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544B1 -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544B1
KR840000544B1 KR7902333A KR790002333A KR840000544B1 KR 840000544 B1 KR840000544 B1 KR 840000544B1 KR 7902333 A KR7902333 A KR 7902333A KR 790002333 A KR790002333 A KR 790002333A KR 840000544 B1 KR840000544 B1 KR 84000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ontrol
elevator
progra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123A (ko
Inventor
겐지 요네다
마사오 나까사또
다께오 유미나까
가즈유끼 사까다
누끼 소오시로우 구즈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to KR790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544B1/ko
Publication of KR83000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1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시험신호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시험 장치와, 엘리베이터의 신호 제어장치와의 관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시험 장치와의 송수신용 플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 제어용 컴퓨터의 어드레스 맵(address map).
제5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엘리베이터 운전제어용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6도는 본 발명의 시험 장치용 컴퓨터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7도는 본 발명의 시험 장치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엘리베이터 신호제용 컴퓨터와의 송수신용 플로우챠트.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1실시예의 동작 설명용 타임챠트.
제9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시험운전용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0도는 본 발명의 시험운전 신호의 비트 구성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타이머 시한속도 제어용 시험운전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2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카아 호출 등록제어용 시험운전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3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카아 호출의 등록취소 제어용 시험운전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4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카아 호출 연속등록 제어용 시험운전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5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카아중량설정 제어용 시험운전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6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타이머 카운트의 동작설명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타이머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8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제어신호의 입력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
제19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서 카아 호출등록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엘리베이터의 신호제어부에 디지틀 컴퓨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받도체 집적 기술의 진보에 따라 접적도는 MSI, LSI로 진보되어 소형의 디지털 컴퓨터, 소위 마이크로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어 왔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는 소형, 싼 가격, 높은기능, 저전력 소비라는 점에서 각종 산업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는 MPU(Micro processor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I/O 포트 (Imput Output Port)등으로 구성되나, 이들 제품의 저가격화의 일환으로 이들을 원칩(one chip)으로 구성한, 소원 원칩 MPU도 제품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컴퓨터는 엘리베이터 제어에도 알맞는 것이다. 즉,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는 릴레이가 주체를 이루며 이 릴레이는 수백개에 달하고, 이로 인하여 제어장치가 대형화 되어 릴레이 순차 동작의 복잡화, 나아가서는 기능 향상의 한계나 확장성에 대한 결합등 많은 문제점을 날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적용함으로써 대부분 해결이 가능하며,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신호 제어부에 대해서만 살펴보아도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에는 카아의 실내, 승강로, 승차장, 기계실 등에 각종 기계적 스위치나 카아 구동 장치 등의 전기장치, 보호기구 등이 많이 산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신호제어부를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하여도 전체의 고장은 크게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릴레이로 구성한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제어상태를 감시할 필요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 납입시 및 그 후에 필요에 따라 조정, 검사, 보수 등을 위해 시험운전을 할 필요도 있다.
종래의 릴레이 회로에서는 각 부의 릴레이의 ON, OFF를 확임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감시를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했을 경우 순차 제어가 어떻게 동작하고 있는지 전혀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점에 관해서는 특개소 51-60354호 공보(미국특허 제3,973,648호 명세서)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데이터를 CRT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대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시험운전에 관하여 종래의 릴레이 회로에서는 보수원등이 손으로 릴레이를 투입하거나 클립에 의해 연속 투입하여 시험운전을 해왔었다. 그러나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에서는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할 수 있는 개소는 적으며 충분한 조정, 검사 또는 보수를 행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어떠한 시험장치가 요망된다. 또 상기 종래의 릴레이 회로의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점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면 대단히 유익한 것이다.
(1) 안전성의 확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릴레이를 클립에 의해 연속투입, 혹은 투입저지 하는 것에 의해 시험운전을 하기 때문에 시험운전 종료시에 이들의 원상복귀를 잊을 경우 정규적인 서비스 상태에서 이상상태로 될 우려가 있다.
(2) 시험정밀도 향상: 종래 시험운전을 할 수 있는 것은 수동으로 릴레이를 개폐할 수 있는 범위이며 제어계 전체의 시험을 행하기는 곤란하였다.
(3) 시험운전의 간단화: 종래는 숙련된 보수원 등이 필요하고, 또 시험운전을 하기 위해 장시간이 필요했다. 이는 여러대를 병설한 군(群) 관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더한층 심하다.
그래서 상기 특개소 51-60354호 공보(미국특허 제3973648호 명세서)에는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감시함과 동시에 그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능을 검사하는 방볍에 관해서도 기술되어 있다.이것은 중앙 감시소에 컴퓨터를 설치하여 이 컴퓨터에 엘리베이터 제어데이터를 입력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용 컴퓨터와 절환하여 운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감시용 컴퓨터와 엘리베이터 제어용 컴퓨터와의 동작을 비교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제어용 컴퓨터의 기능을 검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감시용 컴퓨터로서 대형의 것이 필요하게 되며 중앙에서 집중 감시하는 경우라면 좋지만 엘리베이터 설치장소에서 조정 운전하는 경우 등 현장에서 검사하는 경우에는 부적당하다. 또 예를들면, 엘리베이터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호출을 등록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검사장치에서는 호출을 등록하기 위해서 신호 해독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시 및 보수 제어수단이 필요하다.
이 신호 해독수단은 엘리베이터 제어용 컴퓨터에 입력되는 데이터 마다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제어용 컴퓨터에 입력하는 데이터가 한정될 뿐만 아니라 이 때문에 장치도 고가가 된다. 그리고 제어용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한 후에는 이 제어용 컴퓨터에 기억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운전 프로그램에 따라 운전할 수밖에 없으며 현지에서의 보수, 조정 등에 적하한 운전을 행하기는 불가능하다. 즉, 이 장치는 중앙 감시소에서 감시하는 경우에 적합한 것으로 현지에서 보수, 조정 등의 시험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부적당하며 또한 대단히 고가가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신호제어용 디지틀 컴퓨터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고가인 장치가 필요없고 더욱 다양한 시험 운전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안전성이 높은 시험운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용 디지를 컴퓨터내에 당해 엘리베이터를 시험운전제어하는 수단을 내장하고, 시험운전 신호발생수단을 상기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의 시험운전 제어수단을 가동하는 것만으로 당해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을 가능하게 한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상기 시험운전신호 발생 수단의 기능이 정지되었음을 상기 신호제어용 디지를 컴퓨터로써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정상운전으로 복귀 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상 기술한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에 관해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한다. 본 발명을 도시된 1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1호기와 2호기의 2대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들어 1호기와 2호기 및 군관리부의 신호제어를 하기 위하여 각각에 마이크로컴퓨터를 설치하고 있다. 또 시험운전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은 아래 설명에서는 시험장치라 말하고, 이 시험장치에서는 단순히 시험운전 신호를 발생할뿐 아니라 신호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로 부터의 신호를 표시함으로써 감시를 하기 위한 기능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시험운전 신호만을 발생하는 것 이라도 좋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1실시예의 전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1호기의 엘리베이터 제어계 (1)는 안전과 엘리베이터 구동 등의 순차제어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간의 릴레이를 갖는 제어회로(15), 카아호출 등의 버튼(11), 운전선택등의 스위치(12), 엘리베이터의 안전 확인을 하는 리미트 스위치류(13), 카아호출 응답램프 등의 표시기(14)등의 공지의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1호기의 엘리베이터의 신호 제어장치(2)는 엘리베이터 제어계(1)와의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21)와, 신호제어를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22)와, 엘리베이터운전제어 프로그램(PGM2)을 일정 주기마다 우선적으로 처리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 컴퓨터(22)에 개입중단을 거는 개입중단펄스 발생회로(24)와, 본 발명에 의한 시험운전제어를 하기 위한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제어데이터 테이블의 내용을 신호선(DL1)에 송수하는 인터페이스회로(23)와, 군관리제어장치(4)와의 데이터를 송수하는 인터페이스회로(25)로 구성되어있다.
