을 하강시킬 수도 있다. 현재 다 채워진 용기를 제거하려할때, 게양장치(100)는 다시 올라가게 된다. 그래서 압착롤(4)은 용기의 바깥쪽으로 선회한다. 이렇게 되면, 용기는 화살표(220) 방향으로 비스듬히 하여 제거된다.
제3도는 제1도의 제2도에 나타난 장치의 압착롤(4)에 대한 상세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 처럼 압착롤(4)은 피봇암(5)의 아래 분절면(9)과 단단히 고정되여 결합된 중앙분절면(230)으로 구성되여 있다.
분절면(230)은 구동모터(120) 그리고, 이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50)으로서 작용하는 스퍼어기어(240)의 카바로 사용된다.
양쪽으로 향한 회전축(250)은 구동 모타(120)에 의해 구동되도록 양끝 부분에서 2개의 오목한면(250)(270)을 지지한다. 이 둥근 오목한 모양의 면(260)(270)은 그 표면에 경사날(140)이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거칠게 제작된다. 양면(260)(270)의 앞쪽 끝의 부분에 압착롤 테(290)를 구성한다. 이미 기술한 것 같이 고무 타이어로 만든 압착롤 테(290)는 쓰레기와 용기의 벽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힘을 제거한다.
즉, 용기(1)내에 쓰레기가 없을때 발생할 수 있는 용기(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압착롤테(290)은 고무 타이어를 재료로 한 덮개식으로 만든다.
제4도-제10도를 참고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6)의 상부끝에서부터 지지점(8)까지 피봇암이 지지되며, 개별 분절면(9a-9c)은 연결편(10)에 의해 내부로 연결된다. 제동장치(11)는 연결편(10) 주위에 설치되어 피봇암(5)이 완전히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편(10)에서 연결되는 피봇암(5)의 2개의 분절편이 제4도의 압착롤(4)의 확장 위치가 180°보다 작은 각(α)을 유지토록 한다.
연결편(10)의 부속중, 제6도의 갈퀴(10a)는 다른 연결편의 부속과 연결되어, 제6도의 핀(12)에 의해 고정된다. 핀(12)은 편(片 1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다.
제4도-제6도에서 알 수 있듯이, 연결핀(12) 외부의핀의 형태로 도시된 제동장치(11)는 갈퀴(10a)부분을 관통해 있다. 기둥(6)에는 용기(1)의 안정을 위해 발판(16)이 설치된다. 기둥(6)은 용기(1) 밑부분에 설치되고, 피봇암(5)은 기둥(6)과 개별 분절면(9a-9c) 사이의 각(α)의 정점(14) 한면에 변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점선과 같은 압착롤(4)의 운동을 위해, 피봇암(5)이 위로 올라가면 정점(14)도 상승한다.
즉 그들은 용기벽이나 쓰레기 쪽으로 내려올 수 없게 된다. 동시에 피봇아(5)은 지지점(8)을 지지한다. 기어랙크(18)내의 게양장치는 하부판(150) 혹은 발판(16)에 연결된 기둥(6)의 하부(17)에 접속되어 피봇암(5)를 들어 올리거나 투입하고, 로울러(20)위로 안내되는 케이블(19)을 작동하고 지지점(8)을 결합하는 피봇암(5)의 첫째 분절편(9a)의 케이블 고리(21)에 설치된다.
세개의 케이블고리(21)는 적당한 높이 조정을 위해 쓰인다. 가동부(22)는 서로 끼워지는 망원경식으로서 고정부(17)에 연결된다.
이 부분은 여러높이로 조정된다. 가동부(22)와 고정부(17)에는 구멍(23), 그리고 이 구멍에 맞는 제동핀과 가동부(22)를 움직이기 위한 받침걸이(24)가 설치된다.
제5도는 제4도의 피봇암(5)의 첫째 분절편(9a)가 상승한 상태로서 기둥(6)과동일선상에 있다. 이끝에 로울러(20)을 지나는 케이블(19)이 크랭크(28)을 화살표(27)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기어랙크(18)에 의해 제5도 처럼 상승될때까지 당겨진다. 제5도에서의 분절편(9a)의 틈에 제동장치(29)를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5도 처럼 장치의 위치가 정해지면, 압착롤(4)은 점선처럼 용기(1)안으로 투입 및 제거된다. 이 장치가 다양한 높이의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기둥(6)의 가동부(22)는 걸쇠(30)를 이용 케이블(19)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거기서 랙크(26)는 제2도의 점선처럼 움직이고 피봇핀에 의해 연결된다. 받침 걸이(24)는 가동부(22)와 일정한 거리(A)만큼 하부와 분리되어 가동부(22)를 망원경 식으로 고정부(17)에 끼우거나 받침걸이(24)가 고정부(17)에 겹치도록 해준다. 가동부(22)는 윈치(18)에 의해 상하로 가동된다. 이 때 원하는 위치에서 가동부는 구멍(2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5도에서의 중앙 분절편(9a)은 꺽쇠(31)로 첫째 분절편(9a)과 일정한 각을 유지한다.
