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3088A - 사진 투시 장치 - Google Patents

사진 투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3088A
KR830003088A KR1019800001555A KR800001555A KR830003088A KR 830003088 A KR830003088 A KR 830003088A KR 1019800001555 A KR1019800001555 A KR 1019800001555A KR 800001555 A KR800001555 A KR 800001555A KR 830003088 A KR830003088 A KR 830003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c
housing
slide member
perspective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080B1 (ko
Inventor
악케레트 페터
Original Assignee
페터 헬프링 ,페터 악케레트
리친페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터 헬프링 ,페터 악케레트, 리친페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페터 헬프링 ,페터 악케레트
Priority to KR101980000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080B1/ko
Publication of KR83000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진 투시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인 영상투시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더(slider)부재의 상세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빈 상태인 장치의 개략적인 세로단면도.
제5도는 안쪽에서 장치의 하우징의 말껍데기를 본 평면도.
제6도는 압착배열을 제외한 하우징의 단면도.
제7도는 무력하게 된 기구의 사시도.
제8도는 압력판의 밑면도.
제9도는 도시된 슬라이더부재내의 분리자와 함께 있는 압력판의 단면도.
제10도는 위로부터 본 압력판의 사시도.
제11도는 유지요소로 구성되는 수송자의 한 조각의 확대도.
제12도는 제10도의 12-1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는 비작업위치에 수송차를 깨끗이 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14도는 제13도와 비슷하나 작업 위치에서의 장치의 개략도.
제15도는 뒤로부터 본 하우징.

Claims (193)

  1. 본문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바와같이, 최상단 사진이 하우징 윈도우 가까이에 위치되는 사진들의 묶음을 포함하기 위한 하우징과 하우징으로부터 취출될 수 있으며, 투시윈도 위에 평형상태로 재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브 부재와, 슬라이브 부재가 취출되므로서 사진이 사진들의 묶음의 한쪽으로부터 제거되어지며 슬라이브 부재가 삽입됨으로서 묶음의 다른 쪽에로 안내되는 운반장치와 이송됨으로부터 묶음의 잔유자들을 방지하는 보지장치로서 구성된 사진 변환기구와 슬라이드 부재의 장치에 의하여 하우징의 입수묶음의 취출에 대하여 사진변환기구를 비구동시키기 위한 외부작동장치를 갖으며, 상기 보지장치가 슬라이드 부재상에 분리기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이송장치가 스프링 압압하에 하우징내에 위치된 장치상의 유지장치의 형태를 제공되며, 압압장치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사진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인 평판을 포함하며 이 평판위에 유지장치가 배치되는 사진 투시장치.
  2.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이 주입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이며 스프링들이 금속관 스프링들인 사진 투시장치.
  3.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이 주입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이며 스프링들이 금속용수철 스프링들인 사진 투시장치.
  4.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방향으로 압압 평판이 슬라이드 부재가 취출된 경우에 분리기의 근처에 도달하는 사진 투시장치.
  5. 제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판 주위의 하우징 개구 영역에서 평판의 부분이 평판의 곧은 잔유뷰에 비교하여 유연한 사진 투시장치.
  6. 제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판의 유연한 부분이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내부방향으로 연신되는 절각에 의하여 혀부분들 내로 분리되는 사진 투시장치.
  7. 제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의 하우징 개구로부터 떨어진 영역이 하우징 기판에 면하는 립(rip : 뼈대)로 부강된 사진 투시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의한 사진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개구에 면하는 압압평판의 부분이 구성되므로서 이 부분이 하우징 윈도우로부터 떨어지는 각도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9. 제8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의 각도진 부분이 압압평판의 나머지 부분에 유연하게 연결되는 사진 투시장치.
  10. 제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연한 연결이 금속 스프링들에 의하여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11. 제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절각들이 슬라이드 부재의 내부적으로 돌출된 손잡이 기체에 보상적으로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12. 제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개구로부터 떨어진 압압평판의 종단이 하우징 윈도우의 방향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그리고 분리기에 대하여 기울어진 면을 갖는 단계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13. 제1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단계가 한 장의 사진 두께보다 더욱 돌출되었으며, 평판상의 유지 소자 스트립들의 높이에 관해서 두 개의 사진 두께보다는 작게 돌출된 사진 투시장치.
