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469B1 - 사진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사진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469B1
KR830000469B1 KR1019790001233A KR790001233A KR830000469B1 KR 830000469 B1 KR830000469 B1 KR 830000469B1 KR 1019790001233 A KR1019790001233 A KR 1019790001233A KR 790001233 A KR790001233 A KR 790001233A KR 830000469 B1 KR830000469 B1 KR 830000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ousing
mask
magazine
obj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망 헨리 귈로옴 에밀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제이. 비이데르케르
젤라코 소시에테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제이. 비이데르케르, 젤라코 소시에테 아노님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제이. 비이데르케르
Priority to KR101979000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4Means for exchanging focusing screen and light sensitive materia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진 촬영장치
제1도는 하우징과 분리 가능한 매거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매거진 사이에 삽입되는 마스크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을 가지는 사진촬영장치의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매거진이 분리될 때 제1도에 따른 장치의 제2하우징에 놓이는 조망장치(sighting device)의 단면도.
제3도는 제2하우징에 결합되어 제1도의 장치와 더불어 사용되는 매거진 변형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내지 제3도에 도시한 장치의 제2하우징의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의 단면도에 보인 조망장치의 사시도.
제6도는 제2하우징의 두부를 닫는 상부판이 제거된 제1도 및 제4도의 제2하우징을, 제1도의 화살표A방향으로 도시한 상부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Ⅶ-Ⅶ에 따라 얻어지는 단면도.
제8도는 하우징과 마스크 고정장치 및 필름 이송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분리 가능한 매거진으로 구성된 사진 장치의 제2실시예 종단면도.
제9도는 마스크 고정 장치가 열리고 필름 이송 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제8도 장치의 매거진 단면도.
제10도는 마스크 고장치가 닫히고 필름 이송 장치가 작동하여 마스크 고정장치에 접촉하고 있는 제8도 장치의 매거진 단면도.
본 발명은 상을 필름 위에 사진화(making of photographic picture)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촬영중에 마스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 기술에서 특히 복사기술분야에서 소위 마스킹 작업은 원판으로부터 양질의 복사물 또는 인화물을 얻기 위해서 중요한 공정, 기술이다.
이 마스킹 작업은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 수행되는데, 이 작업이 매우 복잡해서 이러한 마스킹이 필요한 사진품의 비용이 올라가게 된다.
마스킹 작업은 미리 만든 마스크를 감광될 필름위에 놓는 것을 포함한다. 이 분야의 기술자는 이 작업이 인화를 위해 색체분리상에 색체수정을 포함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마스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진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경우처럼 촬영이 끝난 후가 아니라 촬영 도중에 곧바로 원판을 마스킹할 수 있는 사진촬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사진 촬영장치가 촬영후 뿐만 아니라 촬영도중에 마스킹 작업을 할수 있으면 시간과 노동이 상당히 절약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한 목적들을 만족시킨다.
이것은 대물렌즈와 필름사이에서 장치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마스크가 광선 통로에 놓이도록 설치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스크 고정장치가 마스크를 필름접촉면에 인접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의 설명에서, 사진 촬영 장치라는 것은 실체 또는 컬러이든 아니든 공지된 사진 처리로 만든 사진으로부터 복사물 또는 인화물을 만들 수 있도록 된 사진기와 같은 장치를 의미한다.
마스크 고정장치는 이 장치에 마스크를 정확히 결합시키는 고정장치로 구성되고, 또 이것을 사진촬영장치에 정확히 결합시키는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마스크 고정장치에는 마스크에 있는 상응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적어도 두개의 결합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핀들은 마스크의 접촉면에 놓인다.
마스크 고정장치에는 하우징과 마스크 전방에 장착되는 셔터가 구비된다. 이 하우징과 사진촬영장치 사이의 고정장치는 지지면, 홈 및 결합핀을 가지며, 하우징은 장치의 후미에 놓인다.
하우징에는 마스크 뒤에 위치하여 필름 이송 장치를 갖는 필름매거진 또는 조망장치가 고체될 수 있도록 설치된 후미커버가 제공된다.
