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343Y1 - 차량용 휘일 - Google Patents

차량용 휘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343Y1
KR840000343Y1 KR2019810008364U KR810008364U KR840000343Y1 KR 840000343 Y1 KR840000343 Y1 KR 840000343Y1 KR 2019810008364 U KR2019810008364 U KR 2019810008364U KR 810008364 U KR810008364 U KR 810008364U KR 840000343 Y1 KR840000343 Y1 KR 840000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late
rim
attachment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024U (ko
Inventor
다게시 가와구찌
야스히사 고바야시
마사유기 오니마루
Original Assignee
혼다 기겡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가와시마 기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겡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가와시마 기요시 filed Critical 혼다 기겡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10008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343Y1/ko
Publication of KR830000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6Wheels with compression spokes
    • B60B1/14Attaching spokes to rim or hu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6Wheels with compression spokes
    • B60B1/10Wheels with compression spokes fabricated by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6Rims characterised by means for attaching spokes, i.e. spok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휘일
제1도는 휘일의 림과 플 레이트의 결합을 종래의 수단에 따라 나타낸 확대 단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휘일 주요부분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플레이트 부착부의 확대 사시도.
제5도는 플레이트와 림의 결합부의 확대 단면도.
본 고안은 자동 이륜차와 같은 차량에 사용하는 휘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포우쿠를 플레이트로 대체하여 림과 허브에 결합하도록 구성한 휘일에 있어서, 림과 허브를 결합하는 플레이트의 압축력과 인장력의 작용선을 부착 좌면의 결합 중심선과 대략 교차되도록 배설하여 휘일의 횡강성 및 횡하중 강도를 향상시키고 강성 및 강도를 높여 줄 수 있도록 한 자동 이륜차와 같은 차량에 사용되는 휘일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휘일, 특히 자동이륜차에 사용하는 휘일은 일반적으로 스포우크식 휘일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형식은 부품수가 많고 스포우크를 조립하기가 까다롭고 번잡하며, 이들을 부착하는 공구수도 극히 많아서 휘일 제조상 불리하며, 또 이때문에 필연적으로 원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륜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원판식 휘일도 고안할 수 있으나, 이렇게 하면 휘일이 아무래도 육중한 느낌을 주는등 자동 이륜차의 휘일로서는 외관성을 해칠 염려가 있고 디자인상 문제가 있으며, 또 휘일의 중량도 필연적으로 커저서 자동 이륜차의 조향성과 주행 안정성 및 주행급유등의 주행성능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원판에 절결 및 천공등을 마련하는 것도 고안할 수 있으나 이렇게 할 경우 재료의 낭비가 많고 원판 소재의 외관성 때문에 값비싼 재료를 사용하였을 경우 재료비의 문제가 생겨서 재료 경제상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이와같은 종래의 자동 이륜차의 휘일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림과 허브를 플레이트로 결합하는 차량용 휘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휘일은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상의 림(1)의 내경부 중앙에 돌기부(2)를 마련하고, 이 돌기부의 좌우 측면에 2장을 1조로 대칭 형상으로 성형한 플레이트(3)(3)의 선단부를 접합하고 리베트(5)와 같은 결합부재로 플레이트(3)(3) 및 돌기부(2)를 결합하고 플레이트(3)의 