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249Y1 - 고층 빌딩용 비상탈출 승강기 - Google Patents

고층 빌딩용 비상탈출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49Y1
KR830001249Y1 KR2019820004270U KR820004270U KR830001249Y1 KR 830001249 Y1 KR830001249 Y1 KR 830001249Y1 KR 2019820004270 U KR2019820004270 U KR 2019820004270U KR 820004270 U KR820004270 U KR 820004270U KR 830001249 Y1 KR830001249 Y1 KR 830001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building
ground
emergency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명순
박용범
Original Assignee
권명순
박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명순, 박용범 filed Critical 권명순
Priority to KR2019820004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층 빌딩용 비상탈출 승강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요부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물 2 : 지지틀
3 : 지지판 4 : 실린더
4' : 플런저 6,6' : 밴드 브레이크
7,7' : 풀리 8,8': 레버
9,9' : 로우프 10 : 로우프
11,11' : 승강기 12,12' : 로우프
13,13' : 와인더 14,14' : 레버
15,15' : 밴드 브레이크 16 : 완충용 스프링
본 고안은 화재가 발생하여 대피할 통로가 막혔을 때 옥상으로 올라가 안잔하게 여러사람이 차례로 승강기로 하강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한 고층 빌딩용 비상탈출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재의 발생시 건물 밖으로 로우프를 늘어트린 다음 완강기를 로우프에 걸어 서서히 하강하여 대피할 수 있게된 것이 있으나 이는 각 방마다 대피할 사람수만큼의 완강기를 준비하지 않으면 대피할 수 없고 또한 동력을 사용하는 승강기도 있으나 화재로 인하여 동력선이 절단되면 도저히 사용할 수 없어 긴급하게 대피할 수 없으며 대부분의 하강기는 한번 내려오면 다시 상승하기 어려워 여러사람을 대피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빌딩의 옥상에 착설된 지지틀에 승강기의 로울러 박스를 내외로 이동 자재하게 수평으로 설치하여 로울러 박스에 축설된 2개의 로울러에 완강기를 교호로 승강할 수 있게 서로 연결하여 지상에서 이 로울러의 브레이크를 조절할 수 있게하고 각 완강기마다 밴드 브레이크가 장착된 와인더를 축설하여 서로 상반되게 감기거나 풀릴수 있게 로우프를 감어 하나는 옥상의 로울러 박스에 연결하고 하나는 사람이 잡고 나릴 수 있게하여 완강 로우프를 잡고 하강하거나 완강기의 하단에 결접된 손잡이를 잡고 한쪽 완강기가 하강하면 다른 쪽 완강기는 상승하는 요령으로 반복하여 교호로 여러사람이 옥상에 올라가 차례로 하강할 수 있게 하여서 완강기의 하강속도를 지상에서 임의로 조정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빌딩 건물(1)의 옥상에 설치된 지지틀(2)에 경첩(3'')으로 절첩할 수 있게된 지지판(3)(3')을 2개의 실린더(4)와 플런저(4')에 의하여 신축 이동할 수 있게 장착하여 지지판(3)(3')의 중간부에 나사봉(4a) 나사관(4b) 및 "L"자형의 절첩자재한 받침대(4c)를 장착한 다음 나사관(4b)에 감착된 체인기어(5)(5')를 핸들(5'')로 돌리면 실린더(4)와 플런저(4')에 지지된 지지판(3)(3')이 건물의 옥상에서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하고 지지판(3)(3')에는 밴드 브레이크(6)(6')가 동축으로된 풀리(7)(7')를 축설하여 밴드 브레이크(6)(6')의 레버(8)(8')에 연결된 로우프(9)(9')를 지상에서 제어할 수 있게 늘어 뜨리며 풀리(7)(7')에는 2개의 승강기(11)(11')의 로우프(10)를 서로 걸어 교호로 승강되게하고 승강기(11)(11')에는 레버(14)(14')로 조작할 수 있는 밴드 브레이크(15)(15')가 장착된 와인더(13)(13')를 축설하여 와인더의 한쪽에 감긴 로우프(12')는 옥상의 지지판(3)(3')에 각각 결접하고 다른 한쪽에 감긴 로우프(12)는 지상으로 늘어 뜨리어 지상에서 이 로우프(12)를 매거나 잡고있어 승강기(11)(11')가 승강중 흔들리지 않게하며 각 승강기(11)(11')의 하단부에는 증간에 볼(16')이 개제한 완충용 스프링(16)을 탄설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17'은 손잡이, 18은 승강기를 끌어 올리는 와이어, 18'는 고리, 19는 동권취기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평소에는 양승강기(11)(11')를 제2도와 같이 옥상으로 들어 올려놓아 지지판(3)(3')이 옥상의 안쪽에 위치되게 보관하고 만약 화재가 발생하여 비상탈출 해야할 사항에 이르면 핸들(5'')로 체인기어(5)(5')를 돌리면 나사관(4b)의 회동으로 나사봉(4a)이 신장 되면서 지지판(3)(3')은 실린더(4)와 플런저(4')에 지지된채 옥상외측으로 이동신장 하므로 이때 승강기(11)(11')가 건물밖으로 승강할 수 있게 지지판(3)(3')을 외측으로 펴고 한쪽 승강기(11)에 사람이 타고 자중으로 하강할때 지상에서는 승강기(11)의 로우프(12)를 매거나 고정되게 잡고있어 승강기가 하강중 요동되지 않게하는 동시 다른 사람은 브레이크(6)의 로우프(9)를 잡고 승강기(11)가 적당한 속도로 