마스크 고정장치와 사진촬영 장치사이의 고정장치는 이 고정 장치와 사진 촬영 장치 사이의 고정장치는 이 고정 장치가 그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스핀들과 캐치스토퍼(catch stopper)로 끼워질 수 있다.
사진 촬영장치에는 또 필름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마스크에 집면에 있는 필름을 후퇴시키도록 설치된 필름 이송장치 또는 필름피이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필름의 후퇴는 사진 이송장치의 축 주위로의 회전에 의하거나 또는 이 장치의 병진운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마스크 고정장치는 그것이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때에 그 동일한 축에 장착된 후방커버를 가지며, 전체유닛은 그 내부에 필름 이송장치를 갖는 필름 매거진 또는 필름통이 마련된다.
이때 마스크 고정장치의 회전축은 필름 이송장치의 회전축 반대편 측방에 마련되며, 마스크 고정장치의 커버를 열고 필름을 마스크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또 이와 역으로 하기 위해서 제어봉이 마련된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보인 사진 촬영 장치는 통상의 경우처럼 분리한 다음에 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작업과 동시에 마스킹 작업을 결합시켜 사진을 만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장치(1)는 하우징(2)과 제거 가능한 매거진(3) 및 제거가능하고 하우징(2)과 매거진(3)사이에 놓이는 제2하우징(4)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제2하우징(4)에는 마스크의 삽입 및 노출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2)은 통상의 구조이고 후미부(5)를 가지며, 이 후미부의 저면에는 정면으로 향한 래크(7)와 지지대 또는 삼각대(도시되지 않음) 위에 장치(1)를 고정할 수 있는 나사구멍(6)이 마련되어 있다.
래크(7)는 원형 손잡이(9)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통상의 셔터와 다이어프램을 갖는 대물렌즈(10)를 지탱하는 지지대(8)는 주름상자(11)에 의해서 후미부(5)에 연결된다. 따라서 적당한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손잡이(9)를 회전시키면 대물렌즈(10)는 이동될 수 있다. 래크(7)는 지지대(8)가 래크(7)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래크의 자유단에 정지대(12)를 가진다.
후미부(5)에는 그 저부에 제2하우징(4)의 상응하는 돌출부(15)가 삽입될 수 있는 홈(14)을 구획짓도록 돌출 수평테일(13)이 마련되어 있다.
제2하우징(4)은 그 상부에서 후크(16)에 의해서 후미부(5)에 고정된다. 따라서 후크(16)의 후미단에 압력을 가하면 두 하우징(2,4)의 상부가 조금 벌어져 제2하우징(4)이 홈(14)에서 빠져 나오게 되어 제2하우징(4)은 하우징(2)의 후미부(5)에서 제거된다. 이 두부분은 유사한 방법으로 다시 결합된다. 하우징(2)에 대한 제2하우징(4)의 위치 고정은 하우징(2)의 후부(5)에 있는 상응하는 구멍(18)에 삽입되는 두 고정핀(17)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2하우징(4)의 후미단(제4도 참조)에는 축(20)에서 회전가능한 커버(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커버(19)는 U자형 프레임으로서, 그 내면에 제4도의 간단한 뚜껑(22) 또는 제5도 및 제2도에 단면도로 보인 조망장치(23)의 프레임(22) 또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필름이 들어있는 매거진(3)을 수납할 수 있는 U자형 홈(21)(제4도 참조)이 파여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거진(3)은 밑에서 제2하우징(4)의 U자형 프레임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매거진(3)의 필름(24)은 공급 리일(25)에서 나와 상부 안내 로울러(26)을 돌아 스프링(28)에 의해 지지된 필름 압착기(27)를 거치고 다시 하부 안내 로울러(29)를 돌아서 수용 리일(30)에 감긴다.
