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764Y1 - 댐 설치용 수문 - Google Patents

댐 설치용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764Y1
KR200361764Y1 KR20-2004-0018494U KR20040018494U KR200361764Y1 KR 200361764 Y1 KR200361764 Y1 KR 200361764Y1 KR 20040018494 U KR20040018494 U KR 20040018494U KR 200361764 Y1 KR200361764 Y1 KR 200361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ter
dam
rolle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우
Original Assignee
이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우 filed Critical 이명우
Priority to KR20-2004-0018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7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2Cylindrical or tubula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댐에 설치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댐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개폐문과 제방의 수문틀 사이에 장기간 개폐문의 작동에도 견고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댐 설치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댐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댐 제방의 수문틀 양측으로 롤러수용홀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롤러가 구름 이동되면서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착되어 수밀패드를 통해 누수를 방지하는 수문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이 폐문시 자중에 의해 롤러가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캠을 회전시켜 롤러수용홀로 유도되어 개폐문을 가이드레일 내벽면에 가압함과 동시에, 개폐문에 구비된 수밀패드의 압착으로 개폐문과 수문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댐 설치용 수문{Floodgate for dam mounting}
본 고안은 댐에 설치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댐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문과 제방의 수문틀 사이에 장기간 수문의 작동에도 견고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댐 설치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가로질러 저수(貯水)·취수(取水)·토사유출방지(土砂流出防止) 등의 목적을 위해 축조하는 것을 댐이라 하며, 각각의 목적에 따라 저수댐·취수댐·사방댐으로 크게 구분된다. 보통의 댐이라 하면 저수댐을 말하며, 저수댐의 목적은 하천 유량의 변동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같은 댐은 계절 또는 날씨, 전력사용 등에 따라 일정량의 물을 개폐문의 개폐를 통해 방류하게 됨으로서 저수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개폐문은 그 상측에 설치되는 권양기가 작동되면서 개폐문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적정량 또는 필요량 만큼의 물을 방류한 후 개폐문을 닫아 더 이상의 물이 방류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문의 양측은 수문틀 즉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수문틀에 양측단부가 끼워져 가이드되면서 승하강 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밀착부위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개폐문이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개폐문이 권양기를 통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측으로 이동시 개폐문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수밀패드가 수압에 의해 가이드레일 내벽체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여 수밀패드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마찰력이 증대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개폐문과 수문틀 사이에는 원할한 수밀이 이루어지지 않아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개폐문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수밀패드는 수압에 의해 가이드레일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지만, 수문에 수압이 계속적으로 가해진 상태에서 개폐문을 권양기를 통해 강제로 상하 이동시키게 되면, 수밀패드가 가이드레일 내벽체와 강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여 마찰력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수밀패드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됨으로써, 견고한 수밀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개폐문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자중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압이 개폐문에 가해지는 압력과, 수밀패드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며, 이러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수밀패드를 단기간 이내에 교환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댐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개폐문과 제방의 수문틀 사이에 장기간 개폐문의 작동에도 견고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댐 설치용 수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문이 가이드레일과 일정한 유격을 유지하면서 캠을 통해 가이드레일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밀패드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댐 설치용 수문이 권양기를 통해 승하강 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댐 설치용 수문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댐 설치용 수문을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도 2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문틀, 12: 가이드레일, 12a: 롤러수용홀, 14: 