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558Y1 - 방조 게이트 - Google Patents

방조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558Y1
KR840000558Y1 KR2019820005526U KR820005526U KR840000558Y1 KR 840000558 Y1 KR840000558 Y1 KR 840000558Y1 KR 2019820005526 U KR2019820005526 U KR 2019820005526U KR 820005526 U KR820005526 U KR 820005526U KR 840000558 Y1 KR840000558 Y1 KR 840000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downstream
upstream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542U (ko
Inventor
김현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안병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안병휘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05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558Y1/ko
Publication of KR840000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조 게이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정면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프래프게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제2도는 상류측물을 자연 방류시킬 때이고,
제3도는 하류측물이 증가하였을 때 프래프 게이트가 중수압에 의하여 통수로를 폐쇄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상태이며,
제4도는 증가된 하류측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방조 게이트를 상승시켜 통수로를 폐쇄상태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방조게이트로서 상, 하류측 물의 수위를 조절, 방류시키는 상태도이다.
제6(a)도, 제6(b)도는 종래 방조게이트의 작동상태를 표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하천 제방등의 수문에 설치하여 상류측의 물을 하류측으로 완충시키면서 자연 방류시킴과 동시에 하류측의 물이 급증하였을 때에는 하류측의 물이 상류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방조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상류측 물의 수위가 수문상에 관통된 통수로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하류측 물의 수위는 통수로 상벽보다 낮고 하벽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을 때 방조게이트를 상승 조작하여 하류측의 물과 상류측의 물이 혼합되는 현상없이 상류측의 물만을 완충시키면서 하류측으로 자연방류시켜 줄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류측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 가까이의 하구 부근에 있어서는 이상 기후에 의한 태풍 등의 영향으로 물이 급증하여 해수가 하천등으로 역류하는 현상에 의하여 그 부근의 농작지에 염해를 입히는 사례와 심한 경우에는 해안근처의 주택지를 침수시켜 수재(水災)를 입히는 등으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홍수사태를 일으켜 왔었다.
상기와 같은 역류에 의한 침수나 홍수사태를 방지하고자 종래에 있어서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통수로(G)를 갖는 주게이트(A)의 상류측(S1)에 방조게이트(B)를 승감봉(C)으로 승강자재하게 설치하고, 하류측(S2)에는 브라켓트(D), (D')에 핀(E)으로서 프래프 게이트(flap gate) (F)를 회동자재하게 유설시켜 하류측(S2) 물이 급증되었을 경우에는 그 증수압에 의하여 프래프 게이트(F)가 통수로(G)를 자연 폐쇄시켜 주도록하는 방법과 방조게이트(B)를 하강 조작하여 통수로(G)를 완전히 폐쇄시켜주는 방법으로 역류를 방지하여 왔었으나,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측(S2) 물의 수위를 통수로(G)보다 낮고 상류측(S1) 물의 수위는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방조 게이트(B)를 상승조작하여 통수로(G)를 개방시켜 높은 수위의 상류측(S1) 물이 통수로(G)를 통하여 자연 방류되는데 통수로(G) 전방측 즉, 하류측(S2)에 브라켓트(D)에 핀(E)으로 유설되어 있는 프래프 게이트(F)가 통수로(G)를 통하여 방류되는 물을 어느 정도 제지시켜 주면서 물을 서서히 방류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류측(S1)의 물을 자연 방류시켜주게 되면 상류측(S1) 물의 수위는 점점 낮아지고, 하류측(S2) 물의 수위는 점차적으로 높아져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측(S2) 물의 수위가 통수로(G) 하벽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통수로(G)를 개방하여 상류측(S1)물을 방류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방조게이트(B)로서 통수로(G)를 폐쇄해야만 하므로서 더 이상 상류측(S1)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없게된다. 왜냐하면 통수로(G) 하벽보다 하류측(S2) 물의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상류측(S1) 물이 통수로(G)를 통하여 프래프 게이트(F)를 개방시키면서 방류됨과 동시 하류측(S2) 물이 통수로(G) 하측으로 흘러 들어오게 되어 상류측(S1) 물에는 하류측(S2)물이 계속해서 흘러들어와 혼합되게 되므로서 상류측(S1) 물을 사용하는 농작지등에 염해를 입히게 되는 결과가 되어 다소 농작지가 침수되는 사례가 발생하더라도 통수로(G)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류측물의 수위가 통수로 상벽보다 낮을 경우 상류측물을 방류시켜 그 수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침수피해를 한층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류측물의 파동이 심할 때에는 프래프게이트를 하류측 물의 수위보다 좀 더 높은 위치에 두어 파동의 영향을 종래의 것보다 덜 받게하므로서 프래프 게이트의 사용수명을 한층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통수로(1)를 관통시켜 형성한 주게이트(2)의 상측부에 설치된 승강장치(3)로 방조게이트(6)를 승강 자재하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통수로(1) 전방 하류측(H1)에 통수로(1)와 동일한 칫수로 천설한 배수로(4)와 폐쇄부(5)를 형성시킨 방조게이트(6)의 상단 브라켓트(7)에 핀(8)으로 프래프게이트(9)를 유설하여서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0은 승강장치(3)와 방조게이트(6)를 연결시킨 승강봉, 11은 제방, H2는 상류측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하류측(H1) 물의 수위가 통수로(1)보다 낮고 상류측(H2) 물의 수위가 통수로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때, 상류측(H2)물을 자연방류 시키고자할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3)를 조작하여 방조게이트(6)를 하강시켜 배수로(4)를 주게이트(2)의 통수로(1)와 일치시켜 주게되면 상류측(H2)의 물은 통수로(1)와 배수로(4)를 통과하여 방류되는데, 이 때 방조게이트(6) 상단 브라켓트(7)에 핀(8)으로 유설되어 배수로(4)를 막고 있던 프래프 게이트(9)가 배수로(4)를 통해서 방류되는 물을 완충시키면서 방류시켜 주므로서 주게이트(2) 및 방조 게이트(6)의 요동현상을 방지시켜 주게되며, 상류측(H2)의 물을 자연 방류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이상기후에의 한 태풍등이 갑자기 밀어닥쳐 하류측(H1) 물이 급증하였을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측(H1)의 급증된 증수압에 의하여 프래프 게이트(9)가 방조것이트(6)의 배수로(4)는 폐쇄시켜주게 됨으로서 하류측(H1)물이 상류측(H2)으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며 이 급증된 하류측(H1) 물의 파동이 심하여 프래프게이트(9)가 요동하게 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3)를 조작하여 방조게이트(6)의 하단 폐쇄부(5)가 통수로(1)를 폐쇄하도록 상승시켜 주므로서 하류측(H1)의 물이 상류측(H2)으로 흘러들어가는 현상을 확고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조 게이트(6)를 상승 또는 하강 조작하여 상류측(H2)의 물을 자연방류 시키거나, 하류측(H1)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다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측(H2) 물의 수위는 하류측(H1) 물의 수위보다 높는 상태이고, 하류측(H1) 물의 수위가 주게이트(2)의 통수로(1) 상벽보다는 낮고 하벽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 종래에는 하류측(H2)의 물이 상류측(H2)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수로(1)를 완전히 폐쇄하였으나, 본 고안은 승강장치(3)를 조작하여 방조게이트(6)를 적당히 상승시켜 배수로(4)의 하부측과 통수로(1)의 상부측이 연통하게하고 하단폐쇄부(5)는 통수로(1)의 하측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 두게되면 하류측(H1)의 물은 상류측(H2)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류측(H2)의 물은 배수로(4) 하단부를 넘어 하류측(H1)으로 방류되게 됨으로서 하류측(H1) 물의 수위가 통수로(1) 하벽상측까지 위치하고 있더라도 상류측(H2)의 물을 방류시켜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류측(H2)의 농작지에 침수피해를 덜어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프래프 게이트(9) 자체를 승강하는 방조게이트(6) 상단측에 유설시켜 주었으므로서 프래프 게이트(9)의 설치높이를 어느정도 조절할 수 있어 하류측(H1) 물의 파동이 심할 때에는 방조게이트(6)를 상승시켜 프래프게이트(9)가 파동의 영향권에서 먼 위치 즉, 높은 곳에 있게 하므로서 종래에 통수로(1) 전방에 위치를 고정시켜 설치한 프래프 게이트(F) 보다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류측 물의 수위 높이의 여하에 따라 방조 게이트를 상승조작하여 상류측의 물을 자연방류시킬 수 있으므로서 상류측 물의 수위를 유효적절할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방류량도 조절할 수 있어 프래프게이트가 심하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 파동에 의한 요동현상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서 프래프 게이트의 내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통수로(1)를 관통시켜 형성한 주게이트(2)의 상측부에 설치된 승강장치(3)로 방조게이트(6)를 승강자재하게 설치한 게에 있어서, 상기 통수로(1) 전방 하류측(H1)에 통수로(1)와 동일한 칫수로 천설한 배수로(4)와 폐쇄부(5)를 형성시킨 방조게이트(6)의 상단부 브라켓트(7)에 핀(8)으로 프래프게이트(9)를 유설하여서 된 방조 게이트.
KR2019820005526U 1982-07-13 1982-07-13 방조 게이트 KR840000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526U KR840000558Y1 (ko) 1982-07-13 1982-07-13 방조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526U KR840000558Y1 (ko) 1982-07-13 1982-07-13 방조 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542U KR840000542U (ko) 1984-02-24
KR840000558Y1 true KR840000558Y1 (ko) 1984-04-04

