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818B1 - 퀵 클램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퀵 클램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818B1
KR101218818B1 KR1020120095231A KR20120095231A KR101218818B1 KR 101218818 B1 KR101218818 B1 KR 101218818B1 KR 1020120095231 A KR1020120095231 A KR 1020120095231A KR 20120095231 A KR20120095231 A KR 20120095231A KR 101218818 B1 KR101218818 B1 KR 10121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lamp
stopper
coupling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표영
Original Assignee
이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표영 filed Critical 이표영
Priority to KR102012009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2005/067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abutting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퀵 클램핑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결합체 또는 제2결합체에 결합된 탄성을 가지는 클램프와 이에 결합되는 스토퍼가 구비된 케이스 등의 제품을 사용 중 또는 제작 후 테스트 중에 이상이 있거나 점검을 위해 커버를 열 때 간단한 조작으로 한 번에 열수 있고, 케이스 커버와 본체를 반복하여 열고 닫아도 접촉되는 부분이 마모되지 않으며, 케이스를 가공함에 있어 가공 정밀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가능한 퀵 클램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는 제1결합체; 제2결합체; 탄성부와 조임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체 또는 상기 제2결합체에 결합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의 조임부에 클램핑 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제2결합체 또는 상기 제1결합체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퀵 클램핑 어셈블리{QUICK-CLAMPING ASSEMBLY}
본 발명은 제1결합체(예; 본체 케이스)에 결합된 탄성 클램프(30)와, 이에 결합되기 위해 제2결합체(예; 커버)에 구비된 스토퍼(40)로 구성된 퀵 클램핑 어셈블리로서,
케이스 및 커버를 구비한 제품을 사용 중 또는 제작 후 테스트 중에 이상이 있거나 점검을 위해 커버를 열 때 간단한 조작으로 한 번에 열 수 있고, 케이스 커버와 본체를 반복하여 열고 닫아도 접촉되는 부분이 마모되지 않으며, 케이스를 가공함에 있어 가공 정밀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가능한 퀵 클램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본체 케이스와, 본체의 후면 또는 상면을 덮는 커버를 서로 결합할 때에는 조립나사로써 결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나사조립의 단점들을 보완하고 본체 케이스와 커버를 간편하게 조립하기 위한 퀵 클램핑 어셈블리로는,
특허공개 제10-2008-0000066호(공개일자 2008년01월02일) [케이스 조립 구조]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제2케이스의 일측에 제2케이스 보다 강성이 낮은 제1케이스가 조립되는 케이스 조립 구조에 있어서, 제1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나사결합을 위한 제1홀을 갖는 제1보스; 및 제1홀과 대응되는 제2홀을 가지며 제2케이스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제2보스를 포함하여, 나사 조립시 강성이 약한 제1케이스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0861350호(등록일자 2008년09월25일) [냉장고 이너케이스의 스크류 체결어셈블리]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냉장고 이너케이스에 장착된 체결구에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부품을 상기 이너케이스에 고정하는 냉장고 이너케이스의 스크류 체결어셈블리에 관한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 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07392호(등록일자 2010년07월21일) [조립식 컴퓨터 케이스]가 있는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케이스를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 측면판, 상판 및 하판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하되,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체결공을 통공하고 브라켓을 더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전체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조립작업에 의한 컴퓨터 애호가들의 성취감을 높이고, 보관 및 운반시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098585호(등록일자 2011년12월19일) [플로어 힌지 케이스의 덮개 결합구조]가 있는데,
싱기 등록특허는 케이스 몸체에 덮개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가 빈 몸체와 상기 몸체를 덮어주는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와 몸체는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플로어 힌지를 수납하는 플로어 힌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 벽면 상단에는 등변사다리꼴로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접시머리나사 형상인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몸체 한쪽에서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 케이스의 덮개 결합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어셈블리에 있어서 나사를 이용한 조립구조로 조립을 해제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나사를 모두 풀게 되면서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반복적인 