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045B1 - 섬유물의 염색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물의 염색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045B1
KR840000045B1 KR1019800000262A KR800000262A KR840000045B1 KR 840000045 B1 KR840000045 B1 KR 840000045B1 KR 1019800000262 A KR1019800000262 A KR 1019800000262A KR 800000262 A KR800000262 A KR 800000262A KR 840000045 B1 KR840000045 B1 KR 84000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dye
composition
fiber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012A (ko
Inventor
라피두스 박사 허버트
Original Assignee
콤베인 코오포레이팃드
티·씨·인판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베인 코오포레이팃드, 티·씨·인판티노 filed Critical 콤베인 코오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83000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4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4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P1/649Compounds containing carbonamide, thiocarbonamide or guanyl groups
    • D06P1/6495Compounds containing carbonamide -RCON= (R=H or hydrocarb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o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물의 염색용 조성물
직물을 포함한 섬유물에 원하는 색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염료 시스템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섬유물은 면과 같이 주로 셀룰로우스로 이루어진 섬유, 울(Wool)과 같이 주로 캐라틴(Keratin)으로 이루어진 섬유, 실크와 같이 주로 피브로인(fibroin)으로 이루어진 섬유인 천연섬유와 천연섬유의 유도체가 아닌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폴리올레핀 섬유인 합성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산성, 염기성, 직접, 유황성, 뱃(Vat), 류코 에스테르(leuco esters), 아조, 아세테이트, 안료, 산화, 천연 및 무기등의 염료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염료가 이러한 섬유물에 사용되고 있다.
직물분야 이외에도 염료 시스템은 머리를 염색하기 위하여 화장품업계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업계에서는 머리염색시 사용자의 피부나 머리카락에 독성이나 부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피할 필요가 있다.
공지된 염료 시스템의 문제점은 마찰과 다른 요인에 의하여 염료의 색상이 바래는 문제, 염색시 부수적으로 일어나는 색상의 농도차이, 섬유물에 염료를 착색할때의 효율 및 난이성 등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섬유물의 염색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공지된 염색방법이나 이용수단들은 일시적인 경우에만 효과가 있는 등 완전하지 못하였다.
더구나 종래의 염색방법이나 수단은 비용이 많이 들었고, 상기 문제점 중 일부만을 해결하는데 지나지 않거나 혹은 일정한 형태의 염료 시스템에만 유효한 것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료 조성물에 N-아세틸에탄올아민을 혼합할 경우 지금까지 얻어진 것보다 착색이 더욱 오래 지속되게 할 수 있고 염색하는 공정을 가속화하고 보다 내구성이 강한 색상을 가진 염료조성물이 얻어진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이 분야에서 다른 염료들에도 널리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중요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용 조성물이 여러가지 형태의 섬유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면, 울, 실크, 레이온, 아세테이트, 나일론 및 다른 천연 혹은 인조섬유의 염색과 인간의 머리카락 염색에도 이용될 수 있다.
N-아세틸에탄올아민은 머리결을 부드럽게 하고 흩날리지 않게 하고 윤기가 나도록 하기 위하여 광물성 기름 대신에 샴푸, 린스, 컨디셔너 등에 사용되고 모발 컨디셔너로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이 화장품 업계에서 인정되어 왔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N-아세틸에탄올아민이 머리카락 염색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았었다.
또한 상기 효과는 머리카락뿐만 아니라 다른 섬유물에도 유효하여 종래의 머리카락 염색의 조성물 뿐만 아니라 다른 염료 시스템에도 유효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지 않았다.
N-아세틸에탄올아민은 새로이 발견된 염색촉진제로서의 특성이나 기능외에도 화장품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인식되어온 여러가지 잇점들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염색용 조성물을 착색성을 개선하는 외에도 염색되는 물질을 덜 거칠게 하고 또 머리카락 염색에 이를 사용할 때는 머리결의 상태를 좋게 하고 더욱 윤택이 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론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건 아니지만, N-아세틸에탄올아민이 염색을 촉진시키고 증진시키는 작용은, 이것이 섬유들의 각 섬유를 팽창시키는 능력이 있기 때무이라고 믿어진다.
상기와 같이 염색되는 섬유물의 각 섬유가 팽창한다는 것은 섬유물내에 염료의 침투가 용이하고 또 색상이 촉진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염색된 섬유물의 색상이 쉽사리 퇴색하지 않고 착색이 오래 가게된다.
본 발명을 이용함에 있어 화학적 조성과 염료 시스템의 작용 메카니즘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산화성 염료, 염기성 염료, 중금속염/후술하는 바와 같이 황을 포함한 환원성 화합물을 포함한 잘 알려진 시스템의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염색용 조성물 중의 염료의 양은 총 중량의 약 50%까지 달한 것도 있으나 보통 1∼25%를 차지하였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서 그 양은 각 염료 시스템에 따라 또 사용목적에 따라 변동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N-아세틸에탄올아민의 작용에 중요하지 않다.