하단부를 차축방향으로 폭이 넓은 허브(6)의 차축방향 양단에 보울트(8) 및 너트(9)와 같은 결합부재로 결합하고, 이 플레이트를 원주상에 여러개의 조로 배설하여서 휘일을 구성하고 1조의 플레이트(3)(3)는 휘일의 외경부 방향을 정점으로 하고 중심의 허브(6)의 축방향외주를 밑변으로 하는 이동변 삼각형으로 조립하여 휘일의 횡강성 및 횡하중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휘일에 있어서 이상의 구성을 채용하므로써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림(1)의 돌기부(2)와 접합하는 플레이트(3)(3)의 각 부착부(3a)(3a)의 좌면을 이 돌기부(2)와 평행되게 하고 이 플레이트(3)(3)의 부착부(3a)(3a)를 돌기부(2)에 부착하여서 전기한 횡강성 및 횡하중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축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와같은 결합에 있어서 휘일에 횡하중(F)이 작용 하였을 경우, 이 횡하중(F)으로 플레이트(3)(3)의 한편에는 인장력(F1)이 작용하고, 다른편에는 압축력(F2)이 작용하는데, 이들 힘(F1)및 (F2)는 부착부(3a)(3a)의 좌면중심 즉 리베트(5)의 결합부 중심에 작용하지만 절곡부분(C)(C)이 개재된 후에는 횡하증(F)은 절곡부분(C)(C)에 굽혀진 하증으로 작용하여 횡강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것은 허브(6)축의 부착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이 부분에 굽게하는 하중의 작용때문에 소성변형이 생기고 휘일의 균형을 깨트리는 등의 좋지 않은 영향도 발생하게 되어 주행상 불편을 가져오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생기게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류의 휘일에 있어서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이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하는 바는 림(1)과 허브(6)를 차축방향으로 분할하여 2장을 1조로 하는 플레이트(3)(3)로 결합하도록 하 자동이륜차와 같은 차량에 사용하는 휘일에 있어서 플레이트(3)의 림(1)과 허브(6)의 결합을 횡하중시의 인장력과 압축력의 작용선이 결합부의 차축방향의 결합 중심선과 교차되도록 배설하여 휘일의 횡강성 및 횡하중 강도를 향상시킨 자동이륜차와 같은 차량에 사용하는 휘일을 제공 하였으며, 또 본 고안은 자동 이륜차등의 휘일 구조 및 조립을 간단화 하였고, 외관성이 양호하여 재료 경제상에서도 유리하며, 휘일의 원가절하 또는 양산화등에 이바지 하는 차량용 휘일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가장 적합한 한가지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휘일은 림(1)과 2장을 1조로 한 플레이트(3)(3)의 차축 부착부인 허브(6)로 구성되었으며, 림(1)은 압출식 혹은 로우링 성형등에 따라 알미늄합금 등으로 링형으로 형성하였으며, 이 림(1)의 내경부 중앙에는 내경부 방향으로 돌기부(2)가 일체가 되게 링형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었으며, 이 돌기부(2)의 좌우 부착좌면(2a)(2a)은 차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형성한다.
플레이트(3)(3)는 2장을 1조로 하여 좌우 대칭형으로 성형되었으며, 이 선단부 및 하단부에는 부착부(3a) 및 (3b)가 각기 형성된다. 플레이트(3)(3)는 부착부(3a) 및 (3b)가 림(1)의 돌기부 좌우의 부착좌면(2a)(2a)에 평행하고 또 나중에 설명하는 허브(6)의 부착단부의 차축과 대략 직각으로 형성한 부착좌면(7a)(7a)에 평행하도록 형성한다. 플레이트(3)(3)는 차축방향으로 극히 폭이 좁은 (길이가 작은)림의 돌기부(2)와 차축방향으로 길이가 큰 허브(6)의 사이를 결합하며, 전기한 부착부(3a)(3a)에서 절곡하여서 조립상태에서 림(1)측을 정점으로 하고, 허브(6)축을 저변으로 하는 2등 변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게 결합하여야 하므로 부착부(3a)를 제4도 및 제5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구성한다.
즉, 부착부(3a)는 경사진 플레이트(3)의 선단부를 프레스 성형등으로 부착구멍(4)(4) 부분만을 압출하여서 림(1)의 돌기부(2)의 부착좌면(2a)과 평행되게 성형하고, 이 부착좌면(3a)을 구성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플레이트(3)의 중간부(3c)와 직선형으로 연속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중간부(3c)와 연속하는 부분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서 부착구멍(4)(4)의 중심과 교차하고 이 교차부(P)로부터의 앞부분이 부착부(3a)의 평행한 부분과 합류되어 이 부분(P)에서 꺽어져 있다. 다른 플레이트(3)도 마찬가지로 구성하고, 또는 허브(6)측의 부착부(3b)도 마찬가지로 구성한다.