  14.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개구의 반대편에 있는 하우징 벽에 평행으로 묶음 변스톱으로서 하우징 개구의 방향으로 받혀진 판스프링에 제공되었으며, 이런 스프링이 슬라이드 부재를 삽입함에 의하여 하우징 벽에 대향하여 압압되어질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15.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이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횡단하는 방향에서 사진들의 칫수보다 좁으며 또는 흠을 갖으며, 슬라이드 부재의 기체상에 또는 하우징상에 지지부재가 평판 옆에 그리고 사진들의 근처에 또는 지지부재상의 홈의 영역내에 제공되며 제거될 입수 묶음이 압압장치가 작도되지 않을 때 지배되는 사진 투시장치.
  16.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윈도우에 대면하는 평판의 면을 가로지르는 유지소자들에 평행으로 연신하며 유지 소자들의 스트립들 사이 평판의 중간 가까이에 장치되는 립들(rip:뼈대)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투시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판이 하우징 윈도우의 주위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하여 압압되며, 투시윈도우에 평향이며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방향 외주의 인축에 대하여 록킹(rocking)이동을 수행하는 능력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8. 제1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스프링이 하나로 구성되며,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방향에 관하여 동일하게 평판상에 작동하도록 장치된 사진 투시장치.
  19. 제1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스프링이 여러개로서 구성되며,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방향에 관하여 동일하게 평판상에 작동하도록 장치된 사진 투시장치.
  20. 제1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방향으로 다른 것들 사이에 있는 두쌍의 집적회로로 제조된 판스프링들이 제공되는 사진 투시장치.
  21. 제1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스프링들이 하우징의 기판으로부터 하우징 개구쪽으로 연신되는 판스프링들인 사진 투시장치.
  22. 제1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판스프링들의 다수 쌍들이 제공되는 사진 투시장치.
  23.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4개의 판스프링들이 평행사변형 안내장치의 방법으로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24. 제23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개구에 가장 가까운 한쌍의 스프링들의 압압판에 가장 가까운 종단이 스프링들의 중요부분에 비하여 좁은 연장부를 갖으며 이들 연장부들이 압압핀내의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며, 투시윈도우에 가장 가까운 압압평판의 면의 주위에 있는 분리기에 의하여 압압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25. 제2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보조스프링장치가 플라스틱 압압평판의 적어도 한쪽 종단에 대하여 완충기로서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26. 제1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판스프링들이 압압평판상에 고착되었으며 하우징 기판상에 유연하여 유지되는 사진 투시장치.
  27. 제2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판스프링들이 압압평판의 하부면상의 돌출부에 상보적인 외측선을 갖으며, 돌출부들은 판스프링들이 압압된 후에 이들 판스프링들에 단단히 연결되는 사진 투시장치.
  28. 제2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기판에 의지된 판스프링들의 종단들이 하우징 기판상의 H형 돌출부에 걸쳐 압박되는 T형 개구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29. 제28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의지된 종단이 각도진 부분에 의하여 결정된 결속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30.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판이 취출방향으로 연신된 구멍에 걸쳐서 소자를 갖도록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31.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 소자들이 취출방향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수직 스트립들을 따라서 배치된 사진 투시장치.
  32. 제3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들이 압압 평판상에 연속 스트립들의 형태로서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33.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방향에 평행이며,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 작동의 길이에 길이로서 대응하는 스트립형 중간공극이 유지소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사진 투시장치.
  34. 제33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한쪽으로는 유지 덮개 소자들의 그리고 다른 한쪽으로는 분리기의 프로파일이 설계되므로서 두 개의 천장들 사이에 집혀진 단일 사진이 유지 덮개소자들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되는 사진 투시장치.
  35. 제3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들이 하우징 윈도우에 대면하는 면들상의 레벨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36. 제3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들이 사진들의 곡면에 대응하는 그리고 하우징 윈도우에 대면하는 표면들 상에 곡선된 면들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37. 제3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에 대면하는 분리기의 변이 곡선의 프로파일에 평행으로 설계된 프로파일인 사진 투시장치.
  38. 제3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분리기가 압압 평판에 대면하는 변상에 홈을 갖으며 이 홈의 폭이 사진 두께보다 큰 사진 투시장치.
