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335B1 - 병충전 기계의 전기 제어식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병충전 기계의 전기 제어식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35B1
KR840002335B1 KR1019810000564A KR810000564A KR840002335B1 KR 840002335 B1 KR840002335 B1 KR 840002335B1 KR 1019810000564 A KR1019810000564 A KR 1019810000564A KR 810000564 A KR810000564 A KR 810000564A KR 840002335 B1 KR840002335 B1 KR 84000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filling
liquid
unit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053A (ko
Inventor
아알레르스 에곤
슐로세르 헤르만
Original Assignee
사이쯔 베르케 게엠베하
헬무트 게람, 한스-게오르그 루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쯔 베르케 게엠베하, 헬무트 게람, 한스-게오르그 루돌프 filed Critical 사이쯔 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3000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 B67C3/287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related to flow control using predetermined or real-time calcula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67C2003/2685Details of pro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41/00Fluent material handling, with receiver or receiver coacting means
    • Y10S141/01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06Electrical characteristic sen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병충전 기계의 전기 제어식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는 방법
제1도는 보정인자(correction element)로 전기 적충전유니트의 제어를 위한 블럭선도.
제2도는 2개의 보정 구성 요소로써 되는 보정인자로 전기적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기 위한 블럭선도.
제3도는 전자적 제어 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보정인자로 전기적충전유니트를 제어하기 위한 블럭선도.
제4도는 상기 제3도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선도.
제5도는 상기 제4도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다른 상세 설명도.
제6도는 상기 제3내지 제5도에 따른 전기적충전유니트의 제어시의 개개의 과정의 시간적 관계를 나타낸 선도.
본 발명은 병충전 기계(bottle filling machines)에 있어서 전자 제어식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전 유니트가 확실하고 정확하게 동작하는 것이 충전의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한 병충전 기계의 최적한 동작에 대한 전제조건이다.
상술의 종류의 충전 유니트는 예를들면 독일특허 공개공보 제1,927,82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역압식 병충전 기계의 단실 또는 다실 구조의 충전 유니트는 장착된 용기내에 돌출하는 충전용 관 및 액체용 밸브를 위한 폐쇄 용신호를 발신하신호는 발생장치가 있으며, 상기 신호 발생장치는 용기 내부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하는 액체의 액면에 의하여 작동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충전유니트에 있어서 자석에 의하여 작동하는 가스 배출 밸브가 복귀 가스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개방 하였을 때에 용기내를 상승하는 액면은 신호발신 장치와 접촉을 형성하며 이에 의하여 발생한 전기적 제어 신호가 밸브 작동용 장치내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석의 자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밸브작동용 장치는 개방용 스프링의 작용에 반발하여 개방된 액체용 밸브를 폐쇄위치로 끌며 폐쇄상태를 다음 용기의 예비 가압시까지 유지한다. 이 용기의 예비 가압사이에 상기 개방용 스프링의 역작용에 의하여 페쇄되어 있던 액체용 밸브는 단독으로 이 유니트 내부의 액체 압력의 작용에 의하여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병충전 기계의 다수의 충전 유니트는 각 유니트마다 피할 수 없는 고유의 성능 오차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과정에는 각가지 외부적 변수, 예를들면 충전물의 온도, 용기의 종류 및 상이한 주입속도 등에 영향을 준다. 이와같은 각 장치마다의 오나차 외부적 변수는 개개의 피충전 용기 내에서의 충전 높이의 차이를 가져온다. 그러나 모든 충전 과정의 목적은 병충전 기계의 확실하고 고장이 없는 작동 방법과 각 용기의 정확하고 일률적인 충전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병충전 기계의 전기 제어식의 충전유니트를 될 수 있는 대로 정확하고 일률적인 용기의 충전이 달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용 밸브가 신호 발생장치의 감응후에 미리 주어진 보정 인자에 의하여 시간적으로 지연하여 폐쇄되도록 하는 방법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병충전 기계의 개개의 충전 유니트의 개별적인 오차 뿐만 아니라 충전 과정에 있어서 나타나는 외부적 영향 인자까지도 고려하면서 용기의 정확하고 일률적인 충전을 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1도에 나타낸 블럭선도는 용기내의 충전 높이에 감응하는 신호 발생기(21)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일정의 충전 높이에 달하였을 대에 보정장치(3)에 1개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보정장치(3)는 제어장치(1)에 작용을 가져오는데, 이 제어장치(1)는 개개의 총전유니트에 개별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이 액체용 밸브를 위한 작동장치(22)를 제어한다. 보정장치(3)는 이때 상기 신호발생기(21)가 감응한후에 송출된 신호를 보정인자(tv)만 시간적으로 지연시켜서 상기 제어장치(1)에 송입하며, 이 제어장치(1)가 상기 시호 발생기(21)의 신호의 송출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지연된 액체용 밸브의 폐쇄를 한다.
