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076A -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076A
KR20050115076A KR1020040040353A KR20040040353A KR20050115076A KR 20050115076 A KR20050115076 A KR 20050115076A KR 1020040040353 A KR1020040040353 A KR 1020040040353A KR 20040040353 A KR20040040353 A KR 20040040353A KR 20050115076 A KR20050115076 A KR 2005011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te
concrete mold
guide b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민아
Original Assignee
안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민아 filed Critical 안민아
Priority to KR102004004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5076A/ko
Publication of KR2005011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07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도어에 의해서 승강되는 압력바를 내장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천용 수문의 실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물이 통과되는 게이트(101)가 형성된 콘크리트 몰드(100)와, 상기 콘크리트 몰드(100)의 상면에 설치된 승/하강 장치(160)의 동작으로 상/하로 이동되면서 게이트(10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콘크리트 몰드(100)의 일면에 설치된 도어(110)와, 상기 도어(110)의 양 측면을 안내하도록 콘크리트 몰드(100)에 부착된 가이드바(120)로 이루어진 하천용 수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20)에 끼워진 상태로 승강되도록 도어(110)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는 두껍고 하부는 얇아지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된 날개편(111)과, 상기 날개편(111)에 형성된 경사면(112)에 대응되도록 상부는 얇고 하부는 두꺼워 지도록 또 다른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가이드바(120)의 내측면에 끼워진 압력바(130)와, 상기 가이드바(120)의 하단부에 힌지(14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는 압력바(130)의 저면을 지지하고 타단부는 도어(110)에 의해서 가압되도록 그 도어(110)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레버(14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sealing apparatus of sluice for watercourse}
본 발명은 하천용 수문의 실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도어에 의해서 승강되는 압력바를 내장하여 수압에 의한 도어의 변형방지는 물론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천용 수문의 실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도시하수처리장, 정수처리장, 산업폐수처리장 및 각종 하천 등의 수로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을 공급/차단하기 위한 수문(2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수로(206)에는 게이트(202)가 형성된 콘크리트 몰드(20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콘트리트 몰드(201)의 일측에는 도어(20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203)는 콘크리트 몰드(201)의 상면에 설치된 승/하강 장치(204)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3)가 설치된 콘크리트 몰드(201)의 일 측면에는 도어(203)가 상하로 이동될 때 그 도어(203)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20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로를 이동하는 물을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도어(203)가 게이트(202)를 차단하도록 승/하강 장치(204)를 작동시켜 도어(203)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고, 수로(206)를 통하여 물이 이동되도록 할 때에는 게이트(202)가 개방되도록 승/하강 장치(204)를 작동시켜 도어(203)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문은 대부분 수압에 대한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철재로 제작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주철재 수문은 고 중량으로서 설치 및 보수시 작업이 불편하였다.
또한, 고 중량의 주철재 수문은 게이트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이동시킬 때 과다한 동력을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였으며, 장기간 사용시에는 부식으로 인하여 수밀성이 저하되었으며, 이로 인한 수문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비금속 재질의 수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25365호와 같이 출원된바 있으며, 이를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수문은 수직프레임(1)(1')의 상부에 탑커버(2)가 설치되고, 그 중앙에 베어링하우징(3)이 장착되어 핸드휠(4)이 부착된 사각나사 타입의 스템(5)이 체결되며, 상기 스템(5)의 하단부에 스템너트블록(6)이 장착된 도어 플레이트(7)가 설치되고, 이 도어 플레이트(7)의 전면 좌우측 단부에 경사면(8)(8')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1)(1')의 외측에 너트(9)(9')가 고정 설치되어 조절??트(10)(10')와 록킹너트(11)(11')가 체결되고, 그 내측 단부에 경사면(12)(12')이 형성된 가이드바(13)(13')가 가이드바 지지틀(14)(14')에 내장 삽입되어 스냅링(15)(15')으로 고정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7)의 경사면(8)(8')의 반대편에 시일홈(16)(16')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시일(17)(17')이 삽입되고, 이 시일(17)(17')은 수직 프레임(1)(1')에 부착된 시일가이드(18)(18')에 당접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수문은 비금속 재질로서 도어를 개폐시킬 때 적은 힘을 이용하게되는 것이며, 도어 플레이트(7)에 형성된 경사면(8)(8')과 가이드바(13)(13')에 형성된 경사면(12)(12')의 접촉으로 수밀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문은 상기 각 경사면의 접촉력이 저하될 경우에는 수중에 위치된 록킹너트(11)(11')와 너트(9)(9')를 풀고 조절볼트(10(10')를 이용하여 각 경사면의 간격을 조절한 후 상기 록킹너트(11)(11')와 너트(9)(9')를 체결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수문의 부식 방지 및 수문의 개폐를 위한 동력을 최소화 할 수 는 있지만, 수밀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반드시 수중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승강동작이 가능하도록 도어를 비금속 재질로 제조함은 물론 그 도어의 양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의 내부에 도어에 의해서 상승 하강되는 압력바를 내장하여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문의 수밀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하천용 수문의 실링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천용 수문의 실링구조는 물이 이동하는 수로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이 