로울러(26 및 29)와 필름 압착기(27) 및 스프링 (28)은 노치(notch) (33)에 들어가게 되는 굴곡 레버아암(32)를 갖는 아암(31)에 장착되어 있다. 이 노치(33)는 수용리일(30)의 원주단의 한곳에 절삭되어진 것이다. 아암(31)은 축(35)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레버아암(32)과 매거진(3)의 벽(37)의 내면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36)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매거진(3) 내에서의 필름(24)의 이송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수용리일(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 아암(32)은 노치(33)를 떠나서 상기 리일이 완전 일회전한때에는 리일(30)의 원주단(34)위에서 활동한다. 레버 아암(32)의 끝이 노치(33)를 이탈할때 아암(31)이 축(35)주위를 회전함으로써, 수용리일의 360°회전중에 아암(31) 안내로울러(26 및 29) 및 필름 암착기(27)가 매거진(3)의 면에 접한 필름에 대해 후퇴한 위치에 있으면서 필름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런 방법으로 제2하우징(4)의 후미벽 또는 마스크에 의해서 필름 접촉면에 일어나는 필름의 마찰을 완전히 피할 수 있다.
리일(30)이 완전히 회전했을 때 노치(33)는 레버 아암(32)의 끝과 만나게 되고 스프링(36)이 이 레버 아암을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레버아암의 끝은 노치(33)속으로 삽입되고 아암(31)은 회전하게되어 필름(24)을 제2하우징(4) 또는 마스크에 대한 접촉면으로 압박하게 된다.
제3도에 도시된 매거진(3)의 변형에서 필름 이송장치는 공급 리일(25)과 수용리일(30)과 안내로울러(26,29) 및 스프링(28)을 갖는 필름 압착기(27)로 구성된다. 필름 압착기와 두 개의 로울러는 T자형 아암에 장착되고, 이 아암의 T자축(38a)은 그 저단에 스프링(39)을 갖는다. 이 스프링(39)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벽(37)의 내벽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아암(38)의 T자형 축은 리일(30)의 캠(41)에 결합되는 하향 연장부(40)를 가진다. 프랭크 핸들(42)은 수용리일(30)을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되는데, 이 리일은 360
Figure kpo00001
회전초에 캠(41)과 더불어 연장부(40), 따라서 아암(38)을 후미로, 즉 스프링(39)의 작용방향과 반대로 미는 역활을 한다. 필름 압착기(27)와 필름을 이동시키는 두 개의 안내 로울러(26,29)가 후퇴하면 필름이 그 접촉면과 떨어져 있을 동안에 필름이 이송된다.
제3도의 변형 장치에서 필름을 그 접촉면에서 필름의 원위치 또는 노출판에 평행하게 후퇴시킨 후에만 필름 이송이 이루어지는 반면,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필름판에 대해 측부에 설치된 축(35) 주위의 회전에 의한 필름 후퇴 후에 필름 이송이 일어난다는 것을 능숙한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의 접촉면 즉, 일반적으로 후술하는 마스크의 면에서 필름의 후퇴(필름 이송시)는 필름면과 예민한 마스크면 사이의 마찰을 피하게 된다. 제3도의 제2하우징(4)은 제1 및 제2도의 그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매거진(3)은 밑에서 커버(19)의 홈(21)에 삽입됨으로써 장치(1)에 연결되고, 마지막으로 스프링 멈춤쇠(43)(제1도 및 3도 참조)는 매거진의 결합 여부를 확인한다.
매거진(3)대신에 커버(91)에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유롭게 내부에 중앙접촉부(45)가 장착되어 있는 간단한 뚜껑(22)(제4도)이 끼워질 수 있다. 이 뚜, (22)의 중앙접속부(45)는 필름마스크가 준비될 때 필름압착기의 역활을 하는데, 이것은 후에 설명된다.
조망장치(23)(제2 및 제5도는)는 이 장치(23)를 커버(19)의 홈(21)에 끼우게하는 측면 돌출부(46)를 갖는다. 또 조망장치(23)는 스프링(48)에 의해서 앞으로 지지된 확산스크린(47)을 가지며, 이 확산스크린을 중간 하우징(4)의 필름접촉면으로 민다. 또 이 장치(23)는 케이싱(50)에 의해 프레임(22)에 연결되어있는 접안렌즈(49)를 갖는다.
