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046B1 - 탭반(Tap 盤) - Google Patents

탭반(Tap 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046B1
KR830001046B1 KR1019790003943A KR790003943A KR830001046B1 KR 830001046 B1 KR830001046 B1 KR 830001046B1 KR 1019790003943 A KR1019790003943 A KR 1019790003943A KR 790003943 A KR790003943 A KR 790003943A KR 830001046 B1 KR830001046 B1 KR 83000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output
main shaf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011A (ko
Inventor
다까시 노즈
미노루 야마다
야스히꼬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히라다 겐이찌
부라더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다 겐이찌, 부라더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다 겐이찌
Priority to KR101979000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046B1/ko
Publication of KR83000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Stepping Motors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탭반(Tap 盤)
제1도는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탭반의 일부 절결 요부사시도.
제2도, 제3도는 역시 회전반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4도는 역시 조작반의 정면도.
제5도는 역시 부호판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6도는 역시 탭반의 전기블록 회로도.
제7도∼제11도는 역시 탭반의 전기회로도.
제12도는 역시 탭반의 전기회로의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우터 (6) : 주축
(9) : 탭 (10) : 주축통
(16) : 회전축 (17) : 피니언축
(19) : 다판클러치 (21) : 회전반
(22) ; 절결부 (23) : 피검출공
(24)(26) : 발광다이오우드 (25)(27) : 포토트랜지스터
(34) : 스트로우크 설정다이얼 (36) : 부호판
(37) : 모우드절환스위치 (38) :기동스위치
(C1) : 이동검지회로 (C2) : 이동량연산회로
(C3) : 이상검지회로 (C4) : 기동선택회로
(C5) : 구동제어회로 (SG6) : 지령신호
(SG8) : 역전신호 (SG10) : 정전신호
본원 발명은 탭반(Tap 盤)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탭을 유지한 주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축통의 이동이 저지되는 이상상태가 발생했을 때, 그 이상상태를 검출해서 동 주축통을 즉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탭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출원공고소 49-40871호 공보에 표시되고 있는 것처럼, 정역전 가능한 전동기의 회전에의거하여 주축통을 왕복동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과하중해제 클러치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과하중 해제클러치와 전동기와의 사이에 이송장치중에 주축통의 왕복동스트로우크를 설정하기 위한 케리어 및 전역전 절환스위치 등의 스트로우크 설정수단이 설치되며, 주축통의 왕동종단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크 설정수단에 역전신호가 발생되면, 전동기가 역전되어서 주축통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가령 주축통의 왕동시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는 이상상태가 발생했을 때에는 과하중해제 클러치가 차단되어서 주축통의 이동이 정지되지만, 전동기는 그대로 정전방향으로 계속 회전되어서 정역전절환스위치에서 역전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이상 상태가 계속되며, 그후, 전동기가 역전되어서 주축통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래서, 과하중해제 클러치가 차단되고 나서 전동기가 역전되기까지의 동안, 주축통에 대해서 주축통을 다시 왕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계속 작용하기 때문에 과하중해제 클러치의 마모, 기타 운동전달 기구중의 부품의 손상, 전동기의 이상가열 등을 일으키는 결함을 지니고 있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는데 있으며, 주축통의 이동을 상기 감시하고, 주축통의 이동이 저지되었을 때에는 즉시 그 이상 상태를 검출하고, 주축통을 원위치에 복동시켜서 단시간으로 나사세우기 가공할 수 있는 탭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이상검출장치를 갖춘 탭반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은 탭반의 기틀(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정역(正逆)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는 모우터, (2)는 모우터(1)와 벨트(3)를 통해서 구동연결된 구동축이며, 그 상부에 풀리(3)가 , 또 대충 중간위치에 광폭(廣幅) 기어(4), 하단부에 위엄(5)이 장착되어 있다. (6)은 상단부에 장착한 주축기어(7)를 상기 광폭기어(4)에 맞물리게 하여, 회전되는 주축이며, 그 하단부에 설치한 탭처크(Tap Chuck) (8)를 통해서 나사가공용의 탭(9)이 장착된다. (10)은 그 주축(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기틀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토록 지지된 주축통이며, 그 외측면에 랙(rack)(11)이 형성되어 있다. (12)는 그 주축통(10) 내에 개장(介裝)된 백플래쉬 제거스프링이다.
(13)은 상기 구동축(2)의 위엄(5)과 맞물린 위엄휘일이며, 기어(14), (15)를 통해서 회전축(6)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17)은 상기 주축통(10)의 랙(11)과 맞물리는 피니언(18)를 갖는 통상(筒狀)의 피니언축이며, 과대한 토오크(torque)가 작용했을 때, 해방되는 다판(多板) 클러치장치(19)를 통해서 상기 회전축(16)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우터(1)의 정전(正轉)에 의해 피니언축(17)이 상기 기어(14), (15)의 기어비(比)에 의거하여 1회전이내의 범위에서 제1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주축통(10)이 하강운동(왕동)되는 동시에 주축(6)이 정회전되어서, 가공물(20)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하공(下孔)(20)의 나사가공을 하고 또 모우터(1)의 역전에 의해 주축통(10)이 상승운동(복동)되는 동시에, 주축(6)이 역회전되어서 탭(9)이 가공물(20)에서 빠져 나오고, 1가공사이클이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21)은 상기 피니언축(17)에 고착한 회전반이며,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위주의 1개소에 원위치(탭(9)의 최상위치)를 검출하는 피검출용의 절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23)은 동 절결부(22)와 중심점 0를 잇는 기선 L에 대해서 제2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측에서 중심각고 23.5°의 간격을 둔 위치에서, 처음의 3개는 중심각도 4.5°의 등간격 간격으로 동심원주상에 투설(透設)되고, 다음의 4개째부터는 중심각도 6.5°의 등각도도 간격으로 역시 동심원주상에 투설된 제 48개의 피검출공이며, 탭(9)의 이동량을 검출한다.
