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816B1 -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의 색분리용 사진기 - Google Patents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의 색분리용 사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816B1
KR790001816B1 KR7403435A KR740003435A KR790001816B1 KR 790001816 B1 KR790001816 B1 KR 790001816B1 KR 7403435 A KR7403435 A KR 7403435A KR 740003435 A KR740003435 A KR 740003435A KR 790001816 B1 KR790001816 B1 KR 790001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ask
conveying member
dispose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망 앙리 쥘로옴 에밀
Original Assignee
히쯔 마아틴
젤라코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쯔 마아틴, 젤라코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히쯔 마아틴
Priority to KR740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의 색분리용 사진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여러가지 부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필름 급송기구의 사시도.
제 3 도는 급송기구의 작동부재의 분해도.
제 4 도는 제 2 도 급송기구의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홀딩 부재의 평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화살표의 B의 방향에서 본 홀딩 부재의 평면도.
제 7도는 흑백 필름상에 녹화하는 사진기 중 적당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8 도는 대물렌즈와 필터를 반송하는 2개의 원반, 여러개의 조리개 개구 및 원반 제어용 모우터를 갖는 제 7 도의 사진기의 부분 확대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화살표 C의 방향에서 본 원반 중 1개를 제어하는 기구도.
제 10도는 제 7 도의 화살표 D의 방향에서 본 마스크를 반송하는 셔터 장치의 평면도.
제 11도는 두개의 유리판 사이에 높여 플래시 전구에 의해 조사된 투명화를 녹화하기 위한 제 7 도 내지 제 10 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장치의 적당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임.
본 발명은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를 녹화(recording) 하기 위한 사진기에 관한 것이다.
투명한 칼러필름의 사진 녹화를 행하기 위해, 소형 탁상 영사기로부터 큰 방의 면적을 차지하는 큰 시설에 이르는 다수의 장치를 사용해 왔으나, 이들 장치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점을 갖는다.
첫째로, 이 장치는 암실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둘째로, 녹화를 하기 위한 모든 설비를 기사가 수동으로 조작해야 함으로 상당한 시간이 소모된다.
세째로, 색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의 선택을 기사의 기분이나 또는 임의적인 판단에 의해 행하고 또한 노출시간도 이와 같이하며, 이들 필터와 필름을 적당한 위치에 놓는 것을 기사가 암실에서 수동으로 행하는 것이 어렵다.
네째로, 질적으로 극히 양호하게 분리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경험이나 시간이 소요되므로 사진 녹화 비용이 비싼 점 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햇빛 속의 테이블 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수동 녹화조작이 불필요하며, 필터의 위치선정, 노출시간의 조정 및 각각의 분리 후에 필름의 급송(給送)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사진 녹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권출 필름감개(feed spool)로부터 권취필름감개(take-up spool) 로 되감기는 필름용 급송기구에 의해 특정지어 지는데, 이 기구는 권출 필름감개와 권취필름감개 사이에 이송부재를 가지며, 이것은 정지 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필름의 급송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변위(displacement) 배열되며, 정지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변위 도중 필름은 권출필름감개로부터 되감겨지며, 필름의 일부분을 장치의 광선축에 수직방향으로 노출시키며, 그리하여 필름을 일정한 장력하에서 되감으며, 전기한 필름의 일부분을 전기한 이송부재에 의해 지지면으로 지탱해주며, 전기 필름과 전기 지지면을 서로 움직이지 않게 한다.
전기 장치의 적당한 실시예에 의해, 급송 로울러를 권출필름 감개와 전기 이송부재 사이에 배열시키는 한편 수납 로울러(receiving roller)를 이송장치와 권취필름감개 사이에 배열시키고, 전기 급송로울러와 수납로울러는 필름 스트립(film strip)의 양변에 뚫려진 구멍과 맞물리는 한 쌍의 치차(齒車)를 가지며, 전술한 치차쌍은 함께 연결되어 반대방향으로 약한 상대적 회전을 하도록 한다.
급송로울러는 그의 구동축과 필름의 양변에 뚫려진 구멍과 맞물리는 치차 사이에 설치된 마찰 클러치(friction clutch)를 가지며, 이 급송로울러의 구동축은 필름이 되감기는 속도보다 약간 낮은 속도로 작동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 필름은 이 필름과 지지면 사이에서 상대적인 이동 없이 지지면에 되감기므로써 필름의 감도면의 저하를 피하게 된다.
한편, 로울러의 치차가 몇도 각도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마찰 클러치에 의해 필름의 양측에 적용되는 장력을 일정하게 그리고 동일하게 해 줌으로써 필름의 양측 구멍과 관련하여 녹화시에 분리를 정확하게 해 줄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은 사전에 어떤 특별한 주의 없이도 정확하게 이중 인화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은 칼러 투명화나 또는 칼러 원판으로부터 흑백 필름상에 사진으로 나타나는 색 분리용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적당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제 1 도는 흑백(모노크로마틱) 필름상에 선택적 인화를 하는 녹화장치의 부품 분해도로서 여기에는 하우징(hoseing)(1)이 있는데 이 하우징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동제어장치가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여러가지 스템의 조작 순서를 제어하기 위해 장설되어 있다. 하우징(1)은 여러가지의 소기의 작동단계를 제어하기 위해 배열된 키이보오드(keyboard)(2)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에는 또한 도면 2 내지 6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될 필름밴드 급송기구(3)이 있다.
이 장치는 또한 대물렌즈-호울더(6)을 운반하는 종방향의 홈을 갖는 단단한 지지형의 스탠드(4)와 카메라(5)의 전면(대물렌즈)가 있다. 전기 대물렌즈-호울더(6)는 칼러코렉션 스크리인(colcr correction)을 넣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칼러 코렉션 스크리인은 피사체(밀착인화)로부터 얻은 흑백 음화형태로 사진적으로 얻어진 마스크이다. 이것은 필사(筆寫)기술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므로 그의 응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겠다. 이것은 프레임(frame)(7)을 갖는데 여기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다이아포지티브(diapositve)(8)이 한쪽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칼러 분리 스크리인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7)은 모우터(10)에 의해 작동되는 축(11)상에 설치된다. 모우터(10)가 시동될 때에 프레임(7)이 회전되어 다이아포지티브(8)스크리인(9)이 연속해서 카메라를 통과하는 광속에 오게 한다. 모우터를 정지시키고 모우터의 회전방향을 역동시키기 위해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말단 스위치를 설치했다. 필요에 따라, 재상하고자 하는 투명한 원판(12)을 카메라에 두기 위해 투명한 원판 지지대를 대물렌즈-호울더(6)대신에 스탠드(4) 위에 설치한다.
