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884B1 - 비상 무동력 승강기 - Google Patents

비상 무동력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884B1
KR840000884B1 KR820001817A KR820001817A KR840000884B1 KR 840000884 B1 KR840000884 B1 KR 840000884B1 KR 820001817 A KR820001817 A KR 820001817A KR 820001817 A KR820001817 A KR 820001817A KR 840000884 B1 KR840000884 B1 KR 84000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weight
pulley
eleva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0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996A (ko
Inventor
김명순
Original Assignee
김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순 filed Critical 김명순
Priority to KR82000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884B1/ko
Publication of KR83000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8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상 무동력 승강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승강기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동상의 평면도.
제3도는 동상의 일부 확대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승강기의 승강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서 승강기를 임의의위치에 정차시키는 제동장치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제6a,b도는 본 발명에서 승강기의 승강에 따라 제동장치를 괘정, 해정시키는 괘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틀 5,5′,5″ : 로오프 안내로울러
7 : 회동축 8 : 전동풀리
9 : 원심력전자 11 : 연동풀리
12 : 벨트 15 : 브레이크 드럼
16,16′ : 브레이크슈우 17 : 속도제어장치
19 : 작동간 20,20′,20″ : 링크
21 : 제동간 23 : 작동 레버
34 : 제동장치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기타 재난시에 바상탈출에 사용되는 무동력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정된 인원이 탑승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승강대와 무게추를 와이어 로오프로 상호 연결시켜 서로 연동적으로 승강되게 하되, 무게추의 중량을 승강대의 자중보다는 크게하고 승강대의 자중과 탑승하중을 합한 값보다는 적게하여 타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승강대와 무게추와의 중량차이로 승강구동력을 얻게 하고, 승강대의 승강시에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틀상부에 설치된 원심력 전자에 전달시키어 승강대의 승강속도를 검지케 하고, 승강대가 과속으로 승강시 속도 제어장치를 원심력 전자가 자동적으로 작동시키어서 승강대가 안정된 승강속도를 유지하면서 승강자재되게 한 비상 무동력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등의 비상시 긴급 대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가지의 기구와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비상구나 창문 또는 옥상등에 일단을 가설하고 다른 일단은 지상으로 늘어뜨려 탈출통로를 구성하게 하는 비상탈출대를 설치하거나, 또는 줄사다리나, 로오프를 이용하는 완강기 등을 설치하는 예를 들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탈출수단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긴급한 상황하에서 그 이용 또는 설치에 익숙치 못하여 소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으며 또한 일시에 많은 인원을 신속히 대피시킬 수 없고 또 사용높이에 제한을 받는 등의 결함이 있는 것이다. 특히 개개인이 사용하게된 완강기등의 경우에는 그 구성이 개개인 즉 1인씩만을 탈출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대피 인원이 극히 제한되고 탈출시 위험이 따라 특히 아동들이나 아녀자들에게는 심적인 불안감이 매우 크게 작용하여 안정되게 탈출을 기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대피 도중에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와 같은 문제점들을 제거시키고 많은 인원을 짧은 시간내에 안정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승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은 특히 구동력으로서 전원 즉, 타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가동시킬 수 있는 무동력 승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에서와 같이 건물의 충고에 맞도록 임의의 길이로 기틀(1)을 형성하고, 이 기틀(1)의 내부 양측에는 승강대(2)와 무게추(3)가 설치되어 승강 자재될 수 있도록 승강안내실(4)(4′)을 형성하고, 이 각승강안내실(4)(4′)의 상하 측에는 로오프 안내 로울러(5)(5′)(5″)(5″′)들을 상호 대응되게 각각 설치하여 승강대(2)와 무게추(3)의 상, 하부를 각각 와이어 로오프(6)(6′)로 연결하되 상부 로오프(6)는 안내 로울러(5)(5′)에 걸어지지하고 하부 로오프(6′)는 안내 로울러(5″)(5″′)에 걸어 지지되게 하며, 무게추(3)의 중량을 승강대(2)의 중량보다 약 20-25kg 정도 무겁게 형성하여 승강대(2)에 탑승인이 없을시에는 무게추(3)의 하중에 의하여 승강대(2)가 항시 기틀(1)의 상부에 머물게 하였다.