나사의 사용으로 인해 결합구 주변이 뭉그러지면서 헐렁해져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조립구조에 필요한 구멍을 제1결합체와 제2결합체에 뚫을 때, 결합되는 두 구멍이 정확히 대응되지 않으면 조립이 잘 되지 않아 정확한 위치로 구멍가공을 위해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KR 10-2008-0000066 A KR 10-0861350 B KR 20-2010-0007392 Y KR 10-1098585 B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제1결합체 또는 제2결합체에 결합된 탄성을 가지는 클램프와 이에 결합되는 스토퍼가 구비된 케이스 등의 제품을 사용 중 또는 제작 후 테스트 중에 이상이 있거나 점검을 위해 커버를 열 때 간단한 조작으로 한 번에 열수 있고, 케이스 커버와 본체를 반복하여 열고 닫아도 접촉되는 부분이 마모되지 않으며, 케이스를 가공함에 있어 가공 정밀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가능한 퀵 클램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클램프를 제1결합체 또는 제2결합체의 결합부에 체결되고, 상기 조임부의 탄성 변형력을 전달받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여 클램프와 결합부간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는 퀵 클램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장착부는 탄성부에 의하여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탄성부, 조임부, 장착부는 일체로 형성된 클램프를 구성하고 있어 탄성부의 탄성을 강화해서 일정정도의 힘을 가져야 제1결합체와 제2결합체가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퀵 클램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울러 스토퍼는 전단부에 차츰 단면적이 증가되는 진입부를 더 포함하고, 걸림부는 진입부와 연결되고 차츰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 후방에는 다시 단면적이 증가되는 정지부를 가져 스토퍼와 클램핑의 결속에 있어 결속은 용이하게 하면서 해제에 있어서는 일정 정도의 힘 이상을 주었을 때 가능하게 하고, 상기 클램프의 탄성부에서 조임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스토퍼의 진입부에서 걸림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크게 구성하여 충격이나 흔들림에 상기 클램프와 스토퍼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퀵 클램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는,
제1결합체와;
제2결합체와;
상기 제1결합체 또는 상기 제2결합체에 결합되고, 탄성부와, 이 탄성부에 연결되어 죄는 힘을 받는 조임부로 구성된 클램프; 및
상기 제2결합체 또는 상기 제1결합체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의 조임부에 클램핑 되는 걸림부를 갖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제1결합체 또는 상기 제2결합체의 결합부에 체결되고, 상기 조임부의 탄성 변형력을 전달받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탄성부에 의하여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상기 탄성부, 조임부, 장착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전단부에 차츰 단면적이 증가되는 진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진입부와 연결되고 차츰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 후방에는 다시 단면적이 증가되는 정지부를 갖고,
상기 클램프의 탄성부에서 조임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스포퍼의 진입부에서 걸림부까지의 길이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는, 제1결합체 또는 제2결합체에 결합된 탄성을 가지는 클램프와 이에 결합되는 스토퍼가 구비된 케이스 등의 제품을 사용 중 또는 제작 후 테스트 중에 이상이 있거나 점검을 위해 커버를 열 때 간단한 조작으로 한 번에 열수 있고,
케이스 커버와 본체를 반복하여 열고 닫아도 접촉되는 부분이 마모되지 않으며,
케이스를 가공함에 있어 가공 정밀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의 클램프와 스토퍼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에서 클램프 조임부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케이스’및 ‘커버’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물건을 넣어 두기 위해 만든 공간을 대표하여 지칭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케이스 외의 상자, 박스, 보관함, 용기, 캐비넷 및 커버 외의 뚜껑, 덮개 등 다양한 물품 종류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는 제1결합체(10), 제2결합체(20), 상기 제1결합체(10) 또는 상기 제2결합체(20)에 결합되고, 탄성부(31)와, 이 탄성부(31)에 연결되어 죄는 힘을 받는 조임부(33)로 구성된 클램프(30) 및 상기 제2결합체(20) 또는 상기 제1결합체(10)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30)의 조임부(33)에 클램핑 되는 걸림부(43)를 갖는 스토퍼(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결합체(10)는 케이스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체(10) 상단 각 끝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정길이가 형성된 제1결합체 테두리(11)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체 테두리(11)에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제1결합체 결합부(13)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체(20)는 상기 제1결합체(10)를 덮을 수 있는 커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의 각 끝부분이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제2결합체 테두리(21)를 가지며 상기 제2결합체 테두리(21)와 제2결합체(20)사이에 일정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체 테두리(21)에는 상기 제1결합체 결합부(13)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제2결합체 결합부(23)가 구성되어 진다.