스탠드(4) 위에 활판으로 장설된 카메라의 전면(5a)에는 조리개를 갖는 적당한 광학장치(13)이 있다. 이 전면 부분(5a)에 필터 배치기구(14)를 장설하는데 여기에는 여러가지의 색 분리 필터(15)가 고정된 2개의 원반이 있다. 이들 원반은 최소한도 적색, 녹색 또는 청색 필터와 한개의 조준구(sighting hole)가 있다. 이들 필터의 광학적 특성은 이 기술계통의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것이며 색 분리를 하기 위해 필요한 필터는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전술한 장치에 설치된 필터로서 예를들면 "KODAK(상표)" 젤라틴 필터가 있다. 양질의 조작을 위해 이 원반은 또한 마스크의 노출용 마젠타(magenta) 필터 및/ 또는 올리브-그린 필터를 갖는데, 이 마스크는 카세트 내에 놓여 노출시키고자 하는 필름의 전면에 놓이게 되며 이것은 다음에 더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필름상에 영상을 만드는 광선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이한 농도의 회색 필터를 첨부할 수도 있다. 카메라를 통과하는 광선 중에 놓이게 될 필터의 형태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소기의 필터링(fitering)을 얻을 수가 있다.
광학 장치(13)과 필터배치기구(14) 사이의 거리는 조정장치(16)에 의해 조절된다. 카메라의 전면(5a)와 후면(5b) 사이에 주름통(5c)을 설치한다. 카메라의 후면(5b)에는 제 1 도에 상세히 도면으로 나타낸 뷰파인더(viewfinder)(17)와 접안구경(18), 반사경(19) 및 젖빛 유리의 플레이트(20)이 있다.
챔버(21)를 뷰파인더(17)에 인접 배열시켜, 제 1 도에서 참조번호(22)로 상세하게 표시한 셔터 장치를 받게 한다.
밀폐장치(22)는 젖빛 유리와 접하는 쪽에 마스크(24)를 받기 위한 베어링 표면(23)을 갖는다. 이 베어링 표면(23) 위에 세트핀(25)을 설치하여 베어링 표면(23)의 세트핀(25)에 상응하는 구공(24a)을 갖는 마스크(24)의 위치 선정을 정확하게 해 준다.
마스크(24)를 만들 때에, 스틸 비노출감광재로 되는 마스크재료를 베어링 표면(23)과 카버 플레이트(26) 사이에 놓고 마스크용 재료를 갖는 셔터장치(22)와 카버 플레이트(26)를 챔버(21)로 도입시킨다. 카메라(5)에 의해 마스크의 감광재를 노출시킨 후에, 이 물질을 장치(22)로 부터 제거하여 현상했다. 이 마스크(24)는 코닥, 아그파(AGFA), 게베어트(GEVAERT), 듀폰 디 네모아 등의 전문회사에 의해 특별히 고안된 필름 마스크재로 만든다. 이 마스크는 흑백필름(마스킹 조작)에 의해 여러가지 파장의 흡수에 있어서 변화를 교정해 준다.
그 다음에 현상된 마스크를 베어링 표면(23)의 뒤에 놓으며, 세트핀(25)는 마스크(24)의 위치선정을 정확히 해 준다. 베어링 표면(23)의 반대방향인 마스크(24)의 한쪽에 U자형 프레임(27)을 설치하여, 이 프레임을 이미 사용한 카버 플레이트(26)과 대치한다. 마스크(24)를 이와 같이하여 베어링 표면(23)과 U자형 프레임(26) 사이에 유지시킨다.
색 분리를 하기 위해, 셔터장치, 마스크(24) 및 프레임(27)을 단일 유니트로서 챔버(21)내에 삽입시킨다.
확대도로 표시한 제 2 도와 제 1 도에서 참조번호(3)으로 표시한 급송기구에서 양변이 천공된 필름 밴드(28)는 권출필름감개(29)로부터 플러져 첫째번 필름급송로울러(30), 이송부재(31), 둘째번 필름이송 로울러(32)를 거쳐 제 2 도에는 표시하지 않은 권취필름감개 끝에 걸린다(제 4 도 참조).
2개의 필름 급송로울러(30)과 (32)는 동일한 방법으로 배열되며, 이들 각각은 한쌍의 치차(34), (35) 및 (36), (37)을 각각 갖으며, 이 톱니들은 필름(28)의 양변의 구멍과 맞물리게 된다. 급송로울러(30)과 (32)는 각각의 치차를 축(38) 및 (39)에 각각 설치하여 이 축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회전시킨다.
각 쌍의 치차(34), (35) 및 (36), (37)을 각각 접속부재(40)(제 3 도 참조)에 의해 서로 연결시킨다. 접속부재(40)는 치차(34) 및 (35) 사이에서 약한 리시이브 흔들운동을 시키는 핀(40a)을 거쳐 마찰클러치(41)에 스스로 연결된다. 클러치(41)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축(38)과 마찰 접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치차(36)과 (37)도 치차(34) 및 (35)의 부재와 유사한 접촉 부재(40)를 가지며, 이 부재는 마찬가지로 치차(36) 및 (37)의 약한 역적 흔들운동을 시키는 핀(40b) 을 통해 치차(36) 및 (37)의 축에 직접핀으로 고정되지만, 축상에서 마찰슬라이등은 없다. 치차(36) 및 (37) 접속용 배치기구는 제 3 도에서만 나타냈다.
축(38)과 치차(34), (35) 사이의 작동 연결은 필름(28)이 너무 길게 잡아당겨지는 순간에 마찰클러치(41)에 의해 차단되어 필름(28)의 저하나 균열을 피하게 된다. 두개의 치차(34), (35) 및 (36), (37) 각각을 축 (38) 및 (39)상에 임의로 설치하고 추축(40a) 주위를 피보팅하는 접속부재(40)을 갖게 함으로써, 치차들은 일정한 각도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두개의 치차들은 필름의 양측에서 동일한 장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필름 제작시의 과오를 보정(compensate)할 수 있다.
이송 부재(31)은 서로 일정한 거리로 평행하는 직립랙(42)와 (43)을 갖는데, 이 랙은 필름(28)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필름이 통과하는 원주형 로울러(44)에 의해 이들의 상단(上端)이 연결된다.
