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763B1 -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 Google Patents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63B1
KR830001763B1 KR1019790000923A KR790000923A KR830001763B1 KR 830001763 B1 KR830001763 B1 KR 830001763B1 KR 1019790000923 A KR1019790000923 A KR 1019790000923A KR 790000923 A KR790000923 A KR 790000923A KR 830001763 B1 KR830001763 B1 KR 83000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stern
shaft
support
panel
decora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790A (ko
Inventor
아기라 미쓰싸와
시게루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고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끼 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끼 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고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to KR101979000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63B1/ko
Publication of KR83000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제1도는 웅부재와 자부재를 떼어 놓은 상태의 오른쪽 반을 단면으로 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 II-II 단면도.
제3도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일부 단면 정면도.
제4도는 일부 절단한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일부 단면 정면도.
제6도는 상도(上圖)의 웅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은 두장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차내 장식을 위하여 붙이는 장식판을 차체 내벽에 고착시킬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개량된 플라스틱제의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에 사용되는 장식판은 심판(心板) 표면에 천, 비닐 레자 등의 화장 시이트를 발라 놓았기 때문에 이것을 실내벽에 붙일 경우에는 화장 시이트와는 관계 없이 직접 그 이면을 실내벽에 붙일 수 있도록 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 때문에 이런 류의 장식판을 고정시킬 고정구는 장식판 이면에 직접 세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장식판을 차체의 내벽면에 붙일 경우에는 미리 이 장식판 이면에 세워 설치하여서 장식판을 내벽면에 붙이는데 따라서 이 내벽면에 뚫어 놓을 구멍에 그 지지각을 맞추고 다음에 장식판의 표면측을 해머등으로 때리므로써 지지각을 구멍에 무리하게 밀어 넣어 장식판을 고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장식판을 고정시키는 고정구는 최종적으로 해머로 두드려서 실내벽에 뚫은 구멍에 박아서 장식판을 붙일 수가 있으나, 종래에 제공된 고정구는 주로 장식판만을 붙이는 것에 그 주안점을 두기 때문에 견고한 부착을 기대할 수 있는 반면, 반대로 뜯어낼 때는 전혀 기대대로 되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 문의 내장을 붙이기 위하여 종래의 고정구를 사용했을 경우, 예를 들면, 도어의 유리판이 파손되었을 때의 교환 또는 도어의 내부 부품에 장해가 생겼을 때에는 무리하게 내장한 장식판을 잡아 뜯어서 교환, 점검 등의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아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장식판으로 사용하는 심판은 차체에 사용하는 금속판보다 강도적으로 약한 재질의 판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무리하게 잡아뜯으면 파손하는 수가 있어서 재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고정구의 지지각이 구멍의 가에서 깎여서 지지기능을 해치는 일도 있어 매우 곤란한 작업으로 되어 있었다. 