병충전 기계의 개개의 충전 유니트에 보정 장치를 종속시키는 것은 각 충전 유니트의 각각에 1개의 보정장치 또는 1개의 개별로 조절할 수 있는 보정인자를 종속시키도록 행해진다.
개별로 조절된 필요가 없을 때에는 1개의 보정 장치를 모든 충전 유니트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1개의 보정인자를 갖추도록 할 수도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블럭선도에서는 2개의 개별 보정 유니트(32, 33)(34)로 나뉘어진 보정장치(3)가 나타나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만약에 필요한 경우에는 보다 더 많은 개별보정유니트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에하여 각충전 유니트에 종속된 보정 인자를 몇개로 분할할 수가 있으며 예를들면 전충전 유니트에 공통의 1개의 영역과 각 충전 유니트의 각각에 개별로 종속시켜진 다수의 부분 영역으로 분할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보정인자를 각가지의 보정 과제로 분할함은 여러가지 상이한 몇가지의 외부적 변수가 충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이들 외부적 변수가 서로 다른 방법 및 크기로 개개의 충전 유니트의 부분에 나타날 때에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 따라서 일정의 보정인자 부분 영역을 보다 큰쪽의 여러가지의 변수에 의존하여 변화시킴도 의의가 있다.
각 충전 유니트에 개별적으로 미리 주어질 수 있는 개별 변수의 하나는 예를들면 충전 용기내의 액면의 상승속도에 대한 목표치이다.
공통적인 보정 유니트에 미리 주어질 수 있는 전충전 유니트에 대하여 공통적인 변수는 예를들면, 온도, 병의 종류 및 액체의 압력에 대한 목표치이다.
상기 실시예 뿐만 아니라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어장치(1)는 모든 충전 유니트 및 모든 보정장치 또는 단일의 보정장치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대비하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룹별로 나뉜 충전 유니트를 개별적 또는 그룹 마다 종속되어 있는 보정 장치와 함께 1개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때에 따라서 이들 제어장치를 1개의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하여 총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제3도의 전기 제어식 충전 유니트의 제어를 위한 블럭선도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는 회전식 역압 병충전 기계의 다수의 충전 유니트 내의 1개의 충전 유니트(2)가 나타나 있으며, 이는 용기 내에 삽입할 수 있는 검출전극(21)의 형의 용기내의 충전높이에 응답하는 신호 발생장액, 치체용 밸브를 위한 작동 장치의 자석(22) 및 복귀가스 배출 촉진을 위한 가스 배출밸브의 작동용 장치를 위한 자석(23)을 갖추고 있다. 검출전극(21)은 측정 데이터를 보정 유니트(3)뿐만 아니라 전자식 제어장치(1)에도 송입한다. 이 전자적제어장치(1)는 펄스 제어장치 및 제어-계산장치를 포함하며 특정의 단독변수 유니트(4)를 위한 입력 또는 검출부재와 서로 직접 결합상태에 있다. 이 전자적 제어장치(1)는 출력측이 보정유니트(3)와 결합되어 있어며 이보정 유니트가 충전 유니트(2)의 자석(22)에 작동을 가져온다.
상기 블럭선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이하와같이 행해진다.
개개의 충전 유니트에 종속하여 있는 보정 유니트(3)에는 상기 펄스 제어장치로부터의 공통적인 입력이 가해진다. 이때 각충전 유니트의 순간적 상태는 검출전극(21)에 의하여 검출되며 제어-계산장치 중에 기억되어 있는 미리 주어진 데이터와 비교된다.