직립랙(42)와 (43) 사이에 필름 압축용 플레이트(45)를 배치하는데, 이것은 횡단 바(transverse bar)(46)에 연결되며, 이 바(46)의 양끝은 레버(47)(단일레버를 제 2 도에 나타냈음)에 스스로 연결된다. 각각의 레버(47)의 하단부를 각각 상응하는 직립랙(42)와 (43)에 회전식으로 설치하여 직립랙(42), (43)내에 있는 홈(49)을 통해 연장되는 핀(48)을 그의 상단에서 운송하게 한다. 챔버(21)(제 1 도참조)의 벽은 제 2 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캠(cam)(50)을 운반한다. 이 캠은 핀(48) 상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운송 부재(31)이 위쪽 위치에 오는 즉시 각각의 핀(48)은 상응하는 캠(50)의 경사진 베어링 표면과 접촉하게 되며 플레이트(45)를 갖는 레버(47)는 반드시 노출시켜야만 하는 필름(28)의 일부분을 밀어내어 이 부분은 마스크(24)( 제 1 도 참조)에 밀착시킨다. 도시하지 않은 변형물에 의해, 필름(28)을 마스크(24)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 필름을 플레이트(45)로 압축하는 레버(47)는 필름상에 압력을 주는 단일 스프링에 의해 대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필름(28)은 마스크(24)에 인접한 랙 이송부재(31)에 의해 풀려진 필름(28)의 감도측과 마스크(24) 사이에서 마찰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전술한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중요한 이점이며, 이중에서도 단일 스프링에 의해 필름(28)을 마스크 (24)에 밀착시키는 것이 이점이다.
필름 급송로울러(30) 및 (32)와 이송부재(31)용 급송기구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표시되어 있으며, 제 3 도는 제 2 도에 표시한 필름송기구의 평면도이다.
축(38) 상에 두개의 치차(51) 및 (52)을 직립랙(42) 및 (43)과 각각 맞물리도록 고정시키며 마찬가지로 다른 치차(53)를 축(54) 위에 회전식으로 설치된 치차(55)와 맞물리게 한다.
치차(55)는 축(54) 위에 회전식으로 장설된 다른 치차(56)과 연결되며, 치차(56)는 축(38)위에 임의로 설치되어 있으며, 축(38)위에 또한 임의로 설치된 치차(58)가 연결된 치차(57)과 맞물리게 된다. 구동요소(59)는 이 치차(58)과 구동 모우터(60)의 축(60a)를 연결한다.
축(38) 위의 제 2 도에 표시하지 않은 회전식으로 설치한 다른 치차는 중간 치차(62)(제 2 도에 또한 표시하지 않았음)와 맞물리게 되며, 이 중간 치차(62)는 축(39)위에 임의로 설치되어 후자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작동하는 치차(63)과 맞물리게 된다. 치차(63)과 축(69) 사이에 래칫 휘일(64)를 축과 단단히 배열시키며 포올(pawl)(64a)을 핀(64b)에 의해 치차(63)에 고정시킨다.
치차(61)는 축(54) 위에 장설되어 있으며, 스위치(66)를 제어하는 레버(65)를 가지며, 이것을 통해 모우터(60)의 스위치를 끄며, 이것을 통해 전기 모우터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킨다.
제 4 도는 구동장치를 도시하지 않은 급송기구(3)의 측면도이다.
제 5 도 및 제 6 도에서, 필름 보유 부재는 제 4 도에서 각각 화살표 A 및 B 방향에서 본 평면도로 나타냈다.
이송부재(31)의 저부(정지위치)는 제 4 도에서 점선으로 그리고 정부(작동위치)는 실선으로 나타냈다.
급송필름감개(29)의 측면에 바퀴(67)이 있으며, 그 위로 장력 부재(68)가 연장되며 이것의 일단은 장력 스프링(69)에 연결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하우징(1)의 고정점에 연결된다.
필름(28)은 권취필름감개(29)에서 풀려져 가이드 로울러(70), 첫째번 급송로울러(30)의 치차 위를 통과하여 이송부재(31)의 원주형 로울러(44)를 거처, 필름 압착판(45)을 따라 둘째번 운송로울러(32)의 치차위를 통과하여 권취필름감개(33)에 도달하게 된다.
둘째번 이송로울러(32) 앞에서, 필름(28)의 변위 방향으로 필름보유부재(71)을 설치하는데, 여기에는 그의 축(73) 주위를 회전하는 원주체(72)가 있다. 장력 스프링(74)을 전기 원주체(72)에 편심으로 고정한다.
이 원주체(72)상에 플레이트(76)를 나사(75)(제 5 도 및 6 도 참조)에 의해 장설하며, 이 플레이트(76)에는 필름 양측의 구동에 들어오는 2개의 핑거(fingers)(76a) 및 (76b)가 있다. 플레이트(76)는 나사(75)의 축 주위를 약하게 피보트 할 수 있도록 장설한다. 이 피보팅 운동은 핑거(76a) 및 (76b)를 필름(28) 양측의 구공들이 비록 종방향으로 옮겨지드라도 필름 양측의 구공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플레이트(76)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보디(72)는 플레이트(76)(제 5 도 및 6- 참조)의 구공(78)을 통해 연장되는 핀(77)을 갖는다.
보디(72)와 스프링(74)를 거치는 플레이트(74)에 모멘트(moment)를 사용하는데, 이 모멘트는 핑거(76a) 및 (76b) 를 양측에 구공이 뚫린 필름(28)에 밀착시킨다.
필름(28) 급송용 기구의 작동형식은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마스크(24)를 노출시켜 현상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밀폐장치와 프레임(27)이 설치된 카메라 챔버(21)에 다시 넣는다. 이송 부재(31)는 저부 위치에 있게 되며 이것은 하우징(1)의 내부에 완전히 들어가게 된다. 하우징(1) 내의 이송부재(31)용 출구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카버로 밀폐시키는데 여기서 광선은 하우징(1)의 내부로 관통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 장치는 종래 장치의 경우에서와 같이 암실에서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필름(28)을 전진시키기 위해 모우터(60)을 구동요소(59), 바퀴(58) 및 이 바퀴(58)과 관련된 치차(57)를 통해 작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밀폐카버를 열어준다. 치차(57)는 2개의 치차(55) 및 (56)를 거쳐 작동하여 축(38) 위에 고정된 치차(53)을 회전시킨다. 치차(51) 및 (52)와 치차(34) 및 (35)는 축(38)로 회전한다.
치차(51) 및 (52)가 회전을 시작할 때에, 이들은 직립랙(42) 및 (43)을 작동시켜 이송부재(31)를 높은 위치에 오도록 한다.
