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23Y1 -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23Y1
KR830001323Y1 KR2019810008473U KR810008473U KR830001323Y1 KR 830001323 Y1 KR830001323 Y1 KR 830001323Y1 KR 2019810008473 U KR2019810008473 U KR 2019810008473U KR 810008473 U KR810008473 U KR 810008473U KR 830001323 Y1 KR830001323 Y1 KR 830001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motor
voltage
capstan motor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10008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마찰자의 취부 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변속시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우터 2 : 증폭기
3 : 파형정형기 4 : 주파수 전압변환기
5 : 필터 9 : 비교기
10 : 마찰자(11)의 구동회로 11 : 마찰자
12 : 비교회로 Ra, Rb, Rc, R1, R2, R3: 저항
본 고안은 VTR의 변속시 마찰자로 캡스턴 모우터의 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소시키어 빠른 시간내에 변속이 완료되도록 한 변속시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정용 VTR에도 재생시 변속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그런데 VTR은 변속시 매우 정밀한 속도 제어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캡스턴 모우터의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햐 하는데, 일반적으로 저속에서 고속으로 변속되는 경우는 쉽게 이루어졌으나, 고속에서 저속으로 변속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방식에서는 고속에서 저속으로 변속되는 경우, 캡스턴 모우터의 관성으로 인하여 빠른 시간내에 원하는 속도로 감속시키지 못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변속이 완료되도록 되어 있어서 화면이 불안정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캡스턴 모우터에 마찰자를 취부하고 변속시 이 마찰자를 순간적으로 동작시켜 캡스턴 모우터의 속도를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속시키므로서 빠른 시간내에 변속이 완료 되도록 하여 화면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 의하여 종래의 회로를 설명하면, 캡스턴 모우터(1)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주파수는 크기가 적으므로 증폭기(2)에서 증폭되고 파형 정형기(3)에서 구형파로 정형되어 주파수전압 변환기(4)에 전달되며 여기에서는 주파수가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되어 필터(5)를 통하여 기준전압(VR)과 비교된 후 위상제어 출력(6)과 합해져서 버퍼(7)를 통하여 모우터 구동회로(8)를 제어하여 캡스턴 모우터(1)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변속은 스위치(S1)로 저항(Ra, Rb, Rc)을 선택 접속하면 저항(Ra, Rb, Rc)과 콘덴서(C1)로서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감속 변속시의 모우터의 제어 과정을 보면, 스위치(S1)로 속도를 선택하면 선택된 속도보다 모우터(1)의 회전속도가 크므로 (모우터의 관성 때문에) 주파수 전압 변환기(4)의 속도제어 출력전압(VE)은 중심전압(V1)보다 적게 되므로 필터(5)를 통하여 기준전압(VR)과의 차이로 나타나는 전압은 중심 전압(V1)인 경우보다 더 크게 되어 버퍼(7)를 통하여 모우터 구동회로(8)에 가해져서 모우터(1)의 속도를 그 만큼 감속시키게 되며 모우터의 감속에 따라 주파수가 다음에 비하여 점차 감속하면 VE의 값은 점차 증가하여 일정시간이 경고하면 변속이 완료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서는 스위치(S1)로 변속을 한후 모우터(1)의 관성으로 인하여 어느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 변속이 완료되므로 화면이 불안정하게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다음에 제2도, 제3도에 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제1도의 종래의 회로도에다 제2도에서와 같이 캡스턴 모우터(1)에 구동회(10)로에 의하여 동작하는 마찰자(11)를 취부하고 기준전압(VR)과 속도에 따라 선택되는 전압(VE)을 비교하여 구동회로(10)에 구동신호를 보내도록 비교기(9)를 연결시키어 비교회로(12)를 구성하여 접속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파수, 전압 변환기(4)에 접속되어 있는 연속스위치(S1)를 정속저항(Rb)에 접속시키면 정속(V)이 선택되고, 배속저항(Ra)에 접속시키면 배속(mV)이 선택되며, 감속저항(Rc)에 접속시키면 감속()이 선택된다.
그리고 속도 제어 출력전압(VE)은 스위치(S1)에 의하여 선택된 속도와 모우터(1)의 속도를 비교하여 선택된 속도와 모우터의 속도가 같으면 VE는 중심전압(V1)이 되고(VE=V1), 모우터의 속도가 빠르면 VE<V1이 되며 모우터의 속도가 느리면 VE>V1이 된다.
만약 정속이 선택되어 모우터(1)가 정속 회전을 하고 있을때 스위치(S1)를 감속저항(Rc)에 접속시키면 선택된 속도는 정속(V)에서 ()로 되며 이에 비하여 모우터(1)의 속도는 관성으로 인하여 정속(V)회전을 어느정도 유지하게 되므로 변속시키는 순간에는 모우터의 속도가 선택된 속도보다 빠르므로 VE<V1이 된다.