(24),(25)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반(21)의 양측에 설치한 발광다이오우드(light-emittingdiode)와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ar)이며, 상기 탭(9)이 원위치에 있을 때, 동 포토트랜지스터(25)가 상기 절결부(22)를 통해서 발광다이오우드(24)의 빛을 수광(受光)하는 상대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26), (27)은 역시 상기 회전반(21)의 양측에 설치한 발광다이오우드과 포토트랜지스터이며, 상기 피검출공(23)의 동심원주상에 상대해서 배치되며, 상기 탭(9)이 원위치에 있을때, 동 발광다이오우드(26) 및 포토트랜지스터(27)가 상기 기선에 가장 가까운 피검출공(23)보다도 피검출공(23)보다도 기선 L측에 10.5°치우친 곳에서 상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피검출공(23) 사이의 피치 6.5°가 탭(9)의 하동(하동下動) 또는 상동량의 1mm에 해당하도록, 회전반(21)이 회전하고, 포토트랜지스터(27)가 단속적으로 발광다이오우드(26)의 빛을 감지하여 발생되는 연속펄스신호의 1펀스를, 탭이동량의 1mm로 하여 후기하는 이동량연산회로(C2)로 연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선 L측의 3개의 피검출공(23)을, 동기선 L에 대해서 시계방향쪽으로 중심 각도 23.5°의 간격을 둔 위치에서 피치 4.5°의 등각도간격으로 투설해서 탭(9)의 원위치에 있을때, 상기 발광다이오우드(26)의 빛이 난반사하여 그 반사광을 동 피검출공(23)을 통해서 상기 포토트랜지스터(27)가 수광하여 오동작하지 않도록 했지만 기선 L에 대해서 시계방향쪽에서 중심각도 19.5°의 간격을 둔 위치에서 중심각도 6.5°의 등각도간격으로 동심원주상에 피검출공(23)을 48개 투설해도 좋다. 이 경우, 탭(9)이 원위치에서 하동했을때 최초의 1펄스째에서 동 탭(9)의 이동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28)은 가공물(20)을 탭(9)의 가공위치에 보내기 위하여 탭(9)의 아래쪽에 배치된 이송장치이며, 프레임(29)과 동 프레임(29)에 대해서 회전가능토록 장착한 인덱스테이블(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덱스테이블(30)은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제1도의 시계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31)은 동인덱스테이블(30)의 상면에 등각도간격으로 동심원주상에 배설된 8개의 클램프이며, 가공물(20)을 인덱스테이블(30) 외에 고정하고, 동 테이블(30)의 간헐적인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탭(9)의 직하(直下), 즉 가공위치에 순차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은 하공(20a)에 나사(20b) 세우기된 가공물(20)을 클램프(31)에서 벗기고, 그 후에 하공(20a)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물(20)을 동클램프(31)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다음에 탭반의 기틀(도시하지 않음)의 한쪽에 장착한 조작반을 제4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32)는 조작반(33) 상부에 배설한 비상귀환스위치이며, 이 스위치(32)를 누름으로써 탭(9)를 나사세우기 가공중일지라도 즉시 중지시켜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34)는 동비상귀환스위치(32) 아래쪽에 배설한 스트로우트설정다이얼이며, 동 다이얼(34)을 소정의 눈금(35)에 맞춤으로써 상기 탭(9)의 왕동 이동량이 설정된다. (36)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얼(34)의 조작축(34a)에 장착된 부호판이며, 다이얼(34)에 의해서 설정된 탭(9)의 이동량을 BCD 코오드화해서 후기하는 프리세트카운터로 구성되는 이동량연산회로(C2)에 프리세트신호로서 입력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스트로오크설정다이얼(34)을 조작해서 탭(9)의 왕동이동량을 예를 들어 40mm로 설정했을때, 상기 부호판(36)은 그것을 BCD 코오드화하고, 그 코오드신호를 후기하는 이동량연산회로(C2)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37)은 상기 스트로오크설정다이얼(34)의 아래쪽에 배설한 모우드절환스위치이며, 탭반의 동작을 연동사이클, 단동(單動) 사이클, 촌동(寸動) 사이클 및 외부 기동신호에 의해서 연동하는 가공사이클로 절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8)은 상기 모우드절환스위치(37)의 아래쪽에 설치한 기동스위치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이상검출장치를 갖춘 탭반을 운전제어하는 전기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탭반에 내장된 전기회로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서 상기 발광다이오우드(24), (26), 포토트랜지스터(25), (27)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탭(9)의 1단위 이동량마다 펄스를 발생시켜서, 동 탭(9)의 상하 이동을 검지하는 이동검지회로(C1)와, 상기 스트로우트 설정다이얼(34)의 조작에 의거해서, 부호판(36)을 통해서 미리 탭(9)의 상하 이동범위를 코오드화한 값이 프리세트되며, 상기 이동검지회로(C1)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동 탭(9)의 이동위치를 연산하는 이동량연산회로(C2)와, 상기 이동검지회로(C1)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해서, 탭(9)의 왕동중에 있어서의 동 탭(9)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경보장치를 갖춘 이상검지회로(C3)와, 탭반의 가공사이클을 선택해서 기동시키는 기동선택회로(C4)와, 동기동선택회로(C4)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가공사이클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량연산회로(C2) 및 이상검지회로(C3)로부터의 각 지령신호에 의거하여, 동 모우터(1)를 역방향으로 회전 제어하는 구동제어회로(C5)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먼저 이동검지회로(C1)를 제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51)은 상기 회전반(21)의 절결부(22)를 통해서 발광다이오우드(24)에서 빛을 검지하여 "온"하는 상기 포토트랜지스터(25)의 에미터단자에 접속된 쉬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회로이며, 저항(52), (53), 낸드(NAND) 회로(54), 노트(NOT) 회로(55) 및 오어(OR) 회로(56)로 구성되고, 그 출력신호(SG1), (SG2)는 상기 포토트랜지스터(25)가 "온"일때 하이레벨의, 또 "오프"일때 로우레벨의 신호로 되며, 후기에는 구동제어회로(C5)에 입력된다. 한편 등 쉬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51)의 낸드(NAND) 회로(54)로부터의 출력신호(SG3)와는 역레벨의 신호이며, 후기하는 구동제어회로(C5)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들 출력신호(SG1), (SG2), (SG3)에 의해서 탭(9)의 원위치에 있는지 어떤지 검지된다. (57)은 콘덴서, (58), (59)은 저항, (60)은 상기 쉬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51)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콘덴서이다.
(61)은 상기 발광다이오우드(26)로부터의 빛을 검지하여 "온"하는 상기 포토트랜지스터(27)의 에미터단자에 접속된 쉬미트트리거(Schmitt trigger)회로이며, 저항(62),(62), 낸드(NAND) 회로(64), 노트(NOT) 회로(65) 및 오어(OR) 회로(66)로 구성되고, 그 출력신호(SG4)는 상기 포토트랜지스터(27)가 "온"일때 하이레벨의 신호 또는 "오프"일때 로우레벨의 신호로 되며, 후기하는 이동량연산회로(C2) 및이상검지회로(C3)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출력신호(SG4)의 펄스의 수로 상기 탭(9)의 상하 이동량이 검지된다. (67)은 콘덴서, (68)은 저항, (69)는 상기 쉬미트트리거회로(61)의 출력단자에 접속한 콘덴서이다.
다음에 이동량연산회로(C2)에 대해서 설명한다.
(70)은 상기 출력신호(SG4)를 클록펄스로서 입력하는 16진 카운터(70a)와 8진 카운터(70b)로 구성된 프리세트 감산카운터이며, 동 16진카운터(70a)의 케리(Carry) 출력단자 COUT가 8진카운터(70b)의 캐리입력단자 CIN에 접속되어 있다. (71)은 일단이 각 카운커(70a), (70b)의 각 세트입력단자 Ain, Bin, Cin, Din에 접속되고, 타단이 플러스전압축 출력단자에 접속된각 세트용의 저항이다. 또, 각 세트입력단자 Ain, Bin, Cin, Din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호판(36)에 의해서, 상기 스트로오크설정다이얼(34)의 탭의 상하 이동량의 설정에 의거한 코오드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적절하게 스트로오크설정다이얼(34)을 조작하면, 그 각 카운터(70a), (70b)의 각 BCD 출력단자Ao, Bo, Co, Do의 출력은 그 값에 세트된다. 그리고, 16진카운터(70a)의 캐리(Carry) 입력단자에 상기 이동검지회로(C1)의 쉬미트트리거(shmitt trigger) 회로(61)로부터의 출력신호(SG4)가 입력되었을 때, 그 펄스신호의 상승을 포착해서 프리세트감산카운터(70)는 상기 세트된 값을 감산한다. 또, 각 카운터(70a), (70b)는 그들의 프리세트 입력단자 PE에 후기하는 구동제어회로(C5)의 오어(OR) 회로(148)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SG7)가 입력됨으로써 프리세트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각 카운터(70a), (70b)의 BCD 출력은 각기 노트(NOT) 회로(72)를 통해서 앤드(AND) 회로(73)에 입력된다. (74)는 상기 앤드(AND) 회로(73)의 출력을 입력하는 노트(NOT) 회로이며, 그 출력신호(SG5)는 후기에 구동제어회로(C5)에 입력된다.