필름 밴드(28)는 필름보유부재(71) 내에 두며, 첫째번 급송로울러(30)를 거쳐 권출필름감개(29)로 부터 풀려져 이송부재(31)에 의해 마스크(24)에 압축된다.
치차(51) 및 (52)의 직경은 축(38)에 의해 작동되며 필름(28)을 권출필름감개(29)로 풀리게 하는 치차(34) 및 (35)의 직경 절반보다 약간 길다. 이와같이 하여 이송부재(31)는 치차(34) 및 (35)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원주형 로울러(44)를 거쳐 필름(28)을 되감아 이 필름을 급송로울러(30)과 필름보유부재(71)사이에 약하게 신장시킨다.
만약 생성되는 장력이 너무 커지면, 마찰클러치(41)은 상술한 바와같이 작동하게 되며, 이것은 축(38)과 치차(34) 및 (35) 사이의 마찰부재(41)에 의해 설치된 직접 접속기구의 단절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전기부재(41)는 축(38) 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필름(28)을 되감는 도중 권출필름감개(29)는 화살표 C방향(제 4 도 참조)으로 회전한다. 바퀴(67)에 의해 작동되는 장력부재(68)는 스프링(69)을 신장시켜 준다. 이송부재(31)를 그의 상부가 프레임(27)의 쇼울더(shoulder) 사이에 이르도록 변위시킬때에, 노출시키고자 하는 필름의 일부분을 마스크(24)를 따라 배치한다. 이송부재가 그의 높은 위치로 올라갈 때에 필름(28)과 마스크(24) 사이에는 마찰이 없게 되는데 그 이유는 필름이 권출필름감개(29)로부터 원주형 로울러(44)를 거쳐 마스크(24)에 되감김으로서 필름의 감도층의 상해를 피할수 있다. 한편 로울러(44)가 필름을 마스크(24)에 되감아줌으로써 필름과 마스크 사이 에어포켓(air pocket)의 형성을 피해주며, 이것은 서로 밀접하게 사용된다.
이송부재(31)가 그의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 노출시켜야 하는 필름부분을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45)에 의해 마스크(24)에 밀착시킨다. 이송부재(31)가 권출필름감개(29)로부터 필름(28)을 치차(34) 및 (35)에 의해 필름에 전달되는 되감기의 속도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마스크에 감을 때에 원주형 로울러(44)와 치차(34) 및 (35) 사이에 있는 전기 필름에 장력을 작용시킨다. 치차들은 두개의 바퀴를 연결하며, 마찰부재(41)상에 주축으로 정설된 접속부재(40)에 응답하여 반대방향으로 적은 각도로 피보트 될 수 있으므로 필름에 이용되는 장력은 비록 필름 양측의 구공이 종방향의 홈에 있거나 또는 필름이 원주형 로울러에 의해 비스듬히 되감겨졌드라도, 필름의 양측에서 동일하게 될 것이다. 모든 경우에, 필름을 되감는 도중 필름 한쪽의 불균형은 두개의 치차(34) 및 (35)를 함께 접속시키는 주축 접속부재(40)에 의해 보정될 것이다.
이송부재가 그의 높은 위치 또는 작동위치에 도달할 때에 그것은 차단되며 마찬가지로 축(38)은 이것과 함께 차단된다. 한편 모우터(60)가 작동되어 두개의 치차(55) 및 (56)을 작동시킨다. 치차(53)는 여전히 차단되어 있으므로 치차(55)는 이 차단된 치차(53) 위에서, 회전되어 축(54)를 회전시킨다. 치차(54)는 차례로 레버(65)를 작동시키며, 이것은 치차(61)를 회전시킨다. 만약 치차(61)가 회전된다면 치차(62)와 (64)가 또한 회전할 것이다. 한편 래칫 휘일(64)는 치차(63)의 회전운동을 축(39)에 전달하는 것을 막아준다.
레버(65)는 스위치(66)과 접촉하자마자 작동하며, 모우터 (60)는 정지되어 다음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해 전환된다.
다이아포지티브(8) 또는 원판(12)는 적당한 필터들을 선택한 후에 마스크를 통해 사진기에 의해 녹화될 것이다.
대개의 경우에 적색, 청색 및 녹색 필터를 통해 3개의 색깔의 선택과 한개의 흑색 분리를 행할 수 있다. 이들 네개의 색분리는 다이아포지티브(8)를 통해 행할 수 있고, 음화 마스크(24)는 챔버(21)에 놓이게 된다. 만약 다이아포지티브의 질이 나쁘다면 색교정 마스크(9)를 사용해야 하며, 각각의 분리는 다이아포지티브를 도시하지 않은 플래쉬 전구 뒤쪽으로부터 조사한 뒤 프레임(7)을 피보트시킨 후에 전기한 플래쉬 전구 뒤쪽에서 또한 색교정 마스크를 조사한 뒤 분리용 필름의 같은 지점에 조사시켜 행한다. 변형방법은 만약 카메라 내의 광선 통로에 교대로 배치되는 색교정 마스크와 다이아포지티브의 장치를 배치하지 않으면 챔버(21) 내의 장치(22)에 향해서 설치될 색교정 마스크가 될 것이다. 이 경우에 마스크 없이 네건의 분리 (적색, 청색, 녹색 및 흑색)을 행할 수 있으며, 색교정 마스크로 또 네개의 분리를 행할 수 있다. 망판화(half-tone) 재생시에 투영기중에서 분리를 이중 인화할 수 있다. 저질의 다이아포지티브로부터 양호한 분리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상세한 조작은 여기에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사진관 내에서 행하는 제반 조작은 제 1 도 내지 6 도에 기술한 장치와 다음에 기술하게 될 적당한 실시예로 행해질 수 있다.
선택을 행한 후에 모우터(60)를 한번 더 작동시켜 상술한 바와같이 반대방향으로 축(38)을 작동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수송부재(31)를 그의 정부 위치 또는 작동위치로부터 그의 저부 위치 또는 정지위치로 전위시키고 필름감개를 화살표 D 방향(제 4 도 참조)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작동시켜 필름을 급송로울러(30)에 의해 권출필름감개(29)에 보내어 필름을 권출필름감개(29)에 다시 감게한다. 이와같이 하여 필름(28)의 노출부분을 필름과 전기 마스크(24) 사이에서 마찰없이 마스크(24)로부터 제거한다.