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제2하우징은 보통 마스크(52)가 부착되는 프레임을 이루는 필름접촉면(51)을 갖는다. 필름접촉면(51)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은 그 상측부에 마스크(52)의 상응하는 구멍에 끼우는 두 개의 마스크위치고정수단(53,54)을 갖는다. 마스크(52)뒤에 두 개의 셔터커버(55,56)가 있고 그것의 회전축(57,58)이 제2하우징(4)에 옆으로 설치되어 있다(제6 및 제7도참조) 개방봉 돌출부(59,60)는 하우징의 내부에 대해 축(57,58)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있는 셔터 커버(55,56)의 상부 확대부(61,62)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59 및 60)는, 67에서 회전 가능한 T형 부재(66)(제6도 참조)로 구성되는 개방 장치와 축(57 및 58)을 지탱하는 상판(65)에 있는 호형홈(meniscalar slot)(63,64)을 관통하며, T자형 축은 셔터핀(68)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T자형 분기의 하나는 하나의 개방용 돌출, (59)에 연결되고 다른 분기는 제어봉(69)에 의해서 다른 개방용 돌출부(60)에 연결되어 있다. 돌출부(59)는 또 스프링(70)에 의해서 봉(69)에 연결된다. 셔터핀(68)을 밑으로 밀때 T형 부재(66)는 그축(67)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부(59 및 60)에 작용하여 이 돌출부를 호형 홈(63,64)내에서 이동하게 한다. 이와같이 창문의 차광 판처럼 셔터 커버(55,56)가 열린다. 제1 및 제3도에서, 제2하우징(4)을 하우징(2)쪽으로 압박할 때 제2하우징(4)의 셔터핀(68)은 후미부(5)의 인접면에 의해 자동적으로 밑으로 밀리게 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제2하우징(4)이 하우징(2)의 후미부(5)에 부착되면 셔터커버(55 및 56)는 자동적으로 열리며, 제2하우징(4)이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되면 이 셔터 커버들은 스프링(70)(제6도 참조)의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우선 실체가 촬영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색채를 수정하는 마스킹 효과와 더불어 탈색이 되어져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하우징(2)의 나사 구멍(6)에 밑으로 끼워지는 삼각대(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기전에 제2하우징에 착탈할 수 있는 색체수정필림 마스크가 사용된다. 조망 장치(23)를 제2하우징에 끼운후에 제2하우징(4)은 하우징(2)의 후미부(5)에 고정된다. 그리고 대물렌즈(10)의 셔터가 열리고, 조망장치(23)의 확산판(47)위에 맺히는 상의 거리 및 광도가 조절되어 상이 맺힌다. 모든 조절이 끝나면 장치가 결코 이동되거나 또는 달리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이때 후크(16)를 조작하여, 삼각대에 지탱되어 있는 하우징(2)으로부터 조망장치(23)가 결합되어 있는 제2하우징(4)을 분리시킨다. 암실에서 커버(19)를 열기전에(제4도) 조망장치(23)가 제2하우징(4)에서 분리되고, 한 가지가 단지 한 가지의 색채만을 수정하므로 필름(52), 즉 흑백필름을 마스크위치고정수단(53,54)에 끼운다.
필름(52)을 필름접촉면(51)에 부착시키고 판(22)(제4도 참조) 이 스프링 멈춤쇠(43)부근까지 커버(19)의 홈(21)속으로 삽입되면 커버(19)가 필름(52)위로 닫힌다. 이때에는 제2하우징(4)이 닫혀 있기 때문에 암실을 떠날 수 있다. 그리고 제2하우징(4)을 하우징(2)의 후미부(5)에 결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하우징 (4)이 하우징(2)의 후미부(5)에 결합되면 필름(52)을 일광으로부터 보호하는 셔터 커버(55,56)가 자동적으로 열린다. 필름(52)이 노출될 준비가 되어 있으면, 이것은 색채수정 필름이므로 적당한 필터가 소기의 색체수정을 얻도록 대물렌즈 앞에 놓여야 한다. 마스킹 작업에 필요한 기술과 재료들은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마스킹 작업에 사용되는 색채 수정 필터와 필름에 관한 것은 상술하지 않는다.