더구나 이런 류의 고정구는 한장의 장식판을 고정시킬 경우에 다수개가 사용되기 때문에 뜯어낼때 장식판을 손상할 위험이 매우 높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패널 상호를 필요한 힘으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필요에 의해서 이 패널을 잡아 뜯을 경우에는 부착시킨 패널과 고정구 자체를 파손하지 않고 상기 결합을 풀어서 떼어내게 한 고정구를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는 웅, 자 2개의 부재로 되어 있고, 한쪽의 패널에 웅부재를 다른쪽의 자부재를 붙여서 양패널을 붙일때 웅부재에 갖춘 축부를 자부재의 동부에 찔러넣어 결합시키는 구조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기 축부의 선단에 경이 불록한 결합부를 갖추고, 한편 동부에는 내부벽면에 환상지지부를 갖추어서 축부의 돌입에 의해서 들어오는 상기 결합부를 이 지지계단부의 확장에 의해서 받아들여서 지지시키는 한편 패널을 떼어낼 때에는 축부를 빼냄으로써 지지계 단부를 다시 확장시켜서 지지상태를 풀어서 떼어내도록 한 점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축부의 직경을 자부재의 동부 내경보다 작게 하여 축부 선단의 결합부가 전기 지지계단부에 지지하였을때, 이 결합부를 지점으로 축부를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축부를 빼낼때 그 요동범위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뒤따라가서 용이하게 결합을 풀도록 한 점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부재의 동부 내경보다 소경으로 형성될 웅부재의 축부 주면에 탄성 익편을 일체로 마련하여 양부재가 결합할때 이 탄성 익편을 동부 내벽면에 맞닿게 하여 축부를 동부의 중심선에 따르게 하여 축부의 방향과 동부 즉 웅부재의 방향을 맞추도록 하는 동시에 축부를 빼냈을때에는 상기 탄성익편을 탄성 변형시켜서 동부에 대한 축부의 방향을 자유로이 바꾸고 빼내는 방향을 하나로 제약하는데서 생기는 부하를 없게 하여 쉽게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고 그 특징을 상술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1은 웅부재를 표시하고, 2는 자부재를 표시한다. 웅부재(1)는 제4도에 표시한 장식판(3)에 뚫을 열쇠구멍 모양의 공부(4)에 걸어 고정되는 두부(5)와 자부재에 결합할 축부(6)를 갖춘다.
그리고 상기 두부(5)는 외주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경부(7)를 사이에 두고 소경인 지지플랜지(8)와 대경인 주플랜지(9)를 상하 서로 대향하도록 만들었으며, 또 축부(6)는 상기 경부(7)의 연장선상을 따라서 주플랜지(9) 하면에서 수직으로 뻗어나고, 그 축끝에 구(球)상 결합부(10)를 갖춘다.
그리고 또 이 축부(6) 주면에는 방사방향으로 뻗어나온 4가닥의 탄성익편(11)…이 있다.
장식판(3)에 뚫릴 열쇠구멍형 공부(4)는 원형 모양의 지름이 큰 공부(4a)에 연속해서 지름이 작은 공부(4b)가 있고, 대경공부(4a)는 상기 두부(5)의 지지플랜지(8)의 지름보다는 크고, 대경인 주플랜지(9)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에 잇닿는 소경 공부(4b)는 지지플랜지(8)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였다.
그리고 양공부(4a)(4b)를 연락하는 잘룩한 부분(4c)은 지지플랜지(8)와 주플랜지(9)를 잇는 경부(7)를 통과시킬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부착공에 부착될 웅부재(1)는 장식판 평면에서 그 대경공부(4a)에 지지플랜지(8)를 꼽아넣어 주플랜지(9)를 판면에 닿게하고 다음에 그 상태대로 웅부재 전체를 소경인 구멍(4b)방향으로 밀어 경부(7)를 잘룩한 부분(4c)에 통과시키고 소경공부(4b)로 이동시키고 이럼으로서 지지플랜지(8)와 주플랜지(9)가 장식판 양면에 닿으므로서 부착된다.
이 경우에 소경공부(4b)에 들어간 두부가 대경공부(4a)로 이동하면 자동적으로 부착공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미리 두부(5)의 경부(7) 길이는 장식판 두께에 맞추어 소경공부(4b)에 들어갔을때 지지플랜지(8)와 주플랜지(9)의 각 대향면이 장식판 양면에 유효하게 접촉하도록 하여 두면 좋다.
한편 웅부재에 결합하는 자부재(2)는 거의 넘어진 원추형을 하는 내부가 중공인 동부(12)를 주체로 하고 그 개구부(13) 외주면에 우산형의 부착 플랜지(14)를 갖추고 있고 동부(12) 외주면에는 이 부착플랜지 하면에 대향하도록 수조의 지지돌기(15)……가 있다. 그리고 동부(12)의 중공 내부에는 웅부재(1)의 축부 선단에 설치한 결합부(10)를 지지할 환상 지지부(16)가 만들어져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동부(12)는 가장 외경이 큰 개구부분의 직경을 지지패널(17)에 뚫을 투공(18)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였으며 그 외주면에서 돌출한 지지돌기(15)…를 이와는 역으로 각 정점간을 연결하는 원의 직경이 상기 투공(18)의 지름보다 커지게 형성하였다.