  39.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고무로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40.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폴리에칠렌으로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41.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42.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연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43.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스트립형 길이로 절단되었으며, 그리고 평판에 고착된 사진 투시장치.
  44.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스트립형 길이로 절단되었으며, 그리고 압압평판내의 홈내에 파묻힌 사진 투시장치.
  45.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페이스트형태로 인가된 사진 투시장치.
  46.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분무된 사진 투시장치.
  47.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주입성형 과정에서 완성된 평판으로 인가된 사진 투시장치.
  48.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평판의 주입작동 동안 압압평판의 플라스틱 재질의 물리적 국부간섭으로 구성되는 사진 투시장치.
  49. 제6항 내지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평판의 유연부분내로 연장된 사진 투시장치.
  50. 제33내지 4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분리기에 대한 지지면들이 평판의 유연부분내의 유지소자들 곁에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51. 제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가 약 하나의 사진 두께로 하우징 윈도우에 대면하는 압압평판의 표면에 대하여 돌출된 사진 투시장치.
  52. 제30항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소자들 용으로 슬라이드 부재들 상에 제공된 소거소자들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투시장치.
  53. 제12항 제30항 및 제5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유지덮개 스트립들의 높이가 평판의 단계를 향한 압압평판의 양단에서 끝이 가늘어지며 그리고 단계가 하우징 개구로부터 떨어진 평판의 종단에서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54. 제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구동장치가 평판을 속박하도록 끼고 평판상에 장치되되록 구성되어지며, 평판이 비구동 작동 동안 모든 금속 스프링들에 발생하는 힘들을 전이하도록 곧은 사진 투시장치.
  55. 제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구동장치가 스프링을 속박하도록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56.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구동장치가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방향에 평행인 비구동 작동에 대하여 하우징에 관하여 이동성인 버튼의 장치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57.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구동 장치가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방향에 횡단방향으로 하우징에 관하여 위치될 수 있는 버튼의 장치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58. 제56항 또는 제5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 위치에 있어서 버튼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사진 투시장치.
  59. 제5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 장치가 하우징의 하부상에 위치된 소자의 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며 그리고 소자들이 비구동 위치로 피보트 되거나 회전되거나 또는 경사지는 사진 투시장치.
  60. 제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장치의 비작동 위치가 하우징의 좁은쪽 또는 윈도우로 부터 인지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61.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의한 사건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판이 그 자신에 평행으로 그리고 비작동위치에 대하여 투시윈도우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62. 제61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판이 평행사변형의 방법으로 금속스프링의 장치에 의하여 안내되며 그리고 비작동장치가 평판을 편심 또는 중심적으로 속박하는 사진 투시장치.
  63. 제6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장치가 평판을 속박하도록 구성되므로서 결과적인 힘들이 투시윈도우로부터 떨어지거나 이에 가까운 각도의 방향으로 작동하는 사진 투시장치.
  64. 제5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 버튼이 하우징의 기판내의 압압으로 미끄러지게 안내되는 사진 투시장치.
  65. 제64항에 의한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 버튼이 비작동혀를 통하여 압압평판에 연결되는 사진 투시장치.
  66. 제3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버튼과 혀가집적으로 구성되며 제각기 유연성있게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67. 제6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 혀가 버튼 어긋남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압압평판에 유연하게 연결된 사진 투시장치.
  68. 제6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혀가 스프링들을 속박하도록 장치된 사진 투시장치.
  69. 제6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버튼의 위치에 따라서 혀의 방향에 대한 하우징 기판상의 스트립들을 제어함을 특징으로하는 사진 투시장치.
  70. 제6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기판내에 비작동 혀가 안내되며 버튼이 비작동위치로 벗어난 경우 하우징 기판을 향하여 압압되는 비작동혀의 근처에 제어봉이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71. 제6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이 비작동혀상의 핀형이 속박되는 세로 구성들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72. 제7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세로구멍들이 보강립들로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73. 제57항 또는 제5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기판이 비작동 버튼이 붉은 압압표시를 갖는 사건 투시장치.
  74. 제68항에 의한 사건 투시장치에 있어서, 버튼이 비작동 위치내로 벗어나는 동안, 슬라이드 부재의 벗어난 통로내로 편향될 수 있는 제어소자를 버튼이 포함하므로서,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슬라이드 부재가 버튼을 작동 위치로 되돌릴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75. 제7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제어소자가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압압암들의 연장부로서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76. 제7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제어소자의 편향용으로 제어캠이 하우징내에 형성된 사진 투시장치.