시험장치(3)는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와의 데이터 송수를 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31)와, 마이크로 컴퓨터(32)와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 등으로 부터 송수되어온 데이터와 시험장치(3)의 조작에 편리한 정보를 표시하는 CRT등의 표시장치(34)와, 표시장치(34)에 표시신호를 출력시키는 비데오 제어회로(33)와, 키보드 등의 제어상자나 카세트 테이프 등에 의한 신호입력장치(36)와, 신호입력장치(36)와 마이크로컴퓨터(32) 사이에 위치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35)와, 원방(遠方) 보수장치(7)와의 통신을 행하는 모뎀(modem)(38)과, 모뎀(38)과 마이크로컴퓨터(32)사이에 위치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3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호기 엘리베이터 제어계(6)와 2호기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5)는 1호기의 장치와 동일한 구성이며, 신호선(DL1)에 의해 시험장치(3)와 접속된다. 군관리제어장치(4)는 1호기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와는 엄밀하게는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21)에 상당하는 것이 없으며, 2호기라든가 또한 대수가 많은 경우의 각호기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5)에 인터페이스회로가 추가되는 점이 다를 뿐 그 이외는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마이컴에 의한 신호처리 프로그램은 다른 것이기는 하나, 뒤에 명백해질 본 발명을 군 관리 제어장치(4)에 적용하는 것은 이 분야의 해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 군관리 제어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전체를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제어계(1) 및 (6), 1 및 2호기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5)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군 관리 제어장치(4)를 제거한 상태에서 1 및 2호기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5)만으로 제어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신호선(DL1)과 신호선(DL3), (DL4)과는 공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본 발명의 내용을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해 각각 별도의 신호선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었다. 또 보수기능의 확장을 목적으로 시험장치(3)에 마이크로컴퓨터(32)를 사용했으나 신호입력장치(36)와 인터페이스회로(23)를 직결한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시험장치(3)는 시험운전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며, 그 구체 적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1도를 참작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는 승차장의 호올(hall)호출 버튼 카아내의 행선층 버튼(카아호출 버튼이라고 약칭함), 카아내의 운전반의 도어 개폐 버튼 등으로 된 버튼(11)으로 부터의 제어입력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21)를 거쳐 마이크로컴퓨터(22)에 입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22)는 실제로 사용되는 시간보다 빠른 주기 마다 개입중단 펄스 발생회로(24)로 부터의 펄스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신호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상기한 호출에 보다 능률적으로 안전하게 서비스 하도록 제어하며, 입출력 인터페이스(21)를 거쳐 엘리베이터 제어게(1)의 제어회로(15)나 램프류(14)를 구동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및 엘리베이터 구동 메카니즘 전체가 항상 정상이면 이것으로서 충분하며 본 발명에 의한 신호의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23) 등은 필요치 않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연간 몇차례 정도 크고 작은 여러 가지 고장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원이나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경보로서 알리는 감시반 등은 종래와 똑같이 필요하다.
제1도의 시험장치(3)는 이 감시반의 기능도 갖추고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22)로 부터의 엘리베이터 제어정보를 인터페이스회로(23)와 신호선(DL1)과 인터페이스회로(31)등을 거쳐 마이크로컴퓨터(32)에 입력한다. 따라서 시험장치(3)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22)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인하여 엘리베이터의 고장 진단을 행하여 정상시에는 감시원에 서비스 상황을, 고장 발생시에는 그 내용과 대책방법을 CRT(34)에 의해 알릴 수 있다.
또 최근 보수 서비스를 향상하기 위해 보수센터에 있어서의 집중 감시체제가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보수회사의 보수센터에 설치된 원방 보수장치(7)와의 통신제어를 모뎀(38)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2)에 의해 고장이라고 진단되었을 때나 보수센터로부터 확인하기 위한 요구가 있었을때만 정보를 송수하는 것이 좋을 경우에는 모뎀(38)에 전화회신용 망(網) 제어장치(NCU라 칭함)를 추가함으로써 유지비가 싼 일반가입 전화회선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시기능 외에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했을때필요하게 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시험운전 기능이다.
엘리베이터의 설치 완료에 따른 시험운전시나 조정운전에 한정하지 않고 정기 점검시의 서비스 기능점검이나 군 관리 운전점검을 행하기 위해서는 능률이 높고 신뢰성이 높은 시험 장치가 요망된다.
예를들면, 양단 계층의 카아의 호출을 항상 등록하여 각계층의 엘리베이터 위치표시기의 전구의 끊어짐을 점검하거나 카아 중량을 임의로 설정하여 만원시의 시퀀스 점검을 하거나 군 관리 엘리베이터에서 필요로하는 교통량의 검출 기능의 점검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시험운전 신호는 신호 입력장치(36)로부터 입력하면 좋다. 자동적으로 시험하는 경우에는 카세트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입력 시킴으로써 보수원은 CRT에 의한 점검에 전념할 수 있게 되므로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 마이크로컴퓨터(32)의 능력에 여유가 있으면 카세트 테이프로 부터의 정확한 운전 모드정보에 따라 적합성 판정이나 고장진단을 할 수 있다.
이들의 감시 및 보수를 하기 위해 필요한 시험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신호 제어장치(2)의 중심을 이루는 마이크로 컴퓨터(22)에 시험장치(3)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시험운전하는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수단을 내장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23)를 거쳐 시험장치(3)에 접속하고 있다.