또 종래의 염색용 조성물은 통상 물 또는 수용액등의 액체성 분산매체를 필요로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염색용 조성물은 이를 요구하지 않으며, 알코올, 광유등의 비수성 분산매체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용액과 물에 섞이지 않는 액체 에멀션의 혼합물도 본 발명에 따른 염색용 조성물의 분산 매체로서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용 조성물중의 N-아세틸에탄올아민의 양은 어떠한 양이든 가능하지만 보통 염색용 조성물 총중량의 1∼25% 정도가 바람직하며, 특히 10∼15%가 적당하다.
상기 비율은 염색을 최대한 촉진하기 위한 비율이며 목적에 따라 즉 염색되는 섬유물의 표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일 때는 더 많은 양의 N-아세틸에탄올아민의 첨가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N-아세틸에탄올아민 자체를 염색용 조성물의 분산매체로 사용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N-아세틸에탄올아민의 첨가량은 주어진 염료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폭넓게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염색물에 적용되는 염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언급하였지만 이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염료 조성물은 N-아세틸에탄올아민과 염료시스템의 여러가지 응용을 통하여 염색되는 섬유물 자체위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염색되는 섬유물의 표면 또는 내부에 염료조성물의 필수성분이 동시에 적용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가지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개의 수용성 표준 염료, FD & C 청색 #1(중량비 0.25%)와 D & C 황색 #10(중량비 0.75%)가 N-아세틸에탄올아민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비교염료에 사용되었다.
상기의 두 염료 조성물 시료 각각에 대해 N-아세틸에탄올아민이 중량비로 0%, 10% 들어있는 대조용 짝을 만들어 비교토록 하였다.
여러 종류의 섬유물 시료가 60℃의 온도에서 1분간 4가지의 염료 조성물 시료에 담겨졌다.
건조시킨후, 각 헝겊의 염색된 색상의 농도가 육안으로 비교되었다.
결과는 N-아세틸에탄올아민이 기대 이상으로 염색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했으며(모든 섬유물이 이러한 특유한 염료 조성에 가능하다는 것은 아니다) 염색이 선명하게 된 것을 보여주었다.
울과 모직물, 레이온(상호 AVRIL), 비스코스레이온, 실크, 나이론, 면,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ACRILAN), 트리아세테이트(ARNEL), 아크릴릭(CRESLAN, ORLON and ZEFRAN), 폴리에스터(DACRON, FORTREL and KODEL), 올레핀(HERCULON)과 모다크릴릭(modacrylic) (VEREL and DYNEL) 섬유와 같은 여러가지 섬유물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N-아세틸에탄올아민으로 섬유물의 색상이 더욱 선명하여졌다.
육안으로 식별해서도 N-아세틸에탄올아민의 첨가에 의해 색상의 균일성이 더욱 분명하여졌으며, 얼룩이 줄어들었다.
그래서 N-아세틸에탄올아민은 섬유의 염색과 착색공정을 촉진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2]
머리염색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마련되었다.
Figure kpo00001
상기 조성은 공지된 방법으로 하였고, N-아세틸에탄올아민(상호 ACETAMIDE MEA)은 다른 성분들이 결합된 후에 가하여졌다.
상기 조성물을 시험하기 위해 표백된 머리카락을 상기 조성물에 담그었다가 꺼낸 다음, 흔들어서 머리카락에 묻은 상기 조성물의 초과량을 제거한 후, 실온에서 밤새 건조하였다.
건조된 머리카락은 처음의 연한 황갈색에서 갈색으로 변화된 것이 관찰되었다.
한주일간 상기 머리카아락을 매일 염색한 결과 색상이 짙어져서 진한 갈색으로 변 하였고 그 내구성도 매우 향상되었다.
[실시예 3]
머리카락염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마련되었다.
Figure kpo00002
상기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으로 만들었으며, 과산화 현색제를 이용하였다.
표백된 머리카락을 실험한 결과 암갈색으로 착색되었다.
[실시예 4]
반영구적 염료와 샴푸가 다음과 같이 마련되었다.
Figure kpo00003
샴푸하는데 사용될때 머리를 문지름으로써 더욱 증가된 착색을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다.

Claims (1)

  1. 황을 환원하는 화합물 및 액체를 분산하는 전색제로 산화성 염료, 염기성 염료 또는 비스무쓰 시트레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중금속염 착물의 염료시스템을 포함하여 피염물이 머리카락이거나 염색용 조성물이 방직섬유로 구성된 것을 염색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섬유물의 염색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N-아세틸에탄올아민이 염색용 조성물 총중량의 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물의 염색용 조성물.