다음에 상기 이동검지회로(C1)에서의 출력신호(SG4)에 의거하여 탭(9)의 왕동중에 있어서의 동 탭(9)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이상검지회로(C3)를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76)은 상기 쉬미트트리거회로(61)로부터의 출력신호(SG4)를 입력하는 낸드(NAND) 회로이며, 그 출력단자 노트(NOT) 회로(77)를 통해서 오어(OR) 회로(78)에 접속되어 있다. (79)는 상기 오어(OR) 회로(78)의 출력을 입력하는 미분회로이며, 콘덴서(79a)와 저항(79b)으로 구성되어 있다. (80)은 한쪽의 입력단자가 저항(81)를 통해서 상기 미분회로(79)에 접속된 낸드(NAND) 회로이며, 다른 쪽의 입력단자는 저항(82)을 통해서 플러스전압측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그 출력단자는 노트NOT) 회로(77)를 통해서 상기 오어(OR) 회로(78)의 다른 한쪽의 입력단자애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2(a)도에 나타낸 상기 출력신호(SG4)에 대해서, 오어(OR) 회로(78) 및 낸드(NAND) 회로(80)의 각 출력파형은 동도(b),(c)에 나타낸 파형으로 된다.
(83)은 노트(NOT) 회로(84)를 통해서 상기 출력신호(SG4)를 입력하는 오어(OR) 회로이며, 그 출력단자는 콘덴서(85a)와 저항(85b)으로 구성된 미분회로(85)에 접속되어 있다. (86)은 한쪽의 입력단자가 저항(87)을 통해서 상기 미분회로(85)에 접속된 낸드(NAND) 회로이며, 다른 쪽의 입력단자는 상기 저항(82)을 통해서 플러스전압측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그 출력단자는 노트(NOT) 회로(84)를 통해서 상기 오어(OR) 회로(83)의 다른 한쪽에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2(a)도에 나타낸 상기 출력신호(SG4) 에 대해서 오어(OR) 회로(83) 및 (NAND) 회로(86)의 각 출력파형은 동도(d),(e)에 나타낸 파형으로 된다.
(88)은 상기 각 낸드(NAND) 회로(80),(86)의 출력이 노트(NOT) 회로(89)를 통해서 입력되는 오어(OR)회로이며, 상기 출력신호(SG4)에 대해서 제12(f)도에 나타낸 출력파형을 출력한다. (90)은 베이스단자가 저항(91)을 통해서 상기 오어(OR) 회로(88)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스위칭 용트랜지스터이며, 동 오어(OR) 회로(88)의 출력이 하이레벨일때 "온"되고, 로우레벨일때 "오프"된다. (92)는 동 트랜지스터(90)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에 접속된 저항이다. 따라서, 탭(9)이 정상적으로 왕동되고, 회전반(21)이 정상으로 회동되고 있을 때에는 이동검지회로(C1)로부터의 출력신호(SG4)는 일정한 주기로 발진되기 때문에 동 스위칭용트랜지스터(90)는 일정한 주기로서 온, 오프 동작된다. 또 탭(9)이 나사가 공중에 왕동이 저지되어서 회전반(21)의 회동이 정지되었을 때에는 이동검지회로(C1)로부터의 출력신호(SG4)가 제12(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레벨의 상태 또는 로우레벨의 상태의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오어(OR) 회로(88)의 출력파형은 제12(f)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며, 스위칭용트랜지스터(90)는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93)은 후술하는 구동제어회로(C5)에서 출력되는 정전신호(SG10)의 역레벨의 출력신호(SG10)가 노트(NOT)회로(94)를 통해서 입력되는 오어(OR)회로이며, 그 출력단자는 저항(95)을 통해서 스위칭용트랜지스터(96)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구동제어회로(C5)로부터의 정전신호(SG10)는 상기 모우터(1)가 정전일때 로울레벨, 역전일 때 하이레벨의 신호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신호(SG10)는 정전시는 하이레벨, 역전시는 로우레벨의 신호이다. (97)은 상기 스위칭용트랜지스터(96)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에 접속된 저항, (98)은 일단에 동 스위칭용 트랜지스터(96)의 클랙터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플러스전압축 출력단자는 접속된 저항이다.
(99)은 일단이 저항(100)을 통해서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96)의 콜렉터단자에 접속되며, 타단이 동스위칭용트랜지스터(96)의 에미터단자에 접속된 충방전용(充放電用) 콘덴서이며, 상기 저항(100)과의 접속점 K에는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90)의 콜렉터 단자가 저항(101)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모우터(1)가 정전되고, 출력신호(SG10)가 하이레벨일때는 스위칭용트랜지스터(96)가 "오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98),(100)을 통해서 상기 충방전콘덴서(99)는 충전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용 트랜지스터(90)가 출력신호(SG4)에 의거해서 "오프"에서 "온"으로 바뀌면, 상기 충전되어 있는 충방전콘덴서(99)는 제12(g)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101)을 통해서 방전된다. 그리고, 동 스위칭용트랜지스터(90)가 "온"에서 "오프"로 바뀌었을때, 다시 동 콘덴서(99)는 충전이 개시된다. 또한, 이 충방전콘덴서(99)의 충방전시간은 각기 저항(100),(101)에 의해서 설정된다. 또 출력신호(SG10)가 로우레벨일때 (모우터(1)가 역전되었을때 및 모우터(1)가 정지하고 있을 때), 스위칭용 트랜지스터(96)가 "온"되기 때문에 상기 충방전콘덴서(99)는 충전되지 않는다.
(102)는 그 마이너스 입력단자가 상기 접속점 K에 접속되고, 한편 플러스입력단자가 기준전압설정용의 저항(103), (104)의 접속점 L에 접속된 비교기(比較器)이며, 상기 접속점 L의 기준전압 VS와 상기 접속점의 전압(충방전콘덴서(99)의 충전전압VC)를 비교하여, 충전전압 VC가 기준전압 VS보다 클때,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검출장치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연산증폭기가 구성되어 있다.
(106)은 상기 기준전압설정용의 저항(104)과 병렬로 접속한 콘덴서, (107)은 저항이다. (108)은 비교기(102)의 플러스입력단자와, 비교기(102)의 출력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된 귀환용저항이다.
(109)는 노트(NOT) 회로(110)를 통해서 상기 비교기(10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오어(OR) 회로이며, 제12(g)도, 제12(f)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전압 Vc가 기준전압 VS이상이 되었을 때,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낸다. (111)은 그 베이스단자에 저항(121)을 통해서 상기 오어(OR) 회로(109)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칭용트랜지스터이며, 오어(OR) 회로(109)로부터의 하이레벨의 신호에 의해 "온"되고, 콜렉터단자에 접속된 경보용의 발광다이오우드(113)을 발광시킴과 동시에, 동 트랜지스터(111)가 "온"일때 로우레벨의, "오프"일때 하이레벨의 지령신호(SG6)를 후기하는 구동제어회로(C5)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탭(9)의 왕동이 저지되고 상기 스위칭용트랜지스터(9)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제12(g)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방전콘덴서(99)의 충전전압 Vc가 기준전압 VS를 넘어서 스위칭용트랜지스터(111)가 "온"되기 때문에 상기 지령신호(SG6)는 하이레벨로 되는 동시에 발광다이오우드(113)는 발광되어서 탭(9)의 이상을 작업자에게 알린다.
또한, 비교기(102)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가 상기 저항(108)을 통해서 비교기(102)의 플러스입력측단자에 귀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출력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면 기준전압 VS가 저하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그 출력신호에 의해 로우레벨이 된 지령신호(SG6)가 후술하는 구동제어회로(C5)에 전해지는 것에 수반해서 그 회로(C5)로부터 출력신호(SG10)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전해져서, 스위칭용트랜지스터(96)가 "온"되고, 콘덴서(99)의 충전전압이 방전되어서 점차 쇠하(衰下)해도 상기 비교기(102)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는 제12(n)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시동안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114),(115),(116)은 저항이다.
