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11B1 - 무저직기의 위사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무저직기의 위사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11B1
KR830001311B1 KR1019790002805A KR790002805A KR830001311B1 KR 830001311 B1 KR830001311 B1 KR 830001311B1 KR 1019790002805 A KR1019790002805 A KR 1019790002805A KR 790002805 A KR790002805 A KR 790002805A KR 830001311 B1 KR830001311 B1 KR 83000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guides
guide
cut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454A (ko
Inventor
가즈오 시바다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다까시
닛산 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다까시, 닛산 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다까시
Priority to KR101979000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11B1/ko
Publication of KR830001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저직기(無織機)의 위사 절단장치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사시도.
제3도는 부분측면도이며,
제4도-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4도는 평면도.
제5도는 사시도.
제6도는 장력부여시의 부분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저직기에서는 제직중 직포의 양측에서위입된 위사를 절단한다. 이중, 위입된 측은 다음번의 위입전, 구체적으로는 바디침후의 소정시기에 절단하고 반대측의 위입측 잉여단부(剩餘端部)는 통상 2-3픽크후에 절단한다.
그러나, 종래, 위사절단 장치로서, 공기분사식직기 등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가위식의 절단기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2매의 절단날을 가위형태로 핀으로 조여 압전시켜 캠등으로 직기와 관련시켜 개폐시킴으로서, 위사를 절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직기의 가동회전수는 500rpm을 초과하도록 고속화되어, 가위식의 절단기를 매분 500회, 따라서 하루에는 72만회나 개폐시키면, 아무래도 소정시간 사용하면 2매의 절단날의 조임부가 헐거워지고기름이 떨어져 눌어붙는 현상이 일어나는 일이 있었다. 또 절단날의 칼끝이 마모되어 잘들지 않게되는 일도있으며, 특히, 유리섬유를 절단할 경우, 이 현상은 현저하게 되고, 절단기는 40-50시간정도에서 재연마 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게되는 일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에 의하여, 특히 유리섬유의 경우에 바람직한 장치로서, 절단부재로서 절단날을 가지지 않는 판상체를 사용하여, 바디침시 혹은 바디침후에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는위사를 한쌍의 위사가이드로 계합시키고, 한쌍의 위사가이드 사이를, 이들에 계합된 위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횡단하는 상기 판상체의 가장자리에서 위사를 절단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한국 특허원 79-2804호).
그런데 상기 한쌍의 위사가이드에 위사를 바디침후에도 계합시키는 위치는, 클로드 펠(cloth fell)의 연장선 부근에 설정하기 위하여 한번 연장선상에 위사를 가져와서 후에 떨어지지 않도록 훅크상에서 형성된 계지부에 계지시키므로, 위사는 연장선상보다도 바디측으로 돌아온 상태에서 계기되어 있어, 최대장력시보다 약간 느슨한 상태로 계지된다. 더우기, 유리섬유와 같은 신장도가 적은 것은, 위사 파지기를 2단 파지기로 하여 바디침 과정에서 위사 경로가 길어짐에 따른 장력의 증가에 의하여 사절(
Figure kpo00002
切)이 생기지 않도록 이 과정에서 파지력을 약하게 하여 급사체(給
Figure kpo00003
體)측으로 부터 위사를 인출시켜 장력을 완화하고 있기 때문에 계합부재를 설치하고 위사에 장력을 부여한 후 절단부재에서 절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도면중(1)은 경사, (2)는 위입노즐, (3)은 위사, (4)는 바디, (5)는 클로드펠(cloth fell), (6)은 직포, (7)은 템플바로서,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톱스테이(9)에 고정되어 있으며, (8)은 프레임이다.
톱 스테이(9)상에 고정된 직육면체의 브라켓트(10)의 직포(6)측의 측면에는, 경사(1)과 평행으로, 또한클로드 펠(5)의 연장선(5a)를 넘어 다시 연장되는 판상의 한쌍의 위사 가이드(11),(12)와, 그들보다도 직포(6) 반대측(브라켓트(10)측)에 배치한 판상의 뽑힘 방지체(30)을, 각 기단부 사이에 스페이서(13)및 (31)을 사이에 두고 볼트(32)(32), 넛트(32),(32')에 의해 고정해두고, 한쌍의 위사가이드(11),(12)는 소정의 간극(후술할 판상체(19)가 위사 가이드(11),(12)의 측면과 접하면서 이동할 수 있을 정도거나 판상체(19)의 판두께보다 약간 크다)을 유지하여 평행히 배치된다.