이송부재(31)가 그의 저부위치 또는 정지위치에 도달할 때에, 축(38)과 치차(52)를 한번 더 차단시킨다. 모우터(60)를 계속 작동시켜 치차(55)를 레버(65)의 운동을 촉진시키며 치차(61), (62) 및 (63)을 회전시키는 치차(53) 위에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1)의 밀폐 카버를 덮어 준다.
치차(63)이 회전되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축(39)와 치차(36) 및 (37)을 래칫휘일(64)에 의해 회전시킨다. 권출필름감개(29)상에 다시 감겨진 전술한 필름부분을 전기 필름감개(29)로부터 회수하여 권취필름감개(33) 위에 감아준다. 스위치(66)는 레버(65)에 의해 제어되며 모우터(60)는 정지되어 그의 회전방향을 전환된다.
만약 모우터(60)가 한번 더 작동되면, 필름(28)을 노출하지 않은 부분을 상기 마스크에 전달되어 새로운 조작 사이클이 개시될 것이다.
현상 후에 노출시킨 필름(28)이 전술한 장치의 것과 유사한 급공기구에 의해 작동되면 필름 양측의 구공에 의해 동일한 선택 영향에 해당되는 위치만이 정확하게 녹화될 것이다.
상술한 장치로 칼러선택을 얻기에 필요한 제반 조작을 간단하고도 실용적인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이들 조작은 인공 등이나 햇빛 속에서 행할 수 있으며 칼러 선택을 행하기 위해 암심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제 7 도 내지 11 도에 표시한 장치는 권출필름감개(82)용 매가진(magazine)(81)을 갖는 저부 하우징(80)이 설치되어 있다. 필름(83)은 권출필름감개(82)로부터 되감겨져, 개구(opening)를 거쳐 매가진(81)을 떠나 급송로울러(85) 밑으로 통과하여 원주형로울러(86) 위로 그 다음엔 수납 로울러(87) 밑으로 통과하여 개구(89)를 통해 매가진(88)을 관통해 권취필름감개(90)에 감기게 된다. 필름감개(82) 및 (90)을 갖는 매가진(81) 및 (88)은 각각 두개의 동심 실린더 (91), (92) 및 (93), (94)를 회전시키며, 내부 실린더(92) 및 (94)는 각 매가진의 외부 실린터(91) 및 (93) 내에서 회전되어 구경 (84) 및 (89)를 닫고 열게한다. 매가진(88) 위에 필름 카터(film cutter)(95)를 축(96)을 따라 활주하도록 배치한다. 분리를 행한후에, 필름을 절단하기 위해 필름카터(95)를 작동시키고 내부실린더(94)를 개구(89)를 닫기 위해 외부 실린더(9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매가진(88)으로 저부 하우징(80)에서 꺼낸다. 매가진(81)과 (88)의 홈(84) 및 (89)의 밀폐 운동의 제어는 전기 매가진의 단부 카버(end covers)에 의해 행한다. 이들 카버는 제 11 도에서 표시했는데 여기에서 카버가 인덱스로 표시한 3개의 위치를 선정한 것을 다시 표시했다. 한쪽 최단위치에서 홈(84)와 (89)가 각각 열리며, 중간 위치에서 이 홈은 닫히게 되고 다른 한쪽 최단 위치에서 매가진(81) 및 (88)이 각각 하우징(8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원주형 로울러(86)은 필름밴드(83)를 저부 하우징(80)위에 위치한 상측 하우징(100)내로 오게 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80)의 홈내에 직립재(uprights)(98)과 (99)를 활주하도록 갖는 랙의 정부에 회전식으로 설치한다. 두개의 직립재(98)과 (99) 사이에 베어링 플레이트(101)를 설치하는데 이것은 랙 운송 부재(97)에 고정된 스프링(102)의 작동에 의해, 전기 부재가 그의 작동 위치 또는 정부 위치에 있을 때에 필름을 하우징(100)의 베어링 표면에 밀착시킨다.
랙 운송부재(97)은 동일한 요소에 의해 제어되며 제 1 도 내지 6 도에서 표시한 부재(31)과 정확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된다. 한편 급송로울러(85)와 수납로울러(86)는 각각 제 1 도 내지 6 도에서 표시한 로울러(30) 및 (32)와 정확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된다. 이와같이 하여 로울러(85)와 (86)은 필름의 양측에 천설된 구멍속으로 관통하는 두 개의 치차를 가지며 장치내에 어떠한 필름의 위치에서든지 필름의 양측에 천설된 구멍에 의한 오차를 보정하고 정기 필름의 양측상에 동일한 장력을 주기 위해 반대방향으로 경미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추축으로 연결된다. 급송로울러(87)는 제 2 도 및 3 도의 로울러(30)와 관련된 마찰 클러치를 더 갖는다.
하우징(80)의 윗 부분에 카버(103)가 뒤쪽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표시했으며 이것은 카버(103)의 작동 중 뒤쪽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위쪽 하우징(100)에 장설된 프레임(104)에 접속된다. 프레임(104)의 변위는 이후에 더욱 설명될 것이다. 카버(103)이 열릴때에 랙부재(97)은 수직 방향으로 올라가 필름(83)을 노출 장치의 축으로 오게 한다.