캠, 14a: 캠축, 20: 수문, 22: 롤러, 22a: 중심축, 23: 좌우이동롤러, 24: 수밀패드, 26: 걸림홀더, 30: 권양기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댐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댐 제방의 수문틀 양측으로 롤러수용홀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롤러가 구름 이동되면서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착되어 수밀패드를 통해 누수를방지하는 수문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이 폐문시 자중에 의해 롤러가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캠을 회전시켜 롤러수용홀로 유도되어 개폐문을 가이드레일 내벽면에 가압함과 동시에, 개폐문에 구비된 수밀패드의 압착으로 개폐문과 수문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댐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댐 제방의 수문틀 양측으로 롤러수용홀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롤러가 구름 이동되면서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착되어 수밀패드를 통해 누수를 방지하는 수문에 있어서, 권양기에 의해 상승한 후 자중에 의해 상기 개폐문이 폐문시 롤러가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캠을 회전시켜 롤러수용홀로 유도되어 개폐문을 가이드레일 내벽면에 가압함과 동시에, 개폐문에 구비된 수밀패드의 압착으로 개폐문과 수문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댐 설치용 개폐문이 권양기를 통해 승하강 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댐 설치용 수문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댐 설치용 수문을 보인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댐 설치용 수문은 댐 제방에 형성된 수문틀(10)에 개폐문(20)이 설치되어 개폐문의 하강시 개폐문(20)과 수문틀(10) 사이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문틀(10)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어 개폐문(20)이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문(20)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좌우이동롤러(23)가 설치되어 있어 좌우 이동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레일(12)에는 롤러수용홀(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롤러수용홀(12a)에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개폐문의 롤러(22)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레일(12)에 설치된 캠(14)을 회전시켜 캠(14) 상단부가 개폐문(20)을 밀어 롤러(22)의 일부분이 롤러수용홀(12a)에 소정깊이 수용됨으로써, 가이드레일(12) 내벽면에 개폐문(20)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롤러(22)가 롤러수용홀(12a)에 소정깊이 수용된 상태여서 롤러(22)와 가이드레일(12)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같은 유격은 개폐문(20)에 설치된 수밀패드(24)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가이드레일(12)과 롤러(22)는 유격이 없는 상태이고, 수밀패드(24)가 설치되는 개폐문(20)은 롤러(22)보다 두께가 얇은 형태로 구성되어 개폐문(20)의 상하 이동시 가이드레일(12) 내벽면과 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개폐문(20)이 상승한 경우에는 개폐문(20)과 가이드레일(12) 사이에 소정의 유격이 존재하고, 반대로 개폐문(20)을 하강시에는 롤러(22)가 캠(14)을 회전시켜 롤러수용홀(12a)에 롤러(22)가 수용됨과 동시에 캠(14) 상단부는 개폐문(20)을 가이드레일(12) 내벽면에 밀착시켜 유격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롤러(22)가 롤러수용홀(12a)에 수용되면 개폐문(20)이 가이드레일(12)과 캠(14)의 회전시에만 밀착되어 개폐문(20)에 설치된수밀패드(24)는 가이드레일(12)과 마찰이 최소화 됨에 따라, 수밀패드(24)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캠(14)을 이용하여 개폐문(20)이 회전되기 위해서는 캠축(14a)과 롤러의 중심축(22a)이 상호 다른 축선상에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개폐문(20)이 하강하면서 캠(14)의 일단면을 눌러 캠(14)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되는 캠(14)의 타단면은 개폐문(20)의 일면을 밀게 됨으로써, 수밀패드(24)의 접촉을 최소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문(20)은 수밀패드(24)의 견고한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어 개폐문(20)과 수문틀(10) 사이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수밀패드(24)의 수명도 상당기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본 고안은, 개폐문(20) 상측에 구비되는 걸림홀더(26)에 권양기(30)가 연결되어 저수량에 따라 개폐문(20)을 상하 이동시키게 되는데, 저수량 조절을 위해 상기 권양기(30)를 작동시켜 개폐문(20)을 상승시에는 개폐문(20)을 밀고 있는 캠(14)이 역회전되면서 개폐문의 롤러(22)가 롤러수용홀(12a)에서 이동되어 수밀패드(24)는 가이드레일(12) 내벽면과 분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밀패드(24)는 마찰력이 최소화 된 상태로 개폐문(20)과 함께 이동될 수 있게 되며, 개폐문(20)과 수문틀(10) 사이에는 벌어진 유격을 통해 물의 방류가 시작된다.
이후 어느정도 물의 방류가 진행되면, 권양기(30)와 연결된 개폐문(20)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문의 롤러(22)가 캠(14)을 눌러 롤러(22)를 롤러수용홀(12a)에 밀게 되며, 밀려진 롤러(22)와 함께 개폐문(20) 또한 가이드레일(12) 내벽면과 밀착되어 수밀패드(24)를 통해 개폐문(20)과 수문틀(10) 사이를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댐에 수용된 물을 누수없이 안정적인 상태로 저장이 가능하며, 비교적 단순화된 수문 구조를 통해 효과적인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댐 설치용 수문은 댐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개폐문과 제방의 수문틀 사이에 장기간 개폐문의 작동에도 견고한 밀폐력을 가지면서도 개폐문이 가이드레일과 일정한 유격을 유지하면서 캠을 통해 가이드레일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밀패드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댐 설치용 수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겠다.