적당한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대물렌즈(10)앞에 놓이면 필름 마스크의 역활을 하는 필름(52)위에 사진이 찍힌다. 일단 촬영이 끝나면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빼내고 하우징(2)의 후미부(5)로부터 제2하우징(4)을 분리시키는데, 이예 삼각대 위의 하우징(2)을 이동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제2하우징(4)이 하우징(2)에서 분리되어 이들의 접촉면이 서로 떨어지면, 스프링(70)(제6도 참조)은 곧 셔터 커버(55,56)를 닫히게 하여 이미 감광된 필름 마스크(52)는 주위의 빛으로부터 보호된다. 암실에서, 제2하우징(4)의 커버(19)를 얻고 필름(52)를 꺼내어 현상하고 정착시킨다. 이것은 건조되어 다시 마스크위치고정수단(53,54)위에 놓인다. 판(22)을 이 커버프레임(19)에서 빼내고 매거진(3)을 홈(21)에 결합시킨다.(제1 및 제3도 참조). 매거진(3)이 결합된 커버(19)가 닫히고, 매거진(3)에 있는 필름(24)의 면이 필름 마스크(52)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제2하우징(4)과 매거진(3)의 결합체가 삼각대(도시되지 않음)위에 아직도 조정된 위치 그대로 있는 하우징(2)의 후미부(5)에 결합된다. 이것이 결합될때 제2하우징(4)의 셔터 커버(55,56)가 다시 열리고, 표면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필름(24)위의 필름 마스크(52)를 먼저 통과한 실체로부터의 광선에 의해서 필름(24)위에 사진이 촬영된다. 이런 방법으로 마스킹에 의해 색채가 자동적으로 수정된 영상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이것의 현상이 가능하고 또는 더많은 촬영이 가능하며 컨퍼메이션을 위한 것이든 또는 다른 사진의 재생을 위한 것이든 다른 필터들을 대물렌즈(10) 앞에 두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모든 작업이 실제로는 설명 과정보다 더욱 신속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장치는 설명보다 더욱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수정 마스크와 함께 천연색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특별 사용법의 설명은 그의 상대적인 단순성과 작업의 단순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선택되었던 것이다. 이 분야의 기술자는 색채 수정을 위해서는 흑백 마스크외에 다른 마스크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특별 효과를 위한 복수개의 마스크뿐만 아니라 탈색마스크도 있는데, 이들은 카메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특수한 마스크들은 예를 들면 사진위에 중첩될 원판을 갖는 투명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모든 마스크들은 본 발명의 카메라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자는 제2하우징(4)의 내부에 여러개의 마스크들을 겹쳐 놓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마스크위치고정수단(53,54)으로 하나의 색채 수정 마스크와 투명 원판 마스크 따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모든 마스크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특히 마스킹 작업이 수반된 일련의 사진들을 만드는데 유용하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보인 장치는 일정한 실체로부터 곧바로 색채를 분리하는데도 사용되는데, 이 분리는 적당한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장치의 대물렌즈(10)앞에 둘때는 필름 마스크를 인화한 후에야 얻을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보인 장치는 마스킹 작업과 더불어 색채 분리하여 또는 카메라 밖에서 인화된 투명 원판을 첨가하여 직접 바로 촬영될 수 있는 여러 대상물이 나타나 있는 천연색 카탈로그를 작성하는데도 사용된다.
바로 위에 기술한 여러가지 사용외에, 본 발명의 장치는 어떤 특성을 가지는 사진도 만들 수 있다. 실제로 조망장치(23)로 보는 것은 필름면에서, 정확히는 마스크와 필름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여러개의 마스크들이 제2하우징(4)에서 겹쳐 놓이더라도 항상 필름면에서, 즉 최종 마스크와 매거진(3)의 감기지 않은 필름(24)사이에서 조정된다. 또 필름 마스크(52)와 매거진(3)의 필름(24)을 제1도의 그것이든 또는 제3도의 그것이든 젤라틴층이 서로 상면하여 이 두 영상면이 거의 일체가 되도록 놓을 수 있다. 영상의 질을 완전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필름 마스크 또는 마스크들과 필름(24) 사이의 어떤 마찰도 완전히 피할 수 있는 필름(24) 이송장치를 고안했다. 따라서 필름 이송장치(제1도 및 제3도 참조)는 필름이 이송될때마다 마스크로부터 필름(24)이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필름 이송이 끝나면 필름은 자동적으로 마스크 또는 마스크쪽으로 원위치한다. 그리고 매거진(3)은 어느 때라도 검사 또는 조정을 위해 조망장치로 교체될 수 있다.