세번째 분절편(9C)은 압착롤(4)과 그안의 구동 모타(120)의 중량으로 인해 수직으로 걸리게 된다. 앞서 언급한 높낮이 조절 및 이에 상응한 구멍(23)은 특정위치 선정과 관계한다. 케이블(19)의 상부끝은 케이블 걸이(21)에 걸리도록 한다.
제6도는 제5도의 VI-VI선에서 본 측면도로 로울러(20)의 양면에 2개의 구성품으로 된 받침걸이(24)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해, 축(25)를 따라 양 구성품을 핀으로 결할 수 있고 랙크(26)의 상부 끝은 이 양 구성품 사이에 들어가게 된다.
제6도에서 알 수 있듯이, 압착롤(4)의 폭(B)은 용기(1)의 폭(B1)보다 작게하여 용기(1) 내벽에 대한 쓰레기(2) 압착시 발생하는 과도한 힘을 방지한다. 제4도-제6도에서 제6도의 제동핀(11)은 2번째 분절편과 떨어져 있는 첫째 분절편(9a)의 모서리 부분의 연결핀(12)위에 있다. 제4도에서 제동핀(11)은 둘째 분절편(9b)이 제동핀(11)과 반대 위치에 있고, 피봇암(5)이 곧게 펴져 있을때 분절편(9b)의 윗 모서리에 위치한다.
제7도와 제8도는 기둥(6)의 상부 가동부에 단단히 결합된 포오크(32)와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연결된 핀(33)이 판형의 끈(35)과 결합되도록 하는 조임장치(34)로써 지지점(8)이 구성됨을 보인다. 제5도 및 제6도는 압착롤(4)내에 설치된 가역동력 모터의 자동 가역 장치를 보인다.
이 장치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41)(42)를 작동시키는 캠(40)을 지지하는 안내바(39) 위에서 작용하는 한끝(38b)과 세번째 분절편(9C)에 고정된 다른 한 끝(38a)로 구성되어 제동핀(11)이 연결부(10)를 지나는 판형 프라스틱 밴드 형태의 견인선(38)로 구성된다.
리미트 스위치(41)(42)는 피봇암(5)의 첫째 분절편(9a)에 나란히 연결되어 스위치함(43)에 설치된다. 견인선(38)은 연결부(10)근처의 방향 전환 핀(44)밑을 지나도록 한다. 이 핀(44)은 피봇암(5)의 분절편(9b)(9C)에 부착된다. 따라서 방향 전환핀(44)은 견인선(38)이 이핀(44)과 피봇암(5)의 벽근처 연결부사이에 있게 해준다.
제9도, 제10도는 이 방향 전환 장치의 확대 및 상세도로서, 제9도에 따르면 스위치함(43)은 받침걸이(45)에 의해 피봇암(5)의 첫째 분절편(9a)에 연결되고 리미트 스위치(41)(42)를 지지해준다. 받침걸이(45)는 피봇암(5)의 첫째 분절면(9a)에 부착된 안내바(39)에 작용하는 2개의 슬라이드 베어링(46)사이에 위치한다.
캠(40)은 2개의 베어링(46)사이의 안내바(39)에 설치되어, 안내바(39)를 통하는 구멍을 제공한다. 나사(47)를 조이는 것은 안내바(39)의 장치를 결합하는 캠(40)의 작용으로 행해진다. 인장 스프링(48)은 제9도의 안내바(39)의 하부끝(39a)에 작용한다. 인장 스프링(48)의 한끝은 기둥(6)과 첫째 분절면(9a)사이의 연결점(8)근처에 고정된다. 제4도-제10도를 참고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2도와 제6도에서 분절면(9a-9C)이 차례로 확장된다.
즉 피봇암(5)이 제4도의 위치에 있게되면 견인선이 제동핀(11)근처에서 줄어들고, 안내바(39)가 연결부(8)을 향해 화살표(49)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동시에 상부캠(47)은 리미트 스위치(41)와 떨어지고, 이 캠(47)의 하부가 리미트 스위치(42)에 닿을때까지 이 동작은 지속된다.