이상에 설명한 제1도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퀀스 상태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모든 신호에 대하여 개발적으로 출력회로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엘리베이터를 시험운전을 하기 위해 필요한 특정 제어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특정입력 회로를 설치하거나 특정의 시험 제어신호발생기(예를들면, 호출버튼)로 부터의 신호와 엘리베이터 제어계(1)의 대응하는 제어입력 신호 라인에 직렬로 삽입하거나, 절환하거나, 병렬 접속하거나 하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제1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다용도의 목적상 입출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호신호 인터페이스회로(23)에 의해 약간의 개수의 신호선(DL1)으로 시험장치와 접속할 수 있으므로 시험장치는 엘리베이터 신호 제어장치(2)를 동일한 구획내에 실제로 장치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호선(DL1)을 1개의 케이블로 하여 시험장치(3)를 착탈자재로 하여 운송이 용이한 장치로 할 수 있다. 또 부호신호 인터페이스회로(23)의 구동전압 레벨을 높이는 등 잡음여유(noise margin)의 향상을 꾀하면 시험장치(3)는 수백미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계실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거나 건물 관리인실이나 또는 엘리베이터 카아네나 카아 상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장발견 및 복구시간의 단축등의 효과와 시험장치(3)을 다수의 엘리베이터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시험장치(3)는 단지 10키보드 만으로 할 수도 있으며 마이크로 컴퓨터(32)를 붙여 다시 모뎀(38)을 사용하거나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높은 기능의 감시 및 시험기능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부가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이것은 시험장치(3)와 마이크로 컴퓨터(22)의 일부 프로그램의 추가나 변경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납입후의 개량이 대단히 용이하게 되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1실시예와 그 효과의 관하여 전반적인 설명을 하였으나 다음에 구체화한 실시예의 관하여 제2도∼제19도로서 설명한다. 제2도는 시험장치(3)의 1실시예의 회로도이며 부호신호 인터페이스회로(23)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32)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로 약칭함)(320)와, 등속호출기억장치(RAM로 약칭함)(321)와, 읽기 전용기억장치(ROM로 약칭함)(32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MPU(320)에는 어드레스버스(AB), 데이터버스(DV), 콘트롤버스 (CB)가 있으며 이들의 버스에는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등으로부터 송신되어온 신호나 신호입력 장치의 일종인 키보드(36)부터의 키 입력신호를 기억해 두는 RAM(321)과, 시험장치(3)의 각종기능을 발휘하도록 짜여진 프로그램을 기억해두는 ROM(322)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버스에는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주변 인터페이스 어뎁터 (PIA라 칭함)(311),(312), CRT(34)표시신호를 출력하는 비데오 제어회로(33), 모뎀(38)과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비동기식 통신 인터페이스 어뎁터(ACIA라 칭함)(37)가 접속된다.
마이크로컴퓨터(22)도 마이크로컴퓨터(3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부호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PIA(23)는 마이크로컴퓨터(22)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술한 삼종의 버스에 접속된다. 또한 도면에서의 블럭(2),(4),(5)으로 부터의 개입중단신호(RC), 1바이트데이터 송신 완료 신호(RTB), 긍정응답신호(AC), 블럭(2),(4),(5)에 대한 버스 사용허가신호(BC₁∼BC₃)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동작설명에서 설명한다. 또 DCB,DTB는 데이터버스이다.
그러면 다음에 1호기는 마이크로컴퓨터(22)의 동작개요를 제3도∼제5도로써 설명한다.
제3도는 전원 투입과 동시에 처리를 시작하는 마이크로컴퓨터(22)의 프로그램PGM₁의 플로우트차트로써 초기치설정 프로그램(initialize program)M10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21)와 부호신호 인터페이스로(23)에 사용하는 PIA의 내부 레지스터의 초기설정과 RAM의 초기설정(보통 전역을 "0"으로 클리어)을 한다. 동시에 스택 포인터(stack pointer)의 설정도 행한다.
다음의 스텝 M110 제2도에 도시하는 시험장치(3)로 부터의 버스할당 신호(버스사용 허가신호)(BC1)에 의해 1호기의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에 대하여 부호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선(DCB)이 버스사용 허가중인가를 판정한다. 만일 버스 사용허가중이면 프로그램 M200으로 나가 키보드(36)으로 부터 입력된 지령에 의거하는 시험 운전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22)에 입력하는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프로그램 M300으로 진행하여 1호에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로부터 시험장치(3)로 송신할 모니터용 데이터 송신 프로그램에 처리를 행한다. 그리하여 이들 두 개의 프로그램은 만일 군 관리 제어장치(4)가 버스사용 허가중(BC2가 "1")이면, 1호기의 버스 사용허가신호(BC1)는 "0"이며, 이때에는 스텝 M110 판정결과는 NO가 되고, 스텝 M110에서 대기 상태가 되어 버스사용 허가가 있으면 이들 두 개의 프로그램을 루우프 처리를 행한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제4도는 1호기를 마이크로컴퓨터(22)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으로, RAM이나 ROM등의 배치상황을 나타낸 어드레스 맵(addressamp)의 개념도 이다.
어드레스 에리어(address area)로서는 a∼k의 에리어가 있는데, a는 어드레스 수치가 작은 번지에 속하며, k는 어드레스의 큰 번지에 속한다. 어드레스 에리어(a)는 마이크로컴퓨터(22)의 연산에 필요한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워크 메모리 에리어(work memory area)이다. 어드레스 에리어(b)는 엘리베이터 제어계(1)로부터 입력된 제어입력 데이터를 격납하는 에리어이다. 어드레스 에리어 (c)는 내부 데이터 메모리 에리어로서, K에리어에 격납 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작성된다. 어드레스 에리어(d)는 엘리베이터 제어계(1)로 출력되는 제어출력 데이터를 격납하는 에리어로서 K에리어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다. 이 a,b,c,d의 에리어는 마이크로컴퓨터(22)를 구성하는 제1의 RAM의 어드레스 영역이기도 하다.
다음에 어드레스 에리어(e)는 시험장치(3)로 부터 송신되어온 시험운전 신호를 격납하는 시험데이터 메모리 에리어이다. 어드레스 에리어(f)는 i에리어에 격납되어 있는 시험 운전 신호 수신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성되는 설정데이터나 시험용 플랙 신호를 격납하는 시험플랙 메모리 에이어이다. 이 e,f에리어는 마이크로컴퓨터(22)을 구성하는 제2의 RAM₂의 번지 영역 이기도 하다. 이와같이 마이크로 컴퓨터(22)은 두 개의 RAM을 갖추고 있다.
다음 어드레스 에리어(g)는 제1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용 PIA의 레지스터의 에리어, 어드레스 에리어(h)는 시험장치(3)와의 부호신호 인터페이스회로(23) 용의 PIA의 레지스터 영역이다.