그런 다음에 보정유니트(3)에 의하여 충전 유니트(2)의 액체용 밸브를 폐쇄하기 위하여 보정되고 시간적 순서의 정확한 작동용 신호가 송출된다. 물론 간단한 경우에는 이때 용기내의 충전 높이가 검출전극(21)의 감응후에 액체용 밸브를 시간적으로 지연시켜서 페쇄함으로써 보정된다. 이와같은 보정인자는 개개의 충전유니트의 개별적 오차나 외부적인 영향인자를 전연 고려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이와같은 각 충전 유니트의 개별적인 처리 상태의 오차를 충전 높이로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보정인자를 각충전 유니트에 종속하는 부분영역과 모든 충전유니트에 공통적인 부분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들 양쪽의 보정 영역은 이 경우에 외부적인 제변수를 미리주어줌으로써 변화시킬 수가 있다.
전자적 제어 장치(1)중에 포할되어 있는 퍼스 제어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개개의 충전 유니트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킬 경우 그때 그때의 실제의 데이터가 미리 충분하게 제시되어 있으므로 양쪽의 보정 영역의 컴퓨터에 의하여 제기되는 변화를 대처한다. 이와같이 하여 예를 들면 액체의 압력, 충전물의 온도 및 사용한 용기의 종류나 형을 공통의 변수로 하여 또 액면의 검출 전극 부분의 상승속도를 단일의 변수로 하여 컴퓨터처리를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어떤 하나의 충전 유니트하에서 피충전 용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 내에 다수의 펄스 주기가 경과한다. 이들 펄스주기의 각각의 사이에 외부적 제변수의 변화 및 여러 보정인자의 변화를 행할 수가 있다. 이들은 주기의 종단부에 있어서 다음의 펄스주기를 위하여 계속 행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에 있어서는 피충전 용기를 충전하는 시간의 사이에 추가적으로 1개의 펄스주기를 고정 가능한 시간간격으로 또는 호출에 있어서 제어 장치에의 전송을 반방대향으로 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비교적 긴 전송로상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는 이들 신호의 공지의 "2/3 비교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공지의 방법에 있어서는 전후에 연속한 3개의 신호가 서로 비교되며 2개의 등가의 신호를 정확한 신호로서 채택한다. 이와같이 하면 높은 확실성과 함께 전송의 고장을 제거할 수가 있다.
제4도에는 제3도에 타나낸 블럭선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블럭선도이다. 전자석 제어 장치는 이 블럭선도에 있어서 펄스 발생기(11), 중앙처리장치 또는 제어-계산장치(12), 프로그램이 가능한 고정치 기억장치(PROM)(13), 기록-판독 기억장치(RAM)(14) 및 입출력 제어장치(15)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이 가능한 고정치 기억장치(13), 기록-판독 기억장치(14) 및 입출력 제어장치(15)는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로를 통하여 중앙 처리장치(12)와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펄스 발생기(11)에 의하여 제어된다. 검출전극(21)은 보정유니트를 통하여 입출력 제어장치(15)의 입력 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이 입출력 제어장치(15)는 출력측의 충전유니트(2)를 위한 제어용 자석(22) 및 가스 배출 밸브의 작동용 장치를 위한 자석(23)과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중앙 처리장치(12), 레규레이터(regulator)(5), 최종 제어부재(6) 및 외부 변수 송입용 장치(4)의 사이에 1개의 제어루우프 결합이 존재한다.
이와같이 상세하게 나타낸 회로의 결선 배치의 작동 방법은 제3도에 따른 장치의 것에 상당한다. 그러나 이는 중앙처리 장치(1) 또는 전자 계산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한 외부 변수의 귀환을 나타내고 있다.
충전시간, 즉 피충전 용기의 작동 시간의 사이에 400주기보다도 많은 펄스 주지가 경과될 경우에는 펄스 제어 장치의 펄스 주기로부터 충전 유니트의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1개의 펄스사이클을 충전정도에 본질적인 영향을 주지않고 폐쇄제어 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하면 병충전 기계의 회전 부분과 정지 부분 사이에서의 계속적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병충전 기계의 고정부분 또는 이 기계의 외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 예를들면 레규레이터 또는 펌프류를 위하여 폐쇄 제어회로를 형성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적당한 표시 수단에 의하여 그때 그때의 병충전 기계의 운전 상태를 나타낼 수가 있다.