다음에 기동선택회로(C4)를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20)은 상기 모우드절환스위치(37)의 로우터리 접점이며, 연동사이클용 접점(120a), 단동사이클용접점(120b), 촌동사이클용접점(120c) 및 외부 기동신호에 의해서 연동하는 가공사이클용접점(120d)으로 절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접점(120a),(120b),(120c),(120d)에는 일단을 플러스 전압측 출력단자에 접속한 세트용의 저항(121)이 접속되고, 로우터리접점(120)과 접속한 접점은 로우레벨의 신호를, 또 기타의 개방되어있는 접점은 하이레벨의 신호를 후기하는 구동제어회로(C5)로 입력한다. (122)는 기동스위치(38)의 접점이며, 작업자가 동 스위치(38)를 눌렀을 동안만 폐성된다. (123)은 일단이 상기 접점(122)에, 타단이 플러스 전압측 출력단자에 접속된 세트용의 저항이며, 상기 접점(122)이 "온"되어 있는 동안만 후술하는 구동제어회로(C5)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124)는 콘덴서이다.
(125)는 상기 비상귀환스위치 (32)의 접점이며, 동 스위치(32)를 누르고 있는 동안만 개방된다. (126)은 일단이 플러스전압측 출력단자에 접속된 세트용의 저항이며 상기 접점(125)이 "오프"되어 있는 동안만 후술하는 구동제어회로(C5)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127)은 콘덴서이다.
(128)은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세트용의 저항(129)에 접속된 기어커버스위치이며, 상기 기어 (14),(15)를 덮는 기어커버(도시하지 않음)와 상대해서 기틀에 설치되고, 정상(定常)의 상태에서는 기어커버에 의해서 "온"되어 있으며, 기어커버가 벗겨졌을 때 "오프"된다. 그리고, 그 스위치(128)가 "온"되면 후술하는 구동제어회로(C5)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130)은 콘덴서이다.
다음에 구동제어회로(C5)를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31)은 그 2개의 입력단자가 각기 노트(NOT) 회로(132)를 통해서, 상기 기동 선택회로(C4)의 연동사이클용접점(120a), 단동사이클용 접점(120b)에 접속된 오어(OR) 회로이며, 상기 로우터리접점(120)이 동 연동 또는 단동사이클용접점(120a)(120b)의 어느 한쪽에 접속되어 있을때,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그 이외의 때에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133)은 그 4번단자와 7번단자에 상기 오어(OR) 회로(131)의 신호가 입력되고, 13번단자에 상기 촌동사이클용접점(120C)으로부터의 신호가, 또 14번단자에 상기 외부 기동신호에 의해서 연동하는 가공사이클용접점(120)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집적회로(이하 IC라고 한다)이며, 그 10번의 출력단자는 상기 7번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와 같은 레벨의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11번단자는 상기 13번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와 같은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 12번단자는 상기 13번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역레벨의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15번단자는 상기14번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역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9도에 나타낸 회로상태(연동사이클에 세트되어 있을 경우)에서는 동 IC(133)의 10번, 11번 12번 및 15번의 각 단자는 각기 하이레벨, 하이레벨, 로우레벨,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있다.
(134)는 노트(NOT) 회로(135),(136)을 통해서 비상귀환 스위치(32)의 접점(125)으로부터의 신호와 노트(NOT) 회로(135)를 통해서 상기 이상 검지회로(C3)으로부터의 지령신호(SG6)와, 노트(NOT) 회로(135), (137)을 통해서 후술하는 외부 이상신호(SG14)를 입력하는 오어(OR) 회로이며, 접점(125)으로부터의 신호가 로우레벨, 지령신호(SG6)가 하이레벨(탭(9)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지 않을 때), 외부 이상신호(SG14)가 로우레벨일 때, 동 오어(OR) 회로(134)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138)은 상기 IC(1333)의 11번단자의 출력과, 상기 오어(OR) 회로(134)의 출력이 입력되는 낸드(NAND) 회로이다.
(139)는 상기 기어커버스위치(12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후술하는 필립플롭(FLIPFLOP) 회로(이하 FF회로라고 한다)(153),(167),(177),(190) 등을 초기상태로 세트시키는 이니셔라이즈용 제어회로이며, 노트(NOT) 회로(140),(141),(142), 오어(OR) 회로(143), 저항(144),(145), 다이오우드(146) 및 콘덴서(14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커버가 정상으로 정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되면, 동 제어회로(139)의 오어(OR) 회로(143)는 각각 노트(NOT) 회로(141)를 통해서 기어커버스위치(128)에서 하이레벨의 신호와, 조금 늦게 상기 콘덴서(147) 측에서 로우레벨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를 입력하기 때문에, 동 제어회로(139)는 기어커버가 벗겨져 있지 않는 한, 전원을 투입하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148)은 상기 이니셔라이즈 제어회로(139)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이동검지회로(C1)의 쉬미트트리거회로(51)로부터의 출력신호(SG3)가 노트(NOT) 회로(149)를 통해서 입력되는 오어(OR) 회로이며, 동 제어회로(139)의 신호가 하이레벨의 상태로, 상기 회전반(21)이 회동되고, 상기 포토트랜지스터(25)가 "온"에서 "오프"로 되어, 출력신호(SG3)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되었을때, 이 오어(OR) 회로(148)의 출력신호(SG7)가 로우레벨이되어, 상기 카운터(70a), (70b)의 프리세트 입력단자 PE에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IC(133)의 래치단자 LC에 입력된다. 따라서, 탭(9)이 원위치에서 왕동을 개시한 직후에 출력신호(SG7)가 각 카운터(70a),(70b) 및 IC(133)에 출력되기 때문에 각 카운터(70a),(70b)는 프리세트되고 감산의 개시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IC(133)는 상기 모우드절환스위치(37)에 의거하여 출력되어서, 10번, 11번, 12번, 15번의 신호는 래치된다.
(150)은 연동사이클용접점(120a)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쉬미트트리거회로 (51)로부터의 출력신호(SG2)가 입력되는 낸드(NAND) 회로이며, 그 출력신호는 연동사이클용접점(120a)으로부터의 신호가 로우레벨(즉 연속가공을 할 경우)의 상태에서는 항상 하이레벨로 되어 있다.
(151)은 노트(NOT) 회로(152)를 통해서 상기 기동스위치(38)의 접점(122)으로부터의 기동신호와, 상기 IC(153)의 10번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낸드(NAND) 회로이며, 연동사이클 또는 단동사이클의 절환상태에서 기동스위치(38)가 "온"되었을 때 로우레벨의 "오프"되었을 때 하여 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또 촌동사이클, 외부 기도신호에 의해서 연동하는 가공사이클의 경우는 상기 기동스위치(38)의 온, 오프에 관계없이 항상 하이레벨의 신호를 낸다.
(153)은 세트측 입력단자에 상기 낸드(NAND) 회로(151)의 출력신호가 입력되고, 한편, 3개의 리세트측 입력단자에 각기 상기 이니셔라이즈용 제어회로(139)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낸드(NAND) 회로(138), (150)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FF회로이며, 상기 기동스위치(38)가 "온"되고 낸드(NAND 회로(151)가 로우레벨이 되었을때, 그 세트측 출력단자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이 된다. (154), (155)는 각기 FF회로(153)의 세트측 및 리세트측 출력단자에 접속한 콘덴서이다. (156)은 상기 FF회로(153)의 세트측 출력단자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노트(NOT) 회로(157)를 통해서 차단(次段)의 오어(OR) 회로(158)에 그 출력신호를 입력시키고 노트(NOT) 회로이다. (159)는 한쪽의 입력단자가 상기 IC(133)의 15번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그 출력이 노트(NOT) 회로(157)를 통해서 상기 오오(OR) 회로(158)에 입력되는 낸드(NANO) 회로이며, 그 다른 한쪽의 입력단자에는 후술하는 외부 스타아트신호(SG15)가 입력된다. 그리고 외부 스타아트신호(SG15)에 의해서 연동하는 가공사이클 이외의 경우 (외부 스타아트신호(SG1 5) 및 IC(133)의 15번단자가 모두 로우레벨일 때) 동 낸드(NAND) 회로(159)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의 신호로 되어 있다.