프레임(104)은 하우징(100)의 양쪽에 배치된 홈이 형성된 바퀴(106)에 의해 안내되는 두 개의 레일(105)에 의해 위쪽 하우징(100)에 수평으로 미끄러지는 두 개의 안락 L자형 푸로필(profiles)을 갖는다. 전기 프레임(104)의 역행이동은 상지(arm)(109)를 거쳐 만곡부분(108)을 작동시키는 축(107)에 의해 제어되며, 전기 만곡부분(108)의 일단은 프레임(104)에 추축으로 장설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치의 모우터에 접속된 축(107)의 회전은 프레임(104)을 역행이동시키며, 전기 프레임(104)은 핀(110)에 의해 프레임(104)에 고정된 카버(103)을 역행운동으로 작동시킨다. 프레임(104)을 구성하며, 위쪽 하우징(100)의 두 개의 측벽에 인접한 두개의 L자형 푸로필은 스프링(114)에 의해 유지된 두 개의 핀(113)으로 보좌된 젖빛 유리(112)를 지지해 주는 프레임(111)을 운반한다. 프레임(104)은 반사경(116)을 갖는 두개의 측방직립재(115)를 지지하며 이것의 양측은 각이 진 분품(117)에 의해 45°로 기울어진 위치로 있게 하며 스프링(118)은 나사(119)에 의해 각각의 측방 직립제에 고정된다. 프레임(104)은 끝으로 제어 단추(123)과 (124)에 의해 따로따로 회전을 일으키는 두개의 동심봉(121) 및 (122)를 지지해 주는 측방직립재(120)를 갖는다. 외부봉(121)은 하우징(100)을 통해 링(125)로 통과하며, 여기서 직립재가 프레임(104)에 역행으로 이동할 때에 이것은 슬라이드 할 수 있다. 내부봉(122)는 상지(126)에 단단히 접속되며, 그의 끝에 둘째번 상지(127)를 추축으로 장설하여 광-전지(128)를 운반하게 한다. 외부봉(121)은 두개의 상지를 연결하는 피보트(131)위에 임의로 설치한 둘째번 치차(130)와 맞물리는 치차(129)와 일치하며, 이 둘째번 톱니자신은 상지(127)와 일치하는 세째번 치차(132)와 맞물리게 된다. 두개의 제어단추(123)및 (124)를 통해 셀(128)을 젖빛유리(112)의 전면에 변위할 수 있고, 전기셀을 젖빛 유리 표면의 어떤 점에 정지시켜 그 지점의 광도를 측정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젖빛 유리 위에 대안렌즈(133)을 설치하여 젖빛 유리 위에 형성시켜 반사경(116)에 의해 반사되는 영상을 보이게 한다. 사용자가 대안렌즈에서 셀(128)과 모든 제어부재(126) 내지 (132)를 본다는 것이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젖빛 유리상에 형성되는 영상의 초점 맞추기와 여러지점에서 광도의 조정 또는 광도와 관련된 장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축(107)이 프레임(104)를 역행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할 때에 전기 프레임에 고정된 모든 부재, 특히 젖빛 유리(112), 반사경(116), 상지(126) 및 (127)이 설치된 셀(128)의 제어봉(121), (122)가 필름(83)을 장치의 광선에 있도록 하게 하는 랙부재(97)가 상승하도록 프레임(104)과 역행으로 이동하는 것을 명백하게 볼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단은 힌지(hinge)(136)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된 카버(135)에 의해 밀폐된 챔버(134)를 갖는다. 이 카버(135)(제 10 도 참조)는 두개의 조정나사(137) 및 (138)을 갖는데, 이것은 프레임형태로 베어링 표면을 나타내는 셔터 장치(138)을 위치 선정해 주며, 랙부재(97)에 의해 베어링 표면에 되감긴 필름이나 또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두개의 위치 선정핀(114)에 의해 베어링 표면(140)에 고정된 음화마스크를 받게되며, 제 1 도에서 셔터장치는 참조번호(22), 베어링 표면은 참조번호(23), 그리고 마스크는 참조번호 (24)를 갖는다. 제 7 도 및 10 도에서 베어링 표면(140) 위에 사용하고자 하는 마스크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 셔터장치는 또한 두개의 수직 밀폐 셔터(142), (143)과 핀(145)에 의해 장치(139)에 추축으로 설치된 위쪽 핸들(144)을 갖는데, 이 핸들은장치(139)를 도입하여 챔버(134)에서 분리시킨다. 장치(139)의 윗 부분에 또한 핸들(144)의 핀(145)을 인접 배치하여 둘째번 핀(146)은 플레이트(147)을 지지해 주는데, 이 플레이트는 베어링 표면이 적소에 도시하지 않은 마스크(제 10 도 참조)를 지지하기 위해 위 선정된 (141)상에 설치한다.
제 7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장치(139)를 장치의 한쪽에 설치한 두개의 핑거(148)에 의해 챔버(134)내에 매달며, 이 두개의 핑거(148)은 윗쪽 하우징(100)의 양측 위에서 두개의 나사(151) 및 (152)에 의해 고정된 두개의 유연성 블레이드(Flexible blades)(150)의 노취(notches)(149)에 설치한다. 제 7 도에 단일 블레이드(150)를 나타냈다. 두개의 블레이드는 하우징(100)의 어느 한쪽에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블레이드(150)은 각각의 노취(149)내에서 핑거(148)를 받을 수 있다. 카버(135)를 닫을 때에 조정나사(137) 및 (138)(제 7 도 및 10 도 참조)의 두 끝을 셔터장치의 위면에 장설한 실린더(153) 및 (154) 위에 오게된다. 이와 같이 하여 나사(137) 및 (138)을 블레이드(150)를 작동시켜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장치(139)의 위치 선정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변위를 장치의 양측상에서 독자적으로 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 10 도에서 위쪽 하우징(100)의 한쪽에 설치된 세째번 조정 나사를 설치하여 이 하우징의 다른 한쪽에서 스프링(156)을 작동시켜 장치(139)의 측방위치선정을 행함을 이해할 수 있다. 나사(155)는 실린더(157)을 통해 장치(139) 내에서 작동되어지며, 한편 장치(139)의 다른쪽에서 보올(ball)(158)은 스프링(156)과 장치(139)에 고정된 실린더(159) 사이에 배치된다. 끝으로 장치(139)는 핑거(160)(제 7 도 참조) 상의 챔버 저부에서 정지하게 된다.
세개의 나사(137), (138) 및 (155)로 재생하려는 투명화로 부터 젖빛 유리(112)상에 형성된 영상에 상대적으로 위치선정을 하는 핀(141)으로 고정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마스크를 정확하게 위치 선정할 수 있다.
주름통(161)은 저부 하우징(80)에 고정된 랙레일(165)상에서 조정나사(164)에 의해 변위 배열된 대물렌즈-운반체(163)상에 장설된 대물렌즈(162)를 연결한다. 이 대물렌즈(162)는 필터용 원반과 제 8 도 및 9 도에서 표시한 조리개 개구용 원반을 갖는다.
대물렌즈를 통하는 단면과 원반 중 한개의 원반을 제어하는 기구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제 8 도 및 9 도에서 후면 지지판(166)은 주름통(161)이 사용되는 곳을 나타내며, 전면판(167)은 위쪽 거리조정렌즈(168)에 의해 동시에 지지된다. 이들의 하단에서 플레이트(166) 및 (167)은 지지대(163)에 고정된다. 플레이트(167)은 모우터(172)의 축에 고정된 편심기(176)에 접속된 구동봉(175)에 의해 두개의 원반(173) 및 (174)를 작동시키도록 배열시킨 모우터(171) 및 (172) 각각을 수납하기 위한 두개의 하우징(169)과 (170)을 갖는다. 제 8 도에서, 원반(173)의 작동만을 나타냈다. 제 8 도의 모우터(172)의 전면에 있으며, 원반(174)를 작동시키는 둘째번 모우터(171)가 모우터(172)와 동일한 작동부재를 가짐이 명백하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연결한 다수의 접속 플러그(177)를 두개의 모우터(171) 및 (172) 사이의 플레이트(167) 상에 고정시킨다. 이 플러그(177)의 위쪽 접속기(178)은 모두 인쇄 회로와 전선(182)(제 9 도 참조)상의 전도 밴드(181)에 의해 인쇄회로(180)의 전도역(179)에 접속된다.