여기에서, 한쌍의 위사 가이드(11),(12)는 같은 형상이며, 그들 선단부에서 중간부에 걸친 상단가장자리는 경사 개구를 형성하는 하측의 경사(1)과 같은 경향의 경사진 안내부(11a)(12a)를 이루고, 중간부, 즉 경사진 안내부(11a),(12a)의 종단은 클로드 펠(51)의 연장선(5a)와 교차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종단에 위사(3)을 계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계단부, 예를들면, 도시된 바와같은 계지요홈부(11b),(12b)가 형성되어 있다.
뽑힘방지체(30)의 선단부의 하단 가장자리는 비스듬히 상방으로서 있으며, 즉 클로드 펠(5)의 연장선(5a)부근으로 향하여 급격히 일어서는 가장자리부(30b)와, 이 가장자리부(30b)에 계속되는 상기 연장선(5a) 부근으로부터 굴곡하여 완만하게 일어서는 최선단쪽의 가장자리부 (30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3도에 나타냄과 같이 노즐(2)측에서 보았을 경우, 경사진 안내부 (12a),(11a)와 가장자리부(30a)와 손목 모양의 안내공간(33)이 형성되고, 계지요홈부(12b)(11b)와 가장자리부(30b)에서 옆방향으로 보아 닫힌 계지공간(34)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위사 가이드(11),(12) 및 뽑힘방지체(30)은 바디 (4)의 측부틀(4a)근방 부근과 대향하고 있으며 바디(4)의 해당부분은 바디 날개(4b)를 벗어나 바디침시의 위사 가이드(11)(12)및 뽑힘 방지체(30)의 도피공간(4C)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브라켓트(10)의 직포(6)반대측의 측면에는 상기 한쌍의 위사 가이드(11)(12)와 같이, 같은 형상의경사진 안내부(14a)와 계지요홈부(14b)를 가진 위사 가이드(14)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위사 가이드(14)는 바디(4)의 측부틀(4a)보다 약간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바디(4)의 상부틀(4)에 부착부(4d)를 고정하여 측부틀(4a)의 외측에서 그 측부틀(4a)의 연장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봉(15)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가이드봉(15)은 위사 가이드(14)보다 약간 외측에 배치된다.
한편, 바디(4)의 상부틀(4d)에 고정된 브라켓트(16)에 고정되어, 바디(4)의 전방에 연장하는 아암(17)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아암(17)의 하단에 부착편(18)에 의하여 절단부재로서의 판상체(19)가 협지되어 있다. 판상체(19)는 유리섬유를 절단할 경우에는 칼날을 가지지 않는 얇은판자로도 좋으며, 상기 한쌍의 위사가이드(11),(12)사이에 삽입배치 된다. 이렇게해서 판상체(19)는 바디(4)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한쌍의 위사가이드(11),(12) 사이를 전후방향(제2도, 제5도에서 우측이 전, 좌측 이후)으로 이동하며 바디(4)의 최전진위치에서는 계지요홈부(11b),(12b)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바디(4)의 최후퇴위치에서는 계지요홈부(11b),(12b)보다는 후방에서 위입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위입노즐(2)에서 유체가 분사된후 위사파지기(그립퍼)(G)가 위사(3)을 해방시키면 상기 분사유체에 의하여 위사(3)이 경사(1)에 개구내에 위입되고 그립퍼(G)가 위사(3)을 파지한후, 바디(4)의 전진에 의하여 위입된 위사(3)이 바디침 과정에서 바디날개(4b)와 측부틀(4a)에 의하여 압압되는 이들 사이의 위사(3)은, 위사가이드(11),(12)의 경사진 안내부(11a),(12a)를 따라 이동하고 마침내는 계지요홈부(11b),(12b)로 들어가서 계지됨과 동시에 뽑힘방지체(30)의 가장자리부(30a)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가장자리부(30b)에 이르러 계지공간(34)에 진입한다.