허브(6)에는 차축방향의 양단에 부착단부(7)(7)를 형성하고 이 부착좌면(7a)(7a)을 차축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형성하여 플레이트(3)(3)의 하단 부착부(3b)(3b)를 그 좌면(7a)(7a)에 접촉시키고 보울트(8) 및 너트(9)로서 차축방향으로 낙착 결합한다.
림(1)측은 림의 내경부에 마련한 돌기부(2) 좌우의 부착좌면(2a)(2a)에 플레이트(3)(3)의 선단 부착부(3a)(3a)의 내면을 접하고 플레이트(3)의 부착구멍(4)(4)이 림의 돌기부(2)에 들어 맞도록 만련한 부착구멍에 리베트(5)를 끼워서 3를 일체가 되도록 정착한다.
2장을 1조로 한 플레이트(3)(3)은 원주 방향으로 여러개의 조가 방사상이 되도록 배설되게 한다.
다음에 그 작용을 설명하면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림(1)의 허브(6)를 2장을 1조로 하여 림(1)측을 정점으로 하고, 허브(6)측을 저변으로 하는 단면이 이동변삼각형으로 결합된다. 제5도에 있어서 횡하중(F)이 휘일에 작용하면 림(1)과 플레이트(3)(3)의 결합부(D)의 결합부재인 리베트(5)의 축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F1)과 (F2)의 힘의 작용선은 전기한 결합부(D)의 플레이트(3)(3)의 부착부(3a)(3a)의 좌면과 리베트(5)의 추선의 교점에 작용하고 플레이트(3)(3)의 부착부(3a)(3a)의 굽혀진 하증으로서 작용하지 않고, 횡하중(F)의 플레이트(3)(3)에서의 인장력과 압추력만이 작용한다.
따라서 횡하중에 대하여 굽혀진 하중으로서 작용하지 않는 강성이 높고 횡하중 강도가 큰 휘일을 얼을 수 있다.
이상은 림(1)측의 결합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허브(6)추의 결합부도 림(1)측의 결합부와 마찬가지로 작용하여, 전체로서 횡강성, 횡하중의 강도가 큰 휘일을 얻을 수 있다. 더우기 도시한 예에서는 자동이륜차용 휘일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자동차용 휘일에도 물론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플레이트 양단의 림(1)과 허브(6)와 결합하는 부착부 및 결합부재의 축선을 플레이트(3)(3)의 중심선(힘의 작용선)과 교차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플레이트(3)(3)를 차축방향으로 분할한 2장을 1조로 하여 림(1)추을 정점으로 하고, 허브(6)추을 저변으로 하는 단면이 이동변 삼각형과 같이 구성하여 결합하였으므로 휘일에 미치는 횡하중은 플레이트에 대하여 한편으로 인장력이 다른 편으로는 압축력으로서 각기 작용하며, 휘일의 횡강성 및 횡하중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플레이트(3)(3)의 중심선(힘의 작용선)이 결합부재의 축선과 교차하고 있으므로 횡하중은 플레이트에 구부린 하중으로서 작용하지 않고 횡강성이 높고 횡하중 강도가 큰 휘일을 얼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플레이트의 두께를 줄어 가벼워지도록 하면서 강도가 큰 휘일을 얼을 수 있다. 또 이상을 플레이트의 부착부를 프레스성형등 하여서 압출하고, 부착평면과 평행되게 성형하므로서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강도가 큰 휘일을 얼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스포우크를 대체하여 플레이트를 사용하였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한 자동이륜차용 휘일을 얼을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원판식 형틀과는 달라서 임의로 디자인을 선택 및 설정할 수 있고, 디자인이 좋은 휘일을 얻을 수 있고, 또 이상에 따라 가벼운 휘일을 얻을 수 있어서 자동이륜차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로 구성하므로 원판식 형틀에 비하여 재료채취 관점에서도 유리하며, 재료경제상에서도 편리하고 양호한 휘일을 싼값으로 간편하게 얻을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 있으므로 매우 실용성이 많다.