인쇄회로(180)는 두개의 나사(183)에 의해 플레이트(167)상에 고정된다. 제 9 도에서 인쇄회로(180)는 원반(173)을 나타낼 수 있도록 축(184)을 따라 부분적으로 구분되는데 전기 원반은 조리개 원반으로서 접안구경(185)을 가지며 조리개 개구에 상응하는 직경이 다른 구경(186) 내지 (190)을 사진에서 보통 사용한다. 축(184)의 부품을 나타낸 제 9 도는 인쇄회로(180)(제 8 도 참조)를 나타낸 것으로 활자(91)가 원반(173)과 같이 회전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제 9 도에서 활자의 긴축이 축(184)와 일치하는 위치에 있음을 나타냈다. 이 활자가 원반(173)과 회전할 때에, 인쇄회로의 각 지역(179)와 원반(173)의 축(193)과 동심인 원형지역(192)와 전기집속된다.
활자(191)과 인쇄회로(180) 아래에, 치차(194)와 원반(173)을 제 9 도에 표시한 축(184) 위에 설치한다. 활자(191)와 같이, 치차를 원반(173)과 고정시켜 구동봉(175)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을 일으키며, 이 로오드는 모우터(172)의 회전시마다 치차(194)의 한쪽 톱니에 이용된다. 톱니 멈추개를(195)는 구동봉(175)가 다음 톱니와 맞물리기 위해 치차(194) 상에 역행할 때에 치차(194)의 역전을 방지하며 치차가 회전시마다 치차는 한 개의 톱니폭만큼 나가며 이것은 원반(173)의 조리개의 다음 개구위치와 일치된다.
상술한 필터의 배치에는 일정한 조리개 개구를 선정해 주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전기장치를 한다. 구경(187) 반대편의 회로(180)의 전도역(179a)에 일치하는 조리개 개구(187)(제 9 도 참조)를 미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 구경은 접안구경(185)에 의해 제 9 도에 표시한 위치로 오게 된다. 조리개(187)의 개구의 위치선정제어는 모우터로 시작한 뒤 회로(180)의 지역(179a)에 전압을 사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회로로 작동한다. 이 모우터는 활자(191)가 지역(179a)에 도달할 때까지 원반(173)을 회전시킨다. 활자를 원반축(193)에서 지역(179a)와 원형지역(192) 사이에 전기 접속으로 연결하고, 이 접속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계전기(relay)에 의해 모우터를 정지하는데 사용한다. 모우터가 정지했을 때에 구경(187)은 적당한 위치에 있게 된다. 한개의 지역(179)는 원반(173)의 각각의 구경에 해당함으로 제 7 도 내지 10 도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단추에 의해 각각의 구경을 선택할 수 있다.
필터 원반인 원반(174)은 일련의 청색, 녹색, 적색, 마젠타, 올리브-그린 및 오렌지색 필터와 조리개 원반(173)의 접안구경(185)과 유사한 접안구경을 가지며, 특별한 조업을 하는 필터를 받는 두개의 예비구경을 조리개 원반(173)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시킨다. 제 8 도에서 필터 원반(174)에 상용하는 인쇄회로(196), 활자(198)를 갖는 원반(174)의 회전(197)축과 인쇄회로(196)로 부터 플러그의 접속기(199)의 아래열로 접속되는 전기 접속기를 볼 수 있다. 링(202)와 (203)에 의해 플레이트(167) 및 (166)에 렌즈(200)및 (201)의 세트를 고정한다. 원반(173) 및 (174)은 광선이 렌즈(209) 및 (201)이 교치하는 대물렌즈를 통과하는 곳에 인접됨을 알 수 있다.
제 7 도 내지 10 도에서 표시한 사진기를 제 11 도에서 (205)로 표시했는데 여기서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테이블 상에 받혀있는 가로대(crosspieces)(208) 및 (209)에 의해 두개의 평행튜우브(207), (207)의 단부가 함께 연결된 프레임 위에 장설된다. 나사가 형성된 봉(210)는 투우브(206), (207)에 병행하며 이것의 양단에 크랭크(211) 및 (212)를 배치시켜 튜우브(206), (207)및 나사가 형성된 봉(210)을 통해 슬라이딩 지지대 (213)위에 장설된 장치(205)를 변위시킨다.
튜우브(206) 및 (207) 상에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원판 호울더나 또는 투명한 칼러필름을 두개의 유리판 사이에 둔다. 전기 원반 호울더(214)는 단단하게 결합시키는 스트랩(strap)(216)에 의해 두개의 튜우브(206), (207)상에 고정된 지지대(215)에 설치되어 주름통(218)에 의해 대물렌즈(217)에 접속된다. 원판 호울더 뒤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크세논 방전(플래쉬)관과 할로겐 초점 등을 갖는 발광기(219)가 있다. 발광기(219)는 또한 급속 연결구(220)에 의해 두개의 튜우브(206), (207)에 고정된다.
분리용 장치(205) 위에, 급송 및 권취필름감개의 매가진(81)및 (82)에 제 7 도에서 기술한 세개의 위치와 급송 및 수납로울러(85) 및 (87)와 필름 카터(96)의 축의 출구를 나타냈다. 제 11 도에 또한 플래쉬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광전관의 제어단추(123) 및 (124), 접안경(133), 조정나사(137), (138) 및 (155)를 갖는 서터장치(139)의 챔버(134)의 카버(135)와 필터와 조리개(221) 및 (222)의 개구를 미리 선택하기 위한 단추와 플래쉬제어 및 조정용 제어단추, 셀에 의한 자동측정기 및 필름급송기가 표시되어 있다.
제 7 도 내지 11 도에서 나타낸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시킨다.