제5도에는 다수의 충전 유니트를 위한 상세하게 기재한 블럭선도가 나타나 있으며, 이때 모든 충전유니트를 대표하여 하나의 충전 유니트(2)가 나타나 있다. 이충전 유니트(2)에는 예비 가압 기간중에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7)와 검출전극(21)이 형성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점선에 의하여 액체의 저항(8)이 나타나 있다. 이 검출전극(21)의 출력 및 회전식 역압 병충전 기계의 기타의 충전유니트의 검출 전극의 출력은 주파수 발진장치(9)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검출전극(21) 및 기타의 검출 전극은 각각 1개의 미분 및 적분장치(10)를 통하여 각각 1개의 검출 전극에 속하는 검출 전극용 증폭장치(31)의 입력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는 또한 전위차계(33)를 통하여 보정용 증폭기(32)의 입력 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이보정용 증폭기(32)의 출력 단자는 광학적 결합수단(100)을 통하여 펄스 발생기(101)(102)들 중 제1펄스 발생기(101)의 입력 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식 역압 병충전 기계에 채용되고 있는 다수의 충전 유니트에는 이들은 몇개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때 선택 가능한수의 충전 유니트가 있는 각각의 그룹에 1개의 펄스 발생기(101)(102)가 지정되어 있다. 이 펄스 발생기(101)(102)들 중 제1펄스 발생기(101)의 입력단자는 펄스 발생기(101)(102)들 중 제2펄스 발생기(102)의 신호 Φ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이 그룹의 어떤 하나의 충전 유니트로부터 다음의 충전 유니트에 다시 절환되어 1개의 작업주기가 어떤 그룹의 모든 충전 유니트에 카버되도록 된다. 따라서 이 역압 병충전기계의 충전 유니트의 다수의 그룹이 서로 무관하게 펄스 방식으로 동작되며 이때 각 개별 그룹을 위한 독립의 펄스 제어 주기의 개시와 주기의 종료가 통기 수단에 의하여 서로 일치되게 된다. 어떤 하나의 그룹의 작업 주기는 다음과 같이, 즉 전후에 계속하여 각 충전 유니트가 상기 광학적 결합수단(100)에 의하여 검출전극(21)의 출력과 달성되어 있는 결합을 통하여 각각의 펄스 주기 내에서 작동되도록 진행하며 이때 개개의 펄스상은 개별의 운전 상태를 응답하는 펄스 발생기(101)(102)들 중 제2펄스 발생기(102)에 의하여 미리 주어진다. 이 펄스 발생기(101)(102)들 중 제1펄스 발생기(101)의 출력단자에서 신호 E 및 D가 인출하는데, 신호 D는 부정회로(negation member)(130)를 통하여 송출된다. 신호 E, D 또는 신호 D2는 부정화되어 3개의 AND게이트 (103)∼(105)의 입력 단자에 각각 인가되고, 또한 이들 AND 게이트(103)(105)의 다른 입력 단자에 펄스 발생기(101)(102)의 제2단자(102)로부터 송출된 상태량 신호 Φ3, Φ4또는 Φ5가 인입된다. 이 펄스 발생기(101)(102)의 제2단자(102)는 다음의 운전 상태를 제어한다.
Φ1: 그때 그때에 작동될 충전 유니트를 전자제어 장치에 연결하는 것과 또 미리 주어지는 데이터 B1∼B3의 스위칭.
Φ2: 액체용 밸브 및 가스 배출밸브를 폐쇄하기 위하여 자석(22) 또는 자석(23)에 신호를 송출하는 일.
Φ3: 검출전극이 액체와 접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가스 배출 밸브의 자석(23)을 자화 및 탈자화 하기 위하여 시간-목표치와 시간-실제치를 비교하는 일 및 때에 따라서 실제치-시간펄스 신호를 부가하는 일.
Φ4: 검출전극이 액체에 접촉하였을 때에 가스 배출 밸브의 자석(23)을 위한 시간-실제치를 소거하는 일.
Φ5: 검출 전극. 액체와 접촉한 때에 액체용 밸브의 자석(22)을 위하여 시간-목표치와 시간-실제치를 비교하는 일 및 때에 따라서 실제치-시간펄스 신호를 부가하는 일.