Family

ID=7214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526U KR840000558Y1 (ko) 1982-07-13 1982-07-13 방조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5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542U (ko) 198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1624A (en) Self-regulating fluid control valve
US4324506A (en) Self-regulating fluid control valves
CN114063659B (zh) 截流井的溢流堰门和调流闸门的控制方法
KR101028841B1 (ko)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840000558Y1 (ko) 방조 게이트
US11781277B1 (en) Dam with auxiliary dam and underground water path
KR200246774Y1 (ko) 수문 개폐장치
KR102022457B1 (ko)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KR200341004Y1 (ko) 수압식 수문 장치
JP2514841B2 (ja) 自動水位制御ゲ―ト
KR830002500Y1 (ko) 방류 게이트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860000767Y1 (ko) 제수용 수문
JPH10298962A (ja) 越流及び水中放流併用型の放水口構造
JP4675089B2 (ja) 空気圧を利用するゲートの水位上昇の自動検出装置
SU1746367A1 (ru) Регул тор уровн воды в верхнем бьефе гидросооружени
KR200340319Y1 (ko)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RU205647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регулятор уровня
JP2000045253A (ja) チェックゲート
KR200340318Y1 (ko) 부력 및 수압식 가동언(수문)
JPH0510026Y2 (ko)
KR200247943Y1 (ko) 개문수위를 높여주는 부상식 자동수문
SU4143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ей воды верхнего бьефа оросительного канала
KR200175093Y1 (ko) 자동 배수가 가능한 인양식 수문
KR200381660Y1 (ko) 부력식 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