마스크 위치고정수단(53,54)이 있기 때문에 필름접촉면(51)과 필름 압착기(27) 및 마스크는 항상 고정되고 영상에 대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이 분야의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 제2하우징(4)의 돌출부(15)에 상응하는 후미부(5)의 홈(14)과 후미부(5)의 구멍(18)에 끼워지는 고정핀(17)이 있기 때문에, 하우징(2)에 대한 제2하우징(4)의 고정이 항상 자유롭다. 제2하우징(4)에 대한 마스크의 정확한 위치 고정 및 하우징(2)에 대한 중간 하우징의 정확한 위치 고정은 양질의 사진을 만드는데 중요하다. 이 사실을, 이미 만든 마스크가 다시 촬영할 수 있도록 광선속에 정확히 다시 놓이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집광렌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대물렌즈(10)을 통해 투영된 원판으로부터 사진을 만들 수 있도록, 공지된 장치는 광학작업때에 의해 지탱되어 있다는 것을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알 것이다. 상술한 본 장치는 조정이 필름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 또는 다른 두께의 여러 마스크들을 사용하여 대단히 정확하게 영상을 재현시킬 수 있게 한다. 또 필름 이송장치는 필름이송중에 어떤 필름 손상이나 결함을 피할수 있도록 마스크로부터 필름을 후퇴시킨다. 하우징(2)이 실체에 조정되면 다른 제조정이 필요없이 중간작업이 행해질 수 있도록 장치의 여러 부분이 정확히 조립되며, 모든 조정은 어느 때라도 다시 검사될 수 있다.
본 장치는 또 광학작업대 위에서 투명 원판을 재현하는 사진촬영, 색채분리 등을 하는데도 사용될수 있고, 원본 또는 다른 자료의 퇴색(fading)과 같은 특별 효과를 만드는데도 사용된다. 그러나 본 장치의 중요한 장점은 실체의 촬영중에 필름 마스크가 만들어지는 반면에, 종래의 장치는 촬영한 후 원판 필름에 근거하여 항상 암실에서 마스킹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사실이다.
물론 상술한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는 필름면 부근과 다른 위치에 놓일수 있다. 따라서 제2하우, (4)은 대물렌즈(10)와 필름면 사이의 어느 위치에도 놓일 수 있다. 하지만, 마스크가 필름면에 접근하여 있을수록 양질의 영상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제2하우징(4)은 하우징(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2하우징(4)이 분리되고 항상 전과 동일한 위치에 다시 놓이도록 제2하우징(4)의 고정장치가 하우징(2)에 마련되어야 한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제2의 실시예에서, 장치(71)는 제1실시예의 하우징(2)과 유사한 전방 하우징(72)과 마스크 고정장치(75)뿐만 아니라 필름 이송장치(74)까지 포함하는 매거진(7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72)은 삼각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구멍(6)을 저부에 갖는 후미부(5)와 원형 손잡이(9)의 작용으로 대물렌즈 지지대(8)가 그 위에서 변위 가능한 래크(7)로 구성된다. 지지대(8)는 조리개와 셔터를 갖는 대물렌즈(10)를 지탱하고 주름 상자(11)에 의해 후미부(5)에 연결되어 있다. 대물렌즈(10)는 거리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변위 가능하다. 래크(7)는 대물렌즈 지지대(8)가 래크(7)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래크의 전단부에 정지대(12)를 갖는다. 후미부(5)에는 그 저부에 매거진(73)의 상응하는 돌출부(15)가 삽입되는 홈(14)이 마련되어 있고, 이 매거진은 후미부(5)의 상부에 있는 홈(77)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76)에 의해 후미부(5)에 결합된다. 매거진(73)은 후크(78)에 의해 후미부(5)에 부착된다. 또 후미부(5)는 돌출장치(75)를 갖는다.