  77. 제7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제어소자는 슬리이드 소자가 삽입되므로서, 작동 위치내로 안내되는 사진 주사장치.
  78. 제7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암을 갖는 버튼이 하우징의 외측에서 장착되는 사진 투시장치.
  79. 제5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내로 미끄러지는 버튼이, 비작동 위치로 미끄러지는 경우에 분리기의 이동 통로내에 압압평판내의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며,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가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분리기에 의하여 다시 작동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제어소자를 버튼이 포함하는 사진 투시장치.
  80. 제55,56 및 7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버튼상에 판스프링 상으로 연결되는 측방암들이 있으므로서 하우징 윈도우로부터 떨어지는 평판을 압압하는 사진 투시장치.
  81. 제7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제어소자가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방향에 관하여 분리기의 자유로운 통과를 허용하는 사진 투시장치.
  82. 제5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버튼의 비작동위치가 하우징 개구에 근접하여 위치하므로서, 슬라이드 부재가 첫 번째로 취출된 경우, 비작동위치로 벗어난후에 버튼이 작동위치로 순간적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83. 제8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상에 장치된 버튼용의 이송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사진 투시장치.
  84. 제5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기판의 판스프링이 의지된 곳에 근접한 하우징이 버튼의 삽입용 구멍을 갖으며, 안내장치를 따라서 첫 번째로 벗어난 경우 버튼 그 자신이 판스프링들의 보조적으로 기울은 면들의 두에 의지하는 사진 투시장치.
  85. 제5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버튼이 스프링압압 암들을 갖으며 압압평판상의 대응 후크가 연관된 후크 연장부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86. 제5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버튼상에는 스프링 압압암과 후크연장부가 제공되며 버튼의 비작동 위치에서 스프링장치의 횡단봉 전체를 속박하는 연장부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87. 제5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버튼상에는 스프링 압압암들과 하우징 기판과 압압평판 사이에 최대거리로서 버튼 행정브리지의 영역내의 판스프링이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88. 재5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버튼상에 판스프링들 상의 연결 암들과 연관된 스프링 압압암들이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89. 제55 및 5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 장치가 하우징 기판에 평행으로 피보트되는 제어캠과, 그리고 하우징 윈도우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인장되는 압압평판을 갖으며 하우징 기판으로부터 작동 위치내로 떨어지도록 작동하는 판스프링이 연장될 수 있는 장치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90. 제8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제어캠의 작동 위치내의 리프스프링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91.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 소자가 사진 묶음을 향하여 압압평판에 의하여 이동 될 수 있으며 분리기가 뮈음내의 가장 낮은부분의 사진의 종단면을 잡을 수 있도록 단계된 위치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92. 제9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소자가 판스프링에 붙은 상승판인 사진 투시장치.
  93. 제9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기판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작동버튼이 판스프링에 붙은 사진 투시장치.
  94. 제9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분리기의 단계된 부분이 사진변들에 평행인 슬로트의 제한변인 사진 투시장치.
  95.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구동장치가 슬라이드 부재내에 포함된 취득장치를 포함하며, 취득장치는 버튼의 장치에 의하여 벗어날 수 있고, 버튼은 슬라이드 부재에서 이동성이며 사진들의 묶음들에 작동적인 연결로 얻어진 위치로부터 하우징 개구를 통하여 손가락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96.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장치가 슬라이드 부재내에 장치된 묶음상승 소자들을 포함하며, 이 소자들은 쐐기장치에 의하여 하우징 윈도우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97. 제9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쐐기장치가 봉시스템을 사용하므로서 하우징내에서 벗어날 수 있는 버튼의 장치에 의하여 슬라이드의 취출방향으로 횡단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98. 제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지지 소자들이 분리기의 하부 변보다 하우징에 더욱 근접하며, 평판상에 하우징내로의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동안 하우징 개구에 가장 근접한 평판의 적어도 종단에서 유지소지자들은 떨어지게 유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 제어장치가 제공되는 사진 투시장치.
  99. 제98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판상의 장치가 슬라이드 부재의 지지 소자들 상에 위치된 대응 제어표면과 제어표면으로 측방향으로 장치된 사진 투시장치.