또 이와같이 측부틀(4a)와 가이드봉(15)에 의하여 압압되는 이들 사이의 위사(3)은, 위사가이드(14)의 경사진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고, 마침내는 계지요홈부(14b)에 들어가서 계지된다. 따라서 바디침이 종료되어 바디(4)가 후퇴하여도 위사(3)은 계지요홈부(11b),(12b) 및 (14b)에 계지된 채로 클로드 펠(5)의 연장선(5a)부근에 유지된다. 여기에서, 바디침시에는 그립퍼(G)와 직연(織緣)과의 사이의 위사경로길이가 늘어나지만, 그립퍼(G)가 파지력을 약화시키므로 위사(3)은 그립퍼(G)에서 모두 급사체측으로 부터 인출되어 계지요홈부(11b),(12b),(14b)에서 계지된 상태에서는 약간 느슨해져있고, 드물게 위사가이드(11),(12),(14)등의 진동에 의하여 위사(3)이 계지요홈부(11b),(12b),(14b)로 부터 뽑히는 것처럼 상방으로 이동하는 일이 있으나, 이때에는 뽑힘방지체(30)의 가장자리부(30b)에 접촉하여 그 이동을 규제시키므로 떨어지는 일은 없다.
이후, 바디(4)의 후퇴에 따라서 한쌍의 위사가이드(11),(12) 사이를 이동하는 판상체(19)가 계지요홈부(11b),(12b)에 다다르며, 바디침후의 소정시기에 판상체(19)의 바디(4)측의 가장자리에 계지요홈부(11b)(12b)사이에 계지된 위사(3)에 걸려 위사(3)을 절단한다.
또한, 뽑힘방지체(30)은 위사가이드(11)의 직포(6)측의 측방향에 설치되도록 좋으나, 변조직 길이를 가급적 짧게 하기위하여 한쌍의 위사가이드(11),(12)는 될 수 있는한 직포(6)의 근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예와같이 위사 가이드(12)의 직포(6) 반대측의 측방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위사 가이드(11)(12) 만으로는 위사 절단시에 위사(3)의 장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을 수도 있으므로, 이들 한쌍의 위사가이드(11),(12)의 측방향에 따른 위사가이드(14)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위사 가이드(14)의 계지요홈부(14b)에 위사(3)을 안내하는 가이드봉(15)를 설치했으나, 위사가이드(14)및 가이드봉(15)는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 계지요부(11b),(12b) 대신에 바디측으로 높게되어 있는 계단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4도-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다른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장력부여 부재로서의 봉상체(棒狀體)(40)은, 숫나사를 형성한 기단부(基端部)를 아암(17)의 중간부를 관통시켜 그 숫나사부에 나사결합된 너트(41a),(41b)로 아암(17)을 협지시킴으로서 고정되어 있다. 이 봉상체(40)은 중간부에서 하방으로 드리워져 있고, 그 선단부(40a)는 위사가이드(12)와 뽑힘방지체(30)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바디(4)의 후퇴시에 판상체(19)보다 빨리 클로드 펠(5)의 연장선 (5a)부근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작용을 설명하면, 바디침시에, 위사(3)이 위사가이드(11),(12),(14)의 계지요홈부(11b)(12b)(14b)에 계지되어 뽑힘방지체(30)에 의하여 계지요홈부(11b)(12b)(14b)로 부터의 뽑힘이 방지되는 것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다.
바디침후, 바디(4)의 후퇴에 따라서 위사가이드(12)와 뽑힘반지체(30)과의 사이를 이동하는 봉상체(40)이 계기공간(34)에 다다르며, 제6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위사(3)과 계합하여 위사가이드(12)와 (14)와의 사이에서 바디(4)측으로 굴곡시켜, 위사(3)에 장력을 부여한다.