이 위치에서 안내바의 캠 위치에 의해 결정된 최대 확장 길이가 얻어지고 회전하는 압착롤이 반전한다. 여기서 연결 과정이 캠(47)상부가 리미트 스위치(41)에 도달할때까지 완료된다.
다음 새로운 확장 동작이 시작된다. 제11도는 수압식 게양장치(50)가 압착롤을 투입 및 제거하는 연결 피봇암과 함께 작용함을 보인다. 이 게양장치는 기둥(6)의 지지점(8)부근에 설치되어 게양장치(50)의 한끝(50a)이 기둥(6)의 내면에서 분절되도록 하고 다른 한끝(50b)는 기둥(6)으로 부터 지탱되는 피봇암(5)의 분절편(52)에서 역시 분절되도록 한다.
기둥(6)의 각부분 혹은 지지점(8)에서 게양장치의 작용점까지 확장되는 피봇암의 분절편(52)은 게양장치(50)와 삼각형을 이루고, 피봇암(5)은 게양장치가 확장되면 상승하게 된다. 피봇암(5)는 2개의 분절편(51)(52)으로 구성되고 압착롤(4)를 지지하는 분절편(5a)은 직선형이며 기둥(6)을 연결하는 분절편(52)은 서로 각 β를 유지하는 곧은 구성부(52a)(52b)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β는 135°정도이다.
제11도의 기둥(6)은 서로 단단히 연결된 2개의 구성부(6a)(6b)로 이루어지고 구성부(6a)는 수직으로 서고 지지점(8)을 이루는 구성부(6b)와 각(α)를 이룬다. 이 두번째 구성부(6b)는 압착롤(4)와 떨어져 반대 방향을 향하고 위의 각(α)는 150°가량이다.
한쪽의 분절편(52)과 다른쪽의 기둥(6)사이의 각은 게양장치(50)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압착롤(4)의 회전을 역전 시키는 리미트 스위치(56)을 작동시키는 장치는 제11도,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구성부(52a)의 베어링(53)에 설치된 푸쉬바(54)분절편(52)밑에 설치된 게양 장치와 맞선 일단(54a)리미트 스위치(56)에서 가동하는 캠(55)로 구성되어 있다. 캠(55)는 푸쉬바(54)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리미트 스위치(56)은 푸쉬바 혹은 구성부(52a)와 병행한 지지대(57)에 설치된다.
푸쉬바(54)는 분절편(51)(52)사이의 연결부(58)밑에 돌출하고 푸쉬바(54)의 인접부(54b)에서 연결방식으로 작동하는 중단바(60)에서 작동하는 확장부(59)에 의해 작동케 된다. 따라서 제11도 처럼 곧은 분절편(51)이 화살표(61)이 방향으로 움직이면, 확장부(50)의 끝은 화살표(62)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중단바(60)은 푸쉬바(54)를 게양장치 쪽으로 밀어낸다.
게양 장치는 모타 혹은 수동펌프로 동작하고, 제1도-제3도에서와 같이 게양 장치가 올라갈때 쓰레기위를 구르는 압착롤이 특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록크장치가 겸비된다. 더우기 게양 장치에는 쓰레기에 별도의 힘을 가하기 위한 별도의 조임 장치도 곁들인다.

Claims (1)

  1. 두꺼운 마분지(보루박스 따위) 또는 그와 유사한 쓰레기를 상부가 개방된 용기에서 압착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면이 막히고 내부에는 구동장치(120), 스퍼어기어(240)이 설치되고 직경 80cm중량 200kg~300kg정도이며, 표면에는 15mm정도의 경사날(140)이 회전 방향과는 직각으로 설치되며 양 외측은 고무 타이어제의 테(290)가 설치되어 회전이 반전될 수 있는 실린더형 압착롤(4)이 케이블릴(130)로 길이가 변하고 망원경 식으로 끼워지는 개별 분절편(9)(9a)으로 구성되며 지지점(8)을 상하 이동시키는 게양장치(100)가 겸비되고, 지지점(8)에서 하부끝과 압착롤(4)의 반경(
    Figure kpo00001
    )까지를 합한 총 길이가 용기의 길이(A)보다 작고, 분절식으로 기둥(6)과의 각(α)를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제동장치로 일정히 제한하며 압착롤(4)를 완전 확장 시켜도 각(α)이 180°이하이며, 매 이상의 연결장치(10)사이에 세개의 분절편(9a)(9b)(9c)로 분절되어 피봇암(5)에 연결되고 이 피봇암(5)은 용기(1) 밑 하부판(150)(160) 중단에 설치되어, 망원경 식으로 서로 결합된 가변 분절편(17)(22)으로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 및 고정되는 기둥(6)에 연결되어 압착롤(4)이 용기(1) 내의 쓰레기(2)위를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려 있는 용기에서 쓰레기 농축(압착)에 관한 장치.