상기 제1결합체 결합부(13)에는 탄성부(31)에 연결되어 죄는 힘을 받는 조임부(33)를 포함하는 클램프(30)가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체 결합부(23)에는 상기 클램프(30)의 조임부(33)에 클램핑되는 걸림부(43)를 포함하는 스토퍼(40)가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클램프(30)와 스토퍼(40)의 결합과 분리를 통한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의 탈부착으로 케이스의 커버를 열 때 탄성을 이용하여 한 번에 열 수 있고, 케이스 본체와 커버를 반복하여 열고 닫아도 접촉되는 부분이 마모되거나 뭉그러지지 않으며, 상기 제1결합체 결합부(13)와 제2결합체 결합부(23)를 가공함에 있어 높은 정밀도를 요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클램프(30)는 제1결합체의 결합부(13) 또는 상기 제2결합체의 결합부(23)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결합체 결합부(13)에 체결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도면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30)는 상기 탄성부(31)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죄는 힘을 받는 장착부(35)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착부(35)는 제1결합체의 결합부(13)와 결속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옆으로 뉘어진 ‘U'자 형태로 이루어져 양쪽 바깥쪽으로 개방된 홈을 가진다. 상기 장착부(35)의 홈 속에 상기 결합부(13)의 가장자리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램프(30)는 얇은 철판 스트립을 절곡하여, 탄성부(31)와 조임부(33) 및 장착부(35)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탄성부(31)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35)는 상기 탄성부(31)에 의하여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30)를 제1결합체의 결합부(13)에 체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열처리과정을 통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진 상기 클램프(30)를, 상기 제1결합체 결합부(13)를 통과할 수 있도록 죄는 힘을 가해 수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31)부터 제1결합체 결합부(13)를 통과시켜 상기 장착부(35)가 제1결합체 결합부(13)에 닿게 되면 죄는 힘을 풀어, 상기 장착부(35)의 홈 속에 제1결합체의 결합부(13)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상기 클램프(30)와 제1결합체 결합부(13)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30)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스토퍼(40)는, 전단부에 차츰 단면적이 증가되는 진입부(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43)는 진입부(41)와 연결되고 차츰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43) 후방에는 다시 단면적이 증가되는 정지부(45)를 갖는다.
상기 스토퍼(40)는 전단부에 차츰 단면적이 증가되는 진입부(41)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진입부(41)의 가장 큰 단면 폭은 상기 조임부(33)의 양측 길이보다 약간 크게 구성하여 상기 조임부(33)의 죄는 힘보다 큰 힘을 가하여 통과시킨 후 일정정도 이상의 힘이 부여되지 않으면 분리를 시키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진입부(41)와 연결된 상기 걸림부(43)는 차츰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43) 후방에는 다시 단면적이 증가되는 정지부(45)를 가져 상기 스토퍼(40)와 클램프(30)가 결합되어 있을 때 죄는 힘을 받는 조임부(33)에 의해 상기 걸림부(43)가 클램핑되어 상기 진입부(41)가 탄성부(31) 방향으로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결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결합체(20)에 결합된 스토퍼(40)를 제1결합체(10)에 구비된 상기 클램프(30)에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2결합체(20)에 고정된 스토퍼(40)의 진입부(41)를, 제1결합체 결합부(13)에 고정된 클램프(30)의 탄성부(31)를 향해 삽입하여,
상기 스토퍼의 진입부(41)가 클램프의 조임부(33)를 지나도록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클램프의 조임부(33)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스토퍼의 진입부(41)가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의 탄성부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 속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의 진입부(41)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31)에 의해 상기 조임부(33)가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스토퍼의 걸림부(43)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의 조립이 완료된다.