(160)은 노트(NOT) 회로(161)를 통해서 상기 이동량 연산회로(C2)로부터의 출력신호(SG5), 상기낸드(NAND) 회로(138) 및 노트(NOT) 회로(136)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오어(OR) 회로이며, 비상귀환스위치(32)가 오프일때, 상기 이상 검지회로(C3)로부터의 지령신호(SG6)가 로우레벨일 때 (탭(9)의 왕동이 저지되었을 때), 또는 출력신호(SG5)가 로우레벨일 때(탭(9)이 가공종료 위치까지 왕동됨으로써 상기 프리세트 카운터(70)가 카운트업했을 때)의 어느 것에 의해서 동 오어(OR) 회로(160)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낸다. (162)는 노트(NOT) 회로(163)를 통해서 상기 오어(OR) 회로(160)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지연회로이며, 저항(164), (165)과 콘덴서 (166)로 구성되어 있다.
(167)은 그 2개 세트측 입력단자에 상기 이니셔라이즈용 제어회로(139)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쉬미트트리거회로(51)로부터의 출력신호(SG3)가 입력되고, 한편 리세트측 입력단자에 상기 지연회로(162)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FF회로이며, 상기 탭(9)이 가공종료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리세트측 입력단자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서, 세트측 출력단자의 출력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반전한다. (168), (169)는 동 FF회로(167)의 세트측 및 리세트측 출력단자에 접속한 콘덴서이다.
(170)은 노트(NOT) 회로(171)를 통해서 상기 FF회로(197)의 세트측 출력단자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노트(NOT) 회로이며, 역전신호(SG8)가 출력된다. 따라서, 이 역전신호(SG8)는 상기 탭(9)이 가공종료위치에 도달해서 상기 FF회로(167)의 세트측 출력단자가 로우레벨로 반전되면,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또 동 탭(9)이 원위치에 도달해서 동 FF회로(167)의 세트측 출력단자가 하이레벨로 반전되면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172)는 상기 FF회로(167)의 세트측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오어(OR) 회로(158)로부터의 출력신호 및 저항(173),(174) 및 콘덴서(175)로 구성된 지연회로(176)를 통해서 상기 쉬미트트리거회로(51)로부터의 출력신호(SG1)가 입력되는 낸드(NAND) 회로이며, 연동 사이클에 있어서, 탭(9)이 가공종료위치에 달했을 때(FF 회로(167)의 출력이 로우레벨일때) 하이레벨의, 또 탭(9)이 원위치에 복귀했을 때(FF 회로(167) 및 출력신호(SG1)가 하이레벨로 되었을때)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177)은 그 2개의 세트측 입력단자에 각기 상기 이니셔라이즈제어회(138)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노트(NOT) 회로(163)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입력되고, 한편 리세트측 입력단자에 저항(178),(179) 및 콘덴서(180)로 구성된 지연회로(181)를 통해서 상기 낸드(NAND) 회로(172)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FF회로이며, 연동사이클에 있어서 탭(9)이 원위치에 있고, 기동스위치(38)가 "온"되었을 때, 또는 가공도중에 있어서 원위치로 복귀했을 때, 세트측 출력단자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반전되는 동시에 탭(9)이 가공종료위치에 달했을 때,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다시 반전을 되풀이한다. 또 단동사이클에 있어서는 상기 낸드(NAND) 회로(150)의 한쪽이 입력단자에 연동사이클용 접점(120a)으로부터 항상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탭(9)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하이레벨의 출력신호(SG2)가 입력되고 상기 FF회로(153)가 반전되어 서 상기 낸드(NAND) 회로(172)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FF회로(153)의 리세트측 입력단자에는 반전용의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탭(9)이 한번 가공종료위치에 달해서 FF회로(177)가 반전된 후는 동 FF회로(177)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의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다시 동 FF회로(177)의 세트측 출력단자를 로우레벨로 반전시키고 싶을 경우는 상기 기동스위치(38)를 "온"시켜면 된다. (177a)는 동회로(177)의 세트측 및 리세트측 입력단자에 접속한 콘덴서이다.
(182)는 그 2개의 입력단자에 각기 상기 IC(133)의 12번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SG9)와, 상기 노트(NOT) 회로(152)를 통해서 상기 이동스위치(38)로부터의 기동신호가 입력되는 낸드(NAND) 회로이며, 그 출력신호는 저항(183),(184) 및 콘덴서 (185)로 구성된 지연회로(186)에 입력되어 있다. (187)은 그 4개의 입력단자가 각기 상기 지연회로(186), 노트(NOT) 회로(136),(152) 및 IC회로(133)의 12번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SG9)가 입력되는 낸드(NAND) 회로이며, 모우드절환스위치(37)를 촌동사이클에 맞춘 상태(단, 비상귀환스위치(32)는 눌려 있지 않다)로 가동스위치(38)가 눌렀을 때만 동 낸드(NAND) 회로(187)는 상기 지연회로(186)의 지연시간만큼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188)은 노트(NOT) 회로(188a)를 통해서 상기 FF회로(177)의 출력 신호와 상기 낸드(NAND) 회로(187)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오어(OR) 회로이며, 차단의 노트(NOT) 회로(189)를 통해서 정전신호(SG10)가 출력된다. 따라서, 그 정전신호(SG10)는 상기 FF회로(177) 및 낸드(NAND) 회로(187)의 출력신호가 모두 하이레벨일때 이외에는 로우레벨의 신호로 된다.
(190)은 그 2개의 세트측 입력단자에 각기 상기 이니셔라이즈용 제어회로(139)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기동스위치(38)로부터의 기동신호가 입력되고, 한편 리세트측 입력단자에 상기 낸드(NAND) 회로(138)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FF회로이며, 기동스위치(38)를 눌러서 기동신호가 입력되면, 세트측 출력단자는 하이레벨, 리세트측 출력단자는 로우레벨로 반전되고, 또 낸드(NAND) 회로(138)로부터의 로우레벨의 출력신호(탭(9)이 왕동을 저지당했을 경우, 또는 비상귀환스위치(32)를 눌렀을 경우 등)가 입력되면, 세트측 출력단자는 로우레벨, 리세트측 출력단자는 하이레벨로 반전된다. (191)은 동 FF회로(190)의 세트측 및 리세트측 출력단자에 접속한 콘덴서이다.
(192)는 상기 FF회로(190)의 세트측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노트(NOT) 회로(171)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낸드(NANO) 회로이며, 외부 인덱스신호(SG11)가 출력된다. (193)은 FF회로 (190)의 세트측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상기 쉬미트트리거회로(51)로부터의 출력신호(SG11)가 입력되는 낸드(NAND) 회로이며, 외부 원점신호(SG12)가 출력돈다. (194)는 상기 FF회로(190)의 리세트측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노트(NOT) 회로이며, 외부로 이상신호(SG13)가 출력된다.
(196)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상(三相) 교류 전원스위치이며, 각 상선(相線) U, V, W를 통해서 모우터(1)에 전력을 급전한다. (TRC1)은 일단이 퓨우즈(197)를 통해서 3상교류 전원스위치(196)의 접점(196a)에 접속된 트라이액(Triac)이며, 콘덴서(198)와 저항(199)의 직렬회로, 저항(200), (201) 및 후기하는 전자릴레이(CR1)의 상개접점(CR1b)의 직렬회로가 각기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트라이액(TRC1)의 게이트단자는 저항(200),(201)의 중간점에 접속되어 있고, 모우터(1)의 정전 정전구동용의 급전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 모우터(1)의 U 상선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트라이액(TRC3), 콘덴서(202), 저항(203), (204), (205), 전자릴레이(CR1)의 상개접점(CR1b)으로 구성된 역전구동용의 급전회로를 통해서 상기 전원스위치(196)의 접점(196b) 사이 및 동 W상선과 상기 접점(196a) 사이에는 각기 트라이액(TRC2), (TRC4), 콘덴서(207), (208), 저항(209), (210), (211), (212), (213), (214) 후술하는 전자릴레이(SG11), (SG11)의 상개 접점(CR1), (CR2c)로 구성되는 정전 구동 및 역전구동용의 급전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215)는 바리스터이다.