이 마스크 고정장치(75)는 프레임(80)을 포함하고,이 프레임(80)의 내부에는 제1도 내지 제7도의 실시예에 있는 제2하우징(4)의 셔터커버(55,56)와 유사한 두개의 셔터윙(81,82)이 있다. 이 셔터윙(81,82)의 개방 및 폐쇄는 전 실시에와 동일한 방법으로 셔터봉(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작된다.
프레임(80)은 축(83) 주위로 회전이 가능하고 이 프레임의 후미부는 중앙에서 스프링(86)에 의해 지지된 필름 압착기(85)를 갖는 커버(84)에 의해 닫혀 있다. 프레임(80)은 두 개의 고정핀(89)위에 끼워지는 마스크(88)가 놓일 수 있는 지탱면 또는 접촉면을 갖는다. 매거진(73)의 다른축, 즉 축(83)의 반대편에는 필름 이송장치가 회전축(90)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이 필름 이송장치는 프레임(91)을 포함하며, 이 프레임(91)은 필름 공급 리일(92)과 안내 로울러(93)와 스프링(95)에 의해 이 프레임(91)에 장착되는 필름 압착기(94)와 제2안내 로울러(96) 그리고 필름 수용리일(97)을 가지며, 이 수용리일(97)의 회전축은 장치(74)의 회전축과 상응관계에 있다. 따라서 필름(98)은 공급리일(92)로부터 풀려나와 안내 로울러(96)를 돌아 필름압착기(94)에 가고 다시 안내 로울러(96)를 돌아 수용리일(97)에 감긴다. 필름 이송 제어장치는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장치는 핸들 또는 모우터에 의해 움직이는 어떤 종래의 장치이어도 된다. 필름 이송장치(74)의 회전은 한단부가 위치(100)에서 프레임(91)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가 제어 휘일(102)에 고정된 봉(99)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 봉은 마스크 고정장치(75)의 커버(84)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핀(103)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후크(106)로 하우징의 케이싱(105)에 고정된 스프링(104)의 작용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매거진(73)의 케이싱(105)은, 필름 이송 장치(74)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축(108)주위로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한다. 또 매거진(107)은 그 내부에 매거진(73)이 하우징(73)의 후미부(5)로부터 분리될때 마스크 고정장치(75)를 제자리에 유지하게 하는 안전핀(109)을 갖는다.
제9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 이 제2실시에의 작동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장치의 하우징(72)이 동시적인 마스킹과 함께 촬영될 실체에 향해지도록 한다. 매거진(73)이 하우징(72)의 후미부(5)로부터 분리되고 이 하우징(72)은 제자리에 남으며, 매거진(73)은 암실에 옮겨져 그곳에서 프레임(80)이 상방으로 선회하도록 안전핀(109)이 열려진다. 이 때 마스크(88)가 고정핀(89)에 끼여지고, 레임(80)이 하향커버(84)으로 선회하게 되어, 이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면 안전핀(109)은 정확하게 다시 닫힌다. 이때 마스크 고정장치(75)는 제8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된다. 윙(81,82)이 닫히고 매거진(73)은 일광에 노출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것은 하우징(72)의 후미부(5)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거진의 고정되면 셔터 윙(81,82)은 자동적으로 열린다. 그래서 마스크가 감광된다. 다시 매거진(73)은 후미부(5)로부터 분리되어 암실로 옮겨져서 마스크가 현상되고 전술한 방법으로 다시 제위치에 놓인다. 이때에 매거진(73)은 전술한 방법으로 다시 후미부(5)에 결합되고, 휘일(102)을 제10도의 위치까지 되도록 반바퀴 회전시킨다. 이 휘일이 제9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10도에 도시한 위치로 될 때 고정핀(103)은 스프링(104)의 작용하에 있던 커버(84)를 개방시켜, 이것을 제10도에 도시한 위치로 상향 선회 시키게 한다. 이와 동시에, 봉(99)도 상향으로 끌려가서 필름 이송장치(74)를 이동시키는데, 이때 이 필름 이송장치는 축(90)(제8도)에서 회전하여 마스크 고정장치에 접촉하게 되어서 마침내 필름(98)은 필름 압착기(85)에 의해 마스크(88)쪽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밀착된 접촉으로부터 필름 이동을 자유롭게 하여 마스크(88)와 이동필름(98)사이의 어떤 마찰도 피할 수 있도록 두 연속된 촬영 사이에 장치(74)가 제9도에 보인 위치로 선회하기 때문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사진을 마스크(88)를 통해 촬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거진(73)은 암실로 옮기기 위해 분리되고, 하우징(105)의 케이싱부(107)는 현상을 위해 필름을 꺼낼 수 있도록 이대로 열리게 된다.