그리고 지지돌기(15)…는 부착플랜지(14)쪽 단부에 계단(19)…을 만들고 이 계단과 플랜지와의 사이에 투공(18)연을 받아들인 간격(2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동부(12)는 상기 웅부재 축부(6)를 받아들여 일체로 결합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0)를 포함한 축부(6)의 전장을 받아들일 수 있는 깊이로 형성하고 그 내벽면의 깊이의 도중에 결합부(10)를 지지할 상기 지지부(16)를 설치하는 동시에 계구부(13)에서 이 지지부에 이르는 내경을 축부(6) 및 결합부(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그 침입을 쉽게 하는 동시에 동부내로 들어갈 축부(6)와 이 내벽면과의 사이에 간격(21)을 형성하고 이 간격을 이용하여 축부(6)가 자유로히 요동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경우에 상기 축부(6)는 동부내에 대한 침입과 함께 주면에 갖춘 탄성익편(11)을 동부 내벽면에 닿게하므로써 보통때는 탄성익편의 돌출에 의해서 동부(12)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의 상기 지지부(16)는 동부 내벽면에 따라서 환상으로 형성하고, 또 개구부(13) 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결합부(10)의 침입을 쉽게 하는 동시에 반대측면은 이보다 급각도의 오목한 원호면으로 형성하여 삽입된 결합부(10)가 빠져나가는 것이 침입시보다 곤란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지지부(16)는 결합부(10)가 결합하여 그 구상외주면이 계단부의 내측 가에 닿았을때 축부(6)의 기단부가 동부(12)의 개구부(13)에서 일부 노출하는 깊이의 위치로 형성되고 양부재가 결합한 상태에서 웅부재를 끌어올렸을때 주플랜지(9)의 하면이 부착 플랜지(14)의 상면에서 약간 뜨게 하였다.
또 설명할 필요도 없이 이 지지부는 구상을 한 결합부(10)의 직경보다 내경을 작게 형성하고 결합부를 받아들일 때에는 소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확장시켜서 받아들일 수 있게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웅부재(1)에 대응하여 구성된 자부재는 지지패널(17)간에 뚫을 투공(18)에 동부(12)를 삽입하고 다음에 부착플랜지(14)의 하면이 패널면에 닿는 동시에 동부의 외주면에 형성한 지지돌기(15)…가 관통할 때까지 밀어넣음으로써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밀어넣으므로써 우산형의 부착플랜지(14)가 확장하여 지지패널의 표면에 압접하기 때문에, 그 복원력에 의해서 덜거덕거리지 않게 부착되고 또한 이 부착플랜지(14)가 투공(18)을 덮어 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고정구는 장식판을 고정시킬 경우 하나의 방법으로 웅부재(1)를 절술한 방법으로 장식판(3)에 설치하는 구멍(4)에 부착시키고 그 축부(6)를 장식판 이면에서 일으켜 세우는 한편, 자부재(2)를 지지패널(17)에 설치하는 투공(18)에 장착하고 이 양자를 부착시킨 다음, 장식판을 지지패널에 맞추어 장식판의 이면에서 돌출하는 축부(6)를 자부재의 동부 개구부(13)에 향하게 하고, 다음에 웅부재의 두부(5)를 장식판의 표면측에서 해머등 적당한 공구로 두드리고, 축부선단의 결합부(10)를 동부내의 지지부(16)에 돌입시키므로서도 할 수도 있는 한편, 또 미리 웅부재 축부(6)를 자부재 동부(12)에 삽입하여 계합부(10)를 지지부(16)에 결합시켜 양부재를 결합시켜 놓고, 이 상태에서 웅부재 두부(5)를 장식판(3) 구멍(4)에 부착시키고, 다음에 이 장식판을 패널(17)에 대는데 따라 그 투공(18)에 자부재(2)의 선단이 오게하여 상기와 같이 장식판의 표면축에서 웅부재 위치를 목표로 해머등으로 때리므로써 양부재를 결합시킨 채로 자부재를 패널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 후자의 경우, 결합한 웅자 양부재는 축부(6)와 동부(12)의 내주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21)에 의해서 축부의 요동이 자유롭지만 통상 상태에서는 탄성익편(11)…이 동부 내벽면에 닿아서 이 축부를 동부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자부재(2)는 투공(18)의 투공에 대해서 수직으로 있게 되고 그 작업을 원활히 하는 한편, 결합시킨 상태에서 웅부재의 두부를 장식판의 공부에 지지할 경우도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작업이 손쉽다. 