하강할 수 있게 브레이크를 제어하며 승강기 내에서도 필요에 따라 일시 정지하거나 속도를 감속할 경우에는 승강기(11)의 내부에 설치된 밴드 브레이크(15)의 레버(14)를 제어하여 안전하게 하강하는 한편 한쪽 승강기(11)가 하강중에는 다른 쪽의 승강기(11')는 로우프(10)가 당겨져 상승하며 따라서 양측 승강기(11)(11')가 동일한 요령으로 교호로 승강하면서 건물내의 사람을 안전하게 비상탈출 하게되는 것으로 옥상에 설치된 지지틀에 승강기의 풀리가 축설된 지지판을 나사관과 나사봉에 의하여 건물의 내외로 이동 자재하게 장설하고 각 승강기의 밴드 드레이크 제어 로우프를 지상에서 제어 하면서 양측 승강기가 교호로 승강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동력이 전혀 들지않어 어느곳에서나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고 승강기의 서로의 하중을 이용하여 승강하는 만큼 승강 동력이 들지않어 전기가 없거나 전선이 절단된 상태에서도 아무런 제약을 받음이 없이 사용하여 긴급 대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승강기 내에서나 승강기의 외부에서 임의로 부레이크를 제어하여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대피인이 정황이 없더라도 외부에서 안전한 속도로 조절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동시 승강기의 하방에 탄설된 완충용 스프링에 의하여 충격을 최소한으로 완충하여 놀라지 않고 안전하고 긴급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지지틀(2)에 2개의 실린더(4)와 플런저(4')로 지지판(3)(3')을 이동 자재하게 장착하여 지지판(3)(3')의 중간부에 나사봉(4a)과 나사관(4b)을 신축할 수 있게 장착하고 각 지지판(3)(3')에는 밴드 브레이크(6)(6')와 동축으로 풀리(7)(7')를 축설하여 브레이크 로우프(9)(9')를 지상으로 늘어 뜨리고 승강기(11)(11')의 연결 로우프(10)를 양측 풀리(7)(7')에 교호 승강할 수 있게걸며 각승강기 내부에 레버(14)(!4')로 제어할 수 있는 밴드 브레이크(15)(15')가 장착된 와인더(13)(13')를 축설하여 한쪽에 감긴 로우프(12')는 지지판(3)(3')에 결접하고 다른쪽에 감긴 로우프(12)는 지상으로 늘어뜨리며 승강기 하단부에 볼(16')이 기재된 완충 스프링(16)을 탄설하여서된 고층 빌딩용 비상 탈출 승강기.
KR2019820004270U 1982-06-01 1982-06-01 고층 빌딩용 비상탈출 승강기 KR830001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270U KR830001249Y1 (ko) 1982-06-01 1982-06-01 고층 빌딩용 비상탈출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270U KR830001249Y1 (ko) 1982-06-01 1982-06-01 고층 빌딩용 비상탈출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49Y1 true KR830001249Y1 (ko) 1983-07-27

Family

ID=1922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270U KR830001249Y1 (ko) 1982-06-01 1982-06-01 고층 빌딩용 비상탈출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0564A (ja) 救命装備
EP1558827B1 (en)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US4050542A (en) Mobile rescue apparatus
US3875603A (en) Gangway construction
KR830001249Y1 (ko) 고층 빌딩용 비상탈출 승강기
JPH04244173A (ja) 移動式クレーン車に取付け可能な踊り場
JP7455221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及び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の延長方法
JP270553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3531504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21038629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2839970B2 (ja) エレベータの主索交換方法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RU2073538C1 (ru) Спусковое авар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2070017A (ja) 法面作業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法面作業安全帯
JPH01305970A (ja) 無電源降下装置
CN215195105U (zh) 一种高楼逃生装置
US2313958A (en) Fire escape attachment for ladders
JPS609461B2 (ja) 救助ロ−プ捲上げ装置
KR102477107B1 (ko) 중량축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JP2815251B2 (ja) エレベータの主索交換方法
JPH0818774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交換方法
JPS5846825Y2 (ja) 避難装置
JPH0734073Y2 (ja) タワークレーン用マンリフト
JP200122605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9271522A (ja) 避難降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