분리하고자 하는 투명한 원색을 원판 호울더(214)에 나타내지 않은 두개의 유리판 사이에 놓고, 미리 필름을 넣은 매가진(81) 및 (82)를 정위치에 놓는다. 원판 호울더(214) 및 발광기(219)를 튜우브(206), (207)를 따라 변위시키고 대물렌즈(217)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원판 또는 원판의 일부분이 장치(205) 내에 조립할 때까지 레일(165)상에 인접시킨다. 이끝에서 발광기(219)의 할로겐등을 점등시키고 필터와 조리개 원반을 접안구경상에 배치하고 접안렌즈(133)을 통해 필요한 조정을 한다. 노출하지 않은 필름을 챔버(134)내의 서터장치(139)에 설치하고 이 필름을 발광기의 플래쉬를 미리 조정하여 적당한 조리개를 선정한 후에 음화마스크를 만들게 했다. 그 다음에 셔터장치(139)를 챔버(134)로부터 분리하여 음화마스크를 현상한 뒤 다시 제위치에 놓았다. 만약 서터장치(139)의 위치조정이 필요하다면, 마스크와 장치(205)의 젖빛유리(112)(제 7 도 참조) 위에 형성된 원판의 영상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세 개의 나사(137), (138) 및 (155)에 의해 행한다. 그 다음에 첫번째 분리를 하기에 적합한 필터를 정위치에 놓은 다음 플래스 및 또는 조리개의 조정을 행한다. 그 다음에 필름을 제어단추(223)로 고정하고 이 필름은 프레임(104)(제 7 도 참조)를 축(107)의 작용에 의해 카버(103)와 함께 역행이동시킨 후에 랙 부재(97)의 추진하에 셔터장치(139)의 후면으로 마찰없이 되감기게 된다. 이 필름을 적소에 두어 분리를 행했다.
광도의 모든 조정이 접안렌즈(133)내에서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젖빛 유리(112)의 전면에 광전관을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하여 광도의 평균조정을 행할 수 있다. 투명한 원판이 극히 저질일 때에 칼러고정 스크린이나 마스크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 마스크는 음화마스크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즉 이것을 챔버(134)내의 셔터 장치(139)에 놓아 제작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둘째번 색 분리를 칼러교정 마스크로 행하고 망판조작을 행하기 위해 이들 분리물을 이중인화한다.
상술한 장치는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고 사진관에서 양질의 조작을 위해 수동으로 보통 행하는 복잡하고도 정교한 조작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필름을 일정한 장력하에 되감는 도중 셔터장치나 또는 셔터장치에 사용한 마스크에 마찰을 주지 않고 제 2 도 내지 6 도에서 상세하게 표시한 택부재(97)에 의해 급송되는 필름은 사전주의 없이 분리물을 정확하게 이중인화시킬 수 있음에 반해 종래 기술에서는 이들 모든 녹화 및 이중인화조작을 수동으로 행함으로써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었다.
다음의 망판 조작을 위해 분리물을 녹화시켜 이들을 어떤 어려움이나 조정없이 이중인화할 수 있다.
상기예에서, 상기 장치를 투명한 칼러필름(다이아포지티브, 엑타초름 등)으로 분리물을 얻기 위해 사용한다. 이 응용은 오직 한가지 방법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들면 피사체를 가능한한 오래동안 움직이지 않게하여 사진 찍는 카메라로서 제 1 도 내지 11 도에서 표시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장치를 스탠드상에 장설하여 실물체, 즉 건물, 홀, 자동차등으로부터 직접 음화마스크를 제외한 분리를 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사전주의가 오직 하나 필요하다. 사진 찍기 위해 카메라에 사용되는 장치를 분리조작을 행하는 도중 피사체에 완전히 부동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Claims (1)

  1. 광속 축선에 따라 영상을 투영하기 위한 광학 시스템(13)과 상기 광속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사진필름 노출대역의 선택된 부분을 감장시킨 제 1 개구부(21,134)가 있는 공동(空洞)을 가진 제 1 하우징체(100)를 포함한 카메라, 상기 제 1 개구부에 인접 배치된 제 2 개구부를 갖는 제 2 하우징체내의 필름 권출부와 권취부(33, 9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체 내인 휴지 위치 및 상기 제 1 하우징체의 공동내인 작동위치 사이에서 상기 광속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배열된 필름이송부재로 된 필름급송기구와, 상기 권출부와 이송부재 사이에 배치된 급송 로울러 조립체 및 상기 이송부재와 권취부 사이에 배치된 수납로울러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재는 지지면을 가진 필름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급송기구는 상기 필름노출대역이 권출부로부터 일정한 장력하에 되감기도록 배열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된 필름위치가 상기 변위중에 상기 지지체와 계속 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필름 노출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작동위치에 있게하고 상기 공동내에서 노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에 복귀하도록 하고, 상기 각 로울러 조립체(30, 32, 85, 87)는 상기 필름의 양쪽 연부에 형성된 개공과 치합하게 배치된 1조의 치차와 각 치차를 역방향으로 경미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조의 치차를 접촉시키는 접속부재를 포함한 것이 특징인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로부터 색 분리 녹화를 위한 사진기.
KR7403435A 1974-08-28 1974-08-28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의 색분리용 사진기 KR79000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3435A KR790001816B1 (ko) 1974-08-28 1974-08-28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의 색분리용 사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3435A KR790001816B1 (ko) 1974-08-28 1974-08-28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의 색분리용 사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816B1 true KR790001816B1 (ko) 1979-12-20

Family

ID=1920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3435A KR790001816B1 (ko) 1974-08-28 1974-08-28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의 색분리용 사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81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2493B2 (ja) フィルムに情報の潜像を与える方法及びフィルムに情報を重ね焼き付けする装置
US3223007A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identification portrait and printed material
US2186610A (en) Lens hood
US2227987A (en) Automatic projection printer
US3984849A (en) Photographic color separation equipment
US1801458A (en) Photographic apparatus
US4342510A (en) Apparatus for making photographic pictures
US3183770A (en) Automatic copy instrument for preparing movies from still pictures
US3146661A (en) Photographic machine
US2256397A (en) Projection printer
US2206396A (en) Photographic reproducing apparatus
US2575536A (en) Plural film camera
KR790001816B1 (ko) 투명한 칼러필름 또는 실물체의 색분리용 사진기
US205660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ereopticon motion pictures
US3502411A (en) Optical step printer
US2256385A (en) Projection printer
US1204098A (en) Photographic duplicating and enlarging apparatus.
JPH11183964A (ja) プレ露光方法及び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4107712A (en) Camera for taking three dimensional photographs having screen moving means
US4125849A (en) Three dimension camera having a film holder
USRE31918E (en) Photographic color separation equipment
US3702733A (en) Print color and intensity correction method
US4166684A (en) Three dimension camera having a film holder
GB1598070A (en) Microform camera
US3186297A (en) Camera-projector having film gate mounted on condenser lens