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319Y1 -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 Google Patents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319Y1
KR200340319Y1 KR20-2003-0022696U KR20030022696U KR200340319Y1 KR 200340319 Y1 KR200340319 Y1 KR 200340319Y1 KR 20030022696 U KR20030022696 U KR 20030022696U KR 200340319 Y1 KR200340319 Y1 KR 200340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oyancy
gate
waterway
buoyanc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주) 삼안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안산업 filed Critical (주) 삼안산업
Priority to KR20-2003-0022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38Rolling gates or gates moving horizontally in their own plane, e.g. by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강이나 하천 등의 보(洑)에 적용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자중에 의하여 수로를 막고 있던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 ( 자동보 수문 = 이하, 수문이라 칭함) 은 상류측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부력 및 수압을 받아 자동으로 일정 높이까지 열려 수로를 개방하였다가 상류측 수위가 낮아지면 부력 및 수압이 떨어지면서 자중에 의해 다시 수로를 폐쇄함으로서 인위적인 작동 없이도 일정 수위를 상시 유지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수문이며,
물의 흐름을 단속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통수구의 내측에 횡단으로 설치되어 부력 및 수압에 의해 통수구에서 자동으로 승강 작동되어 통수구를 개폐시키는 수문(10), 이 수문(10)의 통수구에서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도록 통수구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0), 이 가이드레일(20)에 대항하는 수문(10)의 양측에 구비되어있는 가이드로라(30) 및 부력을 조절 할 수 있도록 수문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형 부력실(40)과 위치가변형 부력실(50) 및 상기 위치가변형 부력실(50)의 위치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는 권양장치(60)으로 구성되어있다.