물론 패널에 장식판을 고착시킨 다음, 이것을 떼어낼때는 동부(12)에 낀 축부(6)의 주위에 간극(21)이 있기 때문에 축부가 비스듬하게 빠져나왔을 경우에는 상기 탄성 익편(11)을 바로잡아 방향을 바꾸어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제5도 및 제6도는 상기 탄성익편(11)…의 변형을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이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익편(11)은 축부(6)의 주면에 간격을 두고 2단의 클릭형으로 형성하였으며 그 각각의 주연이 동부(12) 내벽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익편은 얇게 하여 탄성을 지니게 하였고 보통 상태에서는 축부(6)를 동부(12)의 중심에 위치시켜 빼낼때에 축부가 경사할 때에는 클릭을 변형시켜서 이 경사를 허용하도록 하여 상기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올린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는 웅, 자 양부재의 결합에 의해서 장식판(3)을 지지패널(17)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동부에 돌입시킨 축부를 지지계단부의 지지력에 버티면서 빼내면, 그 결합을 벗어나서 상기 장식판을 지지패널에서 빼낼 수 있는 동시에 다시 이 경우에 상기 축부는 동부에 대하여 요동가능케 들어앉기 때문에 축부를 빼내는 방향을 그만큼 자유로히 선택할 수가 있고 웅부재에 필요없는 부하를 주지 않고도 장식판을 떼어낼 수가 있다.
특히 상기 축부의 요동작용은 한장의 장식판을 다수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실제의 작업을 생각한다면 매우 유효하다는 것이 명료하게 될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장식판을 지지패널에 붙일 경우에는 판의 크기에도 따르지만 보통 10-20개 정도 고정구를 사용해서 장식판의 전면을 균일하게 접면하도록 고정시키지만, 본 발명의 고정구인 경우도 그러하듯이 반대로 이 작식판을 빼낼 때에는 장식판과 지지패널 사이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집어 넣어 뜯어내듯이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구를 한개씩 빼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뽑히는 고정구는 장식판이 휘는 것에 의해서 무리하게 뽑혀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패널의 투공(18)에 들어간 웅부재는 패널에 대하여 수직으로 뽑히는 것이 아니라 비스듬히 뽑히게 된다.
따라서 투공에 직접 결합시키는 구조인 고정구일지라도 또 본 발명의 고정구와 같이 자부재를 통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의 것이라도 투공 또는 자부재에 대하여 간극없이 끼워넣어서 고정된 경우에는 뽑아낼 때의 저항이 한층 세어서 뽑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고정구 자체를 파손하거나 장식판, 특히 그 부착공의 연부를 손상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정구는 자부재에 들어간 축부가 요동하고 판이 휘는데 따라서 뽑는 방향을 자유로 선택하여 자부재와의 결합력을 변경하는 일이 없이 뽑아지기 때문에 고정구 자체를 파손하거나 또는 장식판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쉽게 작업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듯이 웅, 자 두개의 부재를 결합시켰을 때 동부에 들어갈 축부는 그 주면에 있는 탄성 익편에 의해서 동부의 중심에 위치하고 결과적으로 동부의 중심과 축부의 축심을 맞추어 자부재의 방향과 웅부재의 방향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양자를 결합시킨 상태에서의 취급을 매우 쉽게 하고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 쉽게 추측할 수 있는 것이지만 탄성익편을 방사상으로 만들 경우에는 3개이상의 익편을 등간격으로 만드는 것이 적당하고 또 클릭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1개만이라도 된다.