(216)은 상기 모우터(1)의 근접위치에 배설한 측온 저항체(測溫低抗體)이며, 모우터(1)가 그 내열온도로 이행하고 있음을 검지해서 후기 더어모 스위치(243)를 개폐제어한다.
(217)은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1차측에 상기 3상교류전원의 2상에서 전력을 급전하는 트랜스이며, 그 2차측의 출력단자 사이에는 퓨우즈(218)를 통해서 정류회로(219)가 접속되어 있다. (220)은 동 정류회로(219)의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정전압 레규레이터이며, 상기 이동검지회로(C1), 이동량연산회로(C2)등의 각 회로에 12V의 직류전원을 급전한다. (221), (222)는 콘덴서, (223)은 다이오우드이다.
(Tr1)은 그 베이스단자에 저항(224), 노트(NOT) 회로(225)를 통해서 상기 정전신호(SG10)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이며, 그 콜렉터단자에는 전자릴레이(CR1)와, 후술하는 전자릴레이(CR2)의 상폐(常閉) (CR2a)과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226)은 동 전자릴레이(CR1)에 병렬 접속된 다이오우드, (227)은 저항이다.
(Tr2)는 그 베이스단자에 저항(228), 노트(NOT) 회로(229)를 통해서 상기 역전신호(SG8)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이며, 그 콜렉터단자에는 전자릴레이(CR2)와 상기 전자릴레이(CR1)의 상폐접점(CR1a)과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230)은 동 전자릴레이(CR2)에 병렬 접속한 다이오우드, (231)은 저항이다.
따라서, 로우레벨의 정전신호(SG10)가 트랜지스터(Tr1)에 들어갔을 때(역전신호((SG8)는 하이레벨의 신호로 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r1)는 "온"되고, 전자릴레이(CR1)는 여자(勵磁)된다. 그리고, 상기 상폐접점(CR1a)이 개로(開路)되는 동시에, 상개접점(CR1b), (CR1c)이 폐성되기 때문에, 제10도에 나타낸 트라이액(TRC1), (TRC2)이 "온"되고, 각 상선, U, V, W에 전력이 급전되고, 모우터(1)는 정전구동을 개시한다. 또, 반대로 로우레벨 역전신호(SG8)가 트랜지스터(Tr2)에 들어갔을 때(정전신호(SG10)는 하이레벨의 신호로 되어 있음), 트랜지스터(Tr2)는 "온"되고 전자릴레이(CR2)는 여자된다. 그리고, 상기 상폐접점(CR2a)이 개로되는 동시에, 상개접점(CR2c), (CR2c)가 폐성되기 때문에, 트라이액(TRC3), (TRC4)가 "온"되고, 모우터(1)에 급전되는 전력이 역상으로 되어 동 모우터(1)는 역전구동된다.
(Tr3)는 그 베이스단자에 저항(232), 노트(NOT) 회로(233)를 통해서 상기 외부 인덱스신호(SG11)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이며, 동 트랜지스터(Tr3)가 "온"될 때마다 인덱스타이머(234)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동 인덱스타이며(234)의 동작에 의거해서 전자카운터(235)에 카운터동작시켜서 가공되는 제품을 카운트시킨다. (236)은 저항이다.
(Tr4)는 그 베이스단자에 저항(237), 노트(NOT) 회로(238)를 통해서, 상기 원점신호(SG12)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이며, 동 트랜지스터(Tr4)가 "온"될때마다 원점릴레이(239)를 동작시켜, 1가공사이클 종료때마다 1가공사이클 종료의 신호를 외부로 전달한다.
(Tr5)는 그 베이스단자에 저항(240), 노트(NOT) 회로(241)를 통해서 상기 이상신호(SG13)가 입력되는 트랜지스터이며, 동 트랜지스터(Tr5)가 "온"되었을 때(탭(9)의 왕동이 저지되었을 때), 이상릴레이(242)를 동작시켜, 이상 상태를 외부에 전한다.
(243)은 모우터(1)가 내열온도로 과열되었을 때, 상기 측온 저항체(216)에 의해서 개로되는 더어모스위치이며, 콘덴서(244)가 병렬로 접속되고 동 스위치(243)가 개로됨으로써, 저항(245)과 직렬로 접속된 전자릴레이(CR3)를 여자시킨다. 그리고, 동 전자릴레이(CR3)의 가동접점(CR3a)이 접점(CR3b) 측에서 접점(CR3c)측으로 절환되고, 모우터과열경보램프(246)를 점등시킨다. (247), (248)은 저항, (249)는 동 모우터과열경보램프(246)에 대해서 병렬 접속된 전원파일럿램프, (250)은 저항이다.
(251)은 탭반과 연동해서 동작하는 가공기 예를 들면 이송장치(28)에 장착되고, 이것을 누름으로써 개방되는 외부비상귀환스위치이며, 콘덴서(252)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253)은 일단이 상기 외부 비상귀환스위치(251)에, 타단이 저항(254)에 접속된 발광다이오우드이며, 동 스위치(251)가 늘리지 않는 한 발광되고 있다,. (255)는 상기 발광다이오우드(253)로부터의 빛을 수광해서 "온"되는 포토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외부 비상귀환스위치(251)가 개방되었을때 낸드(NAND) 회로(256)에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257)은저항이다.
(258)은 역시 탭반과 연동해서 동작하는 가공기에 장착되고, 이것을 누름으로써 폐성되는 외부 기동스위치이며, 콘덴서(259)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260)은 상기 외부 기동스위치(258)와 병렬로 접속된 발광다이오우드이며, 동 스위치(258)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발광된다. (261)은 동 다이오우드(260)의 일단에 접속된 저항이다. (262)는 상기 발광다이오우드(260)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여 "온" 되는 포토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외부 기동스위치(258)가 폐성되었을 때, 낸드(NAND) 회로(262)에 하이레벨의, 또 개성되어 있을때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264)는 동 포토트랜지스터(262)의 콜렉터단자에 접촌한 저항이다.
(265)는 상기 구동축(2)에 고착한 풀리(3a)의 하면에 고착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의 근방에 배치한 근접스위치이며, 구동축(2)에 과대로오크가 작용하고, 동 클러치가 개방되었을 때, 이 근접스위치(265)의 접점(265a)에 폐성된다. (266)은 근접스위치(265)에 병렬로 접속한 콘덴서, (267)은 저항이다.
(268)은 노트(NOT) 회로(269)를 통해서 상기 낸드(NAND) 회로(256)로부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근접스위치(265), 전자릴레이(CR3)의 가동 접점(CR3a)의 개폐에 의거한 신호를 입력하는 오어(OR) 회로이며, 그 입력신호의 모두가 하이레벨의 신호일때 로우레벨의, 외부이상신호(SG14)를 출력하고, 상기 노트(NOT) 회로(137), (135)를 통해서 오어(OR) 회로(134)에 입력된다.
(270)은 상기 낸드(NAND) 회로(263)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노트(NOT) 회로이며, 동 낸드(NAND) 회로(263)의 출력이 로우레벨의 신호일때 하이레벨의 외부스라아트신호(SG15)를 출력하고, 상기 낸드(NAND) 회로(159)에 입력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이상검출장치를 갖춘 탭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금, 탭반을 연동사이클로 운동할 경우, 먼저 3상교류전원스위치(196)를 투입하고, 각 회로(C1), (C2), (C3), (C4), (C5)로 작동용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니셔라이즈용 제어회로(139)의 출력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이 되어 각 FF 회로(153), (167), (177), (190), 에 입력된다. 다음에 모우드절활시위치(27)를 조작해서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120a)에 넣음과 동시에, 이 실시예에서는 원위치에 있는 탭(9)이 하동(下動)하는 범위를 47mm로 해서 가공물(20)의 하공(20a)에 나사세우기를 행하기 위해서 스트로오크 설정다이얼(34)을 조작해서 프리세트 감산카운터(70)를 세트한다. 그러면, 이 상태에서 플립플롭(FF)(153)의 세트측 출력단자는 로우레벨 FF 회로(167)의 세트측 출력단자는 하이레벨, FF회로(177)의 세트측출력단자는 하이레벨의 상태로 세트된다. 또, 낸드(NAND) 회로(187)는 하이레벨의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정전신호(SG10) 및 역전신호(SG8)는 모두 하이레벨의 상태에 있고, 전자릴레이(CR1), (CR2)는 지금 아직 여자되지 않기 때문에 모우터(1)는 구동되지 않는다.
