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206B1 - 타이어 림(rim)의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림(rim)의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206B1
KR840000206B1 KR1019810001306A KR810001306A KR840000206B1 KR 840000206 B1 KR840000206 B1 KR 840000206B1 KR 1019810001306 A KR1019810001306 A KR 1019810001306A KR 810001306 A KR810001306 A KR 810001306A KR 840000206 B1 KR840000206 B1 KR 84000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mold
core
foam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960A (ko
Inventor
아리에쿠레바르
Original Assignee
아리에쿠레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리에쿠레바르 filed Critical 아리에쿠레바르
Priority to KR1019810001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206B1/ko
Publication of KR83000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960A/ko
Priority to KR1019830004782A priority patent/KR840000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 림(rim)의 성형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방위치의 주형부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제거된 일부분과 밀폐된 작동위치의 주형부를 표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대표적인 구현에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림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의 다른 구현에의 부분 절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의 대표적인 구현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형상의 주형강(腔)을 에워싼 밀폐된 작동위치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개방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하는 주형부에 의해 타이어 림을 성형하기 위한 타이어 림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방법으로 압력공기를 주입하여 고무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압력공기 주입용 타이어는 빵구나기 쉬워서 다시 사용하기 위해 수리해야 하는 결점이 있으며 더구나 이러한 타이어는 값이 비싸지만 탄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타이어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량된 타이어의 성형방법을 제공함에 있으며, 특히 예컨데 2륜(二輪)차량 및 운송차량의 저속용 타이어로서 빵구가 잘나지 않으며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한편 만족스런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는 타이어의 성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연속단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바 즉 주형부의 개방위치에서 주형강내에 수납자재한 주형부에 대해 중공형(中空形) 타이어코아를 설치하고 주형부를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면 타이어코아의 삽입부분외의 잔여공간이 주형강내에 자유로운 상태로 남게 되며 잔여공간을 합성수지포옴(foam)으로 채워 타이어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타이어의 소망하는 탄력성은 합성수지포옴을 적당히 처방하므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코아는 타이어용적의 대부분을 점유토록 하므로써 각 타이어에 있어서 소량의 합성수지포옴을 사용하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형은 주형강의 회전대칭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합성수지포옴이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된다.
타이어표면의 견고한 내마모성층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부의 최소한 하나를 냉각시켜서 형성시킬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러한 조립주형을 냉각시켜서 타이어표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합성수지포옴은 특정온도 이상에서만 포옴이 형성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형강의 벽을 국부적(局部的)으로 냉각시키면 포옴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에는 고밀도의 소망하는 견고한 내마모 성층이 형성되지 않게 되고, 내마모성층의 두께는 냉각정도의 조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성형공정중에 있어서 타이어는 그 림과 동시에 연결되어지므로 주형부에 타이어코아를 삽입하기 전에 타이어코아를 림과 일치되게 하고 림 주위를 밀폐시키는 주형부 와부(窩部)에 수용되도록 하면 견고한 휠(wheel)이 형성된다.
만약 타이어코아를 림과 일체로 형성시키면 림에 타이어코아를 설치하는 동작이 줄어들게 되므로서 제조공정이 줄어들어 제작이 빨라지고 제작단가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이어형 주형강을 둘러싼 밀폐된 작동위치와 일정간격으로 격리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자재한 주형부를 가진 주형에 의한 타이어 림의 성형벙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부의 개방위치에서는 중공형 타이어코아가 주형강에 위치하는 한편 주형부에 대해 수납자재하며, 주형부가 작동위치로 이동한 위치에 있어서 타이어코아에 의해 점유되지 아니한 잔여주형강이 타이어 물체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수지포옴으로 가득차게 된다. 특히 타이어코아가 주형부에 위치하기 전에 휠 림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은 특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위한 장치(1)는 프레임(4)과 주형부(2),(3)로 형성된 주형(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형부(3)는 프레임(4)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주형부(2)는 선형모터(19)의 피스톤로드(5)에 연결되어 있다. 주형부(2)는 도관(6)을 통해서 모터(19)의 시린더(20)에 압력매체를 주입하면 제1도에 표시된 개방위치의 일정 간격으로 격리된 주형부(3) 방향에서 제2도에 표시된 주형(21)의 작동부위로 이동한다. 도관(7)을 통해서 시린더(20)에 압력매체를 공급하면 주형부는 제1도에 표시된 위치로 다시 상향(上向) 이동한다.
주형부(2)(3)는 와부(22)를 가지며, 이 와부는 주형(21)의 작동 위치에서 타이어, 예컨대 2륜 차량 타이어용 주형강을 형성한다. 또한 고정형 주형부(3)는 고정수단을 형성하는 상향돌출림(18)을 가지며 이 상향돌출림 주위를 중심으로 타이어코아(8)가 주형(21)의 개방부위에 배열될 수 있다.