KR1019800000262A 1979-05-11 1980-01-23 섬유물의 염색용 조성물 KR840000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54779A 1979-05-11 1979-05-11
US037547 1979-05-11
US37547 1979-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012A KR830002012A (ko) 1983-05-21
KR840000045B1 true KR840000045B1 (ko) 1984-01-28

Family

ID=2189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262A KR840000045B1 (ko) 1979-05-11 1980-01-23 섬유물의 염색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44712A (ko)
KR (1) KR840000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333A (en) * 1990-09-04 1993-03-09 Combe Incorporated Aqueous progressive hair colorant having soluble sulfur source and amphoteric surfacta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07948A (en) * 1927-09-14 1929-03-14 Ig Farbenindustrie Ag Improved means for the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CH139485A (de) * 1927-02-09 1930-04-30 Du Pon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tändigen Küpenfarbstoffpasten.
US2089212A (en) * 1936-06-08 1937-08-10 Kritchevsky Wolf Hydrotropic fatty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290945A (en) * 1940-06-29 1942-07-28 Du Pont Printing of textile fabrics
US3086914A (en) * 1959-06-23 1963-04-23 Faberge Inc Lip-coloring compositions
DE2115877B2 (de) * 1971-04-01 1973-05-03 Farbwerke Hoechst AG, vormals Mei ster Lucius & Brumn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zentrierten, stabilen fluessigeinstellungen von anionisch loeslichen optischen aufhellungsmitteln und farbstoffen
SE414271B (sv) * 1973-11-29 1980-07-21 Henkel Kgaa Harfergmedel pa basis av oxidationsfergemnen innehallande tetraaminopyrimidiner som framkallningskomponent
US3980091A (en) * 1975-01-06 1976-09-14 Alberto Culver Company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in pretreatment of hair before shampooing with an anionic shampoo
DE2624293C2 (de) * 1976-05-31 1985-12-19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Kosmetische Mittel mit einem Gehalt an Haut-Feuchthaltemittel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012A (ko) 1983-05-21
US4844712A (en) 198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5093B1 (de) Haarfärbemittel mit mindestens einem pflegestoff
US2131145A (en) Process for increasing the reactivity of naturally or artificially shaped articles or materials and product obtained thereby
EP0613976B1 (de) Verwendung von Acrylamidpolymeren als Faltenverhinderungsmittel
EP0882836A2 (de) Verfahren zum Vernetzen von cellulosehaltigen Fasermaterialien
DE1144678B (de) Faerben von Polyamid-, Celluloseester- und Polyterephthalsaeureesterfasern aus waessriger Suspension
DE2918607A1 (de) Verfahren zum klotzfaerben von bahnfoermigen textilien aus cellulosefasern
EP0457728A1 (de) Verfahren zum endengleichen Färben von Cellulosefasern
KR840000045B1 (ko) 섬유물의 염색용 조성물
US2890094A (en) Dyeing composition and method
CA1141505A (en) Dyeing composition for fibrous materials
DE2424303C3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Polyamid- Teppichmaterial nach einem Klotz-Kaltverweil-Verfahren
US3653797A (en) Dyeing hair with an aqueous film-forming resin composition
EP0250365A1 (de) Verfahren zur Nachbehandlung von gefärbtem Cellulosefasermaterial
JPS5818476B2 (ja) 繊維材料染色用組成物
US4678473A (en) Arlysulfonium cellulosic fibers substantive to many dye classes
US4192648A (en) Cationic dye carrier and selective process for dyeing polyesters
DE748970C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Fasern tierischen Ursprungs, gegebenenfalls im Gemisch mit pflanzlichen Fasern oder regenerierter Cellulose, oder Leder
DE963862C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Textilien
AT157680B (de) Verfahren zur Veränderung der Affinität geformter Gebilde.
DE2512520C2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cellulosefasern, stickstoffhaltigen fasern, synthetischen fasern und deren mischungen
DE714789C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animalisierten Fasern oder Gebilden aus regenerierter Cellulose oder aus Cellulosederivaten oder von Mischungen daraus, die Wolle enthalten koennen, mit sauren Wollfarbstoffen
SU1157153A1 (ru) Способ колорировани тексти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з триацетатных волокон
Bedrick Rapid one-solution differential staining with textile dyes: Pontacyl dark green B and Pontamine Fast Scarlet 4BA
SU1270191A1 (ru) Способ огнестойкой отделки тексти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з льн ного волокна с одновременным окрашиванием их в цвет хаки
JPH044056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