다음에 모우터(1)를 구동(나사세우기 가공개기)시키기 위해서 기동스위치(38)를 누르면, 상기 FF회로(153)의 세트측 입력단자에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동 세트측 출력단자의 출력은 반전해서 하이레벨로 되어, 차다의 오우(OR) 회로(158)는 하이레벨이 된다. 이대 쉬미트트리거회로(51)의 출력신호(SG1)는 하이레벨이기 때문에, 낸드(NAND) 회로(172)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이 되어, 차단의 FF회로(177)의 세트측 출력단자의 출력을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반전시킨다. 따라서, 정전신호(SG10)는 로우레벨로 되고, 트랜지스터(Tr1)를 "온"시켜 전자릴레이(CR1)을 여자시킨다. 이 릴레이(CR1)의 여자에 의해서 상개접점(CR16), (CR1c)가 패성해서 트라이액(TRC1), (TRC2)이 "온"되어서 각 상선, U, V, W에 전력이 급전되고, 모우터(1)는 정전구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탭(9)이 회전하면서 원위치에서 하동을 개시하는 동시에, 회전반(21)은 1회전 이내의 범위에서 하동을 개시한다. 회전반(21)의 회동에 의해서 포토트랜지스터(27)은 온, 오프 동작되고, 연속펄스의 출력신호(SG4)가 쉬미트트리거회로(61)에서 발생한다. 프리세트 감산카운터(70)는 그 출력신호(SG4)의 상승을 포착해서 상기 세트치를 감산해 간다. 한편 출력신호(SG1)은 회전반(21)의 회동으로 로우레벨로 되지만, FF회로(177)의 출력은 반전하지 않는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FF회로(167)의 세츠특 출력단자는 하이레벨이며, 또한 상기 전자릴레이(CR1)가 여자되어서 그 상폐접점(CR1a)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전자릴레이(CR2)는 여자되는 일은 없고. 따라서 모우터(1)는 역전구동되지 않는다.
탭(9)이 나사세우기가공을 하면서 설정치 47mm까지 하동하고, 프리세트 ㄱ마산카운터(70)가 상기 출력신호(SG4)의 47개의 상승을 포착하면, 그 감산카운터(70)는 감산되어서 제로 즉 각 출력단자 Ao, Bo, Co, Do는 모두 로우레벨로 되어서, 낸드(NAND)회로(73)는 하이레벨이 된다. 이것에 의해서, 카운터(70a), (70b)는 계수동작이 정지됨과 동시에, 출력신호는(SG5)는 하이레벨에서 가우레벨로 되어 지연회로(162)를 통해서 FF회로(167)의 리세트측 입력단자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동 세트측 입력단자에도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동 세트측 출력단자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된다. 따라서, 정전신호(SG10)는 하이레벨, 역전신호(SG8)는 로우레벨로 각기 반전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어서, 전자릴레이(CR1)를 소자시키며, 한편 트랜지스터(Tr2)가 "온"되어서 전자릴레이(CR2)를 여자시킨다. 그리고, 상개접점(CR1b), (CR1c), 이 개방되고, 한편 상개접점(CR2b), (CR2c)이 폐성되기 때문에, 모우터(1)에 급전되는 전력이 역상(逆相)으로 되어 동 모우터(1)는 역전된다. 모우터(1)의 역전으로 탭(9)은 역회전하면서 원위치를 향해서 상동(上動)한다.
탭(9)의 원위치로 상동하면, 출력신호(SG1)은 하이레벨이 되는 동시에 출력신호(SG3)는 로우레벨이 되며 출력신호(SG7)가 하이레벨이 되어 감산카운터 (70)를 프리세트시킨다. 또 출ㄹ역신호(SG3) FF회로(167)의 세트측 출력단자의 출력을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반전시킨다. 한편, 이것에 의해서 낸드(NAND) 회로(172)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되어 FF회로(177)의 세트측 출력단자의 출력을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반전시킨다. 그리고, 다시 정전신호(SG10)가 로우레벨, 역전신호(SG8)가 하이레벨로 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우터(10)는 정전구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탭(9)은 다시 왕복동이 가능해져서 탭반을 연동사이클시킬 수 있다.
지금, 탭(9)의 왕동시(정전신호(SG10)가) 로우레벨일 때)에 있어서, 가공물(20)에 하공(20a)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대문에 그 왕동이 저지되고, 회전축(16)에 과대한 토오크가 작용하면 다판 클러치장치(19)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축(16)과 피니언축(17)과의 사이에 운동위치가 찬단되어 피니언축(17)에 고착된 회전판(21)의 회동이 정지되고, 쉬미트트리거회로(61)의 출력신호(SG4)는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면 이상검지회로(C3)의 스위칭용트랜지스터(111)가 온되고, 발광다이오우드(113)가 발광하여 작업자에게 탭(9)의 왕동이 아상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동시에,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반전한 지령신호(SG6)가 구동제어(C5)의 오어(OR) 회로(134)에 입력되고, 동 오어(OR) 회로(134)는 로우로벨에서 하이레벨이 된다. 동 오어(OR) 회로(134)가 하이레벨로됨으로써 차단읜 낸드(NAND) 회로(138)는 로우레벨로 되어, 오어(OR) 회로(160), 노트(NOT) 회로(163)를 통해서 FF회로(177)의 세트측 출력단자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되는 동시에, 노트(NOT) 회로(163) 및 지연회로(162)를 통해서 상기 FF회로(167)의 세트측 출력단자가)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반전한다. 따라서, 정전신호(SG10)는 하이레벨, 역전신호(SG10)는 로우레벨로 되어 모우터(1)를 역전 구동시키고 탭(9)을 즉시 원위치로 상동시킨다.
탭(9)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쉬미트트리거회로(51)에서 출력신호(SG1)가 출력되고, 상기 FF회로(177)의 출력을 로우레벨로 반전시키려고 하지만, 상기 낸드(NAND) 회로(138)의 로우레벨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FF회로(153)의 세트측출력단자가 로우레벨로 반전되어 있으므로, FF회로(177)은 반전되지 않낳으며, 동 탭(9)은 원위치에 복귀하면 다음의 가공을 하지 않고 정지한다. 따라서, 안전하게 나사세우기가공을 할 수 있는 동시에 탭(9)이 어더한 왕동위치에 있더라도, 동 탭(9)의 왕동이 저지되었을 때에는 즉시 그 이상상태가 검출되고, 단시간에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가공도중에 있어서, 탭(9)이 원위치로 복귀하고, 가공이 완전히 되지 않을 때는 상기 낸드(NAND) 회로(138)의 로우레벨의 출력신호에 수반해서 반전된 상기 FF회로(190)의 세트측 출력단자가 로우레벨로 되기 때문에 외부 인덱스신호(SG11), 원점신호(SG12)가 하이레벨 그대로이며, 인덱스타이며(234), 원점릴레이(239)는 각기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 FF회로(190)는 다음의 기동스위치(38)가 눌림으로써 반전된다.