한편 승강대(2)가 상측에 설치되는 로오프 안내 로울러(5)의 회동축(7) 중앙부에는 전동풀리(8)를 축설하고 무게추(3)의 상측 기틀(1)상에는 원심력 진자(9)를 일단에 축착하고 중간부에는 연동 풀리(11)를 축착한 회동축(10)을 축설하여 이 연동 풀리(11)와 전동 풀리(8)간에 벨트(12)를 걸어 연동되게하므로서 승강대(2)가 승강할때 발생되는 회동력이 원심력 진자(9)에 전달되게 하고 이 원심력 진자(9)의 가변익(13)에는 돌출캠(13′)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돌출캠(13′)에 접촉되는 두부(14′)를 갖는 이동 축봉(14)을 상기한 회동축(10)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하여 원심력 진자(9)의 회전 속도에 따라 이동 축봉(14)이 수평이동될 수 있게 하였으며, 전동풀리(8)가 축착된 회동축(7)의 일단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15)과 브레이크슈우(16)(16′)로 구성되는 속도 제어장치(17)를 축설시키고 이 속도 제어장치(17)와 이동 축봉(14)의 사이를 지지 대에 유착핀(18)으로 유착된 작동간(19)과, 이작동간(19)의 일단에 연설되어 연동되는 링크(20)(20′)(20″)로 연설시키는 동시에 작동간(19)의 타일단은 이동 축봉(14)에 연결 유착하여 원심력 진자(9)의 회전속도에 따라 속도 제어장치(17)를 구동시켜 승강대(2)의 승강속도를 제어하게 하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안내실(4) 외측의 기틀(1)의 소정위치 즉 승강대(2)의 정지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 제동간(21)을 스프링(22)으로 내향 탄지 되도록 설치하되 그 제동간(21)의 상단은 기틀(2)에 고정핀(21′)으로 유착 고정하고 제동간(21)의 하단은 일단을 작동 레버(23)와 연설한 연동간(24)과 연설시켜 작동 레버(23)를 밀고 당김에 의해 제동간(21)이 승강안내실(4)의 내내측으로 돌출되어 승강대(2)의 상승과 하강 여부를 체크하는 점검간(25)를 기틀(2)에 지지핀(25′)으로 유착하되 그 상·하측에 스프링(26)(26′)을 탄설하고 이 점검간(25)의 일단에는 연동간(35)(35′)들을 연쇄적으로 연설시켜 연동되게 하고 연동간(35′)의 일단에는 괘정간(29)을 유착하되 그 괘정간(29)의 하단부에는 유동공(28)을 두어 괘지봉(27)을 상·하로 승강자재하게 삽설하였으며 연동간(24)의 선택된 위치 즉 제동간(21)이 승강안내실(4)의 내측으로 몰입시 괘정간(29)의 위치와 일치되는 지점에 괘삽봉(27)이 삽탈 자재되는 괘정공(30)을 설치하고 이 괘정공(30)의 내부에는 괘지봉(27)을 협지하는 괘지편(31)을 스프링(32)으로 탄지되게 설치하여 점검간(25)에 의하여 연동되어 승강자재 되는 괘삽봉(27)이 삽지되어 협지되게한 괘정장치(33)를 설치하여서 승강대(2)가 하강하여 기틀(1)의 하부에 위치되었을때에는 제동간(21)이 작동되지 않게하고 승강대가 상승시에만 제동간(21)이 작동가능하게 하여 승강대(2)가 하강시에 임의의 층에서 정차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는 건물의 뒤쪽 발코니나 비상계단등이 설치되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승강대(2)가 무게추(3)보다 가볍게 제작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승강대(2)가 최상층에 위치하고 있게 되는데 비상시에는 승강대(2)에 설정된 인원을 탑승시키면 승강대(2)의 중량은 탑승자의 중량에 의하여 무게추(3)이 중량보다 크게 되므로 그 중량차에 의해 승강대(2)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최하층으로 하강된 승강대(2)는 타 제동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정차시켜 탑승자를 하차시킨 다음 제동장치를 풀면 탑승자의 중량이 제거되므로 무게추(3)의 중량에 의해 승강대(2)는 상승되어 처음 상태와 같이 다음 탑승자를 태우기 위해 상부에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승강대(2)와 무게추(3)가 상반적으로 무동력으로 승강되면서 대피 인원을 안전하게 탈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승강대(2)가 승강할때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동풀리(8)와 연동풀리(11)에 의하여 원심력 진자(9)에 전달되므로 승강대(2)가 안정 속도를 넘어 과속으로 승강시에는 원심력진자(9)의 가변익(13)이 벌어지면서 그 돌출캠(13′)이 제4도에서와 같이 이동 축봉(14)을 이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작동간(19)과 링크(20)(20′)(20″)들을 통하여 브레이크 슈우(16)(16′)를 작동시켜 그 승강 속도를 제어케 되므로 승강대(2)의 승강이 항시 안정속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중간층에서 승강중인 승강대(2)를 정지시키고져 할때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장치(34)의 작동레버(23)를 일측으로 당겨주면 연동간(24)이 제동간(21)을 내측으로 압압하여 승강대(2)의 측벽에 마찰력을 가하므로서 승강대(2)를 정차시킬 수 있고 여기서 탑승한후 작동레버(2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승강대(2)는 다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승강대를 승강 구동시키어 짧은 시간내에 많은 인원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무게추(3)를 탑승실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기틀(1)의 양측에 승강대(2)와 무게추(3)가 설치되어 승강자재되는 승강안내실(4)(4′)을 형성시키고 이 승강안내실(4)(4′) 각각의 상·하측에 로오프 안내 로울러(5)(5′)(5″)(5″′)들을 상호 대응되게 설치시키고 승강대(2)와 무게추(3)의 사이를 상·하 와이어 로오프(6)(6′)로 연결시켜 연동되게 한것에 있어서, 기틀(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5)의 회동축(7)의 중앙에 전동 풀리(8)를 설치하고 그 타측에는 원심력 진자(9)와 연동풀리(11)를 각각 축착시킨 회동축(10)을 설치하여 이 전동풀리(8)와 연동풀리(11)의 사이를 벨트(12)로 연설시키고 원심력 진자(9)의 가변익(13)에는 돌출캠(13′)을 형성하여 그 돌출캠(13′)에 접촉되게 이동축봉(14)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7)에는 브레이크 드럼(15)과 브레이크슈우(16)(16′)로 구성되는 속도 제어장치(17)를 설치하여 이동 축봉(14)과 속도 제어 장치(17)의 사이를 링크(20)(20′)(20″)와 작동간(19)으로 연설시키고 기틀(1)의 임의위치에 작동레버(23)에 의해 승강안내실(4)의 내측으로 출몰자재되는 제동간(21)이 설치된 제동장치(34)를 설치하여서 된 비상 무동력 승강기.