Claims (2)

  1. 댐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댐 제방의 수문틀 양측으로 롤러수용홀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롤러가 구름 이동되면서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착되어 수밀패드를 통해 누수를 방지하는 수문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이 폐문시 자중에 의해 롤러가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캠을 회전시켜 롤러수용홀로 유도되어 개폐문을 가이드레일 내벽면에 가압함과 동시에, 개폐문에 구비된 수밀패드의 압착으로 개폐문과 수문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 설치용 수문.
  2. 댐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댐 제방의 수문틀 양측으로 롤러수용홀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롤러가 구름 이동되면서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착되어 수밀패드를 통해 누수를 방지하는 수문에 있어서,
    권양기에 의해 상승한 후 자중에 의해 상기 개폐문이 폐문시 롤러가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캠을 회전시켜 롤러수용홀로 유도되어 개폐문을 가이드레일 내벽면에 가압함과 동시에, 개폐문에 구비된 수밀패드의 압착으로 개폐문과 수문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 설치용 수문.
KR20-2004-0018494U 2004-06-30 2004-06-30 댐 설치용 수문 KR200361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494U KR200361764Y1 (ko) 2004-06-30 2004-06-30 댐 설치용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494U KR200361764Y1 (ko) 2004-06-30 2004-06-30 댐 설치용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764Y1 true KR200361764Y1 (ko) 2004-09-14

Family

ID=4934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494U KR200361764Y1 (ko) 2004-06-30 2004-06-30 댐 설치용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76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44B1 (ko) 2005-02-24 2006-11-10 주식회사 삼안 다중분할 수문
KR101117510B1 (ko) 2009-10-22 2012-03-16 (주)대동산업 회전가압부재가 구비된 수문개폐장치
KR101129042B1 (ko) 2011-07-14 2012-03-23 주식회사 광희 수문 구조체
KR101220424B1 (ko) * 2010-08-12 2013-01-10 백재호 인양식 수문
CN109853485A (zh) * 2019-03-22 2019-06-07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调节下吸力的水工闸门结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44B1 (ko) 2005-02-24 2006-11-10 주식회사 삼안 다중분할 수문
KR101117510B1 (ko) 2009-10-22 2012-03-16 (주)대동산업 회전가압부재가 구비된 수문개폐장치
KR101220424B1 (ko) * 2010-08-12 2013-01-10 백재호 인양식 수문
KR101129042B1 (ko) 2011-07-14 2012-03-23 주식회사 광희 수문 구조체
CN109853485A (zh) * 2019-03-22 2019-06-07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调节下吸力的水工闸门结构
CN109853485B (zh) * 2019-03-22 2024-02-06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调节下吸力的水工闸门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508341U (zh) 一种水库预泄兼生态流量下泄结构
KR200361764Y1 (ko) 댐 설치용 수문
KR101638160B1 (ko) 슬라이드식 방재용 게이트
KR100749721B1 (ko) 대용량 저장용 슬라이딩 자동보 수문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102463799B1 (ko)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KR200427632Y1 (ko) 가동보의 구동장치
KR200325075Y1 (ko) 수문장치의 도어 안내구조
KR101421228B1 (ko)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JP3074672B2 (ja) 排砂流路の二段ゲート
KR20090116227A (ko) 언주높이를 낯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설치방법
CN109440739A (zh) 一种水闸门的启闭装置
KR100296343B1 (ko) 유동식 수문
CN113605821A (zh) 一种隐藏式地下拦水坝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101977546B1 (ko) 이중수밀구조를 갖는 라이징 섹터게이트 구조
KR200340318Y1 (ko) 부력 및 수압식 가동언(수문)
KR200199882Y1 (ko) 도어형 자동 수문 장치
KR101587203B1 (ko) 인양식 수문장치
KR200340319Y1 (ko) 부력실 위치 가변형 가동언(수문)
KR200361605Y1 (ko)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KR200433102Y1 (ko) 인양수문
KR20050115076A (ko)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