어드레스 에리어 (i),(j),(k)는 프로그램 에리어로서 i는 시험 데이터 수신과 그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 에리어, j는 제1의 RAM1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시험장치(3)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그램 에리어, K는 호기(號機)제어의 운전 프로그램 에리어이다. K의 에리어는 마이크로 컴퓨터(22)를 구성하는 제1에 ROM1의 에리어이기도 하며 i와 j의 에리어에는 제2의 ROM2의 에리어이기도 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나의 마이크로 컴퓨터 내에서는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와 동일 어드레스 공간에 중복하여 배치할 수는 없다.
여기서 시험운전을 위한 프로그램을 메모리하는 RAM2 및 부호신호 인터페이스회로(23)등은 시험 운전을 행할 때만 부가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때 시험운전을 하기위한 회로는 복수대당 1조를 준비하면 좋으므로 저렴한 값이 된다.
제5도는 제1도의 개입중단펄스 발생회로(24)로 부터의 개입중단펄스(CL2)에 의해 기동되는 엘리베이터 운전제어(호기제어)프로그램(PGM2)의 제네럴 플로우챠트(이하 GFC라 칭함)를 나타낸다. 외부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22)의 MPU에 개입중단신호가 들어오면 먼저, 제3도에서 기술한 시험장치(3)관련되는 스텝M110프로그램 M200, M300의 처리를 일시중단하여 각종 레지스터를 대치시킨후 제5도의 프로그램을 처리를 행한다. 우선, 프로그램 M400의 타이머 제어프로그램 처리를 실행하여 시퀀스 프로그램 PGM21에서 카운트 요구가 있는 타이머의 시한경과 카운트와, 해당 타이머의 카운트 수치의 크기에 의해 프로그램된 소정시한을 만료했는가를 판정하여 타이머 출력플랙을 세트하는 등의 타이머 제어를 행한다. 모든 타이머 처리가 끝나면 프로그램 M400으로 진행되어 엘리베이터 제어계(1)로부터의 제어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프로그램이 처리된다.
다음에 새로 입력된 제어입력 데이터와, 이미 RAM1이나 RAM2에 기억되어 있는 내부 데이터 등을 입력데이터로 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PGM21의 처리를 행한다. 시퀀스 프로그램 PGM21의 대표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과업(task)프로그램으로서 제5도에서는 프로그램 M470∼프로그램 M650으로 이루어지는 7개의 과업프로그램을 나타내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프로그램이 넣어진다. 또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제5도의 전반적인 기능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을 후술하는 제17도∼제20도로써 설명한다.
이들의 시퀀스 프로그램 PGM21의 처리결과 즉, 제어출력 데이터 메모리 에리어(e)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로그램 M690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계(1)로 출력함으로써 예를들면, 카아 응답램프의 점등이나 도어개폐 제어지령을 행한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개입중단 프로그램의 처리는 모두 종료되어 다시 제3도에 나타낸 프로그램의 처리로 복귀한다.
그러면 다음에 시험장치(3)의 마이크로컴퓨터(32)의 동작개요를 제6도와 제7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6도는 전원 투입과 동시에 기동을 시작하는 프로그램 PGM70의 플로우챠트로서, 초기치설정 프로그램 M710은 제2도에 나타낸 PIA(311)과, PIA(312)와, 인터페이스회로(35)의 1실시예인 PIA와, ACIA(37)의 내부레지스터의 초기설정과, AM(321)과, 비데오 제어회로(33)의 내부메모리의 초기설정(RAM321은 일반적으로 모든 에리어를 "0"으로 클리어한다)을 행한다. 다음에 프로그램 M720을 시험운전 조작에 필요한 지령을 입력하는 신호입력장치(36)의 입출력 제어를 행하여, 프로그램 M730은 CRT에 표시코자 하는 데이터의 출력 제어를 행한다.
제7도는 엘리베이터 제어블럭(제2도의 2,4,5)으로 부터의 개입중단 신호(RC)에 의해 기동되는 프로그램 RGM80이며, 공통데이터버스(DCB)의 사용허가 신호(BC1∼BC3)의 제어, 시험운전 신호의 송신, 제어데이터의 수신, 고장검출과 그 자동기록이나 통보등의 제어를 행한다.
제7도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공통버스(DCB)의 제어방법이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제2도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8도의 타임챠트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좌단에 표시한 부호는 신호 및 프로그램 명칭이며, 화살표는 그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중인 것을 나타낸다.
1호기의 버스 사용 허가신호(BC1)가 "1"일 때, 1호기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개입중단처리 프로그램 PGM 2이 종료되면 즉시 시험과 보수를 위해 필요한 부호화된 신호를 송신하거나, 시험데이터를 처리하여 시험운전제어를 행하는 프로그램 M200과 M300(기호ⓐ)이 실행된다.
이러한 처리가 끝남과 동시에 1호기의 버스 사용허가 신호(CB1)은 "0"이 되어 1호기의 프로그램 PGM1은 스텝 M110을 루우프하게 된다.
그리고 시점(t1),(t2)에서의 개입중단펄스(CL2)의 강하에 의하여 프로그램 PGM2가 일정주기 마다 기동되므로 엘리베이터는 필요한 응답속도로 마이크로컴퓨터(22)에 의해 원활하게 운전 제어된다.
버스 사용허가 신호(BC1∼BC3)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결코 툭툭 두드리는 일이 없도록 시험장치(3)에 의해 순환 제어되고 있으며, 다른 제어 장치 블럭(4),(5)도 마찬가지로 제어되도록 되어있다. 시험장치(3)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개입중단처리 프로그램 PGM80이 기동되지 않고 있는 시간대(帝)를 이어 나가도록 하여 키보드 등에 의한 입력장치(36)와의 인터페이스 처리나, CRT에의 표시 데이터의 작성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 M720과 M730을 루우프 처리한다.
다시 제7도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스텝 M805는 제어블록(2),(4),(5)으로 부터의 개입중단신호(RC)에 의해 일단 프로그램 PGM80이 기동되면, 이것이 완료할때까지 송수신 제어신호(RC)를 개입중단 신호로써뿐만 아니라 데이터 확립신호로서 사용할 목적으로 개입중단 마스크를 걸기 위한 것이다.
스텝 M810은 제10도의 시험 운전신호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맨 먼저 송신되어 오는 블록번호(ELNO)와 버스 사용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제어장치 블럭번호를 나타내는 정수(ℓ)가 일치하고 있는가를 확인한다. 만일 불일치로 인하여 NO이면 그때의 ℓ또는 수신한 블럭번호를 기록하여 다음의 블럭은 정상일지도 모르기 때문에 프로그램 M850으로 점프한다.