Claims (1)

  1. 휘일을 구성하는 림(1)의 내경부에 마련한 돌출부(2)와 휘일의 차축부에 위치하는 허브(6)를 차축방향으로 분할하여 2장을 1조로 한 플레이트(3)(3)로 결합하고, 이 플레이트(3)(3)를 여러개의 조로 원주상에 배설한 차축용 휘일에 있어서 전기 림(1)과 허브(6)에는 전기한플레이트(3)(3)의 부착좌면(2a)(2a)및 (7a)(7a)를 형성하고, 이 플레이트(3)(3)의 중심선이 부착좌면 (2a)(2a), (7a)(7a)과 결합부재의 축선과의 교점에 교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휘일.
KR2019810008364U 1977-04-06 1981-12-10 차량용 휘일 KR840000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364U KR840000343Y1 (ko) 1977-04-06 1981-12-10 차량용 휘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0828 1977-04-06
KR810008251 1981-12-07
KR2019810008364U KR840000343Y1 (ko) 1977-04-06 1981-12-10 차량용 휘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0828 Division 1977-04-06 1977-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24U KR830000024U (ko) 1983-03-25
KR840000343Y1 true KR840000343Y1 (ko) 1984-02-29

Family

ID=7214517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366U KR840000711Y1 (ko) 1977-04-06 1981-12-10 차량용 휘일
KR2019810008365U KR840000671Y1 (ko) 1977-04-06 1981-12-10 차량용 휘일
KR2019810008364U KR840000343Y1 (ko) 1977-04-06 1981-12-10 차량용 휘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366U KR840000711Y1 (ko) 1977-04-06 1981-12-10 차량용 휘일
KR2019810008365U KR840000671Y1 (ko) 1977-04-06 1981-12-10 차량용 휘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8400007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24U (ko) 1983-03-25
KR830000685U (ko) 1983-08-03
KR840000671Y1 (ko) 1984-04-25
KR830000684U (ko) 1983-08-03
KR840000711Y1 (ko) 198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6346A (en) Wheels for vehicles, such as motorcycles
US4406474A (en) Vehicle fender attachment and support structure
US4319785A (en) Vehicle wheel
US4114953A (en) Motor vehicle wheel
US4153267A (en) Wheels for land vehicles such as motorcycles
CA2279158C (en) Multi-piece rim type disk whee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1283112A2 (en) Spoked wheel for a bicyc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840000343Y1 (ko) 차량용 휘일
US6546829B1 (en) Marine steering wheel assembly
US4327601A (en) Steering wheel having inclined leaf spring core
US4256347A (en) Spoked wheel
JP2006240332A (ja) ホイール
JP4056493B2 (ja) ホイール
JPS5851041Y2 (ja) 車輛用ホイ−ル
US4523790A (en) Light weight wheel formed from sheet metal
KR830002712Y1 (ko) 차량용 휘일
JPS5918882Y2 (ja) 車輛用ホイ−ル
JP3591956B2 (ja) 車両用複合アクスルビームの製造方法
JPS602001Y2 (ja) 車輛用ホイ−ル
US4246804A (en) Steering wheel with splayed leaves
JPS5924562Y2 (ja) 車輛用ホイ−ル
CN220151831U (zh) 一种齿轮的轮辐结构及汽车
JP2502655Y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JPS6027681Y2 (ja) 車両用ホイ−ル
JPS6321101U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