  100. 제9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방향에 평형으로 이동하는 평판의 축변들 상에 제어표면을 형성하는 러너(Runner)가 제공되며, 슬라이드 부재가 취출되므로서 평판의 하부에 속하며, 슬라이드 부재가 삽입되므로서 슬라이드 부재상에 장치된 제어표면 위에서 작동하므로서 평판상의 유지소자의 유지표면이 묶음의 최하단 사진의 레벨 이하에서 압압되는 사진 투시장치.
  101. 제9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플라스틱 압압평판을 향하여 대면하는 슬라이드 부재의측면변들 상에 대응 제어표면을 형성하는 러너(Runner)가 제공되며, 슬라이드 부재가 취출되므로서, 변들의 가까이에서 얻어지며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가 삽입되므로서, 평편상의 유지소자들의 유지표면이 묶음내의 최하부 사진 레베 이하에서 압압되는 사진 투시장치.
  102. 제100항 또는101항에 의한 사진투시장치에 있어서, 제각기의 러너가 자체 윤할형, 스프링-탄성 플라스틱 재질로서 구성된 평판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러너의 돌출제어표면 부분이 이동되도록 탄성스트립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03. 제10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탄성스트립이 중심적으로 의지되는 사진 투시장치.
  104. 제102항에 의한 사진 투시 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이 종단들중 하나에 근접한 회전 받침 베아링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05. 제10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판형이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며 압력평판과 슬라이드 부재는 폴리스틸렌으로 주입성형으로 형성되는 사진 투시장치.
  106. 제10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제각기 러너가 하우징 기체상에 제공된 제어캠을 따라서 안내되는 사진 투시장치.
  107. 제98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작동 장치가 슬라이드 부재가 작동된 경우에 슬라이드 부재의 삽입통로의 보다큰 부분에 대하여 고착적으로 압압평판을 보지하는 하우징 개구에 근접하여 위치된 훅크장치를 포함하는 사진 투시장치.
  108. 제10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훅크된 레버들이 슬라이드 부재들의 복귀 작동 동안에만 슬라이드 부재상에 위치된 제1작동 소자들에 의하여 보지 위치내로 피보트되도록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가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모든 경우에 슬라이드 부재상에 위치된 제2작동 소자들에 의하여 풀려진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피보트되는 사진 투시장치.
  109. 제108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훅크레버들이 기판에 오른쪽 각도에서 축들을 갖는 하우징 기판에 제공된 핀들에서 피보트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110. 제10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이 훅크레버들이 피보트된 연장이상으로 연장부분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11. 제108,109 및 11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제1작동소자들이 측면 슬라이드 부재 다리들 상에 배열된 탄성작동암들인 사진 투시장치.
  112. 제108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제2작동소자들이 슬라이드 부재의 전면벽의 부분기 의하여 형성되는 사진 투시장치.
  113. 제11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제2작동 소자들이 하우징 대응부내로 돌출한 슬라이드 부재 손잡이에 의하여 형성된 사진 투시장치.
  114. 제11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에 대면하는 면들상의 훅크 레버들이 제1작동 소자들에 대하여 경사 작동표면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15.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이 상부 덮개와 하부덮개를 갖이며 두 개의 덮개들이 내부 폐쇄되도록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116. 제1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덮개를 사이에 분리평면내에 비대칭적으로 제공된 안내홈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투시장치.
  117. 제11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비교적 짧고 좁은측에 근접하여 제공되며 그리고 안내홈들을 중단하는 폐쇄캠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투시장치.
  118. 제11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투시윈도우의 중간을 표시하며, 안내홈의 영역내에 내부적으로 돌출한 자국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투시장치.
  119. 제1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꼭 맞는 슬라이드 부재의 손잡이 조각과 상부 덮개가 집적적으로 제조되며, 표면종결을 갖도록 제공되며 이후에 분리되는 사진 투시장치.
  120. 제1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브 부재의 이동방향에 평행인 상하부 덮개들의 변들이 2중벽 구조이며, 동시에 연결되는 사진 투시장치.
  121. 제12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구석들이 적어도 한 평면내에서 둥글게 되있으며, 둥근 반경이 2중벽 변들의 폭과 거의 동등한 사진 투시장치.