Φ6: 가스 배출 밸브 또는 액체용 밸브의 자석(22) 또는 자석(23)에 폐쇄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렇지 않으면 재차 개방하기 위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일.
SYNC : 새로운 변수를 수신하여 취하기 위한 동기선.
신호 Φ2또는 Φ6은 펄스 발생기(130(102)의 제1단자(101)의 출력신호 E와 함께 또 다른 3개의 AND게이트(121)∼(121)에 입력되어 이들의 회로에는 또 추가적으로 3개의 비교회로(109)∼(111)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송입되어 있다. 이들의 비교회로(109)∼(111)에는 3개의 실제치회로(106)∼(108) 또는 3개의 목표치 회로(112)∼(114)의 출력이 가해져 있다. 펄스 발생기(101)(102)부분의 신호 Φ1을 위한 출력부분에는 각각 그 그룹의 각충전 유니트가 연결되어 있다. 이 그룹의 기타의 충전 유니트에 대하여도 같은 방법에 의하여 신호 Φ2의 출력부에 AND 게이트(121)가, 신호 Φ3의 출력부분에는 AND 게이트(103)가, 신호 Φ4의 출력부분에는 AND 게이트(104)가, 신호 Φ5의 출력부분에는 AND 게이트(105)가 그리고 최후에 신호 Φ6의 출력부분에는 AND 게이트(122)(12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실제치 회로(106)∼(108)에는 주기적으로 3개의 AND 게이트(103)∼(105)의 각 출력이 입력되어 있지만 일방 대표로서 나타낸 충전 유니트(2)에 종속하는 3개의 목표치 회로(112)∼(114)(이들은 3개의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 115∼117의 디지탈측 출력과 결합되어 있음)의 입력부에는 그룹의 각충전 유니트의 3개의 목표치 회로의 각 입력이 접속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3개의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15)∼(117)는 이 그룹의 모든 충전 유니트에 공통적으로 종속되게 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3개의 목표치 회로(112)∼(114)의 각 입력 단자에는 그때 그때마다 다음에 작동될 충전 유니트에 접속되는 펄스 신호 Φ1이 송입되어 있다. 상기 3개의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15)∼(117)이 아나로그측 입력단자는 3개 전위차계(118)∼(120)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 외부적 변수의 조절에 이용된다.
비교회로(110) 및 비교회로(111)는 이 AND게이트(122) (123)에의 신호의 송출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전치된 제1 또는 제3의 AND 게이트(103) 또는 (105)에도 신호를 송출한다. 2개의 플립-플롭회로(124)(125)의 하나의 입력 단자는 AND 게이트(124)(125)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플립-플립회로(124)(125)의 다른 하나의 입력 단자는 AND 게이트(122)(123)의 출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이들 두 플립-플롭회로(124)(125)의 각 출력 단자는 2개의 광학적 결합수단(126)(127) 및 2개의 증폭기(128)(129)를 통하여 각각 그 충전 유니트의 가스 배출 밸브를 위한 자석(23) 또는 액체용 밸브를 위한 자석(22)과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은 장치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작동이 수행될 수가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각충전 유니트 그룹의 작동 주기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며, 즉 단일의 펄스 주기내에서 각각의 충전 유니트의 운전 상태가 서로 전후하여 확정되도록 진행한다. 모든 그룹의 충전 유니트에 대하여 어떤 충전 유니트의 작동 및 때에 따라서 어떤 작동 주기에 해당하는 것과 같은 시간 데이타가 미리 주어진다. 이 경우에 목표치회로(112)∼(114)에 의하여 다음 3개의 시간 데이터 블럭이 미리 주어진다.
B1(목표치 회로 112) : 충전 개시로부터 신속 충전을 개시하기 까지의 시간.
B2(목표치 회로 113) : 충전 개시로부터 신속 충전을 종료하기 까지의 시간.
B3(목표치 회로 114) : 검출전극에의 액체의 접촉으로 부터 충전 유니트의 폐쇄까지의 시간.