통과되는 게이트가 형성된 콘트리트 몰드와, 상기 콘크리트 몰드의 상면에 설치된 승/하강 장치의 동작으로 상/하로 이동되면서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콘크리트 몰드의 일면에 설치된 도어와, 상기 도어의 양 측면을 안내하도록 콘크리트 몰드에 부착된 가이드바로 이루어진 하천용 수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진 상태로 승강되도록 도어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는 두껍고 하부는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날개편과, 상기 날개편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상부는 얇고 하부는 두꺼워 지도록 또 다른 경사면이 형성되어 가이드바의 내측면에 끼워진 압력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부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는 압력바의 저면을 지지하고 타단부는 도어에 의해서 가압되도록 그 도어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레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실링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실링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실링장치가 설치된 도어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실링장치가 설치된 도어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물이 이동하는 수로에는 콘크리트 몰드(10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콘크리트 몰드(100)의 하부에는 물이 통과되는 게이트(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 몰드(100)의 상면에는 이후에 설명할 도어(11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하강 장치(1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몰드(100)의 전면에는 도어(110)가 긴밀히 접촉되도록 패드(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110)는 게이트(101)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도어(110)의 양 측면에는 날개편(1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날개편(111)의 전면에는 날개편(111)의 두께가 상부는 두껍고 하부는 얇아지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몰드(100)의 전면 양측에는 도어(110)에 형성된 날개편(111)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12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가이드바(120)의 내부에는 도어(110)가 콘크리트 몰드(100) 측으로 이동되게 날개편(111)을 가압하는 압력바(13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압력바(130)의 표면에는 날개편(111)에 형성된 경사면(112)에 대응되도록 압력바(130)의 두께가 상부는 얇고 하부는 두꺼워지도록 또 다른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력바(13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압력바(130)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바(120)에는 장공(132)에 끼워지는 안내핀(1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120)의 하단부에는 레버(140)가 힌지(14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레버(140)의 일단부는 가이드바(12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는 도어(110)에 의해서 가압되도록 그 도어(110)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실링장치 및 수문의 재잴은 금속재 및 비금속 재질로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110)가 상부로 이동되면 콘크리트 몰드(100)에 형성된 게이트(101)가 개방되게 되므로 물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110)가 상부로 이동되면 그 도어(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날개편(111)의 두꺼운 부분은 가이드바(120)의 상부로 이동되고 얇은 부분은 가이드바(120)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바(120)에 끼워진 압력바(130)와 소정거리 분리되게 되므로 상기 압력바(130)는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압력바(130)가 하부로 이동되면 그 저면에 접촉된 레버(140)의 일단이 함께 이동되게 되므로 상기 레버(140)는 힌지(14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압력바(130)가 접촉된 일단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레버(140)의 타단에는 외력(도어의 저면)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로를 이동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하여 게이트(101)를 차단할 때에는 승/하강 장치(160)를 이용하여 도어(11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도어(110)가 하부로 이동되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101)가 차단되게 된다.
상기 도어(110)가 하부로 이동될 때, 그 도어(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날개편(111)은 가이드바(120)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어 도어(11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며, 상기 날개편(111)에 형성된 경사면(112)과 압력바(130)에 형성된 경사면(131)이 근접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110)가 하부로 더욱 이동되어 그 도어(110)의 저면이 레버(140)의 타단에 접촉되면 상기 레버(140)는 도어(110)에 의해서 눌려지게 되므로 레버(140)는 힌지(141)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140)가 회전되면 그 레버(140)의 일단은 상승하게 되므로 레버(140)의 일단에 접촉된 압력바(130)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 압력바(130)가 상승될 때 그 압력바(130)에 형성된 장공(132)의 내부에는 안내핀(121)이 끼워져 있으므로 압력바(130)는 좌/우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상승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바(130)가 상승되면 도어(110)의 날개편(111)에 형성된 경사면(112)과 압력바(130)에 형성된 경사면(131)이 서로 접촉되어 날개편(111)과 압력바(130)의 압력이 발생되므로 도어(110)의 양 측면을 긴밀히 접촉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110)의 양 측면을 접촉시키는 압력은 도어(110)의 전체면으로 전달되어 도어(110)를 패드(150) 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수밀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게이트(101)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도어(11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도어(110)에 형성된 날개편(111)의 경사면(112)과 압력바(130)에 형성된 경사면(131)이 분리되는 것이며, 상기 압력바(130)는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되고, 이때 레버(140)의 일단은 압력바(130)와 함께 이동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문 실링구조는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도 도어(110)가 상승/하강함에 따라서, 압력바가 연동되어 도어를 콘크리트 몰드 