  122. 제1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자어서, 하우징이 하우징 윈도우에서 투사된 경우에 하우징이 사각형인 사진 투시장치.
  123. 제12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브 부재의 종단면에서 본 하우징이 거의 사각형이며 하우징의 높이의 약 절반의 반경으로 둥글게된 사진 투시장치.
  124. 제1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부덮개가 압압으로 접혀지는 받침다리에 대한 압압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25. 제12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이 슬라이드 부재 평형 기초위치와 비작동 위치 사이의 저부 덮개의 외측의 중심영역에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126. 제12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받침다리가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저부덮개내에 장착된 해드를 갖으며, 받침이 이 해드에 유연하게 연결된 사진 투시장치.
  127. 제12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받침다리가 한조각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부분인 사진 투시장치.
  128. 제12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받침다리가 받침이 개방되어 나갈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저부덮개상에 지지된 스톱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29. 제12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해드 가측방형태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상우형태로 장치를 지탱하기 위하여 적당한 위치에서 하우징에 대하여 폐쇄되는 사진 투시장치.
  130. 제1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외측면상의 하부 덮개가 한지장치에 의하여 부착된 받침다리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131. 제1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힌지축이 하우징의 사각외 측면에 대각선으로 작동하는 사진 투시장치.
  132. 제13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오른쪽 상의 슬라이드 부재 취출방향으로 하우징 윈도우측에서 본 대각선이 좌상측에서 우하측으로 작동하는 사진 투시장치.
  133. 제13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안내부분이 제공된 다른 뒤쪽의 힌지 축방향에 받침다리용의 스냅인 부분과 스톱부분이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134. 제133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구석들에 의한 근접한 두 개의 동일한 힌지들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투시장치.
  135. 제133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안내부분이 받침다리 상에롤-오프변과 하우징기판내에 상보적인 의형의 롤-오프홈을 갖는 투시장치.
  136. 제133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스냅인부분이 힌지에 평행인 받침다리상에 스냅인형핀을 갖으며, 하우징 기판에는 스냅인핀에 걸쳐 속박하는 돌출부를 개구의 변에서 형성되게하며 그리고 변의 반대쪽에서는 돌출부가 탄성적으로 편이될 수 있는 평판형 하우징 기판부분의 자유 단부인 사진 투시장치.
  137. 제133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스톱부분이 다리가 개방되고 접어진 경우에 편이되는 특정평판 부분을 갖는 받침다리 스냅들상의 폐쇄변에 걸친 립(rip)과 탄성 평판 하우징기판 부분상에 형성된 립을 포함하는 사진 투시장치.
  138. 제13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스톱부부의 영역내의 받침다리가 개구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139. 제136항 및 13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탄성평판 부분들이 힌지축에 횡단적인 슬로트에 의하여 제한되는 사진 투시장치.
  140. 제124항 또는 제1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사하우징내의 홈내에 받침을 고착시키기 위한 누름버튼을 특징으로하는 사진 투시장치.
  141. 제1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저부덮개내에서, 슬라이드 부재가 안내되며 그리고 압압 장치가 장착되며 그리고 상부 덮개가 하우징 윈도우와 하우징윈도우 전체를 속박하며 그리고 하부덮개의 외형과 맞물리는 원형을 속박하는 덮개 프레임을 포함하는 사진 투시장치.
  142. 제14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삽입후에 하부덮개에 상부덮개에 초음파적으로 용접되는 사진 투시장치.
  143. 제14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덮개 프레임에 포함된 윈도우 압압부가 하우징 외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저부덮개의 폐쇄부분을 갖는 외형구조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144. 제143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폐쇄부분이 저부덮개의 평판단계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진 투시장치.
  145. 제144항 및 제124항 또는 제144항 및 제13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받침다리가 단계의 부분을 형성하는 사진 투시장치.
  146. 제14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받침다리가 우상형태와 동일각도에서 측방향 형태내의 비사각형 하우징을 받치도록 설계된 사진 투시장치.