이들의 시간은 전위차계(118)∼(120)에 의하여 아나로그 식으로 조절되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15)∼(117)를 통하여 16진수 신호로 변환된다. 어떤 충전 유니트의 작동의 경과 시간은 이충전 유니트에 대하여 1시간 펄스에 상당한다. 1작동 주기가 경과한 후에 이충전 유니트의 새로운 작동에 있어서 다음 시간의 펄스가 주어진다. 이들의 시간펄스의 수가 이 경우에 시간-실제치를 나타내며 이는 실제치 회로(106)∼(108)로부터 송출된다. 각충전 유니트의 측정회로는 이 경우에 항상 운전 상태에 있으며 작동에 있어서 펄스 발생기(10)(102)를 중 제2의 펄스 발생기(102)에 의하여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높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용기 내에 유입하는 액체에 의해 야기된 액체의 저항(8)에 의하여 규정된 충전 높이에 도달할 때 충전 유니트(2)의 검출전극(21)이 단락된다. 상기 규정된 충정 높이의 도달에 의하여 보정인자(tv)에 상응하는 프리세트 시간이 지연된다. 이때 보정 목적으로 보정인자(tv)가 목표치 회로(114)의 미리 주어진 시간에 상응하여 보정된 충정 높이에 도달되고, 다수의 보정 목표의 경우에는 상기 주어진 시간과 보정회로(32)(33)를 사용하여 보정된 충정 높이에 도달되어진다. 각각의 보정인자(tv)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에 플립-플롭(125), 광학적 결합 수단(127) 및 증폭기(129)를 통하여 자석(22)에 신호를 송출하여 액체용 밸브를 폐쇄하며, 이에 의해 충정 용기내에 뒤따라 유입하는 액체로써 사실상의 충정높이가 도달되어진다.
검출 정극용 증폭기(31)와 보정용 증폭기(32)사이에 배치된 정위차계(33)는 충정기 등의 부정확성의 보정과 각 충정 유니트에 종속하는 측정회로 중의 정기적 구성 부재의 불가피적인 허용 요차를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제6도에 나타낸 어떤 하나의 충정 유니트하에서의 충정 과정의 시간적인 경과의 그래프에 의하여 상기 제5도에 따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그래프는 중앙 정자 제어 장치에 의하여 측정 및 제어과정을 위하여 선택된 여러가지의 신호의 시간적인 경과를 나타낸다.
예비 가압이 달성되는 시점(t1)에 있어서 스위치(7)가 폐쇄되고 이에 의하여 액체용 밸브를 위한 작동 장치의 자석(22)이 그 액체용 밸브를 폐쇄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자화되어 작동한다. 이 예비 가압 대역이 종료하여 주입 압력이 달성된 시점(t2)에 있어서 스위치(7)가 재차 개방되며, 이에 의하여 자석(22)은 탈자화되어 액체용 밸브는 개방 위치를 취하기 때문에 연계된다.
이 시점(t2)에 있어서 동시에 목표치 회로(112)에 의하여 가스 배출 밸브를 위한 자석(23)이 시간적인 지연과 함께 자화되며 또 목표치 회로(113)가 이 자석(23)의 탈자화를 위하여 어떤 미리 주어진 시간내에 준비된다.
시점(t3)에 있어서 상기 자화되어 있는 자석(23)은 가스 배출 밸브를 개방위치로 절환하여 피충정 용기에 신속한 충정이 행해지도록 한다.
목표치 회로(113)의 상기 준비 시간이 경과한 시점(t4)에 있어서 자석(23)은 탈자화 되며, 가스 배출 밸브가 폐쇄된다.
시점(t5)에서 충정용기 내에서 액체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충정 높이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액체의 저항(8)은 검출정극(21)을 작동시키며, 상기 목표치 회로(114)의 미리 주어진 시간으로부터 혹은 보정회로(32)(33)의 시간과 함께 형성된 보정인자(tv)가 응답되어진다.
시점(t6)에 있어서 상기 응답된 시간을 경과한 후에 플립-플롭(125), 권학적 결합수단(127) 및 증폭기(129)를 통하여 자석(22)에 신호를 송출하여 액체용 밸브를 폐쇄한다.
시점(t7)에 있어서 용기내 압력이 제거되어 버린 후에 충전 과정이 종료하며 이에 의하여 이 용기는 충전 유니트로부터 꺼내어진다.
검출 전극의 작동은 이에 의하여 차단되며 따라서 이 충전 유니트는 다음의 용기를 충전할 준비가 완료되며 운전상태는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그때 그때 새로 응답된다.