KR1019810002274A 1980-06-24 1981-06-23 열려있는 용기에서 쓰레기 농축에 관한 장치 KR850000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023508,6 1980-06-24
DE3023508A DE3023508C1 (de) 1980-06-24 1980-06-24 Vorrichtung zum Verdichten von aus Verpackungsmaterial und leicht preßbaren Abfällen bestehendem Müll
DEP3023508.6 1980-06-24
DEP3107383.2 1981-02-27
DE19813107383 DE3107383C1 (de) 1981-02-27 1981-02-27 "Vorrichtung zum Verdichten von aus Verpackungsmaterial und leicht preßbaren Abfällen bestehendem Mü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008A KR830006008A (ko) 1983-09-17
KR850000448B1 true KR850000448B1 (ko) 1985-04-05

Family

ID=610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274A KR850000448B1 (ko) 1980-06-24 1981-06-23 열려있는 용기에서 쓰레기 농축에 관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5731500A (ko)
KR (1) KR850000448B1 (ko)
DE (1) DE3023508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924A (ko) * 2015-06-01 2016-12-12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5203C1 (en) * 1987-02-19 1988-07-14 Heinz Bergmann Refuse container
SE502933C2 (sv) * 1994-03-23 1996-02-26 Sebastian Hansen Anordning vid komprimator för sammanpackning av gods
DE19918344A1 (de) * 1999-04-23 2000-11-02 Heinz Bergmann Gmbh Vorrichtung zum Verdichten von Müll
DE102018127604B3 (de) * 2018-11-06 2020-03-19 Heinz Bergmann Maschinen für die Abfallwirtschaft OHG Verfahren zum Verdichten von Abfallstoffen in einem oben offenen Container mittels eines Walzenverdichters
DE102019100001A1 (de) 2019-01-01 2020-07-02 Heinz Bergmann Maschinen für die Abfallwirtschaft OHG Pendelarm für einen Walzenverdichter zum Verdichten von Abfallstoffen in einem oben offenen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84472A (en) * 1966-02-14 1970-03-18 Rotary Profile Anstal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Compacting a Mass of Granular Material
US3691967A (en) * 1970-06-25 1972-09-19 Donald Mettetal Jr Mobile refuse compacting apparatus
US3718170A (en) * 1970-08-12 1973-02-27 Caron Compactor Co Axle cushioning assembly for wheels on construction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924A (ko) * 2015-06-01 2016-12-12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023508C1 (de) 1981-12-10
KR830006008A (ko) 1983-09-17
JPS5731500A (en) 1982-02-19
JPH0130598B2 (ko) 198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7546A (en) Garbage compactor
US4426925A (en) Apparatus for compacting trash in open containers
US3868903A (en) Portable compacting apparatus
US5056979A (en) Lift unit for lifting and emptying waste containers
KR850000448B1 (ko) 열려있는 용기에서 쓰레기 농축에 관한 장치
DE19837453A1 (de) Bodenversenkbares Gehäuse mit hydraulischer Hebevorrichtung
US5129318A (en) Revolving recycling compactor having multiple containers
US11883826B2 (en) Unit and method for fragmenting a bagged solid mass
CN108529099B (zh) 小型垃圾转运站
CN116768079A (zh) 一种用于水泵的搬运车
US4284000A (en) Material compacting apparatus
US4163420A (en) Compactor arrangement
EP0618863A1 (en) GARBAGE COMPACTOR.
US5255982A (en) Revolving recycling compactor having multiple containers
DE19757146C1 (de) Aufnahmesystem
EP0315674B1 (en) Device for compressing refuse, etc. in a container
CN114044373A (zh) 投料设备及垃圾处理站
FI70381B (fi) Sorteringsanordning
KR100273660B1 (ko) 쓰레기 수거차량용 암롤박스
DE2129251C3 (de) Seilschrapper mit einer Rückholwinde
CN213673626U (zh) 一种适用于筒体容器的翻转装置
DE3437462C2 (de) Maschine zum Formen von Betonteilen
CN213428160U (zh) 移动式压榨脱水机
CN210311948U (zh) 一种餐厨垃圾车
DE4432641A1 (de) Radial-Schrappwe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