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115Y1 - 단자식 조제용 약포장기계 - Google Patents

단자식 조제용 약포장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115Y1
KR850000115Y1 KR2019820005137U KR820005137U KR850000115Y1 KR 850000115 Y1 KR850000115 Y1 KR 850000115Y1 KR 2019820005137 U KR2019820005137 U KR 2019820005137U KR 820005137 U KR820005137 U KR 820005137U KR 850000115 Y1 KR850000115 Y1 KR 850000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pening
hole
closing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225U (ko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2019820005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115Y1/ko
Publication of KR840000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1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4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timing of filling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자식 조제용 약포장기계
제 1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을 연결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제약품투입구 2 : 호퍼
5 : 토출공 6,10,17 : 개폐구
7 : 가루약품투입구 9 : 격벽
12 : 혼입구
본 고안은 약국이나 병·의원등에서 환약 및 정제 약품과 가루약품을 용이하게 혼합시킬 수 있도록한 단자식(單子式)조제용 약포장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약국이나 병·의원등에서 가루약품과 정제 약품을 혼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용기나 종이등으로 약품을 혼입토록하고 있었으나, 이는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정량을 혼합하기가 매우 곤란하였으며 또 두개의 이동체에 정제 약품용과 가루약품용 판체를 설치하고 이들에 통공을 형성하여 별도의 호퍼에 낙하토록하여 혼합할 수 있는 것이 있었으나, 이는 일정한 크기의 정제약품만을 이용할 수 있었고 또 용량에 따라 판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의약품 제조 업체등에 동일규격의 약품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부에 개폐공(3)을 천공시킨 호퍼(2)를 형성하고 하단에 토출공(5)을 형성하며 호퍼(2)와 토출공(5)사이에 통로(4)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토출공(5)의 상부에 투입공(8)을 형성시킨 정제약품투입구(1)의 축수(A)(B)(C)(D)를 축(a)(b)(c)(d)에 설치하며 호퍼(2)의 직하방에 일단이 삭설된 축(e)에 축설되는 개폐구(6)를 설치하고 이의 일측하방에 개폐구(10)를 축(11)에 설치토록 하며 가루약품투입구(7)은 하단은 투입공(8)에 위치토록하고 정제약품 투입구(1)의 토출공(5)하단에 상단이형으로 형성된 격벽(13)을 가진 혼입구(12)를 축(14)(14')(14")에 설치하며 이의 하단에는 개폐구(17)를 축(18)에 설치하며 스프링(19)에 탄동토록하고 혼입구(12)의 끝단에 스톱퍼(16)를 장설시킨 철판(15)을 설치하여 이의 하방에 개폐구(17)를 작동시킬 수 있는 피스톤(20)을 설치하여서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21은 혼합된 약품을 별도의 포장지에 담을 수 있도록 하고 호퍼로서 일단의 혼입구(12)하방에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정제약품투입구(1)의 호퍼(2)에는 혼합에 필요한량의 정제약품을 투입하고, 가루약품 투입구(7)에는 혼합에 필요한량의 가루약품을 투입시켜 손잡이(9')를 잡고 격벽(9)를 정량의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모우터와 여러개의 기어에 의하여 작동하는 통상의 회동장치를 이용하여 축(e)(11)을 내측으로 회전시켜 이에 설치된 개폐구(6)(10)를 거의 동시에 열어주므로서 개폐공(3)과 투입공(8)을 따라 정제약품과 가루약품이 토출공(5)을 통하여 혼합되면서 혼입구(12)로 들어가게 되며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제 1 도와 같이 각각의 축(a)(b)(c)(d)에 정제약품 투입구(1), 가루약품 투입구(7) 및 개폐구(6)(10)를 포장에 필요한 갯수만큼 연결설치하여 각각의 호퍼(2)와 가루약품 투입구(7)에 약품을 투입하여 축(14)(14')(14")(18)에 포장수만큼 연결설치된 혼입구(12)에 동시에 혼합투입할 수 있도록된 것으로 이때도 혼입구(12)만을 이동시켜 피스톤(20)을 통과시키는데, 피스톤(20)을 통과할때 마다 혼입구(12)의 하방에 설치된 개폐구(17)가 피스톤(20)에 의하여 하나씩 차례로 열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여러종류의 정제약품과 가루약품을 간단하게 혼합시킬 수 있고 또 정량의 약품을 혼합시킬 수 있으며 기계의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식으로 되어있어 약품 포장수에 따라 필요한만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좁은 장소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상·하부에 호퍼(2)와 토출공(5)및 투입공(8)을 형성하고 개폐구(6)를 설치시킨 정제약품 투입구(1)의 일측에 격벽(9)와 개폐구(10)를 형성시킨 가루약품 투입구(7)를 설치하며, 토출공(5)하단에형의 격벽(13)과 개폐구(17)를 가진 혼입구(12)를 설치하고 혼입구(12)와 일측단에는 스토퍼(16)를 형성시킨 철판(15)을 설치하여서된 단자식 조제용 약포장기계.
KR2019820005137U 1982-06-28 1982-06-28 단자식 조제용 약포장기계 KR850000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137U KR850000115Y1 (ko) 1982-06-28 1982-06-28 단자식 조제용 약포장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137U KR850000115Y1 (ko) 1982-06-28 1982-06-28 단자식 조제용 약포장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225U KR840000225U (ko) 1984-02-21
KR850000115Y1 true KR850000115Y1 (ko) 1985-02-13

Family

ID=1922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137U KR850000115Y1 (ko) 1982-06-28 1982-06-28 단자식 조제용 약포장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1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225U (ko) 198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89B1 (ko)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 장치 및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시스템
KR20010031727A (ko) 조제 약품의 투여 방법 및 투여 장치
WO2004049877A1 (en) A machinery & process to manufacture instantly a batch of customised dosage
JPH10323382A (ja) 薬剤包装装置
US20080251531A1 (en) Large capacity pill bottle with improved child resistance
KR850000115Y1 (ko) 단자식 조제용 약포장기계
US4545412A (en) Machine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pharmaceutical products formed by paste
WO2018181914A1 (ja) 固形剤小分け装置及び固形剤小分け方法
JP4886301B2 (ja) 薬剤包装装置
US6811054B1 (en) Dosing spoon for micro-tablets
US11135135B2 (en) Pill dispensing canister
KR20160092986A (ko) 약제 디스펜싱 장치 및 약제 디스펜싱 방법
US20220324592A1 (en) Filling process with cell-by-cell automated compounding
KR20150054361A (ko)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기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JP4676175B2 (ja) 薬剤包装装置
JP3720491B2 (ja) 薬剤分包装置
KR19980018226A (ko) 산약 포장기
JP4133994B2 (ja) 散剤の分配制御方法
KR20210000942U (ko) 가루약 분배기
JPH09103466A (ja) 散薬定量取出装置
US347941A (en) John keehbiel
JPH07165203A (ja) 錠剤フィーダ
CN214296532U (zh) 一种药剂科分药装置
JPH01167001A (ja) 散薬定量取出装置
JPH0788161A (ja) 散薬定量取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