그런데 비교기(9)의 비반전 단자(+)에는 항상 일정한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며 반전단자(-)에는 (VE)가 인가되는데 비반전단자(+)의 전압은 주파수전압 변환기(4)에 의한 중심전압(V1)보다 약간 적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 모우터(1)가 선택된 속도로 회전하고 있으면 비교기(1)의 반전단자(-)의 전압(VE)은 중심전압(V1)이 되므로 비반전 단자(+)의 전압보다 약간 크게 되어 비교기(9)의 출력 전압은 로 우레벨이 되며 따라서 마찰자 구동회로(10)는 동작하지 않으나, 속도가()로 선택되면 스위치(S1)를 저항(Rc)에 접속시키는 순간 선택된 속도보다 모우터(1)의 속도가 빠르므로 VE<V1으로 되어 제4도의 t1에서와같이 비교기(9)의 반전단자(-)의 전압 레벨이 비반전 단자(+)의 전압 레벨보다 급격히 낮아져서 비교기(9)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며 이로 인하여 마찰자 구동회로(10)가 동작하여 마찰자(11)를 동작시키므로 모우터(1)의 속도가 순간적으로 감속되며 모우터(1)의 속도가 점차 감소함에 따라 선택된 속도와 모우터의 속도는 점차 차이가 적어져서 VE의 값은 점차 증가하게 되며 그러다가 VE의 값이과 비교하여 비교기(9)의 출력이 로우레벨이 되는 순간(t2순간) 마찰자 구동회로(10)는 동작하지 않게되고 따라서 마찰자(11)는 캡스턴 모우터(1)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이때에는 모우터(1)의 관성이 감소되어 선택된 속도에 거의 가깝게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후 모우터(1)는 모우터 구동회로(10)에 의하여 변속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즉, 빠른 시간내에 감속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제4도에 의하여 살펴보면, 모우터(1)가 정속회전을 하다가(t0-t1) 변속 스위치에 의하여 ()의 속도가 선택되면 (t1순간) 속도제어 출력전압(VE)이 순간적으로 낮아져서 비교기(9)의 출력은 하이레벨이되어 마찰자 구동회로(10)에 의하여 마찰자(11)를 구동시키고, 마찰자(11)에 의하여 모우터(1)의 회전 속도가 점차 감소함에 따라(VE)는 점차 증가하여 일정 전압이 되면 (t2순간) 비교기(9)의 출력은 로우레벨로 반전되면서 마찰자(11)의 동작을 중지 시키고 이후의 감속은 모우터 구동회로(10)에 의하여 변속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감속으로 변속하는 경우 먼저 마찰자로 캡스턴 모우터의 관성을 순간적으로 감속시키어 빠른 시간내에 정밀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감속 변속시 화면이 안정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캡스턴 모우터의 변속 제어회로에 있어서, 캡스턴 모우터(1)의 플라이 휠 측의 부분에 속도를 감속시킬수 있도록 마찰자(11)를 기구적으로 취부하고 비교기(9)의 비반전단자(+)에는 기준전압(VR)을 저항(R2)(R3)으로 분압하여 인가하고 반전단자(-)에는 주파수전압 변환기(4)의 출력을 저항(R1)을 통항녀 연결시키어 비교회로(12)를 구성하고 비교회로(12)의 출력을 마찰자(11)의 구동회로(10)에 연결시키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
KR2019810008473U 1981-12-14 1981-12-14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 KR830001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473U KR830001323Y1 (ko) 1981-12-14 1981-12-14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473U KR830001323Y1 (ko) 1981-12-14 1981-12-14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323Y1 true KR830001323Y1 (ko) 1983-08-01

Family

ID=1922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473U KR830001323Y1 (ko) 1981-12-14 1981-12-14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2956A (en) Motor rotation controlling device
US4259625A (en) Rotational direction indicating apparatus
KR830001323Y1 (ko) 캡스턴 모우터의 제어회로
US4417189A (en) Control circuit for stepper motor
GB1388574A (en) Braking methods and apparatus
US4380723A (en) Digital velocity servo
US4238720A (en) Equipment for the electronic speed control of an induction type motor, especially for use with data store motors
US4633694A (en) Automatic control on strip continuous processing lines
JPS61107165A (ja) 電動機の速度検出装置
US4647829A (en) Means and method for stepping motor stabilization
JPS6058142B2 (ja) リ−ルサ−ボ装置
JPS5910953Y2 (ja) 速度制御増幅器における始動補償回路
JPH0216988B2 (ko)
EP0806769A3 (en) Motor for use i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SU1569936A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JPS5996887A (ja) サ−ボモ−タの回転数制御方法
JPH0222822Y2 (ko)
SU12836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скорости вращени вала
JP2815351B2 (ja) モータ駆動回路
JPH0760562B2 (ja) フロツピイデイスク装置
JPS6145749Y2 (ko)
JPH0820906B2 (ja) ミシンの針定位置停止制御方式
JPS61240869A (ja) モ−タ減速装置
JPS639272Y2 (ko)
JPS54105715A (en) Motor driv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