YES이면 시험데이터 송신 프로그램 M820과 제어 데이터 수신프로그램 M840은 허가되어 있는 블럭의 마이크로컴퓨터와 핸드 쉐이크(Hand shake)방식에 의하여 처리한다. 이것이 끝나면 스텝 M849에 의해 버스사용 허가신호를 일시 OFF하여 시험장치(3)가 고장 관계프로그램 M890∼M894을 실행하는 동안에 마이크로컴퓨터(22)의 프로그램 PGM1등이 불필요하게 진행되는 것을 저지한다. 다음에 프로그램 840에서 수신한 신호의 합리성 체크나 안정성 체크를 행하는 프로그램 M890을 처리한 결과를 스텝 M892에서 판정하여 만일 고장이라고 판정되면 ACIA(37)와 모뎀(38)을 거쳐 그 건물의 관리인실이나 다른 건물의 보수회사에 설치된 원방 보수장치(7)에 경보 또는 통보 정보를 보냄과 동시에 이를 기억해두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이상에서 블럭(ℓ)처리가 끝낚으므로 프로그램 M850에서 블록(ℓ)의 순환제어를 행하고, 프로그램 M870에서 이를 출력하여 스텝 M880에서 개입 중단을 해제하여 시험장치(3)는 다음 블럭의 처리를 하기 위한 이행 준비를 완료한다. 이느 블럭이 완전히 정지상태에 있을때의 대책으로서, 제6도에 프로그램 M740을 추가하여 일정시한 이상 개입중단펄스(RC)가 입력되지 않으면 다음의 블럭으로 진행되도록 개량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중심을 이루는 시험운전 신호 수신 프로그램 M200에 관하여 제9도에 의하여 그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스텝 M202에서 자체의 블럭번호(ELNO)와 시험운전 신호를 송신 요구하고 있음을 시험장치(3)에서 확인시키기 위한 코오트를 제1송수신 데이터로서 시험장치(3)에 송신함과 동시에 제7도의 개입중단 프로그램 PGM80을 기동시키는 개입중단신호(RC)에 "1"을 송신한다. 다음에 시험장치(3)로부터 제10도에 도시하는 5개의 데이터를 수신 처리하기 위한 초기설정을 스텝 M204에서 행한다. 다음에 스텝 M206과 스텝 M207의 루우프에 의해 시험장치(3)로 부터의 1바이트 데이터 송신완료 신호의 역활을 하는 RTB가 "1"이 될때까지 기다린다.
이 송신완료신호(RTB)가 입력되면, 데이터버스(DTB)의 제1송수신 데이터(ELNO)의 블럭번호와 자체 블럭번호와의 일치를 확인(M208)하여 일치하면, 다시 신호(RTB)의 감시스텝인 M210과 M218을 루우프한다.
시험장치(3)로부터 데이터비스(DTB)에 제2수신 데이터(TSTCD)를 송신하면 RTB가 "1"이 되기 때문에 스텝 M210에서 YES가 되고, 스텝 M212에서 제2수신 데이터를 제4도의 에리어(e)에 격납한다. 다음에 스텝 M214에서는 카운터(c)가+1만큼 상향 계수하게 된다. 또 카운터(c)는 스텝 M204에서 수치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카운터(c)는 수치 1로 된다.
차례로 수신하는 제3, 제4, 제5 수신 데이터를 스텝 M212에서 각각의 어드레스에 격납할 때 카운터(c)의 수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1,2,3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갖고 있다. 스텝 M216은 제5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완료이므로 카운터(c)의 수치기 4에 달했는가를 판단하여 스텝 M220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이미 시험 데이터 메모리 에리어(e)에 격납되어 있는 시험 코드(TSTCD)를 조사하여 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선두 어드레스를 선출한다. 그리고 다음 스텝 M222에서는 선택된 선두 어드레스의 시험 프로그램으로 점프하여 이를 실행한다. 또 여기서 스텝 M207과 M218은 시험장치(3)에서의 시험조작정지중, 또는 시험 데이터 송신관계의 소프트 또는 하아드의 고장에 의해 시험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지 않았음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제8도의 타임(Ti)보다 장 시한의 오우버타임에 프로그램하고 있다.
또, 시험 종료에 따라 시험장치(3)를 예를들면, 소켓 연결자에 의한 착발(着拔)이 자유로운 접속기(26)에 의해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2)로부터 떼어냈다고 하면, 이로 인하여 시험데이터의 수신이 되지 않으므로 스텝 M207 또는 M218에 의오 우버타임이라고 판정되어 스텝 M224이 기동되어 과거에 작성한 시험 데이터 플랙을 모두 클리어한다. 또한 여기서 떼어내어진 블럭의 버스사용 허가신호는 "1"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3도의 스탭 M110의 판정은 YES가 되도록 되어있다. 또 시험장치(3)의 고장으로 인해 소정시한 간격 이내에 시험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으면 오우버타임으로 판정(M207)되고, 엘리베이터 호기번호(ELNO)의 자체에 블럭번호가 일치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M208에서 NO로 판정되어 스텝 M224의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스텝 M224가 실행되면 모든 시험 기능을 정지시킬수 있으므로 기능적으로는 고장난 시험장치(3)를 자동적으로 떼어낸 것이 된다.
제9도에 따른 실시예의 효과로서는 시험장치(3)의 신뢰성과, 엘리베이터 신호제어장치의 신뢰성의 상호간의 영향을 대단히 낮게할 수 있다. 또 시험장치(3)에 의한 시험 동작의 중지 지시의 상실 등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시험코드(TSTCD)와 그 시험기능의 실시예를 제10도 및 아래의 제1표에 나타낸다.
[제1표]
Figure kpo00001
여기서는 제11도∼제15도에 의해 시험 코오드(02)의 타이머 속도제어의 시험프로그램 M230으로부터 시험 코오드(10)의 카아 중량 설정제어 까지의 시험프로그램 M27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타의 시험 운전제어의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로 작성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10도에 도시하는 제3수신 데이터로부터 제5수신데이터로 들어오는 시험데이터가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는 시험 코오드에 따라 다르다. 또 서비스 층이 24층을 넘을 경우에는 가장 많은 시험데이터로 되어 이때는 제9도의 스텝 M216의 판정수치(4)를 크게하면 된다. 또 시험코오드(TSTCD)에 따라 수신하는 데이터 길이를 가변하거나 시험 코오드의 일부를 독립시키거나 시험 코오드의 전후에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코오드를 추가하여 제어하는 것은 용이한 것이다.