특히, 본 발명의 퀵 클램핑 어셈블리는 상기 스토퍼(40)가 클램프(30)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가 클램프로부터 이탈되기 위해서는 상기 스토퍼의 진입부(41)가 상기 클램프의 조임부(33)에 밀착되면서, 상기 조임부(33)를 벌리게 하는데, 이 힘은 상기 장착부(35)로 전달되어, 상기 장착부(35)를 벌리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장착부(35)는 제1결합체의 결합부(13)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부(13)의 직경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
결국 상기 장착부(35)의 규제력에 의해 상기 조임부(33)의 탄성 변형이 억제되어 상기 스토퍼가 클램프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상기 스토퍼와 클램프 상호간의 결속력을 높여 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클램프(30)의 장착부(35)가 벌어지지 않고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33)를 벌릴 수 있는 정도로 큰 힘을 가해야만, 상기 스토퍼(40)를 상기 클램프(30)에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퀵 클램핑 어셈블리는,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프(30)의 탄성부(31)에서 조임부(33)까지의 길이가 상기 스토퍼(40)의 진입부(41)에서 걸림부(43)까지의 길이보다 더 크게 구성하여 상기 진입부(41)가 상기 클램프(30)의 끝부분에 닿지 않도록 유격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토퍼(40)의 진입부(41)가 상기 클램프(30) 속으로 손쉽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40)가 상기 클램프(30)의 조임부(33)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커버의 어느 한 쪽 가장자리에 고정된 스토퍼(40)를, 이에 대응되는 클램프(30)에 삽입시켜 고정한 후에, 반대편 가장자리에 고정된 또 다른 스토퍼를, 그에 대응되는 클램프(30)에 삽입시켜 커버를 본체에 조립하는 경우에는 이미 결합상태에 있는 클램프(30)와 스토퍼(40) 사이에 상기한 유격이 있어야만 그 반대편 쪽의 클램프(30)와 스토퍼(40)를 결합하기가 용이해지게 된다.
물론, 커버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어느 한쪽의 클램프(30)와 스토퍼(40)는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반대편 쪽의 클램프(30)와 스토퍼(40)를 먼저 분리하게 될 때에도, 상기한 유격이 형성되어 있어야만 분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클램프(30)가 제1결합체 결합부(13)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선회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클램프(30)의 선회 각도에 관계 없이 상기 스토퍼(40)가 클램프(30)의 탄성부(31)와 조임부(33)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40)의 진입부(41), 걸림부(43) 및 정지부(45)는 원형 단면적을 가지는 입체형이 적합하다.
상기 제2결합체 또는 상기 제1결합체에 결합되는 상기 스토퍼(40)는 정지부(45)의 하단에 체결부(49)를 갖고, 상기 제2결합체 결합부(23) 또는 상기 제1결합체 결합부(13)에는 상기 체결부(49)가 결합되는 대응체결부(48)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결합체(20)에 결합되어 구성된 상기 대응체결부(48)는 상기 제2결합체 결합부(23)에 결합된 암나사(48a)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48)는 상기 암나사(48a)와 결속될 수 있도록 수나사(49a)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암나사(48a)가 포함되어 있는 대응체결부(48)는 제2결합체(20)와 제2결합체 테두리(21) 사이의 일정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며,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할 수 있도록 리베팅 건(gun) 등을 이용하여 양쪽에서 눌러주는 리베팅 결합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결합체(20)와 상기 제2결합체의 테두리(21) 사이에 일정공간이 없을 때에는 상기 제2결합체(20) 상단에 직접 리베팅 결합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9)와 대응체결부(48) 사이에는 스프링와셔(49b)를 더 구비함으로써, 진동이나 외부효과 등에 의해 상기 체결부(49)와 대응체결부(48)가 흔들려 암사나(48a)와 수나사(49b)가 회전하여 결속력이 약해져 임의로 풀리는 것을 막아주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40)는 결합 용이성을 위하여 공구결합부(47)를 갖는데, 특히 이 공구결합부(47)는 정지부(45)와 체결부(49) 사이에 형성된 비원형 단면부이거나 가운데 구멍을 뚫어 구성함으로써, 사람의 손으로 결속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클램프(30)는 다른 변형 실시예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클램프(30)의 조임부(33)에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의 진입부(41)가 상기 클램프의 조임부(33)를 통과할 때 상기 조임부(33) 전체가 탄성 변형되는 것이 아니라, 절개된 일부분만이 탄성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약한 힘으로도 손쉽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30)의 조임부(33)에 ‘ㄷ’자 형태로 잘라둠으로써 부드러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40)의 진입부(41)가 상기 조임부(33)에 통과할 때 죄는 힘을 가지는 조임부(33)에서 잘려진 부분만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약한 힘으로도 손쉽게 결속이 가능하고,