제1도 내지 제7도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술한 제2실시에도 나타낸 모든 형태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이 마스크들은 어떤 두께의 것도 좋으며, 일반적으로 몇 개의 마스크가 겹쳐 놓일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서 조망장치(도시되지 않음)는 하우징(72)에 놓이는 것으로서 별개의 독립한 장치이다. 제8도 내지 제10도의 실시예에도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내에서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명확하다. 예를 들어 이 장치를 간단하게 하기를 원하면 하우징(72)과 매거진(73)은 한개의 부재 또는 한 개의 결합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마스크 고정 장치가 출입할 수 있는 상부 구멍이 하우징(72)에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또 매거진(73)에 마스크 고정장치(75)를 수용하는 내실을 마련함으로써 이 매거진(73)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 장치의 독창성과 그 실시예와 변형은 상술한 변형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이 원판의 영상화 중에 마스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그 기초를 두고 있으며, 이 마스킹 작업은 지금까지 특별실험실에서 수행된 것과 같이 복잡할 수도 있다.

Claims (1)

  1. 대물렌즈(10)를 포함하며 필름접촉면(51)에서 노출된 필름(24)과 필름접촉면(51)에 대물렌즈(10)를 통과하는 광선 통로를 한정하는 하우징(2)를 갖는 공지의 사진 촬영장치에 있어서, 하우징(2)에 별도로 부착할 수 있으며 역시 필름접촉면(51)에 광선통로를 갖는 제2하우징(4)를 가지며, 하우징(2)은 대물렌즈(10)와 제2하우징(4)을 가짐으로써 대물렌즈(10)와 필름접촉면(51)사이를 연통하기 위한 광선통로를 한정하고, 제2하우징(4)이 필름접촉면(51)내에 마스크(5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마스크 위치 고정수단(53,54)과 마스크 앞에 위치한 셔터 커버(55,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 장치.
KR1019790001233A 1979-04-18 1979-04-18 사진 촬영장치 KR83000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233A KR830000469B1 (ko) 1979-04-18 1979-04-18 사진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233A KR830000469B1 (ko) 1979-04-18 1979-04-18 사진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69B1 true KR830000469B1 (ko) 1983-03-09

Family

ID=1921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233A KR830000469B1 (ko) 1979-04-18 1979-04-18 사진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46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6467A (en) Compact photographic camera
EP0437065B1 (en) A method and a camera for combination pictures in a photograph
US5546146A (en) Single use camera film pre-exposure method
JP3152493B2 (ja) フィルムに情報の潜像を与える方法及びフィルムに情報を重ね焼き付けする装置
US4342510A (en) Apparatus for making photographic pictures
GB2202056A (en) Camera-film package
US4184763A (en) Slide printing device
US4757353A (en) Apparatus for setting regions to be trimmed on an original picture in a photographic printer
US3984849A (en) Photographic color separation equipment
KR830000469B1 (ko) 사진 촬영장치
JPH11183964A (ja) プレ露光方法及び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4249812A (en) Double format still camera
US426300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cally making positive pictures
GB2032122A (en) Camera
JP3165303B2 (ja) カメラの露光画面切替え装置
US4260247A (en) Instant print slide projector
JP3169811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4328537A (ja) カメラ
US3263585A (en) Photographic film apparatus
JPH0613858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RE31918E (en) Photographic color separation equipment
KR790001816B1 (ko)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의 색분리용 사진기
JPH0614224Y2 (ja) 写真撮影装置
KR910005876B1 (ko) 원 쉬이트 필름(one sheet film)
JP2868661B2 (ja) カメ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