  147. 제1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와 덮개들의 적어도 하나가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통로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들과 대용스톱들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48. 제14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부덮개내에 묶음의 종단들에 대한 블록스톱들과 이들 스톱들용의 개구를 갖는 분리기가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149. 재14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개구의 영역내에 하우징덮개가 슬라이드 부재 전면종단의 양측에서 서로 맞물리는 벽부분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50. 제1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손잡이 조각이 내부 폐쇄 방법으로 또는 부착방법으로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되는 사진 투시장치,
  151.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가 사진들의 묶음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소자들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52. 제151항에 의한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보조소자들이 슬라이드 부재의 내부 외형뒤에서 돌출된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는 사진 투시장치.
  153. 제15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보조소자들이 슬라이드 부재측면 레일에 부착된 탄성 클램핑 조각들을 포함하는 사진 투시장치.
  154. 제15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보조소자들이 슬라이드 부재측면 레일에 형성된 탄성유치혀들을 포함하는 사진 투시장치.
  155. 제1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손잡이 기판이 외측으로부터 잡혀질 수 있으며 압압평판 이하에 도달하는 평면기판 부분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56. 제15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면기판부분이 평판상의 스프링 종단 가까이 연신하는 사진 투시장치.
  157. 제15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면기판 부분이 외측상에 손잡이 홈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58. 제155항 또는 제15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평면기판 부분이 하우징기판의 외형내에 고착된 사진 투시장치.
  159. 제15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윈도우측상의 손잡이 기판이 하우징과 맞물리며 그리고 하우징으로서의 동일 표면 종단부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160.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분리기가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동안 중심적으로 압압평핀을 때리도록 설계된 사진 투시장치.
  161. 제16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압압평판을 두드리는 분리기의 변이 수직으로 10°내지25°의 각도로 기울어서 작동하므로서, 바뀌는 개별적 사진이 미끄러지는 연단부가 수직으로 25°내지 45°의 각도로 기울게하는 사진 투시장치.
  162.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슬라이드 부재 종단면상에 상표가 형성되는 사진 투시장치.
  163. 제16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상표가 슬라이드 부재에 고착적으로 연결된 그리고 종단벽으로 부터의 일정거리로 공극된 투명덮개 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상표가 슬라이드 부재와 덮개사이의 공극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사진 투시장치.
  164. 제16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상표가 투명플라스틱 재질의 드롭-(drop)덮개에 의하여 폐쇄된 사진 투시장치.
  165. 제164항에 의한 사진 투시 장치에 있어서, 드롭덮개가 종이 유지변과, 개구스톱,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가 잡아당겨진 경우에 풀리게되는 폐쇄구조를 포함하는 사진 투시장치.
  166.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가 선형접촉으로 하우징내에서 안내되는 사진 투시장치.
  167. 제16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가 접접속형 면적을 규정짓는 하우징상의 돌출부 장치에 의해서만 이동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사진 투시장치.
  168. 제15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보조소자로서의 슬라이드 부재가 사진에 걸쳐서 측방향으로 속박하며, 슬라이드 부재변에 형성된 보지봉을 갖으며 이 보지봉이 하우징 윈도우의 프레임 지지대를 따라서 안내되는 사진 투시장치.
  169. 제168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보지봉이 슬라이드 부재의 하우징 내부 종단으로부터 슬라이드 부재의 중간으로 연신되는 사진 투시장치.
  170. 제16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전부종단에 대면하는 보지봉의 종단이 둥글은 사진 투시장치.
  171. 제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슬라이드 부재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속박소자와, 모터구동 사진 변경장치용 하우징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속박소자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172. 제17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속박소자가 하우징 기판내의 홈인 사진 투시장치.
  173. 제17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9cm×9cm 형태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사진 투시장치.
  174. 제17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9cm×11.5cm 형태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사진 투시장치.
  175. 제17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9cm×13cm 형태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사진 투시장치.
  176. 제171, 173, 174 및 17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속박소자들이 모든 형태들의 장치내에 적당한 사진 투시장치.
  177. 제17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한쪽으로는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 기판부분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이 속박소자로서 원토형 개구를 갖는 사진 투시장치.
  178. 제17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원통형 개구가 비작동 위치내의 비작동 버튼에 의하여 덮혀지는 사진 투시장치.
  179. 178항에 의한 사진8 투시장치에 있어서, 작동위치에서, 비작동 버튼이 하우징의 원통형 구멍과 일치하는 구멍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80. 제176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교적 짧은 형태의 장치의 경우에서 홈들이 보다긴 형태의 장치로부터 필요한 왕복에서의 차이에 대응하는 사진 변환장치의 비부하 왕복을 허용하는 사진 투시장치.
