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712Y1 -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712Y1
KR840000712Y1 KR2019820000539U KR820000539U KR840000712Y1 KR 840000712 Y1 KR840000712 Y1 KR 840000712Y1 KR 2019820000539 U KR2019820000539 U KR 2019820000539U KR 820000539 U KR820000539 U KR 820000539U KR 840000712 Y1 KR840000712 Y1 KR 840000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tire
holes
cro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0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747U (ko
Inventor
민덕기
Original Assignee
민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덕기 filed Critical 민덕기
Priority to KR2019820000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712Y1/ko
Publication of KR830002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75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with special shape of the plug- t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일부분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일부분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일부절취 부분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상태 예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각종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단면이형인 스파이크 9 : 단면이형인 스파이크
10 : 단면이형인 스파이크 11 : 단면이형인 스파이크
12, 12' : 접지면 보다 돌출되게 매입한 스파이그(1)의 양단부.
본 고안은 타이어의 접지면에 금속또는 고강도의 합성수지로 성형한 스파이크를 양단면이 노출되게 적정간격으로 다수 매입되게 하므로 주행시 타이어가 지면에 접지되는 순간 그 부분에 매입된 스파이크는 접지되는 부분이 하중과 충격등에 의해 변형(찌그러짐)되는 압력에 의해 일측단부가 돌츨되면서 쌓인 눈이나 빙판에 박히게 되어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통상 체인이나 스노우타이어를 사용하여 눈길이나 빙판길, 주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체인을 사용할 경우 체인조립에 따르는 시각적, 경제적인 손실과 타이어의 파손율이 높고 도로의 훼손이 많음은 물론, 주행시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으며, 스노우타이어의 경우에는 이러한 폐단은 제거할 수 있지만, 미끄럼방지의 효과를 완벽하게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타이어의 접지면에 호형상을 만곡된 다수의 스파이크를 매입하여 주행시 스파이크의 단부가 돌출되어 타이어가 미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 튜브내에 주입되는 공기양 조절에 따라 스파이크의 돌출되는 단부의 간격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스파이크(1)를 접지면(4')에 적정간격으로 다수를 매입하되 중심부(1')가 공동으로 되고, 수개의 관통공(2)(2')(2")이 천공된 형상으로 만곡 성형한 스파이크(1)를 그 양단면(3)(3')을 타이어(4)의 접지면(4')과 일치되게 노출시키고 양단면(3)(3')의 내측면에는 공간부(6)(6')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5"는 보강층이고, "7"은 눈이 쌓이거나 빙판길인 노면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파이크(1)가 적정간격으로 매입된 본 고안의 타이어(4)를 사용하면 주행시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4)의 접지면(4') 중 노면(7)에 접촉되는 부분(a)은 하중과 압력등에 의해 변형되는현상이 발생되는데 이순간 변형되는 순간의 압력에 의해 일측으로 밀리게되므로 이에 따라 타측단면(3')이 접지면(4') 보다 돌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상태에서 노면(7)에 접촉되기 때문에 돌출된 일단면(3')이 쌓인 눈이나 빙판에 박히게 되므로 접지면(4')에 적정간격으로 매입된 각스파이크(1)가 이러한 작용을 타이어(4)의 회전에 따라 교대로 계속하게 되어 타이어(4)가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고안은 스파이크(1) 자체가 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어 강한 압력이나 충격을 받아도 쉽게 파손되지 않음은 물론 접지면(4')이 받는 압력과 충격을 골고루 분산, 전달하기 때문에 타이어(4)가 쉽게 훼손되지 않게되며, 수개의 관통공(2)(2')(2")에 의해 타이어(4)를 성형시 고무가 이를 관통하여 접착이 되기 때문에 스파이크(1)가 완강하게 매입되 주행시 이탈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용도에 따라 스파이크(1)의 매입상태가 완강해야될 필요가 없을 때는 관통공(2)(2')(2")이 천공되지 않은 것을 사용해도 되며, 특히, 사용할 지역의 특성 즉, 기온이나 적설량등에 따라 스파이크와 노면과의 마찰정도에 적합하게 스파이크의 형상을 제7도와 같이 단면이형 또는형이나형등과 같이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성형된 스파이크(8)(9)(10)(11)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적설량이 많거나 기온이 아주 낮은 지역의 경우에는 제6도와 같이 스파이크(1)(8)(9)(10)(11)의 양단부(12)(12')를 접지면(4)보다 약간 돌출되게 매입 성형하면 이들지역에서는 더욱 효과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노출되는 스파이크(1)의 양단면(3)(3')의 내측에는 적정간격의 공간부(6)(6')를 요설하므로, 이들 단면부(3)(3')가 돌출될 때 이 공간부(6)(6')에 의해 예각이 형성되어 노면(7)과의 접촉상태가 양호하게 되는 것이며, 또, 튜브내의 공기주입상태를 조절하면 이에 따라 타이어(4)가 주행시 받는 압력과 충격 상태가 조절되어 결국 접지면(4')중 노면(7)에 접촉되는 부분(a)의 찌그러지는 상태도 조절되므로 이에 따라 스파이크(1)의 양단면(3)(3')이 거의 돌출되지 않게 되어 도로가 훼손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의 체인이나 스노우타이어에 비하여 미끄럼방지효과가 매우 양호하며, 지역실정에 따라 스파이크의 형상과 양단면의 노출상태를 적합하게 조절하여 타이어를 제작할 수 있는 등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8)

