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579Y1 - 음향기기의 셋트내 불량부분 표시 및 스피커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의 셋트내 불량부분 표시 및 스피커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579Y1
KR840001579Y1 KR2019820009529U KR820009529U KR840001579Y1 KR 840001579 Y1 KR840001579 Y1 KR 840001579Y1 KR 2019820009529 U KR2019820009529 U KR 2019820009529U KR 820009529 U KR820009529 U KR 820009529U KR 840001579 Y1 KR840001579 Y1 KR 840001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transistors
resistor
transist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531U (ko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09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579Y1/ko
Publication of KR840003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7Protection circuits fo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향기기의 셋트내 불량부분 표시 및 스피커 보호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 : 음향기기의 앰프부 b : 과전류 검출부
c : 직류전압 검출부 d : 지연부
e : 스피커차단부 f : 표시부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셋트내에 불량부분 표시를 하면서도 스피커를 직류 또는 과전류로 부터 보호하려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스피커를 전원 ON, OFF시의 서지 전압이나 과입력으로 부터 보호하려는 회로가 제안된 바 있으나 앰프의 출력단에 불량이 났을 때는 어느 부분이 잘못된 것인지를 알지 못해 아프터 서비스시 불편할 때가 많고, 대부분이 회로가 복잡하여 제작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그 신뢰성이 저하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스피커를 과전류, 직류, 전원 ON, OFF시 서지전압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스피커의 코드 부분이 쇼트가 되었을 때 그 부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되 이 회로를 극히 단순화하므로서 그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 회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랜지스터(Q12, Q13), 저항(R5, R8)으로 된 암프의 출력부(a)에 저항(R9)을 거쳐서 트랜지스터(Q1, Q2)와 저항(R7)으로 된 과전류 검출부(b)와 저항(R6)을 거쳐서 트랜지스터(Q3, Q4, Q5)로 구성된 직류전압 차단부(c)를 연결하되 상기 과전류 검출부 및 직류전압 차단부(b,c)는 각기 저항(R2), (R3)을 거쳐 스피커차단부(e)의 다이온드 (D2, D3)를 통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한편으로 발광 다이온드(L1, L2, L3), 트랜지스터(Q8, Q9, Q10)로 구성된 표시부(f)의 트랜지스터(Q9, Q10) 베이스에 접속하며, 상기 스피커차단부(e)의 트랜지스터(Q11)의 컬렉터단에 스피커(sp)로 유입되는 선로를 접속하고, 한편으로, 저항(R1), 컨덴서(C1)로 된 지연회로와 트랜지스터(Q6, Q7)로 지연부(d)를 구성하여 전원(AC)을 공급하는 파워스위치(S)에 연결하고, 저항(R4)을 통해서는 표시부(f)의 트랜지스터(Q8) 베이스에 연결하며, 또한 다이온드(D1)를 거쳐서 트랜지스터(Q11) 베이스에 접속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D4는 정류용 다이온드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앰프의 출력부(a)에 직류출력이 나타날 때는 저항(R6)을 통하여 직류출력이 전달되고, 이는 트랜지스터(Q3)를 동작시켜 트랜지스터(Q5)를 OFF 시킨다.
이렇게 되면, 저항(R10),(R3)을 통한 B+전압이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 가해져서 트랜지스터(Q9)가 ON되어 앰프의 출력부(a)에 직류전압이 검출되고 있음을 표시부(f)의 발광다이온드(L2)로서 알리게 되며, 한편으론 트랜지스터(Q11)을 동작시켜 스피커(SP)로 입력되는 신호를 차단하므로서 스피커(SP)를 보호한다.
또한, 앰프의 출력부(a)에 과전류가 검출되면, 과전류 검출부(b)의 트랜지스터 (Q1)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접속된 저항과 출력부(a)의 저항(R5, R8)치를 적절히 설정한 값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가 동작하여 저항(R7)에 전압 강하가 일어나면, 트랜지스터(Q2)가 ON 되어 트랜지스터(Q10)가 동작하므로서 발광 다이온드(L3)가 켜져 앰프의 출력부(a)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나타내며, 한편으론 트랜지스터(Q11)를 동작시켜 스피커(SP)로 유입되는 신호를 차단한다.
한편, 입력되는 AC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스위치(S) ON시에는 AC 전압이 직류전원 보다 빨리 트랜지스터(Q6)에 가해져서 트랜지스터(Q6)가 OFF되면 트랜지스터 (Q7)의 베이스에는 저항(R1)과 컨덴서(C1)의 시정수에 의해서 OFF에서 ON로 변하고, 트랜지스터 (Q7)가 ON될 때는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전압이 강해져 도통되므로 발광 다이온드(L1)가 빛을 발하게 된다.
그리고 파워 스위치(S) OFF 시에는 AC전압이 지연부의 직류전압 보다 빨리 물러나 트랜지스터(Q6)가 ON, 트랜지스터(Q7),(Q8)이 모두 ON 되어 발광 다이온드(L1)가 계속 빛을 발하게 되다가 지연회로의 시정수 기간이 끝나면 자동으로 꺼지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앰프 및 스피커의 보호회로에 있어서 직류 또는 과전류 및 전원스위치 ON, OFF 시의 서지전압 등으로 부터 스피커를 보호하면서도,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불량이 났는가를 외부로 표시해 주므로서 이러한 물품의 아프터 서비스를 간편하게 체크할 수 있으며, 특히 회로구성이 간단하여 그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 유익한 특징이 있다.