  181. 재180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교적 짧은 형태의 장치에서의 홈들이 세로 구멍들로서 구성되있으며, 보다 긴 형태의 장치의 경우에서는 원통형 개구들로서 형성하는 사진 투시장치.
  182. 제11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저부덮개가 끈구멍을 갖는 사진 투시장치.
  183. 제182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끈구멍들이 비사각형 기판 덮개상의 비교적 긴 그리고 비교적 짧은변에 형성된 사진 투시장치.
  184. 제183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비교적 긴 변상의 끈구멍이 장치내의 다수의 사진들에 따라서 장치의 중량중심에 대한 끈잡이 점을 변이하기 위하여 세로 슬로트로서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185. 제183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끈구멍이 슬라이드 부재의 손잡이 기판의 영역내에 제공된 사진 투시장치.
  186. 제185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다른 끈구멍이 오른쪽상에 손잡이 기판을 갖는 투시 윈도우에서 보이는 경우 상부에 장치된 사진 투시장치.
  187. 제11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손잡이기판이 묶음이 하우징 윈도우를 갖는 장치내로 눌려질 수 있는 장치에 의하여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사진 투시장치.
  188. 제18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입수된 손잡이 기판이, 슬라이드 부재가 하우징내로 완전히 눌리워진 경우에, 하우징 윈도우의 변에 가까이에 도단하는 사진 투시장치.
  189. 제187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가 하우징내로 눌리워진 경우에, 압압평판의 가장 가까운 종단이 분리기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하우징 윈도우에 바른 각도로서의 방향으로 하우징 윈도우 가까운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 기판의 양측상에서 자유 공간이 제공는 사진 투시장치.
  190. 제189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자유공간이 슬라이드 부재가 되돌아 나온 경우에 상기로부터 허용되는 사진 투시장치.
  191. 제188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손잡이 기판의 외형이 하우징의 절취부분의 외형에 상보적으로 맞도록 구성된 사진 투시장치.
  192. 제34항에 의한 사진 투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취출동안, 분리기가 사진이 다른측상에서 유지소자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은 점에서만 압압평판상에 위치된 사진을 접하는 사진 투시장치.
  193.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00001555A 1980-04-15 1980-04-15 그림틀 KR84000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555A KR840001080B1 (ko) 1980-04-15 1980-04-15 그림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555A KR840001080B1 (ko) 1980-04-15 1980-04-15 그림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088A true KR830003088A (ko) 1983-05-31
KR840001080B1 KR840001080B1 (ko) 1984-07-31

Family

ID=1921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555A KR840001080B1 (ko) 1980-04-15 1980-04-15 그림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0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080B1 (ko) 198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988199A3 (ru) Аппарат дл просмотра фотоснимков
JP2525889B2 (ja) チップカ―ド読取装置
US4691456A (en) Container for storing a stack of pictures
JPH0652543B2 (ja) Icカード用の走査装置
US7507041B2 (en) Imaging device
CA1103490A (en) Container and viewer for photographic prints
US4241528A (en) Picture viewer
NL8600657A (nl) Plaatbeschouwingstoestel.
EP1705876A1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comprising a sliding cover for protecting a camera lens
NO862819L (no) Innretning for omstabling av en stabel bilder.
US4550516A (en) Picture viewer
KR830003088A (ko) 사진 투시 장치
JPS60241615A (ja) 押ボタンスイツチ
US4346300A (en) Film sheet cassette
JPS58134878A (ja) 写真プリント用コンテナ
US4313675A (en) Episcope
US4754564A (en)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rectangular or square sheets
JPH03133477A (ja) 乾式ひげ剃り装置
US5359755A (en) Garment security clip
NO166979B (no) Innretning for omstabling av en bildestabel.
US4801016A (en) Planar element storage and display apparatus
GB2099181A (en) Sheet film holder
US4879825A (en) Cyclic rearrangement apparatus for stacked rectangular sheets
US6302597B1 (en) Hidden viewfinder for camera
EP1025563A1 (en) STORAGE BOX AND SET-UP DEVICE FOR STORAGE BOXES FOR MASS INFORMATION CARRIERS SUCH AS CDs, COMPUTER DISKS AND THE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