이 직후에 한쌍의 위사가이드(11),(12) 사이를 이동하는 판상체(19)가 계지요홈부(11b),(12b)에 다다르고 판상체(19)의 가장자리가 계지요홈부(11b),(12b) 사이에 계지된 위사(3)에 걸려 위사(3)을 절단한다. 따라서 봉상체(40)에서 부여하는 장력을 적절히 결정하여 두면, 판상체(19)가 위사(3)가 접촉하여 절단되기 직전에는 위사(3)이 계지요홈부(11b)(12b) 사이에 직선상태를 유지하므로, 직물변 밖으로 돌출하는 위사단의 길이를 짧게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봉상체(40)은 아암(17)에 고정시키지 않고, 상기와 같은 타이밍으로 같이 이동시켜도 좋으나 아암(17)에 부착하여 판상체(19)와 일체적으로 하고, 또 바디(4)의 운동을 이용하면, 특별한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첫째, 위사가이드에서 위사가 뽑히는 것을 방지하는 뽑힘방지체를 설치하여 가이드로부터 위사가 떨어지지 않도록한 것으로 확실하게 위사절단이 행해질 수 있는 것이며, 또 둘째로, 장력부재에 의하여 위사에 장력을 부여하여 후에 절단부재에서 절단하도록 한 것으로, 절단부재가 위사에 접촉하여 위사가 거의 절곡되지 않는 동안에 절단되기 때문에, 직물변밖으로 돌출하는 위사단의 길이를 짧게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직포(6)의 측방에서 바디침과정으로 부터 바디침후에까지 위사(3)를 계합시키면서 그 위사를 클로드 펠(5)측에 안내하여 계지하도록 병열로 배치한 계지요홈부(11b,12b)를 가진 다수의 위사 가이드(11,12)와, 직기와 동기하여 1쌍의 위사가이드 사이를 운동하여 비디침후에 상기 계합된 위사를 가로지르도록 이동하는판상의 절단부재(19)를 설치하여된 위사절단 장치에 있어서, 1쌍의 위사가이드(11,12) 근방에 계지단부에 계지된 위사의 뽑힘을 방지하는 위사 뽑힘방지체(30)를 설치하고, 절단부재(19)의 근방에서 절단부재 보다도 빨리 위사를 가르지르도록 이동하는 장력부여 부재(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직기의 위사 절단장치.
KR1019790002805A 1979-08-17 1979-08-17 무저직기의 위사 절단장치 KR83000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805A KR830001311B1 (ko) 1979-08-17 1979-08-17 무저직기의 위사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805A KR830001311B1 (ko) 1979-08-17 1979-08-17 무저직기의 위사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54A KR830001454A (ko) 1983-04-30
KR830001311B1 true KR830001311B1 (ko) 1983-07-06

Family

ID=1921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805A KR830001311B1 (ko) 1979-08-17 1979-08-17 무저직기의 위사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44B1 (ko) * 1989-12-02 1992-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칼라필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54A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3337B2 (ja) 織機の杼口内における横糸支持グリッパの運動案内装置
KR830001311B1 (ko) 무저직기의 위사 절단장치
US2960118A (en) Shuttleless weaving looms
EP0011380B1 (en) Weft cutting device in a shuttleless loom
JPH04214439A (ja) グリッパ織機用供与機
US5465763A (en) Thread holder for a gripper loom
US3426807A (en) Loom
US2928427A (en) Filling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
US4014083A (en) Draw-in gripper assembly for drawing-in warp threads
JPS6132417B2 (ko)
GB2146665A (en) Weft yarn insertion needle
US4147187A (en) Shuttle
JPH04163344A (ja) 無杼織機におけるタックイン装置
JPS6316496B2 (ko)
JPH10130999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把持緊張装置
US3441061A (en) Weft pull and release device for weaving looms having no shuttles
US4076052A (en) System for transferring a yarn from one part of a textile machine to another part
US3043346A (en) Weft thread cutting device
DE659180C (de) Schussfadeneintragvorrichtung
US3424206A (en) Shuttle and guiding structure therefor
KR830001310B1 (ko) 무저직기의 위사 절단장치
JPH0315580Y2 (ko)
US2314668A (en) Shuttle
JPS5852307Y2 (ja) 織機における糸継ぎ経糸端の把持装置
US3298400A (en) Filling carrier for shuttleless lo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