상기 스토퍼(40)의 걸림부(43)가 상기 조임부(33)에 결속되어 있어 이를 해제할 때에도 약한 힘만으로도 잘려진 부분만 벌어지면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드러운 탄성력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의 구성은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가 작은 힘으로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상기 제2결합체(20)를 자주 열고 닫아야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를 구성함에 있어 제2결합체(20)가 제1결합체(10)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두 결합체(10)(20)가 서로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두 결합체(10)(20)를 쉽게 분리할 수 없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제1결합체(10)가 본체 프레임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2결합체(20)가 커버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두 결합체(10)(20)를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분리하지 못하게 제한하는 용도 또는 “보안성”이 필요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체(10) 상단에서 각 끝부분을 내측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하고. 또 다시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ㄴ’자 형태로 절곡하여 후술하게 될 제2결합체(20)가 얹혀질 수 있는 단턱을 형성하는 제1결합체 테두리(11)를 구성하고, 이 테두리(11)에 제1결합체 결합부(13)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13) 속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30)를 삽입시켜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체(20)의 가장자리를 내측방향과 내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ㄷ'자 형태가 되도록 제2결합체 테두리(21)를 형성함과 동시에, 절곡된 후의 상기 제2결합체(20)의 크기가 상기 제1결합체 테두리(11)의 내측 공간부와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구성하고, 제1결합체 결합부(13)에 대응되게 상기 제2결합체 테두리(21)에 제2결합체 결합부(23)를 구성한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제2결합체 결합부(23)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퀵 클램핑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는 달리, 상기 클램프(30)와 상기 스토퍼(40)가 서로 결합이 되면, 상기 제1결합체(10) 내부에 상기 제2결합체(20)가 포함되므로, 상기 제1결합체(10) 테두리(11)와 제2결합체(20) 테두리(21)가 서로 밀착되는 경계면이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체(10) 테두리(11)와 제2결합체(20) 테두리(21)가 서로 밀착되는 경계면의 틈 사이로 공구를 삽입할 수 없게 되므로, 함부로 쉽게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를 분리할 수 없도록 하는 특징적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는 처음 결합한 후에 다시 분리할 필요가 없는 보안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체(20)의 세면은 제1결합체(10)의 내부에 들어가 결속되게 하고 나머지 한면은 다수개의 제1결합체 나사공(15)과 제2결합체 나사공(25)이 대응되어 나사(27)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체(10) 상단에서 세면의 각 끝부분을 내측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하고 상기 제2결합체(20)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하단에 제1결합체 테두리(11)를 구성하여 제1결합체 결합부(!3)에 클램프(30)를 결속하고,
나머지 한면은 상기 제1결합체 테두리(11) 길이만큼 절단하고 절단한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어 제1결합체 나사공(15)을 구성한다.