Claims (1)

  1. 충전 용기내의 액체에 미리정해진 충전 높이에 감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발생장치를 사용하며 액체용 밸브를 개방하여 충전용기 중에 액체를 충전하도록 병충전 기계의 전기 제어식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장치의 감응후에 상기 액체용 밸브가 미리 주어져 있는 보정인자(tv)하에서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폐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충전 기계의 전기 제어식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는 방법.
KR1019810000564A 1980-03-12 1981-02-21 병충전 기계의 전기 제어식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는 방법 KR840002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009405.4 1980-03-12
DE3009405A DE3009405C2 (de) 1980-03-12 1980-03-12 Verfahren und Anordnung zum Steuern von Füllelementen in Füllmaschi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053A KR830005053A (ko) 1983-07-23
KR840002335B1 true KR840002335B1 (ko) 1984-12-19

Family

ID=609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564A KR840002335B1 (ko) 1980-03-12 1981-02-21 병충전 기계의 전기 제어식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386635A (ko)
JP (1) JPS56142187A (ko)
KR (1) KR840002335B1 (ko)
BE (1) BE887772A (ko)
BR (1) BR8101436A (ko)
DD (1) DD158764A5 (ko)
DE (1) DE3009405C2 (ko)
DK (1) DK151714C (ko)
FR (1) FR2478059A1 (ko)
GB (1) GB2072380B (ko)
IT (1) IT1170782B (ko)
NL (1) NL19020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5925C2 (de) * 1982-02-19 1994-01-27 Seitz Enzinger Noll Masch Verfahren sowie Schaltungsanordnung zum Steuern einer Füllmaschine
DE3216604A1 (de) * 1982-05-04 1983-11-10 Seitz Enzinger Noll Maschinenbau Ag, 6800 Mannheim Fuellelement fuer gefaess-fuellmaschinen zum abfuellen stiller oder kohlensaeurehaltiger fluessigkeiten
ATE34369T1 (de) * 1982-10-19 1988-06-15 Vickers Plc Sensor zum feststellen der fluessigkeitshoehe.
DE3335260A1 (de) * 1982-11-09 1984-05-10 Pirzer, Carl, 8402 Neutraublin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fuellmaschine, insbesondere flaschenfuellmaschine sowie anordnung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EP0237947B1 (en) * 1983-06-15 1989-04-26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filling bags
JPS60251089A (ja) * 1984-05-28 1985-12-11 藤沢薬品工業株式会社 液体の充填装置
FR2603573B1 (fr) * 1986-04-18 1991-04-19 Rizo Lopez Juan Perfectionnements des systemes d'embouteillage automatique
ES2006386A6 (es) * 1988-03-21 1989-04-16 Perrier Iberica Perfeccionamientos en cabezales llenadores de botellas a presion.
DE3909404A1 (de) * 1988-05-10 1989-11-16 Seitz Enzinger Noll Masch Verfahren zum abfuellen von fluessigem fuellgut in flaschen, dosen oder dergleichen gefaesse sowie fuellelement zur verwendung bei diesem verfahren
US4979546A (en) * 1988-06-16 1990-12-25 Lawarre Precision Technologies, Inc. By Robert Lawarre, Jr. Filling valve apparatus
US5058632A (en) * 1989-07-20 1991-10-22 Precision Metalcraft Corporation Filling valve apparatus
DE4102633A1 (de) * 1990-05-05 1991-11-07 Seitz Enzinger Noll Masch Fuellelement
GB9207384D0 (en) * 1992-04-03 1992-05-13 Diversey Corp Dispenser
DE4307521C2 (de) * 1993-03-10 1999-01-07 Khs Masch & Anlagenbau Ag Füllelement für Füllmaschinen zum Abfüllen eines flüssigen Füllgutes in Flaschen o. dgl. Behälter
EP0614850A1 (de) * 1993-03-10 1994-09-14 KHS Maschinen- und Anlagenbau Aktiengesellschaft Füllelement für Füllmaschinen zum Abfüllen eines flüssigen Füllgutes in Flaschen oder dgl. Behälter
US5896898A (en) * 1993-04-05 1999-04-27 Diversey Lever, Inc. Dispenser
DE102004011101B4 (de) * 2004-03-06 2011-04-07 Khs Gmbh Füllelemente sowie Füllmaschine mit derartigen Füllelementen
DE602005012877D1 (de) * 2005-07-28 2009-04-02 Sidel Sa Füllventil mit einer flüssigkeitskammer, gaskammerhine
ES2382931T3 (es) * 2005-07-28 2012-06-14 Sidel Participations Válvula de llenado equipada con sensor de fallos
ITMO20050229A1 (it) * 2005-09-12 2007-03-13 Sig Simonazzi Spa Apparato
DE102006029490C5 (de) * 2006-06-27 2015-07-02 Khs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Füllanlage
EP2703334B1 (en) * 2007-01-23 2015-07-22 Sidel International AG Filling apparatus