다음에 모우드절환스위치(37)를 단동사이클용접점(120b)에 넣고, 탭반을 단동사이클시킬 경우에는 상기 연동사이클의 경우와 비교해서 낸드(NAND) 회로(150)에 입력되는 조건이 바뀔 뿐이며(연동사이클용접점(120a)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레벨), 그 모우터(1)의 기동 및 역전가지의 과정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탭(9)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하이레벨의 출력신호(SG2)가 낸드(NAND) 회로(150)에 입력되고, 즉시 FF회로(153)를 로우레벨로 반전시켜서 오어(OR) 회로(158)의 출력을 로우레벨로 하기 위해서, 지연회로(176)를 통해서 조금 늦게 입력되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SG1)에 의해서, 낸드(NAND) 회로(172)가 로우레벨로 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FF회로(177)의 세트측 출력단자는 로우레벨로 반전되지 않기 때문에, 모우터(1)는 역전구동을 종료한 후는 다시 정전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탭반은 단동사이클가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독사이클가공중에 탭(9)의 왕동이 저지되면, 상기 연동사이클과 마찬가지로 정전신호(SG10)가 하이레벨, 역전신호(SG8)가 로우레벨로 반전되기 때문에 동 탭(9)을 원위치로 복귀하여 정지된다.
또한, 탭반을 촌동시키려고 모우드절환스위치(37)를 촌동 사이클용접점(120C)에 넣으면, IC(133)의 10번 단자는 로우레벨, 11번단자는 로우레벨, 12번단자는 하이레벨로 되기 때문에, FF회로(153)는 상기 기동스위치(38)를 눌러도 반전 동작하지 않는다. 또, 이동량연산회로(C2)의 낸드(NAND) 회로(73)에도 IC(133)12의번단자에서 하이레벨의 출력신호(SG3)가 입력되기 때문에 FF회로(167), (177)은 감산카운터(70)가 카운트업해도 반전동작되지 않도록 된다.
이 상태에서 기동스위치(38)를 누르면, 지연회로(186)의 지연시간만큼 낸드(NAND)회로(187)가 로우레벨로 되어 차단의 오어(OR) 회로(188)를 하이레벨로 만들고 정전신호(SG10)를 로우레벨로 만든다. 그것에 의해 모우터(1)가 정전구동되어서 탭(9)은 왕동한다. 또, 탭(9)을 원위치로 되올리려면 비상귀환스위치(125)를 누르면 노트(NOT) 회로(136), (161), 오어(OR) 회로(160) 및 노트(NOT) 회로(163)를 통해서 FF회로(167)는 반전되고, 역전신호(SG4)가 로우레벨로 된다. 한편, 정전신호(SG10)는 하이레벨로 된다. 그것에 의해 탭(9)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 모우드절환스위치(37)를 외부스타아트신호(SG15)(다른 가공기로부터의 외부신호)에 의해서 연동하는 가공사이클용접점(120d)에 넣으면 IC(133)의 15번단자는 하이레벨로 디ㅗ어 차단의 낸드(NAND) 회로(159)에 그 출력을 입력시킨다. 그리고, 다른 가공기로부터의 외부 스타아트신호(SG15)(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기동스위치(258)의 폐성동작)에 의해서 동 낸드(NAND) 회로(159)의 출력은 로우레벨로 되어 오어(OR) 회로(158)를 통해서 차단의 낸드(NAND) 회로(172)에 로우레벨의 출력이 입력되고, FF회로(177)의 세트측 출력단자를 로우레벨로 반전시켜서 모우터(1)를 정전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연동사이클가공의 경우의 FF회로(153)와는 다른 경로의 낸드(NAND) 회로(159)로부터의 출력신호, 즉 외부스타아트신호(SG15)에 의거해서 탭반은 다른 가공기와 동기(同期)해서 구동제어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탭(9)의 왕동이 저지되었을 때, 상기 연동사이클가공과 같은 과정을 취해서 모우터(1)를 역전 구동시키고, 동 터(9)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탭의 이동을 상시 감시하여, 동탭이 어떤 이동위치에 있더라도, 동 탭의 이동이 저지되었을 때에는 즉시 그 이상 상태가 검출되고, 단시간으로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고, 안전하게 나사세우기 가공을 할 수 있는 탭반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선단에 탭(9)을 유지한 주축(6)과, 그 주축(6)을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고, 기틀에 왕복동 가능하게 지지된 주축통(10)과, 상기 주축(6)을 정역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정역전 가능한 전동기(1)과, 그 전동기(1)의 회전에 연동해서 상기 주축통(10)을 왕복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와, 그 이송장치중에 설치되고 가공작업중에 상기 탭(9)에 과부하가 가해졌을 때, 상기 전동기운동이 상기 주축통(10)으로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과하중 해제클러치를 구비한 탭반에 있어서, 상기 과하중 해제클러치보다도 주축통(10)측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통(10)의 왕동시에 그 주축통(10)의 일단위 이동량마다 펄스를 발생하는 펄수 발생수단과, 상기 주축통(10)의 왕동스트로우크를 미리 설정하기 위한 스트로우크 설정수단과, 상기 왕동시에 상기 펄스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수가 상기 스트로우크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스트로우크에 대응하는 펄스수에 달했을때, 상기 전동기(1)의 역전을 지시하는 제1의 수단과, 상기 왕동시에 펄스발생수단으로부터의 펄스가 소정시간 이상 발생되지 않을때, 그것을 검지하여 상기 전동기(1)의 역전을 지시하기 위한 제2의 수단과, 상기 전동기(1)와 접속하며 상기 왕동시에 전동기(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주축(6)을 왕동시키는 동시에,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후 제1 또는 제2의 수단에서 발생되는 역전 지시에 의거하여 전동기(1)를 역전시켜서 주축(6)을 복동시키는 동시에 주축(6)을 역전시키도록 상기 전동기(1)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주축통(10)의 왕동 도중에 있어서, 그 주축통(10)의 왕동이 저지되었을시에 상기 전동기를 즉시 역전시켜서 주축통(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진 탭반.
KR1019790003943A 1979-11-12 1979-11-12 탭반(Tap 盤) KR830001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943A KR830001046B1 (ko) 1979-11-12 1979-11-12 탭반(Tap 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943A KR830001046B1 (ko) 1979-11-12 1979-11-12 탭반(Tap 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11A KR830001011A (ko) 1983-04-29
KR830001046B1 true KR830001046B1 (ko) 1983-05-27

Family

ID=1921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943A KR830001046B1 (ko) 1979-11-12 1979-11-12 탭반(Tap 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0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11A (ko) 198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5446A (en) Automatic tool changer of machining center
KR890000121B1 (ko) 천공기
KR880002551B1 (ko)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보호장치
KR850001055B1 (ko) 공업용 로봇제어 시스템
JPS6044088B2 (ja) 異常検出装置を備えたタツプ盤
US3341758A (en) Motor-braking devices
JPS58124907A (ja) 工作機械の位置決め装置
KR830001046B1 (ko) 탭반(Tap 盤)
US10307899B2 (en) Tors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 impact power tool
US4245295A (en) Apparatus for the controlled voltage supply of D.C. drives
US3509436A (en) Oscillator slide assembly and control circuit therefor
KR830000823Y1 (ko) 탭반(tap盤)에 있어서의 안전장치
CN209407869U (zh) 一种旋紧装置
KR102307486B1 (ko) 탭핑머신의 기동 및 정지 전원 제어장치
US4318646A (en) Tapping machine
US3235161A (en) Electrical control for friction welding
JPS58188109A (ja) 負荷時タツプ切換装置
KR910008250B1 (ko) 원목 절단 장치
US2377365A (en) Electrical control system
JPH07289766A (ja) 工業用ミシン駆動装置
KR920004248Y1 (ko) Cnc 선반의 툴포스트테스트(toolposttest)장치회로
CN212191065U (zh) 一种紧固件的搓丝机电气控制系统
US3128534A (en) Multi-station operation workpiece supporting apparatus
DE3529164A1 (de) Anordnung zur strombegrenzung
CN2136097Y (zh) 电焊机节能遥控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