Claims (1)

  1. 트랜지스터(Q12, Q13), 저항(R5, R8)으로 된 통상의 앰프의 출력부(a)에 저항(R9)을 거쳐서 트랜지스터(Q1, Q2), 저항(R7)으로 구성된 과전류 검출부(b)와, 저항(R6)을 거쳐서 트랜지스터(Q3, Q4, Q5), 저항(R10)으로 구성된 직류전압 차단부(C)를 연결하고, 한편으론 파워스위치(S)의 일단에 정류용 다이온드(D4)를 거쳐 트랜지스터(Q6, Q7)와 저항(R1), 컨덴서(C1)의 지연회로로 구성된 지연부(d)를 두고, 상기 과전류검출부(b), 직류전압 차단부(c), 지연부(d)의 출력이 저항(R2), (R3), (R4)를 거쳐 발광 다이오드(L1, L2, L3), 트랜지스터(Q8, Q9, Q10)로 구성된 표시부(f)와 다이오드(D1, D2,D3)가 병렬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접속된 스피커 차단부(e)에 연결되도록 하여서 된 음향기기의 셋트내 불량부분 표시 및 스피커 보호회로.
KR2019820009529U 1982-11-27 1982-11-27 음향기기의 셋트내 불량부분 표시 및 스피커 보호회로 KR840001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529U KR840001579Y1 (ko) 1982-11-27 1982-11-27 음향기기의 셋트내 불량부분 표시 및 스피커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529U KR840001579Y1 (ko) 1982-11-27 1982-11-27 음향기기의 셋트내 불량부분 표시 및 스피커 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531U KR840003531U (ko) 1984-07-25
KR840001579Y1 true KR840001579Y1 (ko) 1984-08-20

Family

ID=7214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529U KR840001579Y1 (ko) 1982-11-27 1982-11-27 음향기기의 셋트내 불량부분 표시 및 스피커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5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531U (ko) 198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7458A (en) Circuit arrangement and signalling light provided with the circuit arrangement
US9024639B2 (en) Ground fault detection system
KR100213845B1 (ko)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회로
US3943409A (en) Monitor assembly for ground fault interrupter
KR840001579Y1 (ko) 음향기기의 셋트내 불량부분 표시 및 스피커 보호회로
JP2003037932A (ja) 寿命検知機能を有する避雷器
JP2008098495A (ja) Led故障検出装置
US6408071B1 (en) Modem line connection circuit and the control circuit
US5025195A (en) Current monitoring
KR900004646Y1 (ko) 국선 감지회로
JPS60150319A (ja) 電子スイッチ
KR200339653Y1 (ko) 공급 전원단(b+) 감지 회로
RU2022272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пробник
SU1709231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цепи
SU11402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исправности тиристоров силового тиристорного блока
JPH04560Y2 (ko)
SU1714528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электрических цепей и напр жений
KR920006537Y1 (ko) 과부하 계전기
JPH06265585A (ja) 開閉検出回路
JP2818422B2 (ja) 不足電圧検出回路
KR890002417Y1 (ko) 휴즈용단 검출표시장치
JPH09186573A (ja) 半導体リレー回路
JP2003315380A (ja) 極性判別装置
KR800000611B1 (ko) 레벨 표시장치
JPH0212802A (ja) バイパスコンデン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