또 상기 익편은 그 선단연이 동부 내벽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이 튀어나간 길이에 대하여는 다소의 오차가 있어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유있게 접촉하여도 좋고 반대로 내벽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도 된다. 요컨데 통상 상태에 있을때 축부가 동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튀어나오는 것이면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Claims (1)

  1.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는 웅자 2개의 부재로 된 고정구로서, 웅부재는 한편의 패널에 형성하는 공부에 계지되는 두부와 두부의 편면에서 연설된 축부를 가지며, 상기 두부는 구멍에 대한 삽입량을 규제하는 주플랜지와 공부에 수납되는 경부(頸部)와, 패널의 반대측으로 빠져나와 경부가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지지플랜지를 갖추고 또 상기 축부는 축단에 자부재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추고 있으며, 한편 자부재는 다른편의 패널에 형성한 공부에 삽입되고, 또한 일단을 개구시켜서 중공의 내부를 개방한 동부와, 이 동부의 삽입량을 규제하는 부착플랜지를 갖추어서 이루어지고 이들 2개의 부재중 상기 자부재의 동부에는 중공의 내부에 지지부를 갖추고 상기 웅부재의 축부에 설치한 결합부를 붙이고 떼기자유로 결합시키므로써 결합되도록 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웅부재의 축부는 자부재의 동부내경보다 소경으로 하여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 상기 결합부를 지점으로 동부내에서 요동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이 축부주면에는 방사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진 탄성익편을 돌설하고 상시에는 이 탄성 익편을 동부내벽면에 접촉시켜서 축부를 동부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KR1019790000923A 1979-03-26 1979-03-26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KR83000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923A KR830001763B1 (ko) 1979-03-26 1979-03-26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923A KR830001763B1 (ko) 1979-03-26 1979-03-26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90A KR830000790A (ko) 1983-04-18
KR830001763B1 true KR830001763B1 (ko) 1983-09-03

Family

ID=1921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923A KR830001763B1 (ko) 1979-03-26 1979-03-26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18B1 (ko) * 2012-08-29 2013-01-09 이표영 퀵 클램핑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18B1 (ko) * 2012-08-29 2013-01-09 이표영 퀵 클램핑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90A (ko) 198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751B2 (en) Tightening structure for assist grip
JP3296880B2 (ja) 押ボタン
JP4067341B2 (ja) 2ピースクリップ
US4422222A (en) Fastening structure
KR850000877Y1 (ko) 단추
JPS587851B2 (ja) 留め具
JPH0155681B2 (ko)
JPS62155314A (ja) 着脱自在なパネル締付具
KR100210883B1 (ko) 탄성부재 고정용 클립
JPS6026757A (ja) 表面構造体及びパネル装置
JP2000346023A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
US20050002760A1 (en) Blind rivet fastener and workpiece assembly using same
JP2001146911A (ja) 位置決め装置
KR830001763B1 (ko)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US4776740A (en) Stud fastener
JPH11215667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01020924A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
KR920007082Y1 (ko) 판넬의 멈춤구
JP2601494Y2 (ja) ネジ固定型ホルダー
JP3053103U (ja) レールキャップ
KR200180950Y1 (ko) 트림 고정용 파스너
JPH0343879Y2 (ko)
KR200183520Y1 (ko) 탈착이 용이한 체결 클립
JPH07289311A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
JP3198863B2 (ja) 壁材の取付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