이와같은 때에는 스텝 M216의 수치(4)는 변수로 되어 제9도는 약간의 플로우의 변경이 필요하게되나, 해당업자들로서는 쉬운 일이다. 그러면 제11도와, 제16도, 제17도에 의해 타이머 속도 시험 제어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1도의 프로그램 M230은 제2수신 데이터 (TSTCD)의 수치가 02일 때 제9도의 스텝 M222에서 기동되어 실행 처리되는 타이머 속도제어용 시험 프로그램 M230을 나타낸다. 스텝 M232에서 제10도에 나타내는 제1시험데이터(TSTDTI)의 수치를 판정하여 01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므로써 타이머 속도제어를 개시할 시험명령인지 타이머 속도제어를 제거할 시험명령인지를 판단한다. 전자의 경우(TSTDTI=01)는 YES가 되어 스텝 M234에 의해 타이머 속도시험 플랙(FTIM)을 "1"로 세트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NO가 되어 스텝 M236에 의해 타이머 속도시험 플랙(FTIM)을 "0"으로 클리어 한다. 또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제9도의 스텝 M224의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에도 시험플랙(FTIM)은 "0"으로 클리어된다.
이와같이 시험데이터 수신 프로그램 M 200에서 제어되는 시험플랙(FTIM)은 타이머 제어프로그램 M400에서 타이머를 빠르게하는 제어를 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에 사용된다.
제17도에 도시한 타이머 제어프로그램 M400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타이머 제어 전반에 관한 개요를 설명한다. 타이머 제어프로그램 M400은,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개입중단펄스(CL2)의 주기마다 기동된다. 예를들면, 이 주기가 10ms라 하면, 프로그램 PGM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타이머 제어프로그램 M400은 10ms마다 기동된다. 여기서 마이크로컴퓨터(22)의 MPU가 8비트기구라하고, 시퀀스 타이머 카운터용 내부 데이터 레지스터로서 1바이트(8비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했을 때 이때 얻어지는 최대 지연시한은 28×10ms=256 ×10ms=2.56초이다. 이것으로서는 자동 도어 폐시한, M-G자동정지시한, 도어를 여는 연장시한, 로프 신장보상마감시간, 시게용 타이머, 교통량 등을 샘플하는 타이머 등의 장시한을 필요로하는 타이머를 만들수는 없다.
또 이들의 타이머 시한에는 시험장치(3)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타이머 속도를 빠르게 하고 싶은 타이머(상기한 7개의 모두 포함된다)와 예를들면, M-G의 y-Δ절환시한과 같이 안전상 타이머 빠르기가 바람직스럽지 않은 것과, 1초 미만의 타이머 같이 타이머를 빠르게 하여도 시험효율이 향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두 가지 현상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1바이트의 두종류의 타이머용의 기준펄스 레지스터(PTMA)와 (PTAB)를 설치하여 제17도에 나타낸 프로그램 M418에서는 각 시쿼스 타이머의 카운트는 이들 기준 펄스중에서 임의의 펄스를 선택하여 이 펄스가 "1"인ㄸㅒ만 상향계수(count up)를 행하고, "0"일 때는 카운트 수치를 유지하도록 처리된다. 단, 기준펄스 레지스터(PTMB)만을 타이머 가속시험 표시의 지시에 따라 펄스 간격을 1/32로 단축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머의 가속시험 표시의 지시에 따라 펄스 간격을 1/32로 단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머의 가속을 필요로하는 시퀀스 타이머는 기준펄스로서 레지스터(PTMB)의 펄스를 사용한다.
예를들면, 타이머 가속을 필요로하는 60초의 시퀀스 타이머(A)에서는 레지스터(PTMB)이 0비트째의 0.64ms(후술한다)인 기준 펄스를 94카운트 하면 이 시퀀스 타이머(A)의 출력을 "1"이 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60초의 타이머는 타이머 가속 시험기능에 의해 빠른 동작으로 하면 약2초에서 동작하므로 시퀀스 체크속도가 상승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16도는 기준펄스(PTMA)를 작성하는 프로그램 M401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카운터(CTMA)의 내부 데이터를 스텝 M402에 의해 ACCA(accumulator A)에 인가하고, 다시 보수를 취한다. 즉, 제16도에 나타낸「ACCA←CTMA」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M404에 의해 카운터(CTMA)의 +1카운트업을 행한다. 즉「CTMA←CTMA+1」의 처리를 한다. 다음에 스텝 M406에 의해 ACCA와 카운터(CTMA)의 논리적(積)을 각 비트 마다 취한 결과를 기준 펄스 레지스터(PTMA)에 저장한다.
즉, 「 PTMA←CTMA ·ACCA」의 처리를 한다. 프로그램 M406에 의한 레지스트(PTMB)도 기본적으로는 이상의 동작에 따라 작성된다.
이것을 요약과면 다음과 같다. 카운터의 각 비트중에서 "0"∼"1"로 변화한 비트와 동일한 기준펄스 레지스터비트가 다음에 프로그램 M400이 기동되는 10ms기간만 "1"이 된다. 프로그램 M407과 프로그램 M401의 상이점은, 스텝 M412이 추가되어 있는 점에 있으며 기타의 스텝 M408,M414,M416의 처리방법은 프로그램 M410과 동일하다. 스텝 M410은 전술한 시험플랙(FTIM)이 타이머 가속지령에 의해 "1"이 되어 있는지 안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만일 "0"이면 NO가 되어 스탭 412에 의해 기준펄스 레지스터(PTMA)의 4 비트째의 기준펄스(PTMA4)의 판정을 행한다. 만일, "1"이면 스탭 M412로 진행하여 카운터(CTMB)를 +1카운트업시킨다. 만일 "0"이면 카운터(CTMB)의 수치는 보류되어 스텝 M416에서는 레지스터(PTMB)는 모든 비트가 "0"이 된다.
즉, 기준 펄스 레지스터(PTMB)의 0비트째의 기준펄스(PTMB0)의 펄스간격은 640ms(2×21+4×10ms가 된다.이것은 10ms마다 프로그램 M401이 기둥되어 다시 상승검출에 의해 기준펄스를 만들기 때문에 기준펄스(PTMA0)의 펄스간격은 20ms(2×10ms)가 된다. 따라서 기준펄스(PTMA4)는 320ms(2×2⁴×10ms)가 되기 때문이다. 한편, 타이머 가속지령에 의해 시험플랙 FTIM"1"이면 스텝 M410의 판정이 YES가 되어 기준펄스 레지스터(PTMA)의 프로그램 M401과 같이 매회 카운터 (CTMB)가 카운트업되므로, 기준펄스(PTMB0)의 펄스간격은 640ms이었던 것이 20ms로 단축된다.
따라서 스텝 M418에 의해 제어되는 각 시퀀스 타이머 중에서 기준펄스로서 기준펄스 레지스터(PTMB)를 사용한 것은 타이머시한의 1/32의 가속동작이 될 수 있으므로 보수시의 시퀀스 점검 효율이 행상된다. 예를들면, 엘리베이터도어의 개폐 시한을 빠르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정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시운전의 효율이 향상된다.
다음에 제12도에 의해 카아 호출 세트 제어에 있어서의 시험프로그램 M240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표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수신 데이터(TSTCD)의 수치가 04일 때 제12도에 나타낸 시험프로그램 M240이 기동된다.