Description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THE CENTERING CONTROL WITH BUOYANCY ROOM TYPE MOVABLE DAM(GATE)}
강이나 하천 등에는 물을 저수하거나 이용하기 위한 보(洑)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곳에 설치하는 수문의 과거 형태는 상층부의 물이 넘쳐 일정 수위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하부에 퇴적물이 쌓이거나 어류의 이동을 막아 환경오염을 가속화하거나 인력에 의한 조치의 한계성 등으로 인하여 폭우 등으로 인한 홍수나 재해시 피해가 컸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자동보"라고 하는 수문이 개발되어 있으나 유압 장치를 이용하거나 기계적 작동에 의존함으로서 수질 오염의 우려와 부대설비 등으로 인한 제작비가 과대하게 들어 실용성이 떨어진다고 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대설비를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기계적인 방식을 탈피함으로서 고장이나 환경오염의 요인을 제거하고, 또한 홍수 등의 자연 재해 시에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부력실 위치가변형 가동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평상시 수문의 닫힌 모습의 단면도
도 2 부력 및 수압에 의해 수문이 열렸다 닫혔다 하면서 수위가 조절되는 모습
도 3 홍수나 만수위를 가상한 수문의 열려진 모습
<도면부호의 설명>
10 : 수문 20 : 가이드로라30 : 가이드레일 40 : 고정형 부력실50 : 위치가변형 부력실 60 : 권양장치
본 고안의 부력실 위치가변형 가동언은 물의 흐름을 단속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통수구의 내측에 횡단으로 설치되어 부력 및 수압에 의해 통수구에서 자동으로 승강 작동되어 통수구를 개폐시키는 수문(10), 이 수문(10)의 통수구에서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도록 통수구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0), 이 가이드레일(20)에 대항하는 수문(10)의 양측에 구비되어있는 가이드로라(30) 및 부력을 조절 할 수 있도록 수문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형 부력실(40)과 위치가변형 부력실(50) 및 상기 위치가변형 부력실(50)의 위치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는 권양장치(60)를 포함하고 있다.자중에 의하여 수로를 막고 있던 수문은 상류측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부력을 받아 자동으로 일정 높이까지 열려 수로를 개방하였다가 상류측 수위가 낮아지면 부력이 떨어지면서 자중에 의해 다시 수로를 폐쇄함으로서 인위적인 작동 없이도 일정 수위를 상시 유지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수문이며, 홍수나 만수위 때는 자체 부력과 가이드로라 및 가이드레일의 역할로 수문이 수류 방향과 같아지며, 본체의 구조를 유선화하여 피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구조이다. 내부에 고정형 부력실을 만들어 수문 무게에 대한 자체 부력을 얻게 하여 홍수나 만수위때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수문이 완전히 열리게 하고, 위치가변형 부력실은 일정 수위를 유지하기위하여 위치가변형 부력실에 연결되어 상,하 조절에 따라 개폐 정도를 가감 할 수 있는 권양장치를 더 구비하고있다.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은 부력 및 수압을 이용하여 수문의 자중을 조절하여 수문을 개폐시키는 개폐방식을 기본 특징으로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평상시 수문의 닫힌 모습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부력 및 수압에 의해 수문이 열렸다 닫혔다 하면서 수위가 조절되는 모습이며, 도 3은 홍수나 만수위를 가상한 수문의 열려진 모습이다.
참조번호 10은 부력 및 수압에 의해 통수구에서 자동으로 승강작동되어 통수구를 개폐시키는 수문이며,참조번호 20은 수문의 상,하 작동을 원활히하기위한 가이드로라이며, 참조번호 30은 가이드로라의 이탈을 막고 만수위시 수문을 수류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다.참조번호 40은 부력재를 채워 기초적인 부력을 발생하게 하는 고정형 부력실이며, 참조번호 50은 위치 변환이 가능한 위치가변형 부력실이며, 참조번호 40은 위치가변형 부력실에 구비되어 부력실을 위치를 상하로 승강시켜 가변시켜주는 권양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수문 개폐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중에 의하여 수로를 막고 있던 수문(10)은 상류측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부력 및 수압을 받아 통수구의 내측벽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에 구름지지되는 수문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로라(30)에 의하여 원활하게 상승 및 하강 작동된다. 자동으로 일정 높이까지 열려 통수구를 개방하였다가 상류측 수위가 낮아지면 부력 및 수압이 떨어지면서 자중에 의하여 다시 통수구를 폐쇄하고, 홍수나 만수위때는 수문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형 부력실(40)과 위치가변형 부력실(50)의 부력에 의해 수문(10)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로라(30)가 가이드레일(20)의 안내를 받아 수문(10)이 수류방향과 같아지게 수평으로 위치해 이물질로 인한 수문의 피해를 방지 할 수 있다.상기 수문(10)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형 부력실(40)은 수문의 자중에 대하여 기본적인 부력을 발생시켜 수문의 자중을 줄여 수문의 개폐를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상기 수문(10)의 내부에 구비된 위치가변형 부력실(50)은 위치가변형 부력실(50)의 위치를 가변시켜주는 권양장치(6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데, 상승시키면 부력의 영향을 적게 받음으로서 수위를 높게 유지 할 수 있고 하강시키면 부력의 영향을 많이 받음으로서 수위를 낮게 유지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문의 자중과 부력 그리고 유속 등을 고려한 개폐방식을 기본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권양장치나 유압 장치 등이 필요 없는 확연히 구별되는 고안으로서, 장치의 단순화로 내구성은 증대되고 고장률은 최저화 하였으며, 퇴적물이 쌓이거나 기름 유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막을 수 있음은 물론 특별한 관리자가 없어도 홍수나 재해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로서 강이나 하천 등의 보(洑)에 본 고안을 적용 한다면 적은 비용으로도 평소 충분한 물을 활용 할 수 있음은 물론 홍수나 재해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환경오염 또한 미연에 막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부력 및 수압을 이용하여 수문을 작동시켜 통수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기위한 것으서 물의 흐름을 단속 할 수있도록 형성되는 통수구의 내측에 횡단으로 설치되어 부력 및 수압에 의해 통수구에서 자동으로 승강 작동되어 통수구를 개폐시키는 수문(10). 이 수문(10)의 통수구에서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도록 통수구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0), 이 가이드레일(20)에 대항하는 수문(10)의 양측에 구비되어있는 가이드로라(30)로 구성되어진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의 부력을 가변시킬수있도록 수문(10)의 내부에 고정형 부력실(40)과 위치가변형 부력실(50)을 구비하고 위치가변형 부력실(50)과 연결되어진 권양장치(50)에 의해 부력실의 위치를 가변시켜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수문(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개폐수위 가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KR20-2003-0022696U 2003-07-14 2003-07-14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KR200340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96U KR200340319Y1 (ko) 2003-07-14 2003-07-14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96U KR200340319Y1 (ko) 2003-07-14 2003-07-14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967A Division KR20030077479A (ko) 2003-07-14 2003-07-14 부력실 위치조절형 가동언(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319Y1 true KR200340319Y1 (ko) 2004-02-05

Family

ID=4942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696U KR200340319Y1 (ko) 2003-07-14 2003-07-14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3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23737A (zh) 一种双扉翻板闸门
KR101028841B1 (ko)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100757950B1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JP3395033B2 (ja) 水位調整水門
KR200340319Y1 (ko)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KR200340318Y1 (ko) 부력 및 수압식 가동언(수문)
KR20090027496A (ko) 합류식 하수 시스템의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CN109385983A (zh) 设置有泄洪表孔的重力坝
KR200340320Y1 (ko) 부력체와 지렛대의 원리를 응용한 가동언 (자동보 수문)
CN209603076U (zh) 设置有泄洪表孔的重力坝
KR200361764Y1 (ko) 댐 설치용 수문
KR200341004Y1 (ko) 수압식 수문 장치
KR100296343B1 (ko) 유동식 수문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KR200217658Y1 (ko) 자동보 수문장치
JP2514841B2 (ja) 自動水位制御ゲ―ト
CN214460209U (zh) 一种双扉翻板闸门
KR20040105680A (ko) 하향식 가동보
KR20030077479A (ko) 부력실 위치조절형 가동언(수문)
KR20050097099A (ko) 슬라이드형 수문
KR200246809Y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20030063287A (ko) 부력식 가동언 (수문)
KR200232382Y1 (ko) 부상식 자동 수문 개폐장치
KR20060095022A (ko) 회동식 가동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