KR820001817A 1982-04-26 1982-04-26 비상 무동력 승강기 KR840000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001817A KR840000884B1 (ko) 1982-04-26 1982-04-26 비상 무동력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001817A KR840000884B1 (ko) 1982-04-26 1982-04-26 비상 무동력 승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996A KR830009996A (ko) 1983-12-24
KR840000884B1 true KR840000884B1 (ko) 1984-06-26

Family

ID=1922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01817A KR840000884B1 (ko) 1982-04-26 1982-04-26 비상 무동력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876B1 (ko) * 2011-12-28 2013-10-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반장치의 동력전달용 기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반장치
KR101318872B1 (ko) * 2011-12-28 2013-10-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반장치용 웨이트 밸런스 및 이를 구비한 교반장치 및 교반장치의 상부 어셈블리 승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34B1 (ko) * 2004-12-21 2006-09-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승강기 탑승자의 체중을 이용한 저층건물용 발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876B1 (ko) * 2011-12-28 2013-10-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반장치의 동력전달용 기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반장치
KR101318872B1 (ko) * 2011-12-28 2013-10-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반장치용 웨이트 밸런스 및 이를 구비한 교반장치 및 교반장치의 상부 어셈블리 승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996A (ko) 198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211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use of a hoisting machine
US20080035425A1 (en) Mass Rescue and Evacuation System
CN105358468B (zh) 竖井区域的扩展
KR102119351B1 (ko)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US20110024239A1 (en) Operating method for an elevator with two elevator cars and a counterweight
US20150202469A1 (en) Non-winding type high-storey rescue lift
US6848544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evacuation of lift passengers
US4828072A (en) High rise building fire escape/fire fighting and building maintenance system
KR102135003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KR840000884B1 (ko) 비상 무동력 승강기
EP0983956A2 (en) Emergency stop device releasing method for elevator
KR102264809B1 (ko)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JPH01236188A (ja) エレベータ
WO2021038629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H0826620A (ja) エレベーターの救出装置
JPH07237847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JP201022892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3328158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昇降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S58220075A (ja) エレベ−タ装置
JPH04313586A (ja)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
JPH1059635A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KR102477107B1 (ko) 중량축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JPS58183178A (ja) 緊急脱出用降下装置
RU2348441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952343B2 (ja) 上層階からの降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