다음에 스텝 M244에 개입중단 펄스(CL2)에 의한프로그램 중단을 저지하기 위해 개입중단 마스크를 행한다(이유는 후술한다).
다음에 스텝 M244에 의해 시험 데이터(TSTDT)과 (TSTDT2)를 카아 호출 버튼 입력데이터 테이블에 격납한다. 다음의 스텝에서는 제5도에 나타낸 호기 제어 프로그램(PGM2)의 일부를 형성하는 카아 호출 등록 프로그램 M500의 서브루틴(subroutine) (상세한 것은 후술함)을 그대로 유용하여 기동시켜 실행한다. 이에 의해 시험장치(3)로부터 보내지는 시험데이터의 신호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의 카아호출 신규등록 세트을 행할수 있다.
스텝 M246에서는 개입중단 마스크를 해제하여 프로그램 PGM2을 기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사실예에서는 카아호출 세트용 시험데이터를 카아 버튼으로 부터의 제어 입력데이터를 저장하는 번지에 저장하여 본래의 호기제어프로그램 PGM2의 일부를 유용하여 시험 처리시키고 있다.
따라서 만일 이 시험 처리중에 개입중단이 걸려 프로그램 PGM2이 기동되면, 프로그램 M440에 의해 시험데이터는 파손되어 버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시간 동안만 개입중단 처리를 저지할 필요가 있다. 스텝 M242은 그 때문에 설치한 것이다. 다음에 제13도와 제19도에 의해 카아 호출의 등록취소 시험제어에 있어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3도의 시험 프로그램 M250은 제2 수신 데이터(TSTCD)이 수치가 06일 때 제9도의 M222에서 기동된다.
스텝 M252에 의해 카아 호출을 모두 클리어하는 시험 폴랙(FCRGCR)를 "1"로 세트하고, 다음 스탭에서 서브루틴 M500을 기동하면 시험폴랙(FCRGCR)이 "1"이기 때문에 모든 카아 호출이 클리어 된다.
다음의 스탭 M254에서는 시험플랙 (FCRGCR)를"0"으로 환원시키고 그 다음에 프로그램 PGM2에 의해 서브루틴이 실행 되었을 때에는 카아 호출을 취소하여 시험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19도는 서브루틴화된 카아 호출 등록 프로그램 M500을 상세하게 설명한 플로우챠트이다.
제1스탭 M502에서는 제5도의 서비스방식 선택 제어프로그램 M470에서 작성된 내부데이터인 서비스 모드 (SMNO)의 수치가 8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시험 모드번호 (SMNO)의 수치와 서비스 방식과의 관계의 1예를 제2표에 나타낸다. 이러한 서비스 방식은 모두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M470의 상세한 플로우챠트는 생략한다.
[제2표]
Figure kpo00002
이로써 알수 있듯이 카아 내의 행선층 버튼에 의한 카아 호출등록 및 그 호출의 서비스는, 서비스 모드번호 (SMNO)가 8이상으로 제한되어 있다.
스탭 M502은 이를 이용하여 카아 호출 서비스의 유무 판정을 빠른 처리속도로서 실행하고 있다. 만일, 8미만이고 NO라고 판정되면 스텝 M510으로 진행되어 출력데이터 테이블 에리어의 일부를 형성하는 카아 호출등록 출력 데이터를 "0"으로 클리어 한다. 또 8이상이면 YES가 되어 다음 스탭 M504에 의해 제13도의 시험 프로그램 M520에서 제어되는 카아 호출 클리어 시험플랙 (FCAGCR)가 "0"인가 "1"인가를 판정한다. 일반적으로는 "0"이며 NO라고 판정되어 스텝 M506으로 진행된다. 이 스텝 M506에서는 다음 스탭 M508을 행할 것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M508은 카아 내의 운전반내에 설치되어 있는 카아호출 취소 버튼의 제어 입력 데이터(CAGCPB)의 유무 판정 제어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카아 호출취소 버튼이 조작되는 것은 서비스 모드(SMNO)가 8 또는 9일 때 뿐이며 필요없이 스텝 M508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19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모드번호 (SMNO)가 8인운전수에 의한 수동운전과, 서비스 모드번호 (SMNO)가 9인때의 특징 이용자에 의한 화물 운전시 등에 사용하는 전용운전시에 한하여 상기한 카아 호출 취소 버튼을 유효로 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YES가 되어 스텝 M508을 처리하여 만일, 취소 버튼이 눌려 있지 않으면 NO로 판정되어 스텝 M520으로 진행한다. 스텝 M520에서는 카아 호출의 세트 및 써어비스 종료에 의한 카아 호출 리세트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다음 제14도와 제18도에 의해 카아호출 연속 등록 시험제어를 설명한다.
제14도는 카아호출 연속등록 제어를 하는 시험 프로그램 M260으로서, 제2 수신 데이터(TSTCD)의 수치가 08일 때 제9도의 스텝 M222에서 기동된다. 스텝 M262에서 제3수신 데이터인 제1 시험 데이터(TSTDT1)의 수치가 01인지 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카아 호출 연속 세트플랙(FCAGCS)를 "1"로 세트하는 스텝 M264으로 진행할 것인가, "0"으로 리세트 하는 스텝 M268으로 진행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있다. 만일, 제1시험 데이터(TSTDT1)가 01이면, 스텝 M264으로 진행하여 다시 스텝 M266으로 진행하여 제2시험 데이터(TSTDT2)와 제3시험 데이터(TSTDT3)(연속 등록하고 싶은 카아호출 층계를 나타내고 있다)를 카아호출 시험 데이터(DCAGC)의 메모리 에리어에 격납한다.
다음에 이들 시험 데이터와 시험 플랙에 의해 카아호출 연속등록이 되는 것을 제18도로서 설명한다.
제18도는 제5도에 나타낸 호기제어 프로그램 PGM2에 포함되는 제어입력 신호의 입력 프로그램 M440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 442은 카아호출 버튼으로 부터의 제어입력 신호를 카아호출 버튼입력 데이터의 에리어(CAGCB)에 격납한다. 스텝 M444에서는 카아 호출연속 세트플랙(FCAGCS)가 "1"인가를 판정하여 만일, "1"이면 스텝 M446으로 진행하고, 카아 호출 시험 데이터(DCAGC)와 스텝 M442에 격납한 카아호출 버튼 입력 데이터(CAGCB)와의 논리합을 취하여 CAAGC테이블에 저장한다.