  1. 수개의 관통공을 천공한 호형상으로 만곡성형된 다수의 스파이크를 그 양단면이 타이어의 접지면과 일치되게 노출 매입하고, 그 내측면에 공간부를 요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관통공(2)(2')(2")이 천공된 스파이크(1)의 단면이형으로 되게 성형한 미끄럼 방지용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관통공(2)(2')(2")이 천공된 스파이크(8)의 단면이형으로 되게 성형한 미끄럼방지용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관통공(2)(2')(2")이 천공된 스파이크(9)의 단면이형으로 되게 성형한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관통공(2)(2')(2")이 천공된 스파이크(10)의 단면이형으로 되게 성형한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스파이크에 관통공이 천공되지 않은 것을 사용한 미끄럼방지용 타이어.
KR2019820000539U 1982-01-21 1982-01-21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KR840000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0539U KR840000712Y1 (ko) 1982-01-21 1982-01-21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0539U KR840000712Y1 (ko) 1982-01-21 1982-01-21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747U KR830002747U (ko) 1983-11-23
KR840000712Y1 true KR840000712Y1 (ko) 1984-04-30

Family

ID=1922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0539U KR840000712Y1 (ko) 1982-01-21 1982-01-21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7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747U (ko) 198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8539A1 (en) Spike pin and system for mounting a spike pin
KR840000712Y1 (ko)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JP2832212B2 (ja) 自動車用タイヤ
KR19990072008A (ko) 미끄럼방지구및미끄럼방지구부착타이어
US4809756A (en) Pin for spike tire
KR890000328Y1 (ko) 탄성무한궤도대(彈性無限軌道帶)
US5785782A (en) Slip-preventing vehicle tire
JP3198476B2 (ja) 冬期用タイヤ及び冬期における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方法
US2696238A (en) Antiskidding device for motor vehicle tires
CN216443419U (zh) 一种越野用镶钉雪地轮胎及汽车
CA2069696C (en) Spike pin and system for mounting a spike pin
KR200231824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타이어용 스파이크의 장착구조
JPS5914247Y2 (ja) 自動車用タイヤの滑止具
JP4030292B2 (ja) 滑り止め具
SU984895A1 (ru) Шип противоскольжени
FI96934B (fi) Kulkuvälineen rengas
JP3005448B2 (ja) 冬期用タイヤに用いるスリップ防止用ブラシ部材
JPS5853205Y2 (ja) タイヤの滑止め装置におけるクロスベルト
KR930006326Y1 (ko) 차량용 체인
KR200222075Y1 (ko) 차량용 폴리우레탄 스노우체인의 스파이크
JPH08333705A (ja) 凍結防止用路面ブロックおよびその敷設工法
KR20140103365A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930006322Y1 (ko) 스파이크 타이어
KR100230680B1 (ko) 진흙길 탈출용 체인
KR920008805Y1 (ko) 자동차 바퀴의 미끄럼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