타이어코아(8)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같이 D형 단면을 갖는 코로이드형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재료를 사용하며 취입법(blowing technique)으로 만들 수 있다. 림(18) 주위를 둘러싸도록 주형부(3)에 타이어코아(8)을 배열할 때 주형(21)은 선형모터(19)에 의해 밀폐되고 주형(21)의 밀폐된 작동위치에서 타이어코아(8)는 점유되지 않은 와부(22)에 의해 형성된 주형강(24)의 일부에 여유를 가지게 된다.
이 부분에서 타이어동체(9)는 합성포옴형성 재료를 도관(10), 밀폐부재(11) 및 주형간(24)에 연결된 도관(23)와 함께 커플링(13)을 통하여 연결된다. 다기관(12)에 주입시킴으로써 타이어코아(8) 주위에 형성된다.
합성포옴형성 재료는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수지포옴을 형성하며, 이 포옴을 타이어코아(8)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주형강(24)의 전부분을 채워서 타이어동체(9)를 형성한다.
주형부(2)는 합성포옴반응이 끝났을 때 선형모터(19)에 의해 주형(21)의 개방위치로 상승되어 성형된 타이어(25)가 주형(21)에서 인출된다.
합성수지포옴으로서는 폴리우레탄 포옴이 적절하며 이는 적절한 처방선택 의해 탄력성과 내마모성에 관계되는 소망하는 특성을 얻성 수 있고 또한 폴리우레탄 포옴은 타이어코아에 잘 부착되기 때문이다.
제1도 및 제2도의 장치(1)는 냉각제용 냉각운집체(16)와 주형부(2), (3)의 냉각도관(14)과 연결된 투입 및 배출도관(15), (17)으로 구성된 냉각장치(26)를 도시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주형강(24)의 벽체는 냉각장치(26)에 의해 최소한의 온도로 냉각되며, 이 온도에서 포옴은 포옴형성재료에 의해 계속 형성되며 이 결과 타이어 외면에서 견고한 비발포성 내마모성층(27)이 형성되고 내마모성층(27)의 두께는 냉각정도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
제3도에 표시된 장치(30)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주형(31)의 축이동성 주형부(33)는 베아링(42)에 의해 활동부재(43)내에 내재(內在)한 지주 샤프트(38)에 고정된다. 활동부재(36)는 프레임부분(33)에서 축상으로 활동이 자유로우며 이동성주형부(35)와 함께 선형모우터(35)에 의해 제3도에 표시된 밀폐위치에서 주형부(32), (33)가 일정간격으로 격리되도록 개방위치에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주형(31)에 타이어코아를 배치하거나 그로부터 성형된 타이어를 제거한 후 모우터(35)는 주형부(33)를 갖춘 활동부재(38)를 밀폐위치로 이동시킨다. 축방향의 고정주형부(32)는 프레임(4)내의 베아링(41)에 내재한 축(34)에 의해 프레임(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주형부(32)에는 V벨트를 걸기 위한 홈(45)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4)에 연결된 모우터(48)와 이 모우터의 축에 설치된 V벨트 풀리(47)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주형부(32)와 (33)은 타이어코아(8)가 주형(31)에 놓여지는 한편 림(55)에 배열될 수 있도록 림(55)을 위한 와부(54)와 중심핀(50), (53)을 갖는다. 타이어코아(8)와 함께 림(55)이 주형(31)내에 위치하는 경우 주형부(32)와 (33)이 밀폐되는 반면 중심핀(50), (53)은 주형부와 림(55)의 중심을 확실하게 하며 또한 주형부는 중심핀(61)을 갖는다 .그리고 밀폐위치에서는 포옴형성 수단은 도관(23)을 통해서 주형강(24)내에 도입되면 도관(23)이 플러그(62)에 의해 밀폐된 후 구동기구(44)의 모우터(48)가 스위치온(ON)되어 주형(31)이 회전한다.
플러스(62)는 주형(31)에 배열된 지주(56)에 피보트식으로 연결된 크램프레버(59)에 의해 밀폐 위치에 견지된다. 이와 달리 포옴형성수단의 공급은 샤프트(36)에서 갖추어진 도관을 총해 주형강(24)으로 공급된다. 또한 이 장치(30)에서 냉각장치(26)는 냉각제를 주형(31)에 공급하고 주형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하여 회전될 수 있는 커플링(57), (5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형에 합성수지포옴을 주입하여 원심주조법에 의하여 성형시키면 포옴형성재료가 고르게 분산되어 타이어동체(9)를 형성하는 합성수지포옴의 균일한 구조가 얻어진다.
타이어코아(8)가 림(55)위에 위치하게 주형내에 설치하면 타이어동체(9)는 타이어코아(8) 뿐만 아니라 제4도의 타이어어말단부분(51)의 림(55)에도 부착되지 않는다. 포옴이 림에 부착되지 않도록 포옴형성재료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어느 경우에나 타이어의 림사이의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강인한 휠이 얻어진다.