DE102008029208A1 (de) * 2008-06-19 2009-12-24 Krones Ag Freistrahlfüllsystem
DE102010024522A1 (de) * 2010-06-21 2011-12-22 Khs Gmbh Verfahren sowie Füllelement zum Druckfüllen von Behältern mit einem flüssigen Füllgut
DE102011018479B4 (de) * 2011-04-21 2014-10-16 Khs Gmbh Flüssigkeitsventil
DE102012102965A1 (de) 2012-04-04 2013-10-10 Krone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Füllers
FR2994691B1 (fr) * 2012-08-24 2014-09-05 Philippe Perrier Procede et machine pour le remplissage de recipients
EP2803623A1 (en) * 2013-05-15 2014-11-19 Sidel S.p.a. Con Socio Unico Filling unit of a container filling machine, having improved storing capability
EP2803622A1 (en) * 2013-05-15 2014-11-19 Sidel S.p.a. Con Socio Unico Filling unit of a container filling machine, having improved communication cap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65120A (de) * 1933-03-20 1933-11-15 Bernhard Hans Selbstschliessender Apparat zum Füllen von Behältern.
NL7005923A (ko) * 1969-05-31 1970-12-02
FR2095562A5 (ko) * 1970-06-10 1972-02-11 Eaux Minerales Gazeuses
JPS5522577B2 (ko) * 1972-08-31 1980-06-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D158764A5 (de) 1983-02-02
KR830005053A (ko) 1983-07-23
IT8147949A1 (it) 1982-09-04
GB2072380A (en) 1981-09-30
JPS56142187A (en) 1981-11-06
DE3009405C2 (de) 1985-01-17
NL190205B (nl) 1993-07-01
FR2478059A1 (fr) 1981-09-18
FR2478059B1 (ko) 1984-12-28
DK73881A (da) 1981-09-13
JPH0462955B2 (ko) 1992-10-08
IT1170782B (it) 1987-06-03
IT8147949A0 (it) 1981-03-04
DK151714B (da) 1987-12-28
GB2072380B (en) 1983-10-19
NL8100561A (nl) 1981-10-01
DE3009405A1 (de) 1981-09-17
US4386635A (en) 1983-06-07
DK151714C (da) 1988-06-20
BE887772A (fr) 1981-07-01
BR8101436A (pt) 1981-09-15
NL190205C (nl) 199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335B1 (ko) 병충전 기계의 전기 제어식 충전 유니트를 제어하는 방법
US4111336A (en) Weight loss control system
US4064423A (en) Digital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alog control signals
GB1532781A (en) Method of machining by erosive electrical discharges
US2813199A (en) Sequence timer
US4374351A (en) Digital drive unit regulator
US3116801A (en) Machine for measuring out fluent, pourable material
US4257034A (en) Feedback-compensated ramp-type 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2206446A (en) Electronic timer circuit
US29972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harge of materials
US20050035884A1 (en) Proces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everal electrical pulses using numeric default values, in particular for simulating an incremental encoder
JPS57110947A (en) Automatic measurement controlling device for moisture content in grain drying machine
RU2053535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процесс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3489885A (en) Counting integrator for a.c. signals
JPS6332385Y2 (ko)
US2745285A (en)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SU1368650A1 (ru) Способ дискретного весового доз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искретного весового доз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SU1242718A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весового дозировани
SU777661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счета числа работающих ванн
SU12987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граммного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потребителем
US3564377A (en) Multipoint control system
SU14792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варки
SU256011A1 (ru) Програм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массосмесительными агрегатами
SU1101789A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ое управл 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U846540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пРОцЕССА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бЕТОН-НыХ 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CTBO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