즉, 일단 시험 플렉(FCAGCS)가 "1"이 되면 그 후 몇회의 호기 제어 프로그램 PG2가 기동되어도 시험데이터(DCAGC)에 격납된 층의 카아 호출이 "1"로 세트위되어그들의 카아 호출이 연속 등록되게 된다. 연속 등록의 시험 제어를 종료하는데는 이를 위한 지령을 키보드(36)에 의해 입력시켜 마이크로컴퓨터(32)가 이 지령에 의거한 시험코드번호(TSTCD)로서 08, 다음에 보내는 제1시험 데이터 (TSTDT1)로서 예를들면, 02(01이 외이면 모두 Ok로 하고 있다)를 송신한다.
다음에 제15도와 제18도에 의해 카아 중량 설정 시험 제어를 시행한다. 제15도의 시험 프로그램 M270은 제2 수신 데이터(TSTCD)의 수치가 10일 때 제9도의 스텝 M222에서 기동된다. 스텝 M272에서는 제1시험 데이터(TSTDT1)의 수치가 01인가의 여부에 의하여 카아 중량 설정 플랙(FCAGWS)을 "1"로 하는 스텝 M274으로 진행할 것인가, "0"으로 리세트하는 스텝 M278으로 진행할 것인가를 판단한다. 만일 "1"이면 스텝 M274에 계속하여 스텝 M276이 기동되어 제2 시험데이터(TSTDT2)를 카아 중량 설정 시험 데이터(DCAGW)에 격납한다.
일단 세트된 카아 중량 설정 실험 데이터(DCAGW)와 플랙(FCAGWS)은 이를 취소하느냐 또는 설정치가 다른 그 외의 시험데이터가 입력될 때 까지는 그 값을 바꾸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제어되는 카아 중량 설정용 표시와 시험데이터는 제18도의 스텝 M451과 스텝 M453에서 사용한다.
설정표시 (FCAGWS)가 수치 01일때는 스텝 M451은 YES가 되어 시험 데이터(DCAGW)를 제어 입력 데이터 (CAGW)에 저장한다. 한편, 플랙(FCAGW)을 "0"으로 리세트하도록 시험장치의 키보드를 조작하면 스텝 M451의 판정은 NO로 되어 스텝 M452로 진행하여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아내 중량 검출장치로 부터의 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입력 데이터 에리어(CAGW)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제어된 카아 중량 입력데이터(CAGW)는 제5도에 나타낸 만원 및 과부하 검출 제어 프로그램 M600에서 사용된다. 즉 입력데이터(CAGW)의 수치가 크면 만원으로 판정하여 카아호을 호출 통과나 만원 표시 램프의 점등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수치가 크면 과부하 검출을 행하여 카아내에 경보를 울리거나 도어의 닫힘을 저지하는 등의 제어를 한다. 또 장난에 의해 카아가 호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호출 제어 프로그램 M650은 카아 중량 입력 신호 데이터(CAGW)의 수치 (승객수에 거의 비례)와 등록되어 있는 카아호출 수를 비교하여 카아 중량에 대해 카아호출 수가 지나치게 많을 때는 카아 호출에 장난에 의한 등록이 있었다고 판단하여 경보나 취소등의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중량에 의한 제어처리와, 엘리베이터 제어계를 포함한 점검을 할때 1,000kg나 되는 무게를 몇십번씩 실었다. 내렸다 하지 않아도 시험장치의 키보드로써 자유로히 카아의 중량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보수 효율이 상승한다. 제18도의 스텝 M471은 안전상 시험장치(3)로 부터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구체적 사례이다.
이상 1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과 같은 변형도 용이하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관리제어부와 호기제어부의 신호 송수 라인(DL3),(DL4)과, 시험데이터를 송수하는 송수신호선(DL1)을 각각 별계로 하고, 있으나, 신호선(DL1)을 버스분산 제어등의 관리 제어를 행함으로써 신호선(DL3)과 (DL1)의 송수 신호를 신호선(DL1)에서 송수할 수 있다.
또 시험장치(3)로서 감시용 단말과 점검용의 2종류를 설치하여 통상시는 감시용 단말 장치로 하여 엘리베이터 신호 제어장치와 원방 보수장치와의 접속용으로 사용하는 일반 가입 전화회선등에 의한 장거리 신호선(DL2)의 제어나 데이터 송수신호의 축소를 하기 위한 부호화나, 코오드화의 제어, 고장판단과 그 상황 신호의 일시 기억과 원방 보수장치에의 송신 개시 제어등을 행한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충분한 시험을 할수 없었던 디지틀 컴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가장 용이하게 다양한 시험운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장치도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높은 정밀도의 시험이 가능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조정이나 검사 및 보수작업이 대단히 용이해진다.

Claims (1)

  1. 다층상간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장치, 이 엘리베이터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신호제어용 디지틀 컴퓨터에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제어용 디지틀 컴퓨터, 이 신호제어용 디지틀 컴퓨터로 부터의 신호를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신호제어용 디지틀컴퓨터에 내장되어 당해 엘리베이터장치의 시험을 행하기 위한 시험운전 제어장치, 상기의 신호제어용 디지틀 컴퓨터와 착탈 가능한 접속장치와, 개재하여 접속시켜 상기의 시험운전 제어장치 기동하기 위한 시험운전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장치.
KR7902333A 1979-07-13 1979-07-13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 장치 KR84000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333A KR840000544B1 (ko) 1979-07-13 1979-07-13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333A KR840000544B1 (ko) 1979-07-13 1979-07-13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123A KR830001123A (ko) 1983-04-29
KR840000544B1 true KR840000544B1 (ko) 1984-04-20

Family

ID=1921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333A KR840000544B1 (ko) 1979-07-13 1979-07-13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5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123A (ko) 198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0838A (en) Elevator test operation apparatus
JPH0630776Y2 (ja) エレベータ設備の遠隔管理装置
CN103287932B (zh) 电梯系统
EP0603682B1 (en)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elevator equipment
JPS6133876A (ja) 遠隔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rems)ステートマシン
KR840000544B1 (ko) 엘리베이터의 시험운전 장치
JP3207920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7412316B2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S63101290A (ja) エレベ−タの試験運転装置
JPH0199358A (ja) 遠隔監視装置
JP2894420B2 (ja) ビル管理装置
JPS63101289A (ja) エレベ−タの試験運転装置
JP2728149B2 (ja) エレベータの通報装置
JPH10167599A (ja)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CN117303141A (zh) 电梯控制装置以及电梯系统
JPH038680A (ja) エレベータの作業応援要請装置
JP3663327B2 (ja) 設備機器監視装置およびその固有情報登録方法
JP2534770B2 (ja) エレベ―タ保守員の緊急通報装置
JPH0822589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
JP3028864B2 (ja) エレベータの通報装置
JPH05178554A (ja) エレベータ表示灯の点検装置
CN114763236A (zh) 电压信号处理单元、层门故障定位系统及方法、电梯系统
JPH0656366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
JPH06293477A (ja) 異常監視診断方法
JPH0689397A (ja) エレベータ故障調査支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