도면에는 밀폐형의 타이어코아(8)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저(52)없이 개방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런 형은 타이어 또는 타이어코아(8) 단독으로 림(55)에 용이하게 배열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제5도는 타이어코아(8)를 가진 외륜(55)이 2개의 부품(65), (66)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대칭면의 연결부재(67)에 의해 회전대칭축에 대해 직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부품(65), (66)은 결합부재(67)에 의한 연결대신에 예컨대 거울용접법에 의해서도 용접될 수 있다.
제6도는 개구부(68)가 타이어코아(51)의 타이어말단부(51)에 인접하여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개구부(9)는 타이어동체(9)의 제조중에 배출공기와 과응포옴을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6도에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휠의 구현예는 융기부(71)를 갖는 타이어코아(8)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이어코아(8)는 취입성형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것이 좋다. 이 방법으로 타이어코아(8)는 투입구를 가지며, 이 투입구는 제5도에 표시된 구현예의 개구부(68)와 같은 기능으로 작용하며 필요에 따라 필터는 가스만이 통과되고 포옴재료가 통과되지 않도록 개구(68)에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코아(8)는 내측 주위에 따라 도관(70)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도관은 주형의 주형강에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구현에의 외륜은 2개의 동일한 외균반곡부(半曲部)(73), (74)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반곡부는 돌기가 달린 여러개(이 경우 3개)의 등거리태그(75) 및 이 태그에 연관된 올셋(off-set) 위치에 동일수의 등거리구멍(76)을 가진 기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Claims (1)

  1. 와부(22)에 의해 형성된 주형강(24)을 에워싸게 되는 작동위치와 일정한 간격으로 격리되는 개방위치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주형부(2)를 가진 주형(21)으로 휠림(55)을 이용한 타이어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주형부(2)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중공형 타이어코아(8)을 주형강(24)내에 수납자재토록 설치하고, 주형부(2)를 작동위치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타이어코아(8)에 의해 점유되지 아니한 잔여주형강이 주형강(24)내에 형성되어지게 하여 잔여주형강내에 합성수지 포옴을 채워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림의 성형방법.
KR1019810001306A 1981-04-16 1981-04-16 타이어 림(rim)의 성형방법 KR84000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306A KR840000206B1 (ko) 1981-04-16 1981-04-16 타이어 림(rim)의 성형방법
KR1019830004782A KR840000208B1 (ko) 1981-04-16 1983-10-08 타이어 림(rim)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306A KR840000206B1 (ko) 1981-04-16 1981-04-16 타이어 림(rim)의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960A KR830004960A (ko) 1983-07-23
KR840000206B1 true KR840000206B1 (ko) 1984-02-29

Family

ID=192207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306A KR840000206B1 (ko) 1981-04-16 1981-04-16 타이어 림(rim)의 성형방법
KR1019830004782A KR840000208B1 (ko) 1981-04-16 1983-10-08 타이어 림(rim)의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782A KR840000208B1 (ko) 1981-04-16 1983-10-08 타이어 림(rim)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400002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960A (ko) 1983-07-23
KR840000208B1 (ko) 198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9104A (en) Method and device for moulding a tire for a wheel rim
US625133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lastic pipe
CN101462322B (zh) 轮胎模具
CN102548774A (zh) 轮胎及轮胎的制造方法
EP0850131B1 (en) Injection molding of a tire component
US6475424B1 (en) Multi-process molding method and article produced by same
JPS6044132B2 (ja) タイヤ製造方法
DE3066615D1 (en) Cast tire & method of manufacturing
EP2214880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vulcanization and moulding of tyres
KR840000206B1 (ko) 타이어 림(rim)의 성형방법
JPS5934497B2 (ja) 空気入りタイヤ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30064128A1 (en) Mold with contoured cooling channels
JPH0521387Y2 (ko)
JP2005067205A (ja) 少なくとも1つのインサートを備えたタイヤの製造方法
WO2022269939A1 (ja)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タイヤ製造方法
JP4176246B2 (ja) タイヤの加硫成形方法および加硫金型の加熱装置
US20010048180A1 (en) Golf ball mold cavity with subgates
RU206269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работающей под давлением полой оболочки
US2832996A (en) Mold for multiple production of vibration dampening mountings
CN116728715B (zh) 实心轮胎成型设备及实心轮胎的成型方法
JPH05185473A (ja) ゴムまたは熱硬化性樹脂用射出成形型
JP3844001B2 (ja) ジョイントブーツの製造方法
JPH10264270A (ja) パンクレスタイヤの製造装置
WO2003002326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produit moule et dispositif de moulage metallique du type a clapet de valve
JP2004504187A (ja) トラック製造方法および引抜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