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수문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문 실링구조는 도어와 압력바의 접촉력에 의해서 수밀을 위한 가압력이 발생되므로 게이트를 기준으로 물이 유입되는 입측은 물론, 물이 배출되는 출측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로를 이동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몰드에 형성된 게이트를 차단하는 도어가 하강될 때 그 저면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으로 압력바가 상승되면서 도어에 형성된 날개편의 경사면과 압력바에 형성된 경사면의 접촉으로 가압력이 발생되어 수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접촉면이 마모될 때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와 압력바 사이에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서 수밀성이 유지되므로 물이 유입되는 입측은 물론, 물이 배출되는 출측에도 설치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문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수문의 실링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수문의 실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실링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실링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실링장치가 설치된 도어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실링장치가 설치된 도어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크리트 몰드 101 : 게이트
101 : 게이트 110 : 도어
111 : 날개편 112, 131 : 경사면
120 : 가이드바 121 : 안내핀
130 : 압력바 132 : 장공
140 : 레버 141 : 힌지
150 : 패드 160 : 승/하강 장치

Claims (3)

  1. 물이 이동하는 수로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이 통과되는 게이트(101)가 형성된 콘크리트 몰드(100)와, 상기 콘크리트 몰드(100)의 상면에 설치된 승/하강 장치(160)의 동작으로 상/하로 이동되면서 게이트(10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콘크리트 몰드(100)의 일면에 설치된 도어(110)와, 상기 도어(110)의 양 측면을 안내하도록 콘크리트 몰드(100)에 부착된 가이드바(120)로 이루어진 하천용 수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20)에 끼워진 상태로 승강되도록 도어(110)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는 두껍고 하부는 얇아지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된 날개편(111)과, 상기 날개편(111)에 형성된 경사면(112)에 대응되도록 상부는 얇고 하부는 두꺼워 지도록 또 다른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가이드바(120)의 내측면에 끼워진 압력바(130)와, 상기 가이드바(120)의 하단부에 힌지(14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는 가이드바(120)의 저면을 지지하고 타단부는 도어(110)에 의해서 가압되도록 그 도어(110)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레버(1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수문의 실링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20)에는 안내핀(121)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바(130)에는 안내핀(121)이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장공(13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수문의 실링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몰드(100)의 일면에는 도어(110)의 표면에 긴밀히 접촉되는 패드(1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수문의 실링구조.
KR1020040040353A 2004-06-03 2004-06-03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KR20050115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353A KR20050115076A (ko) 2004-06-03 2004-06-03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353A KR20050115076A (ko) 2004-06-03 2004-06-03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491U Division KR200361605Y1 (ko) 2004-06-03 2004-06-03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076A true KR20050115076A (ko) 2005-12-07

Family

ID=3728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353A KR20050115076A (ko) 2004-06-03 2004-06-03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50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95B1 (ko) * 2006-01-10 2007-05-21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수문장치
KR101030112B1 (ko) * 2010-06-24 2011-04-20 이병순 방류형 수문
KR101276031B1 (ko) * 2011-02-10 2013-06-19 이병순 방류형 수문
KR20170121784A (ko) * 2016-04-25 2017-11-03 양준묵 수로용 물 주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95B1 (ko) * 2006-01-10 2007-05-21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수문장치
KR101030112B1 (ko) * 2010-06-24 2011-04-20 이병순 방류형 수문
KR101276031B1 (ko) * 2011-02-10 2013-06-19 이병순 방류형 수문
KR20170121784A (ko) * 2016-04-25 2017-11-03 양준묵 수로용 물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5076A (ko)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101626007B1 (ko) 탈착이 용이한 수문용 펌프
KR200361605Y1 (ko) 하천용 수문의 실링장치
KR100719495B1 (ko) 하수도용 수문장치
KR200355906Y1 (ko) 수문의 구조
KR20100010477U (ko) 수문
KR20060106488A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KR200413658Y1 (ko)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KR200325075Y1 (ko) 수문장치의 도어 안내구조
KR102463799B1 (ko)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JP3074672B2 (ja) 排砂流路の二段ゲート
KR20050026431A (ko) 수문
KR200246774Y1 (ko) 수문 개폐장치
KR101587983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다단형 수문
KR100372179B1 (ko)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KR101587203B1 (ko) 인양식 수문장치
KR200377415Y1 (ko) 시트 경사형 수문
KR101030112B1 (ko) 방류형 수문
KR100980671B1 (ko) 무게조절이 가능한 보조웨이트 장치를 갖춘 전도 게이트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KR102185931B1 (ko) 수밀성 강화기능을 구비한 수문
KR100296343B1 (ko) 유동식 수문
KR200371612Y1 (ko) 지수막 가스켓을 이용한 이탈방지 및 역류방지용 하천수문
KR102280957B1 (ko) 교체가 용이한 수문인양용 밀폐형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