상기 제2결합체(20)의 세면의 크기는 상기 제1결합체 테두리(11)의 크기와 같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2결합체(20)의 하단에 위치한 제2결합체 테두리(21)의 제2결합체 결합부(23)를 상기 제1결합체 결합부(13)와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스토퍼(40)를 결속하고,
상기 제2결합체(20)를 90°로 절곡하여 생긴 나머지 한면에 상기 제1결합체 나사공(15)과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을 뚫어 제2결합체 나사공(25)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를 결속할 때에는 먼저 세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클램프(30)와 스토퍼(40)를 결합시킨 후 마지막에 나사(27)를 통해 상기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를 결속시키고,
분리를 할 때에는 나사(27)를 먼저 분리한 후에 일정정도의 힘을 가하여 상기 클램프(30)와 스토퍼(40)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퀵 클램핑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결합체 11: 제1결합체 테두리
13: 제1결합체 결합부 15: 제1결합체 나사공
20: 제2결합체 21: 제2결합체 테두리
23: 제2결합체 결합부 25: 제2결합체 나사공
27: 나사
30: 클램프 (31: 탄성부, 33: 조임부, 35: 장착부)
40: 스토퍼 (41: 진입부, 43: 걸림부, 45: 정지부)
47: 공구결합부 48: 대응체결부
48a: 암나사 49: 체결부
49a: 수나사 49b: 스프링와셔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1결합체(10)와;
    제2결합체(20)와;
    상기 제1결합체 또는 상기 제2결합체에 결합되고, 탄성부와, 이 탄성부에 연결되어 죄는 힘을 받는 조임부로 구성된 클램프(30); 및
    상기 제2결합체 또는 상기 제1결합체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의 조임부에 밀착되는 걸림부를 갖는 스토퍼(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퀵 클램핑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는,
    제1결합체 또는 상기 제2결합체의 결합부에 체결되고, 상기 조임부의 탄성 변형력을 전달받는 장착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스토퍼(40) 전단부에 차츰 단면적이 증가되는 진입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40)의 걸림부는 상기 진입부와 연결되어 차츰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의 후방에는 다시 단면적이 증가되는 정지부를 가지며;

    상기 클램프의 탄성부에서 조임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스토퍼의 진입부에서 걸림부까지의 길이 보다 더 크게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30)의 조임부(33)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토퍼(40)의 진입부(41)가 상기 조임부(33)를 통과할 때 상기 조임부(33) 중의 일부분이 탄성 변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어셈블리.
KR1020120095231A 2012-08-29 2012-08-29 퀵 클램핑 어셈블리 KR10121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31A KR101218818B1 (ko) 2012-08-29 2012-08-29 퀵 클램핑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31A KR101218818B1 (ko) 2012-08-29 2012-08-29 퀵 클램핑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818B1 true KR101218818B1 (ko) 2013-01-09

Family

ID=4784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231A KR101218818B1 (ko) 2012-08-29 2012-08-29 퀵 클램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32819A1 (en) * 2017-10-09 2020-10-22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Angle coupl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763B1 (ko) * 1979-03-26 1983-09-03 고가사하라 도시아끼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JPS62198591U (ko) 1986-06-06 1987-12-17
JPH03128995U (ko) * 1990-04-04 1991-12-25
KR20110029067A (ko) * 2010-07-20 2011-03-22 김연수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763B1 (ko) * 1979-03-26 1983-09-03 고가사하라 도시아끼 2매의 패널을 일체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구
JPS62198591U (ko) 1986-06-06 1987-12-17
JPH03128995U (ko) * 1990-04-04 1991-12-25
KR20110029067A (ko) * 2010-07-20 2011-03-22 김연수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32819A1 (en) * 2017-10-09 2020-10-22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Angle coup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630B2 (en) Threaded flanged bushing for fastening applications
US7648029B2 (en) Simplified rotatable anti-theft tool rack
US8471133B1 (en) Quick-release cymbal felt locating device
US7950552B2 (en) Gun cover with securing assembly
US11549545B2 (en) Fastening assembly and a corresponding switch cabinet housing
TWM517270U (zh) 扣件裝置
KR101218818B1 (ko) 퀵 클램핑 어셈블리
US20150151504A1 (en) Plastic bezel
US20080129165A1 (en) Quickly detachable cabinet
CN105775103B (zh) 用于封闭结构上的开口的门和飞行器
JP6437229B2 (ja) 留め具
CN109155511B (zh) 用于可内置的电气和/或电子装置的紧固组件
KR20160109950A (ko) 미닫이문의 손잡이 조립체
KR101866307B1 (ko) 차량용 결합부재의 결합구조
CN203560351U (zh) 阻震装置
KR20180040051A (ko) 카세트 커버 조립용 원터치 볼트
KR200408317Y1 (ko) 체결용 봉인장치
KR101011926B1 (ko) 부엌용 가구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KR20180107615A (ko) 프레임 체결체
KR200386889Y1 (ko) 리벳볼트
JP6393103B2 (ja) 取付部品を取付け部に留めるための留め具
KR101554428B1 (ko) 풀림 방지 체결장치
KR20140134892A (ko) 가구용 판넬 체결장치
KR100959510B1 (ko) 학생용 사물함의 잠금장치 고정구
CN201843875U (zh) 把手组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